KR20040081666A -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666A
KR20040081666A KR1020030016289A KR20030016289A KR20040081666A KR 20040081666 A KR20040081666 A KR 20040081666A KR 1020030016289 A KR1020030016289 A KR 1020030016289A KR 20030016289 A KR20030016289 A KR 20030016289A KR 20040081666 A KR20040081666 A KR 2004008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data
server
remote
remote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911B1 (ko
Inventor
최항석
Original Assignee
(주)네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이츠 filed Critical (주)네이츠
Priority to KR102003001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9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41D13/0017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specially adapted for wom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에 부착된 원격검침 단말기와 원격검침 센터의 원격검침(AMR) 서버 사이에서 서버의 요구에 따라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원격검침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단말측 통신수단; 원격검침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측 통신수단;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 전원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전원감시부; 중계기의 고유 식별자(ID)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디 설정부; 및 자기진단 모드에서 상기 전원감시부의 감시신호와 서버측 통신수단의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LED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서버측 통신수단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하여 검침명령이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패킷을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로 전송한 후 웨이크업된 원격검침 단말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검침 데이터 요구명령이면 저장된 데이터를 중계기 아이디와 함께 서버측 통신수단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A Relay for transfering measured data i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각종 계량기를 원격검침할 수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기에 부착된 원격검침 단말기와 원격검침 센터의 원격검침(AMR) 서버 사이에서 서버의 요구에 따라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이 수행하던 일들을 자동화하거나 기계를 통해 수행하는 현상이 일반화되고 있다. '원격검침'은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을 보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계량하기 위한 자동검침(AMR: Automatic Meter Reading)기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통상 자동 검침(AMR)은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원격 검침 단말기와, 중앙에서 검침을 관리하고 검침량에 따라 자동으로 과금하고 고객을 관리 하는 원격검침(AMR) 서버와, 원격검침 단말기의 계량 데이터를 원격검침(AMR)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격검침 기술에서는 검침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1:1로 직접 통신하기 때문에 통신비용이 증가하고, 단말기가 증가할수록 서버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검침 센터의 서버와 원격검침 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서버로부터 검침명령이 전달되면 해당 단말기에 검침명령을 지시하고, 각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검침 데이터를 한꺼번에 서버로 전달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단말기 없이도 독립적으로 검침 및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검침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메인 루프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서버접속 루프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단말기접속 루프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전송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전원감시부 304: 전원제어부
306: 아이디 셋팅부 308: 문자판독모듈
310: MCU 312: RF모듈
314: RS-232C 레벨변환부 316: CDMA모뎀
318: 온도센서 320: LED표시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각 수요자 설비에 설치된 원격검침 단말기와 중앙에 위치한 원격검침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검침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검침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단말측 통신수단; 상기 원격검침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측 통신수단;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 전원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전원감시부; 중계기의 고유 식별자(ID)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디 설정부; 및 자기진단 모드에서 상기 전원감시부의 감시신호와 상기 서버측 통신수단의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상기 LED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원격검침 서버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하여 검침명령이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로 전송한 후 웨이크업된 원격검침 단말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검침 데이터 요구명령이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아이디와 함께 상기 서버측 통신수단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수요자들의 댁내에 설치된 N개의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들이 로컬망(102)을 통해 하나의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연결되고, M개의 검침 데이터 중계기들(120-1~120-M)이 통신망(104)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는 전기 계량기,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등과 같이 수요자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들로서, 숫자판의 계량값을 이미지로 스캔한 후 이미지 데이터나 판독된 데이터를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각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가 원격검침 서버(130)와 1:1 방식으로 직접 통신할 경우에 통신선로를 많이 필요로 하여 통신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 구역마다 설치되어 관할지역의 모든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로부터 전송된 계량값을 집중한 후통신망(104)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단독형의 경우 스스로 검침 단말이 되어 센서들(예컨대, 대기센서, 수질센서, 및 이미지센서 등; 122-1~122-M)을 통해 현장의 각종 데이터(대기, 수질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검침 서버(130)는 계량기가 설치된 고객들에 대한 고객정보를 관리하고, 일정기간 단위로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를 통해 각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의 계량값을 읽어와 각 고객별로 사용량에 따른 과금을 처리한다. 이러한 원격검침 서버(130)는 원격검침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경우에 따라 지역적으로 분산된 로컬 서버와 이들을 통합하는 중앙 서버 등으로 구분되어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원격검침 서버(130)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유지보수 기능과, 장애 발생시 이를 경고하는 기능, 수동검침을 지시하기 위한 기능, 고객별 계량값에 대한 통계처리 기능, 각종 보고서 작성 기능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격검침 서버(130)에는 적어도 검침 데이터 중계기 아이디와, 단말기 아이디, 대응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 테이블이 필요하다.
로컬망(102)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와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서 무선이나 유선방식 모두 가능한데, 무선방식의 경우 ISM 밴드를 사용하거나 블루투스, 무선랜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유선방식의 경우 전력선 모뎀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방식이나 RS-232C, RS-422방식, PSTN 모뎀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들(120-1~120-M)과 원격검침 서버(130)를 연결하는 통신망(104)은 무선망(이동통신망, PCS망, TRS망 등), 유선망(PSTN), 위성망, 혹은 인터넷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원격검침이 이루어지는 절차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30)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에 검침을 요구하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가 단말기(110-1)에 검침을 요구한 후 검침 데이터를 전달받아 서버(130)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이때 검침방식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가 관할하는 모든 단말기들에 일괄적으로 검침을 요구한 '전체 검침'과, 특정 단말기를 지장하여 검침을 요구하는 '개별 검침'이 있다.
먼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자신이 관할하는 지역의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에 대한 정보와 검침 데이터 중계기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의 아이디는 내부의 불활성 메모리나 설정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원격검침 서버(130)에 입력되어 있다.
원격검침 서버(130)는 전체검침을 요구하는 패킷을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전송한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검침명령이 수신되면 이를 디코딩하여 명령의 종류를 판별한다. 통상,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전송되는 패킷의 포맷은 헤더와 전화번호, 서버전화번호, 검침 데이터 중계기 ID, 시작 주소, 종료주소, 정보, CRC 등으로 구성된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후 정상이면 "ACK"를 전송하고, 이상이 있으면 재전송을 요구하는 "NAK"를 전송한다.
이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전체검침 명령에 따라 관할하는 전체 원격검침 단말기들(110-1~110-N)을 웨이크업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여 모든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로 전송하고, 각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는 동시에 웨이크업된 후 각각 원격검침을 수행하여 검침 데이터를 준비한다.
이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각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에 대해 데이터 요구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에 따라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는 검침 데이터를 해당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검침 데이터를 받으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 다음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에 대해서 데이터 요구 및 검침 데이터 수신과정을 반복하고, 모든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에 대해 검침 데이터 수집이 완료되면, 전체 단말기 슬립(sleep)명령을 전송하여 전체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를 슬립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전체 검침에 따른 데이터 요구를 수신하면, 검침 데이터를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한다.
한편, 개별검침의 경우 원격검침 서버(130)는 개별검침을 요구하는 패킷을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전송한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이를 디코딩하여 명령의 종류를 판별한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면 ACK를 전송한다.
개별검침 명령이면, 지정된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를 웨이크업하기 위하여 개별 웨이크업 패킷을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로 전송한다. 지정된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는 개별검침 명령에 따라 웨이크업된 후 원격검침을 수행하여 검침데이터를 준비한다. 이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에 대해 데이터 요구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에 따라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는 검침 데이터를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검침 데이터를 받으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정상이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를 개별 슬립시킨다.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개별 데이터 요구가 수신되면, 지정된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에 대한 개별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원격검침 서버(130)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으면 ACK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검침 중계장치는 단말기없이도 독자적으로 검침 데이터나 각종 환경 데이터(대기정보, 수질정보 등)를 수집하는 기능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ARM서버(130)로부터 자체검침 요구명령이 수신되면, 검침 데이터중계기(120-1~120-M)는 응답한 후 센서들(122-1~122-M)로부터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AMR서버(130)로 자체 데이터를 전송한다. AMR서버(130)는 해당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로부터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응답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구성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중계장치(120)는 전원감시부(302), 전원 제어부(304), 중계기 아이디 설정부(306), 문자판독모듈(307), 외부 아날로그 분석모듈(308), 센서인터페이스(I/F)부(309), MCU(310), RF모듈(312), RS-232레벨변환부(314), CDMA모뎀(316), 온도센서(318), LED표시부(320), LCD(322)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감시부(302)는 시스템 전원과 CDMA 전원, RF 전원을 감시하여 전원의 상태를 마이크로프로세서(MCU: 310)에 전달하고, 전원제어부(304)는 CDMA모뎀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리셋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전원제어부(304)에는 시스템의 내부 온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팬(FAN)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중계기 ID 설정부(306)는 서버(130)가 다수의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 중에서 원하는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 중계기마다 할당된 고유식별자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문자판독모듈(307)은 검침 단말기들(110-1~110-N)로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에 서버(130)의 요구에 따라 문자판독하여 판독된 값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아날로그 분석모듈(308)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가 센서인터페이스부(309)를 통해 입력받은 자체 검침 데이터(이미지, 대기 데이터, 수질 데이터 등)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서버(130)의 요구에 따라 검침 단말기(110-1~110-N)로부터 전달받은 검침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거나 자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RF모듈(312)은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와 원격검침(AMR) 단말기(110-1~110-N)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방식을 사용하나 유선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MCU부(310)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서버(130) 및 단말기(110-1~110-N)와의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전원이 온되면 자기진단을 실시한 후 검침 데이터 중계기 아이디(Collector ID)를 설정한다. 검침 데이터 중계기 아이디는 이이피롬(EEPROM)이나 딥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최초 설치시 설정된다. 이러한 MCU부(310)는 CDMA모뎀(316)을 통해 AMR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분해하여 명령을 해독하고, 검침명령이면 해당 단말기에 검침을 지시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한 후 RF모듈(312)을 통해 해당 AMR 단말기(110-1~110-N)로 전송한다. 그리고 AMR 단말기(110-1~110-N)가 원격검침을 수행하여 검침 데이터를 준비하면, 데이터 요구 패킷을 전송하여 검침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CDMA모뎀(316)을 통해 데이터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수집된 검침 데이터를 CDMA모뎀(316)을 통해 AMR 서버(130)로 전송한다.
CDMA모뎀(316)은 통신망(104)을 통해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와 서버(130) 간에 통신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통신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구현된다. 예컨대, 통신망(104)이 무선 통신망인 경우 CDMA모뎀으로 구현되고, 유선전화망(PSTN)인 경우 PSTN모뎀으로 구현되며, 위성통신망인 경우 위성송수신기로 구현된다.
온도센서(318)는 중계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MCU(310)로 제공하고, LED 디스플레이부(320)는 중계기(120-1~120-M)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LED들로 이루어지는데, 그 구체적인 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또한 이러한 중계기의 동작 상태는 LCD(322)에 의해서도 표시된다.
기호 명칭 기능
LED 1 System Run 시스템의 정상 동작상태를 표시함
LED 2 CDMA Run CDMA모뎀의 정상 동작상태를 표시함
LED 3 RF Run RF모듈의 정상 동작상태를 표시함
LED 4 System 저전압 시스템전압이 저전압임을 경고함
LED 5 CDMA 저전압 CDMA 전압이 저전압임을 경고함
LED 6 RF 저전압 RF 전압이 저전압임을 경고함
LED 7 온도이상 장이 온도가 고온임을 경고함
LED 8 CDMA 감도 이상 CDMA의 수신상태가 불량함을 경고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메인 루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계기의 MCU(310)는 CDMA모뎀(316)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130)와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원격검침 서버(130)와 접속되었으면 후술하는 서버 접속 루프(CDMA_LOOP)를 수행하고, 아니면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검침명령을 받았는가를 판단하여 검침명령을 받았으면 후술하는 검침 단말기 접속루프(RF_LOOP)를 수행한다(단계 401, 402).
이어 평상시에는 1분마다 온도와 전압을 체크하여 이상유무를 LED(320)로 표시하는데, 이를 위하여 단계 403에서는 1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 1분이 경과되었으면, 단계 404에서 중계기(120-1~120-M)의 온도와 전압을 체크하고, 단계 405에서는 1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한 후 1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단계 406에서 수신감도를 체크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120-1~120-M)는 자기진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1분마다 온도와 전압을 체크하여 이상유무를 LED로 표시함과 아울러 1시간 간격으로 수신감도(RSSI)를 체크하여 이상 유무를 LED로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서버접속 루프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메인 루프에서 CDMA모뎀(316)을 통해 서버(130)와 접속되었을 경우에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는 서버와 연결이 끊겼는가를 판단하여 연결이 끊겼으면 메인 루프(MAIN LOOP)로 돌아가고, 아니면 단계 502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AMR 서버(130)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완료했는가를 판단하여 수신을 완료했으면 단계 503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어 단계 504에서 CRC를 체크한 후 정상이면, 단계 505에서 장치 아이디(중계기 ID)를 체크한다. 수신된 명령의 중계기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면 단계 506에서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받은 명령을 해석한다. 이때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은 1. 전체검침 요구, 2. 개별검침 요구, 3. 검침 데이터 요구, 4. 자체검침 요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한 결과, '전체검침 요구' 또는 '개별검침 요구'이면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로 검침을 요구하기 위하여 검침 단말기를 설정한다(단계 507). 검침 단말기 설정에서는 단말기와의 접속과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한 결과 '검침 데이터 요구'이면, 단계 508에서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를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한 결과 '자체검침요구'이면, 단계 509에서 자체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자체 검침 데이터(이미지 데이터, 대기 데이터, 수질 데이터 등)를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한다.
단계 504에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단계 505에서 아이디(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패킷을 버린 후 단계 510에서 NAK 메시지를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하여 패킷의 재전송을 요구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RF 루프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명령이 검침명령일 경우에 수행되는 절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검침할 대상의 주파수 채널을 분리한다. 통상 검침 1채널(CH)당 검침 단말기를 10개씩 할당한다. 이어 검침대상 채널(CH)의 혼신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채널에 혼신이 있으면 혼신 채널을 저장한 후 다음 채널로 검침 대상을 변경한다(602,603).
단계 602에서 혼신이 검출되지 않으면, 중계기(120-1~120-M)는 RF모듈(312)을 통해 검침대상이 되는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로 웨이크업 명령을 전송한다(605). 이때 개별검침의 경우에는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의 아이디(ID)를 지정하여 웨이크업하고, 전체검침의 경우에는 해당 중계기(120-1~120-M)가 관할하는 모든 원격검침 단말기들(110-1~110-N)을 웨이크업한다.
이어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가 검침값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예컨대, 65초)만큼 시간지연한 후,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들에 검침 데이터를 요구한다(단계 606, 607).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는 중계기(120-1~120-M)의 요구에 따라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고, 검침 데이터 중계기(120-1~120-M)는 RF모듈(312)을 통해 이를 수신한 후 수신 데이터를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608, 609). 이때,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가 전송하는 검침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나 판독된 데이터가 가능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 예를 보여준다.
이어 수신된 데이터의 CRC를 검사하여 정상이면 검침 데이터를 저장하고, 에러가 발생되면 검침 데이터를 Null값으로 채우고 잘못된 데이터임을 표시한다(단계 610~612). 이어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를 슬립(sleep)시킨다(단계 613).
이어 단계 614에서 모든 검침이 끝났는지를 판단하여 검침이 끝났으면, 단계 615에서 혼신채널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혼신채널이 있으면 혼신채널에 재검침 횟수를 기록한 후 상기 검침과정을 반복하고, 혼신채널이 없으면 종료한다(단계61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의 검침 데이터 전송루프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검침 데이터 요구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실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검침 서버(130)로부터 검침 데이터 명령이 수신되면 요구하는 데이터의 형식이 이미지 데이터인지 혹은 판독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단계 701,702).
요구하는 데이터의 형태가 '이미지 데이터'이면, 원격검침 단말기(110-1~110-N)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한다(단계 703~706).
요구하는 데이터의 형태가 '판독 데이터'이면, 저장된 계량기 숫자판의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인식하여 계량값을 판독한 후, 인식결과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707~71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검침(AMR) 서버와 원격검침(AMR) 단말기 사이에 중계수단으로서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가 위치하여 원격검침(AMR) 서버로부터 개별검침이나 전체 검침명령이 전달되면 해당 원격검침(AMR) 단말기들을 웨이크업시킨 후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한꺼번에 원격검침(AMR)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소요되는 통신선로를 줄여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원격검침(AMR)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각 수요자 설비에 설치된 원격검침 단말기와 중앙에 위치한 원격검침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검침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검침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단말측 통신수단;
    상기 원격검침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측 통신수단;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
    전원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전원감시부;
    중계기의 고유 식별자(ID)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디 설정부; 및
    자기진단 모드에서 상기 전원감시부의 감시신호와 상기 서버측 통신수단의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상기 LED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원격검침 서버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하여 검침명령이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 해당 원격검침 단말기로 전송한 후 웨이크업된 원격검침 단말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검침 데이터 요구명령이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아이디와 함께 상기 서버측 통신수단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는
    각종 센서들을 연결하기 위한 센서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센서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외부 아날로그 분석모듈을 더 구비하여
    검침단말기의 검침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모드와 상기 외부 아날로그 분석모듈에서 검출된 자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독형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침 단말기와 중계기간의 통신중에 혼신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채널에 혼신이 유입될 경우에는 타채널에 대한 검침을 수행한 후, 혼신채널에 대해서 재검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는
    계량기의 숫자판 이미지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아 계량값을 판독하기 위한 문자인식모듈을 더구비하여 원격검침 서버로부터 판독 데이터를 요구받으면 상기 문자인식모듈에 의해 판독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KR1020030016289A 2003-03-15 2003-03-15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KR10055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289A KR100555911B1 (ko) 2003-03-15 2003-03-15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289A KR100555911B1 (ko) 2003-03-15 2003-03-15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666A true KR20040081666A (ko) 2004-09-22
KR100555911B1 KR100555911B1 (ko) 2006-03-03

Family

ID=3736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289A KR100555911B1 (ko) 2003-03-15 2003-03-15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91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167B1 (ko) * 2005-10-11 2007-03-09 (주)누리텔레콤 원격 검침 데이터 수집/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2577B1 (ko) * 2006-12-18 2009-02-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원격검침 구성요소 관리 및 진단시스템
KR100944043B1 (ko) * 2007-12-31 2010-02-24 주식회사 레오테크 데이터 로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유량 검침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45651B1 (ko) * 2007-12-28 2010-03-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무선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통신 불능시 배터리방전식별장치 및 그 방법
KR101033995B1 (ko) * 2008-07-21 2011-05-11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자가 진단 기능을 가지는 보안시스템
KR101144751B1 (ko) * 2011-10-20 2012-05-09 주식회사 레오테크 다중채널 클러스터 기반의 무선 원격 검침망 시스템
KR101376532B1 (ko) * 2012-12-28 2014-03-19 (주)누리텔레콤 솔라 리피터와 배터리 검침기를 이용한 저전력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7194B1 (ko) * 2013-04-30 2014-12-10 주식회사 레오테크 M2m 양방향 원격검침 시스템용 근 실시간 저전력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170020932A (ko) * 2011-12-06 2017-02-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머신 투 머신 디바이스 제어 및 트리거링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1768611A (zh) * 2018-06-12 2020-10-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电表数据核对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87B1 (ko) * 2011-03-25 2013-05-10 (주)현대페타텔 원격검침용 지능형 분배기 및 그를 이용한 검침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167B1 (ko) * 2005-10-11 2007-03-09 (주)누리텔레콤 원격 검침 데이터 수집/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2577B1 (ko) * 2006-12-18 2009-02-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원격검침 구성요소 관리 및 진단시스템
KR100945651B1 (ko) * 2007-12-28 2010-03-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무선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통신 불능시 배터리방전식별장치 및 그 방법
KR100944043B1 (ko) * 2007-12-31 2010-02-24 주식회사 레오테크 데이터 로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유량 검침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33995B1 (ko) * 2008-07-21 2011-05-11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자가 진단 기능을 가지는 보안시스템
KR101144751B1 (ko) * 2011-10-20 2012-05-09 주식회사 레오테크 다중채널 클러스터 기반의 무선 원격 검침망 시스템
KR20170020932A (ko) * 2011-12-06 2017-02-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머신 투 머신 디바이스 제어 및 트리거링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299092B2 (en) 2011-12-06 2019-05-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to machine device control and triggering
KR101376532B1 (ko) * 2012-12-28 2014-03-19 (주)누리텔레콤 솔라 리피터와 배터리 검침기를 이용한 저전력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7194B1 (ko) * 2013-04-30 2014-12-10 주식회사 레오테크 M2m 양방향 원격검침 시스템용 근 실시간 저전력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11768611A (zh) * 2018-06-12 2020-10-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电表数据核对方法及装置
CN111768611B (zh) * 2018-06-12 2021-05-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电表数据核对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911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5877A1 (e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ter reading data in the same
US5854994A (en) Vibration monitor and transmission system
US63015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synchronizing a wireless machin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5907491A (en) Wireless machin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555911B1 (ko)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중계장치
US20070083294A1 (en) Wireless data acquisition system
US6628208B1 (en) Measurement device
KR1011365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측정 시스템
EP2843636B1 (en) Monitoring and control of alarm systems
KR20110033569A (ko)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03295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relay apparatus and program
KR100545267B1 (ko) 무선 디지털 계량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KR20040000031A (ko) 원격검침시스템
EP3499928B1 (en) Determining signal quality in a low-power wide-area network
KR20220030024A (ko) 절전형 스마트계량기
KR100691167B1 (ko) 원격 검침 데이터 수집/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H0870488A (ja) 無線検針システム
KR20050012572A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무선 모뎀의 전력 소모를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CN110422711A (zh) 一种建筑工地施工电梯楼层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130110273A (ko)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무선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JP2010079359A (ja) 無線検針システム、無線検針方法、無線子機、中継装置及びそれらを動作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H06351071A (ja) 無線検針方法
JP2001157280A5 (ko)
KR101144751B1 (ko) 다중채널 클러스터 기반의 무선 원격 검침망 시스템
JP3264278B2 (ja) ガス検針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