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130A -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130A
KR20040081130A KR10-2004-7011038A KR20047011038A KR20040081130A KR 20040081130 A KR20040081130 A KR 20040081130A KR 20047011038 A KR20047011038 A KR 20047011038A KR 20040081130 A KR20040081130 A KR 2004008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formula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랑게라이너
폰스테텐오토
Original Assignee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8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오트짚 추출물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국소용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프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및 오트짚 추출물과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oat straw and willowherb extract}
다수의 제품은 피부에 도포시 염증 반응을 일으켜 자극, 발적, 가려움, 자통, 습진, 좌창 등과 같은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국소 도포용 제품내에 존재하는 특정의 화학 성분에 의해 야기될 수 있거나, 오물 등의 외부 요인 또는 대기 및 수질 오염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피부가 노출되거나, 태양 광선에 피부가 노출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이 경우, 염증 반응은 기저귀 발진, 태양에 과다 노출후 피부 발적 및 선번과 같은 현상을 야기한다.
이는 특히 눈 또는 눈 주변 영역, 입술 및 입술 인접 영역, 점막 영역 등과같은 민감한 피부 영역에 도포되는 제품의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민감성 피부이거나, 특히 민감한 피부 부위를 가지고 있는데, 아토피성 피부 타입의 사람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품은 이러한 사람들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피부를 일상적으로 매일 세정하는 것이 여기에 사용된 제품의 매개없이도 유사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를 규칙적으로 심하게 문지르고/문지르거나 습기와 일정하게 접촉하는 것이 이러한 현상들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사용된 제품내에 특정 성분이 존재함으로써 그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건조한 공기나 차거운 공기 또는 이 둘다에 노출되는 것이 또한 이러한 현상들을 야기할 수 있다. 다시, 민감한 피부 영역 또는 민감성 피부를 가지는 사람들이 이러한 현상에 좀 더 심하게 놓여 질 수 있다.
따라서,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의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저지하는 약제가 요망되고 있다. 이들 약제는 국소용 제제에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거나, 특히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제제 또는 다른 요인에 노출되기 전, 노출 동안 또는 노출된 후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는 상기 약제를 함유하는 특수 국소용 제제가 개발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 및 이들 약제를 함유하는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국소용 제제를 적용하는 한 특정 방식은 와이프와 같은 적합한 어플리케이터를 통해서이다. 최근, 와이프 제품은 성인 및 유아에게 다양하게 적용되는 중요한 제품 카테고리가 되고 있다. 예로는 얼굴 또는 보디 클렌징 와이프, 피부 처리용 와이프, 피부 컨디셔닝 와이프, 선스크린 와이프와 같은 활성 성분을 투여하기 위한 와이프를 포함한다. 이들 제품은 전형적으로 부직물로 만들어진 시트에 적절한 로션을 주입시켜 제조된다.
다년간에 걸쳐, 와이프 제품은 상당한 변화를 겪었으며, 직조, 액체(또는 로션) 함침에서 뿐만 아니라 제품 외관에서의 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혁신이 있어 왔다.
와이프에는 종종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하거나 촉촉하게 하는 조성물이 함침된다. 사용시에, 와이프는 점막 또는 눈과 같은 민감한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민감 영역에 와이프를 사용하거나 민감성 피부 타입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와이프를 적용하는 경우에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사실 동일한 현상이 다른 타입의 어플리케이터 제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따라서, 염증 반응을 개시하지 않는 제제를 함유하는 어플리케이터 제품, 특히 와이프 제품이 요망된다. 또한, 와이프 상에 존재하는 특정 제품 또는 와이프 재료 자체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반응을 예방하거나 경감시키는 약제가 요망된다. 이러한 제품 및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들 목적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제를 어플리케이터 또는 특히 와이프에 적용하여 이들 어플리케이터 또는 와이프 제품이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예방 또는 경감시키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와이프의 특히 중요한 제품 특성은 유연성이다. 한편으로 와이프 재료의 유연성 및 다른 한편으로 와이프 사용후 유연성이 소비자에게 중요한 득이 된다.이는 특히 유아 적용시에 그러하다.
초기에, 젖은 와이프 제품은 제지 기술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부직재로 만들어졌다(펄프계 제품). 이들 제품은 만족스러우나, 직재의 유연성을 갖지 않는다.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 기술의 도입으로 통상의 페이퍼계 제품에 비해 유연성이 뛰어난 제품을 제공하게 되었다.
최종 제품 또는 원료로 사용된 섬유에 유연제를 첨가하여 부직물의 유연성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건조 훼이셜 티슈 제품 및 화장실용 페이퍼에 적용되는데, 이때 '직물 유연제' 첨가로 유연성이 상당히 향상된다. 대부분의 이들 유연제는 실리콘-기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이다.
따라서,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의 염증 반응을 경감 또는 치료함과 동시에 유연성 면에 있어서, 와이프 제품 자체적으로 뿐 아니라 와이프 제품으로 처리후 피부에 대한 유연성이 뛰어난 와이프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와이프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오트짚 추출물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원에 정의된 조성물 및 추가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국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국소용 제제는 피부과용, 특히 미용용일 수 있다. 특정 측면으로, 국소용 제제는 클렌징용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제는 다른 식물 추출물과 같은 추가의 활성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로, 조성물 또는 제제는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또는 카모밀라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한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국소용,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미용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 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국소용 또는 미용용 제제는 특히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경감 또는 치료하기 위한 본 원에 개시된 조성물 또는 본 원에 개시된 국소용 제제의 용도, 특히 미용적인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달리, 본 발명은 해당 피부 영역에 본 원에 개시된 조성물 또는 국소용 제제를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구제 또는 치료하는 방법, 특히 미용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밖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피부 영역에 본 원에 개시된 조성물 또는 국소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인의 외관을 개선시키는 미용적인 방법을 포함한다.
특정 국소용 제제는 표면, 특히 사용자의 피부에 성분들을 전달할 수 있는 2- 또는 3-차원 기판의 어플리케이터상에 사용하기 위한 로션제이다. 이러한 기판의 예는 퍼프, 패드, 스폰지, 바, 브러쉬, 코튼 볼, 글로브, 미트, 면봉 등, 특히 시트, 및 보다 특히 와이프이다. 따라서, 특정 측면으로, 본 발명은 특히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와 함께, 오트짚 추출물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제는 액체이며, 상기 어플리케이터 또는 시트상에 코팅되거나, 그 안으로 함침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조성물 또는 제제는 액체이며,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및/또는 C8-20알킬 글루코사이드를 추가로 함유한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조성물 또는 제제는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또는 카모밀라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제는 수성계일 수 있으며, 특히 수용액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유제가 유중수 또는 수중유일 수 있거나, 수중유중수와 같은 보다 복잡한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유제 계통이다. 수중유 유제가 바람직하고, 상 전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수중유 유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추가의 측면으로, 본 발명은 염증 반응에 의한 반응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기 위한 본 원에 개시된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이들 제제는 피부 유연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별도로, 본 발명은 본 원에 개시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염증 반응에 의한 부작용을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상 또는 피부내에서 염증 반응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오트짚 추출물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국소용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시트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와 함께, 오트짚 추출물과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원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퍼센트는 중량/중량(w/w)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제에 사용하기 위한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천연 소스의 오트짚(아베나 파투아(Avena sativa)) 및 윌로우허브(에필로비움 안구스티폴리움(Epilobium angustifolium), 분홍바늘꽃으로도 불린다)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방법으로 수득된다. 이 추출물은 건조 물질의 농도가 다양한 수성일 수 있거나, 건조 형태일 수 있다. 추출물은 특히 수성이며, 방부제, 특히 화장품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방부제, 모노- 및/또는 폴리올, 예를 들어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적합한 용매 및 다른 성분, 예컨대 보존제, 안정화제 등중에서 선택된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수성이며, 건조 물질을 약 0.5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 약 2 내지 약 3%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오트짚 추출물은 Dragoco(독일)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xtrapone OatsTM'으로 불리는 제품이다. 이 오트짚 추출물은 수성이며, 건조 오트짚 추출물(아베나 사티바)을 약 1 내지 약 5%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Fytokem(Atrium Biotechnologies)(캐나다)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Canadian Willowherb ExtractTM'으로 불리는 제품이다. 이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수성이며, 건조 윌로우허브 추출물(에필로비움 안구스티폴리움)을 약 1 내지 약 5%로 함유한다.
상기 문단에서 퍼센트는 w/w, 즉, 추출물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추출물의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두 추출물의 w/w 비는 달라질 수 있으나, 특히, 10:1 내지 1:10, 보다 특히 5:1 내지 1:5,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3:1 내지 1:3 범위이다. 오트짚 추출물 대 윌로우허브 추출물 양의 비가 5:1 내지 1:1인 조성물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오트짚 추출물 대 윌로우허브 추출물 양의 w/w 비가 약 1:1 또는 약 5:1인 것이다. 본 원에 사용된 w/w 비란 건조 추출물 중량을 의미한다. 추출물은, 경우에 따라 다른 물질들을 함유하는 용매중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w/w 비는 추출물내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 또는 용매의 양에 따라 재산정된다.
오트짚 추출물은, 약 1 내지 약 5% w/w 농도의 시판 추출물 용액인 경우, 0.001 내지 10%, 바람직하게 0.002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 0.005 내지 3%의 농도로 국소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약 1 내지 약 5% w/w 농도의 용액인 경우, 0.001 내지 10%, 바람직하게 0.002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0.005 내지 3%의 농도로 국소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오트짚 추출물은 건조 물질의 w/w 농도로 환산시 0.00001 내지 0.5%, 바람직하게 0.00002 내지 0.25%, 가장 바람직하게 0.00005 내지 0.15%의 농도로 국소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오트짚 추출물은 건조 물질의 w/w 농도로 환산시 0.001 내지 0.05%, 바람직하게 0.002 내지 0.01%, 가장 바람직하게 0.005 내지 0.025%의 농도로 국소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특히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건조 물질의 w/w 농도로 환산시 0.00001 내지 0.5%, 바람직하게 0.00002 내지 0.25%, 가장 바람직하게 0.00005 내지 0.15%의 농도로 국소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윌로우허브 추출물은 건조 물질의 w/w 농도로 환산시 0.0001 내지 0.05%, 바람직하게 0.00015 내지 0.01%, 가장 바람직하게 0.001 내지 0.005%의 농도로 국소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문단 및 이전 문단에 사용된 오트짚 추출물 또는 윌로우허브 추출물의 퍼센트는 건조 물질에 대한 것이며, 추출물이 용액으로 사용된 경우 상기 퍼센트는 명백히 용액중 건조 추출물의 농도를 고려하여 재산정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출물을, 임의로 적합한 용매의 존재하에서 혼합하여 제조된다.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들이 첨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다른 성분들과 혼합한 후, 제조된 혼합물을 배합하여 목적하는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농축물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어서 용매 및/또는 다른 성분들의 첨가로 목적하는 조성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은 수성이다. 이들은 본 발명의 국소용 제제에 사용하기 위해 본 원에 언급된 성분들을 포함하여 추가의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추가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로에 바르바덴시스(Aloe Barbadensis) 잎액의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은 Dragoco(독일) 사로부터 'Extrapone AloeVeraTM'의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 추출물은 약 0.1 내지 약 1%의 알로에 베라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내 알로에 베라 추출물 대 윌로우허브 추출물의 w/w 비는 달라질 수 있으나, 특히 10:1 내지 1:10, 보다 특히 5:1 내지 1:5, 보다 구체적으로 3:1 내지 1:3 범위이다. 약 1:1 비가 바람직하다. 본 원에 사용된 이들 w/w 비는 건조 추출물에 대한 것이며, 추출물이 용매중에 사용된 경우에는 재산정되어야 한다.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모밀라 추출물(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을 추가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카모밀라 추출물은 Dragoco(독일) 사로부터 'Extrapone ChamomileTM'의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내 카모밀라 추출물 대 윌로우허브 추출물의 w/w 비는 달라질 수 있으나, 특히 10:1 내지 1:10, 보다 특히 5:1 내지 1:5, 보다 구체적으로 3:1 내지 1:3 범위이다. 약 1:1 범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w/w 비는 또한 건조 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유도된 제제의 촉감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조성물의 유연성 및 적용후 피부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약제가 첨가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와이프) 상에 또는 이중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제제의 특정 케이스로, 어플리케이터(와이프)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는 특히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 후자의 양은 적절한 기타 성분들을 첨가한 후, 최종 제제내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의 농도를 0.01 내지 2%, 특히 0.015 내지 1%, 바람직하게 0.0175 내지 0.5%, 보다 바람직하게 0.0175 내지 0.335%, 또는 0.02 내지 0.5%, 보다 더 바람직하게 0.08 내지 0.2%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양이다.
특정 구체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알콜 글루코사이드, 특히 C8-20알킬 글루코사이드, 보다 특히 C8-l6알킬 글루코사이드, 바람직하게 coco-글루코사이드를 추가로 함유한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알킬 글리코사이드 또는 coco-글리코사이드로도 언급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내 상기 글루코사이드의 양은 적절한 기타 성분들을 첨가한 후, 특히 최종 제제내 상기 글루코사이드의 농도를 0.01 내지 2%, 특히 0.015 내지 1%, 바람직하게 0.0175 내지 0.5%, 보다 바람직하게 0.0175 내지 0.335%, 또는 0.02 내지 0.5%, 보다 더 바람직하게 0.08 내지 0.2%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양이다.
본 원에 사용된 C8-20알킬 또는 C8-l6알킬은 약 8 내지 약 20개 또는 약 8 내지 약 16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의미한다(이들의 혼합물도 포함). C8-20알킬 또는 C8-l6알킬은 특히 지방 알콜로부터 유도된다. C8-l6알킬의 예는 카프릴, 2-에틸헥실, 카프리닐, 라우릴,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틸, 팔모레일, 세틸 등이다. C8-20알킬은 이들 래디칼 뿐만 아니라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올레일, 리놀레닐, 리놀릴 등을 포함한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유도된 제제중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대 지방 알콜 글루코사이드의 양의 비는 2:1 내지 1:2, 바람직하게 1.5:1 내지 1:1.5, 가장 바람직하게 약 1:1이다.
특히 적합한 조합은 20 내지 40%의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20 내지 40%의 coco 글루코사이드와 물의 혼합물로서 'LamesoftTM', 특히 'Lamesoft P065'의 등록상표로 시판되는 것이다. 이 'Lamesoft' 제품은 제제중에 0.1 내지 1%, 바람직하게 0.1 내지 0.5%, 보다 바람직하게 0.25 내지 0.5%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출물 및 임의의 추출물 또는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추출물은 건조 또는 용액 상태일 수 있으며, 혼합후, 추가의 용매가 첨가될 수 있거나, 용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증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원에 정의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국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국소용 조성물은 피부과용 제제(또는 국소용 약제) 뿐 아니라 미용용 제제를 포함한다. 사용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국소용 제제는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들은 용액제, 유제, 페이스트, 산제, 과립제, 젤, 와이프용 로션을 포함하는 로션제, 애프터-선 로션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전형적으로 배쓰 첨가제,크림제, 연고, 젤, 로션제 등 또는 샴푸, 비누, 클렌징 로션 등의 클렌징용 제제와 같은 피부과 또는 미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제는 예를 들어 용액제, 젤, 로션제, 크림제, 수중유, 유중수 또는 복합 유제, 발포 제품 또는 리포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국소용 제제는 다른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여, 외부 국소 투여에 적합한 기타 성분 또는 첨가제, 특히 피부과 또는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 또는 첨가제의 예로 계면활성제, 유화제, 컨시스턴시 인자(consistency factor), 컨디셔너(conditioner), 에몰리언트(emollient), 피부 케어 성분, 모이스춰라이저(moisturizer), 유연제, 농후제, 윤활제, 필러, 결합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성 성분, 특히 피부과적 활성 성분, 염료, 유백화제, 향료 등이 있다. 본 원에 언급된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등의 약제를 포함한다. 국소용으로 적합한 활성 성분이 특히 중요하다.
첨가될 수 있는 오일은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물성 기름 또는 광유 또는 실리콘 오일이 있다. 오일의 예로 천연 오일, 예컨대 아몬드유, 대두유, 밀배아유, 아보카도유, 호호바유, 아마인유, 참깨유, 호두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등, 광유 및 파라핀 오일 및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합성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에몰리언트 그룹은 라놀린, 라놀린 알콜, 라놀린산, 폴리에톡실화 또는 아크릴화 라놀린 또는 라놀린 유도체, 레시틴 및 레시틴 유도체, C6내지 C40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선형 또는 측쇄 지방 알콜 및 그와 유기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탄소원자수 2 내지 30의 측쇄, 방향족 또는 선형 카본산 또는 폴리산과의 에스테르, 지방산 및 탄소원자수 2 내지 40의 측쇄, 방향족 또는 선형 알콜 또는 폴리알콜과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대두유 등의 비비누화 분획에서 발견되는 스테롤, 예를 들어 대두 식물스테롤, β-시토스테롤, β-시토스테릴 라우레이트, β-시토스테릴 스테아레이트 등, 천연 및 합성 왁스, 예를 들어 비즈왁스, 퍼셀린(purcelline), 셰어(shea) 버터, 코코아 버터,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바셀린, 마이크로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등,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예를 들어 디-n-옥틸사이클로헥산, 구어버트(Guerbet)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비스-2-옥틸 도데실카보네이트, 디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디-n-옥틸 에테르 등의 리피드이다.
제제는 또한 키토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그의 유도체 등등의 필름-형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제제는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항박테리아제 및 항진균제, 항염증제, 항자극성 화합물, 항가려움증제, 항통증제, 보습제, 피부 보호 성분, 식물 추출물, 비타민 등의 활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의 예로 PVP와 과산화수소의 컴플렉스, 식물 추출물로서 항염증제, 비사볼롤, 판테놀, 토코페롤, 항통증용 활성제, 항비듬제, 노화방지제, 예를 들어 레티날, 레티놀 또는 레티논산 등의 레티노이드, 또는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등, 탄수화물, 예를 들어 멜리비오스, 에탄올아민,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및 그의 염 등이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활성제는 예를 들어 메디카고 오피시날리스, 아크티니디아 키넨시스, 알란토인, 알로에 바르바덴시스, 아노나 체리몰리아, 안테미스 노빌리스, 아라키스 히포가에아, 아니카 몬타나, 아베나 사티바, 베타-카로텐, 비사볼롤, 보라고 오피시날리스, 부틸렌 글리콜,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 카멜리아 시넨시스, 캠포, 칸디다 봄비콜라, 카프릴로일 글리신, 카리카 파파야, 센타우레아 시아누스,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모밀라 레쿠티타, 케노포듐 퀴노아, 친초나 숙시루브라, 콘트러스 크리스푸스, 시트러스 아우란티움 둘시스, 시트러스 그란디스, 시트러스 리모눔, 코코스 누시페라, 코페아 아라비카, 구리 펩타이드, 예를 들어 구리 트리펩타이드-1, 크라타에구스 모노기나, 쿠쿠미스 멜로, 디클로로페닐 이미다졸디옥솔란, 엔테로모파 콤프레사, 에퀴세툼 아벤스, 에탄올아민,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및 그의 염, 에톡시디글리콜, 에틸 판테놀, 파네솔, 페룰산, 프라가리아 칠로엔시스, 젠티아나 루테아, 진크고 빌로바,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리시리자 글라브라, 하마멜리스 버기니아나, 헬리오트로핀, 수소첨가 팜 글리세라이드, 시트레이트, 가수분해된 피마자유,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이리스 플로렌티나, 주니페루스 콤무니스, 락티스 프로테이눔, 락토스, 로우소니아 이너미스, 리날룰, 리눔 유시타티시뭄, 리신, 마그네슘 아스파테이트, 마그니페라 인디카, 말바 실베스트리스, 만니톨, 멜, 멜라레우카 알터니폴리아, 멘타 피페리타, 멘톨, 멘틸 락테이트,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님파에아 알바, 올라플루르, 오리자 사티바, 판테놀, 파라피눔 리퀴둠, PEG-20M, PEG-26 호호바산, PEG-26 호호바 알콜, PEG-35 피마자유, PEG-40 수소첨가 피마자유, PEG-60 수소첨가 피마자유, PEG-8 카프릴/카프르산, 퍼세아 그라티시마, 페트롤라툼, 포타슘 아스파테이트, 포타슘 소르베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루누스 아미그달루스 둘시스, 프루누스 아르메니아카, 프루누스 퍼시카, 리시누스 콤무니스, 로사 카니나, 로스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루부스 이다에우스, 살리실산, 삼부쿠스 니그라, 사코신, 세레노아 세룰라타, 심몬드시아 키넨시스, 소듐 카복시메틸 베타글루칸, 소듐 코코일 아미노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팔미토일 프롤린, 스테아록시트리메틸실란, 황화 TEA-리시놀레에이트, 활석, 티무스 불가리스, 틸리아 코르다타, 토코페롤,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트리데스-9, 트리티쿰 불가레, 티로신, 운데실레노일 글리신, 우레아, 박시니움 미르틸루스, 발린, 산화아연, 황산아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적합한 성분들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거나, 이와 반대로 조성물을 적합한 미용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모든 성분들을 개별적으로, 즉, 본 원에 개시된 별개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일없이 혼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국소용 제제의 대다수는 적절한 어플리케이터, 예를 들어 와이프와 같은 시트 형태의 어플리케이터 수단으로 피부상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는 어플리케이터상에 사용하기 위한 제제이다. 따라서, 추가의 구체예로, 어플리케이터 및 본 원에 개시된 제제를 포함하는 제품이 제공되며, 이는 이후 '본 발명의 제품'으로 언급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의 예에는 퍼프, 패드, 스폰지, 바, 브러쉬, 코튼 볼, 글로브, 미트 또는 면봉이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로션을 유지 및/똔느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각종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가 제조되는 재료는 사실상 다공성 또는 흡수성일 수 있다. 이들 재료는 특히 폴리머이며, 천연 및 비천연 기원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탄력성 또는 비탄력성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적절히 취급될 수 있다. 이는 피부를 포함하여 표면에 펴 바르기에 적합한 삼차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며, 각종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하나 이상의 외부면이 상이한 성질을 가지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면은 부드러울 수 있는 반면, 다른 면은 거칠을 수 있다. 후자의 면은 연마용일 수 있으며, 비비거나, 문질러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타입의 일례는 스폰지이다. 스폰지는 합성 및/또는 천연 재료로 구성된 스폰지 자체, 포룸 및 벨트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는 로션을 유지, 흡착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터 재료는 사실상 다공성 또는 흡수성의 구조를 가진다. 후자는 어플리케이터 재료의 화학적 구조 또는 이들의 물리적 배열 또는 이 둘다에 기인할 수 있다. 특정 물리적 배열의 예는 다공성 구조, 또는 발포체 또는 미소발포체 구조이다.
어플리케이터는 하나의 재료, 또는 어플리케이터를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이하거나 동일한 크기의 하나 이상의 재료의 작은 부분이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의 매트릭스내로 도입될 수 있다.그렇지 않으면, 어플리케이터는 층의 스택 또는 동심층과 같이 다층형일 수 있거나, 이들은 한가지 타입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제조되지 않은 어플리케이터 파트는 접착, 재봉, 스티칭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기법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한 구체예로, 어플리케이터는 층진 물질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랩핑된 코어를 포함한다. 랩핑 재료는 코어에 사용된 물질(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가 퍼프(푸프) 형태를 취하는 경우, 이는 임의로 밀폐 또는 개구 물질층 또는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적당한 단층 또는 다층 물질로 랩핑된 스폰지 또는 레진 포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 퍼프는 퍼프 코어내에 함께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시트인 어플리케이터가 바람직하며, 와이프가 보다 바람직하다. 와이프용 제제는 종종 당업계에서 '로션'으로 불린다.
본 발명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성 또는 다공성 재료 시트는 티슈, 와이프, 타월, 타월렛(towelette)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재료는 물로 씻겨져 내려갈(flushable) 수 있다. 본 원에 사용된 '물로 씻겨져 내려갈 수 있다'란 재료가 두개의 화장실 플러쉬(flush)내에 있는 적어도 3.3 m의 배수관을 통과할 것임을 의미한다. 재료는 또한 생분해성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시트 재료는 단층 또는 다층의 직조 또는 부직조일 수 있다. 이들은 하나 또는 수개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불규칙하게 또는 특정 방향으로 분포된 섬유 또는 필라멘트성의 망(web) 구조를 가지는 부직재가 특히 바람직하며, 이때 전자는 에어-레잉(air-laying) 또는 특정의 웨트-레잉(wet-laying) 공정으로 수득가능하고, 후자는 다른 웨트-레잉 또는 카딩 (carding) 공정으로 수득가능하다.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천연, 예를 들어 목재 펄프, 울, 코튼, 린넨 등일 수 있거나, 합성, 예를 들어 폴리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등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제곱미터당 중량이 10 내지 80 g/㎡, 특히 20 내지 70 g/㎡ 범위이다. 특수 재료는 부직 타입이다. 사용된 원료에 기초해, 두 상이한 타입의 제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번째 타입의 캐리어는 페이퍼 계통이다. 이들 캐리어의 원료는 거의 독점적으로 식물 세포 공급원으로부터의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제조된다(펄프). 유아용 와이프, 클렌징용 와이프, 젖은 페이퍼 타월 등과 같은 다수의 와이프 응용예에서, 부직 웹의 높은 습윤 강도 또는 경도가 바람직한 성질이다. 이는 결합 물질, 예를 들어 소위 습윤 강력 수지를 첨가하여 이룰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최종 제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가 첨가된다.
두번째 타입에서, 웹은 주로 스테이플(staple) 섬유, 예컨대 코튼, 울, 린넨 등에 기초한 섬유로 제조된다.
상업적 제품은 셀룰로스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둘의 혼합물로 제조된다.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이 합성 섬유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폴리머로 공지되었다. 또한 이들 제품에 부직물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강도가 증가된 웹은 소위 스펀레이스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먼트(hydro-entangl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개별 섬유들은 결합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허용되는 강도 또는 경도를 이루도록 함께 꼬여진다. 후자의 기술의 이점은 부직재의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펄프와 스테이플의 혼합물로 제조된 부직재가 또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료는 결합 물질, 특히 상기 언급된 물질과 함께, 또는 결합 물질의 사용없이도 사용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부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펀레이스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먼트 방법으로 제조된다. 캐리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결합 물질과 함께 셀룰로스 펄프로 만들어진다. 캐리어 물질내 결합제의 양은 약 5 내지 약 20%(w/w) 범위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 부직물은 워터 인탱글먼트 방법으로 제조되며, 결합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시트 물질의 흡수 능력은 본 발명이 직면한 응용을 고려하여 특히 중요하다. 제조동안, 로션은 캐리어에 의해 신속히 흡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로, 와이프는 복수개의 와이프 스택으로 패킹될 것이다. 이 경우, 부직물의 흡수 능력은 저장동안 스택내 크로마토그래피 효과(로션의 침전)가 방지되는 것이어야 한다. 한편, 와이프의 사용동안 액체 조성물이 피부에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이 보장받아야 한다. 캐리어 물질의 흡수 용량은 필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상이한 파라미터로 결정된다: 캐리어 물질의 표면 중량, 제조시 사용된 원료의 성질 및 사용된 제조공정.
본 발명에 따른 응용예를 위해, 캐리어 물질은 전형적으로 표면 중량이 10내지 80 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g/㎡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g/㎡이다. 부직 캐리어가 제조되는 원료의 선택은 제조 방법에 좌우된다. 전형적으로, 하이드로-인탱글먼트 방법에 의한 부직 캐리어 제조의 경우, 셀룰로스 섬유와 합성 섬유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부직 섬유내 합성 섬유의 상대적인 양은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모든%는 w/w이다) 범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품내 제제는 액체이다. 이들은 수성-기제 제제이며, 특히 이들은 수용액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유제-기제이다. 이들 액체 조성물은 또한 '로션'으로 불리기도 하며 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제는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일 수 있거나, 수중유중수와 같은 보다 복잡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수중유 유제, 보다 특히 상 전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수중유 유제가 바람직하다.
어플리케이터(와이프) 상에 또는 이중에 사용하기 위한 제제는 상기 개시되었으며 상기 언급된 농도 및 비율로 존재하는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및/또는 지방 알콜 글루코사이드 등의 유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트 또는 와이프상의 제제의 양은 건조 상태의 시트 중량에 대한 조성물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약 100 내지 약 400%, 바람직하게 약 200 내지 약 400% 범위일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 또는 제제는 소위 상 전환 기술에 의해 제조된 유제 계통이다. 이는 특히 와이프 상 또는 와이프내 제제의 경우에 그러하다.상 전환 기술은 F. Foerster, F. Schambil, 및 H. Tesmann에 의한 Int. J. Cos. Sci. 1990 (12) 217에 상세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PIT 유제가 예를 들어 WO-00/51427, WO-00/71676 및 WO-00/04230에 기재되어 있다. PIT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특히 본 원에 언급된 참조문헌에 기재된 물질 및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미분 형태, 즉 소적 크기 및 저점도를 가지는 PIT 유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품은 시트 재료상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거나 시트 재료에 조성물을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코팅" 이라는 용어는 또한 시트상에 조성물을 프린팅하거나 스프레이하는 등의 기술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와이프에 PIT 방법에 따라 제조된 로션이 함침된다.
본 발명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특정 구체예로, 농축물을 제조한 후, 적합한 수성 매질로 희석하여 시트에 적용되는 조성물을 수득한다. 농축물은 유제, 특히 수중유 유제, 보다 특히 PIT 기술에 따라 제조된 수중유 유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농축물은 특히 본 원에 언급된 바와 같은 적합한 유화제를 함유할 것이다.
농축물내 식물 추출물 및 다른 활성제의 농도는 최종 제제내 이들의 농도보다 약 2.5 내지 약 10배,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약 7.5배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합한 어플리케이터를 본 원에 개시된 제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들 방법은 와이프에 본 원에 개시된 액체 제제를 함침시키고,보다 특히 와이프에 액체 또는 로션을 함침 또는 스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본 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PIT 제제이다.
특정 실시로, 시트 물질을 가로 크기가 시트, 특히 티슈 또는 와이프 크기와 유사하도록 스트립으로 절단한다. 이어서, 캐리어 스트립을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폴딩한다. 폴딩 스트립을 본 원에 개시된 액체 조성물, 특히 PIT 조성물로 습윤시키는데, 이때 습윤화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잉 또는 드리핑을 포함한다. 달리는, 직조 스트립을 먼저 습윤화시킨 후, 이어서 폴딩할 수 있다.
조성물을 함유하는 배쓰에 스트립을 침지하거나 이동시켜 스트립에 또한 제제를 함침시킬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제제로 스프레이되거나 프린트될 수 있다.
추가의 단계로, 목적하는 크기의 시트, 특히 와이프가 되도록 절단된 스트립을 수득한다. 수득한 시트(또는 와이프)를 개별 포장하거나, 결정된 개수, 예를 들어 10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개, 또는 50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2개로 스택하고, 그후 스택을 적합한 포장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랩, 박스 등에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유아 또는 성인용 와이프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비 클렌징 와이프, 얼굴 또는 보디 클렌징 와이프, 피부 처리용 와이프 또는 피부 컨디셔닝, 예컨대 피부 보습용 와이프, 곤충 기피제 와이프, 선스크린 와이프 등을 포함하여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서 광범위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원에 사용된 것으로, 피부에 도포 또는 적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피부에 문지르거나, 담그거나, 두드리거나, 습윤화시킴으로써 제품을 피부와 접촉시키는 모든 작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은 피부에 적용시에 충분한 양 또는 유효한 양의 활성제를 방출하여 피부에 투여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은 활성 성분들을 피부상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물인 국소용 제제는 염증 반응을 치료하거나 경감시키는데 특히 유용하다. 염증 반응은 특히 배경기술 부분에 언급된 작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추가로 진정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오트짚 추출물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이 상승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들 조합은 염증 반응을 경감시키거나 치료하는 이들의 능력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염증 반응을 경감시키거나 치료하도록 디자인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오트짚 추출물과 윌로우허브 추출물의 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원에 개시된 유효한 양의 조성물 또는 제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염증 반응을 미용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은 유연성, 촉감 및 클렌징 면에서 월등한 특성을 갖는다. 유연성은 소비자가 제품을 보유하거나, 피부에 문지르거나, 손으로 누르는 경우 감지되는 촉감이다. 유연성 증가는 특히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및/또는 지방 알콜 글루코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존재한다. 제품은 시트 재료의 유연성을 증가시켰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부직물의 증가된 유연성을 나타낸다. 추가로, 이들은 와이프에 적용후 보다 부드럽게 느껴지거나, 느껴지는 유연성이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피부 유연성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실시예에 사용된 'Nipaguard IPF'는 요오도프로필 부틸카바메이트(IPBC) 10%를 함유하는 방부제의 등록상표이다.
'Ceteareth-20'은 에톡시 단위가 20인 에톡실화 세토스테아릴 알콜이다.
'Ceteareth-12'는 에톡시 단위가 12인 에톡실화 세토스테아릴 알콜이다.
실시예 1
농축물 제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Ceteareth 20/Ceteareth 12/
세테아릴 알콜/세틸 팔미테이트 혼합물 13.00%
광유 15.00%
페녹시에탄올 0.83%
Nipaguard IPFTM0.50%
향료 1.0%
물 69.67%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이어서 PIT 온도보다 높게 서서히 가온하였다. 이는 혼합물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결정된다. 그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하였다. 수득된 PIT 제제는 저점도의 투명한 용액이었다.
최종 로션제의 제조(함침)
Extrapone OatsTM및 Extrapone Aloe VeraTM은 Dragoco(독일) 사에서 시판하고 있으며, 1-5%의 아베나 사티바를 함유하는 오트짚 추출물 및 0.1-1%의 알로에 바르바덴시스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상품명이다. Canadian Willowherb ExtraxtTM은 Fytokem(Atrium Biotechnologies)(캐나다) 사에서 시판하고 있으며, 1-5%의 에필로비움 안구스티폴리움을 함유한다.
제제 1 제제 2 제제 3
물 77.036% 77.636% 77.886%
테트라소듐 EDTA
(킬레이트제) 0.20% 0.20% 0.20%
페녹시에탄올 0.834% 0.834% 0.834%
세틸피리디듐 클로라이드
(CPC) 0.05% 0.05% 0.05%
Lamesoft PO65TM0.25% 0.25% -
상술된 농축물 20.00% 20.00% 20.0%
Extrapone OatsTM0.50% 0.50% 0.50%
Canadian Willowherb
ExtraxtTM0.10% 0.50% 0.50%
Extrapone Aloe VeraTM1.0% - -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0.03% 0.03% 0.03%
필요한 양의 물에 테트라소듐 EDTA, 페녹시에탄올,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및 Lamesoft PO65TM의 프리믹스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제제 3에는 Lamesoft P065TM이 첨가되지 않는다). 균질 혼합물로 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상술된 농축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후, 더 교반하면서 오트짚, 윌로우허브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첨가하여 pH를 조정하였다.
실시예 2
제제 4 제제 5
물 96.02% 96.62%
테트라소듐 EDTA(킬레이트제) 0.20% 0.20%
Nipaguard IPFTM0.1% 0.1%
페녹시에탄올 1.0% 0.167%
세틸피리디듐 클로라이드(CPC) 0.05% 0.05%
프로필렌 글리콜 0.8% 0.8%
Extrapone OatsTM0.5% 0.5%
Canadian Willowherb ExtraxtTM0.1% 0.5%
Extrapone Aloe VeraTM1.0% -
Polysorbate-20 0.2% 0.2%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0.03% 0.03%
필요한 양의 테트라소듐 EDTA, Nipaguard IPFTM, 페녹시에탄올,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질한 혼합물로 될 때까지 혼합하여 제 1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이 제 1 프리믹스를 물에 연속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배치가 100% 균질해 지면,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를 Polysorbate와 혼합하여 수득한 제 2 프리믹스를 주 배치에 첨가하였다(제제 4의 경우에는 제 2 프리믹스에 알로에 베라가 첨가되지 않는다). 혼합물이 균질해지면,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첨가하여 pH를 조정하였다.
실시예 3
50 g/㎡의 표면 중량을 가지는 직물로 만들어진 건조 하이드로-인탱글드된 캐리어 재료를 스트립으로 절단하였다. 스트립에 실시예 2와 같이 제조된 액체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스프레이하였다. 와이프 하나당 6 g씩 액체가 첨가되도록 설정하였다. 그후, 스트립을 폴딩하고 절단하였다.
실시예 4
인간 지원자의 아래팔에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용액을 4 시간동안 차단 상태로 챌린지하여 시험 영역이 붉게 나타나는(발적) 염증 반응을 유발시켰다. 시험 화합물 및 대조용 물을 그 부위에 적용하였다. 크로마미터(chromameter)를 사용하여 5 일동안 발적을 매일 측정하였다. 하기 식에 따라 발적 감소(Rred)를 계산하였다:
Rred(%) = (챌린지후 R - R 일x) ×100 / (챌린지후 R - 출발시 R)
추출물을 물에 도입하였다. 사용된 농도는 다음과 같다:
오트짚 수중 1.0%
윌로우허브 수중 1.0%
오트짚/윌로우허브 수중 1.0%(0.5%/0.5%)
결과:
오트짚과 윌로우허브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활성 물질의 동일한 총 농도에서개별 성분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활성적이었다.
2 일 3 일 4 일 5 일
오트짚 61% 90% 69% 100%
윌로우허브 39% 66% 83% 100%
오트짚/윌로우허브 45% 90% >100% >100%
>100%는 피부 발적이 초기 발적(즉,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로 챌린지하기 전의 피부 발적) 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Claims (10)

  1. 오트짚(oat straw) 추출물 및 윌로우허브(willowherb)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또는 카모밀라(chamomile)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청구된 조성물 및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는 국소용 제제.
  4. 제 3 항에 청구된 국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또는 2 항에 청구된 조성물의 용도.
  5. 피부상 또는 피부내의 염증 반응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기 위한, 제 3 항에 청구된 제제의 용도.
  6.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 및 제 3 항에 청구된 제제를 포함하는 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시트상에 코팅되거나 시트내로 함침되는 액체인제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유제가 수중유 유제인 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수중유 유제가 상 전환 기술에 따라 제조되는 제품.
  10. 제 6 항 내지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제가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및 C8-20알킬 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제품.
KR10-2004-7011038A 2002-02-08 2003-02-10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40081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5535.1 2002-02-08
EP02075535 2002-02-08
PCT/EP2003/001294 WO2003066073A2 (en) 2002-02-08 2003-02-10 Compositions containing oat straw and willowherb extra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130A true KR20040081130A (ko) 2004-09-20

Family

ID=2767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38A KR20040081130A (ko) 2002-02-08 2003-02-10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50208106A1 (ko)
EP (1) EP1474159B1 (ko)
JP (1) JP2005516995A (ko)
KR (1) KR20040081130A (ko)
CN (1) CN1627956A (ko)
AT (1) ATE359082T1 (ko)
AU (1) AU2003218982A1 (ko)
BR (1) BR0307494A (ko)
CA (1) CA2473143A1 (ko)
DE (1) DE60313127T2 (ko)
ES (1) ES2285107T3 (ko)
MX (1) MXPA04007655A (ko)
WO (1) WO200306607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935A (ko) * 2013-08-22 2016-04-22 루카스 마이어 코스메틱스 캐나다 인크. 항-비듬 조성물, 그리고 이의 이용 방법
US10500152B2 (en) 2014-03-10 2019-12-10 Mary Kay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0633B2 (ja) * 2002-05-28 2007-07-04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JP2008119433A (ja) * 2006-11-15 2008-05-29 Daiwa Kagaku Kogyo Kk 紙おしぼり・お手ふきの保存方法
FR2918882B1 (fr) * 2007-07-19 2012-10-26 Marc Schwaller Utilisation d'au moins un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l'epilobe et/ou de l'onagre pour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stinee a restaurer la fonction barriere des tissus keratinises ou des muqueuses
US20090232860A1 (en) * 2007-08-30 2009-09-17 Larson Brian G Colloidal metal-containing skin sanitizer
EP2070508B1 (en) 2007-12-14 2018-08-22 Johnson & Johnson GmbH Skin-care composition
FR2938435B1 (fr) 2008-11-14 2012-05-25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Composition dermatologique hypoallergenique
FR2938439B1 (fr) 2008-11-14 2013-03-01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avoine recoltees avant epiaison
US8440237B2 (en) 2009-04-27 2013-05-14 Mary Kay Inc. Botanical anti-acne formulations
CA2683258C (en) * 2009-10-20 2011-08-09 Asa Bullion Investment Limited Lotion for cleaning human anorectal area
KR102245069B1 (ko) 2011-12-19 2021-04-26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톤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의 조합물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EP4108228A1 (en) 2017-10-10 2022-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clear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low inorganic salt
WO2019160398A1 (es) * 2018-02-14 2019-08-22 Tiran Saucedo Jose Procedimiento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el tratamiento de infecciones vaginales y cutáneas
CN110279620B (zh) * 2019-06-13 2022-04-26 上海曜昕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北美柳兰提取物制备方法和应用
US11980679B2 (en) 2019-12-06 2024-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composition with enhanced deposition of scalp active
KR102277957B1 (ko) * 2020-03-11 2021-07-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유익균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US11986543B2 (en) 2021-06-01 2024-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compositions with a surfactant system that is substantially free of sulfate-based surfactants
US20230107290A1 (en) * 2021-09-20 2023-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Jammed Emulsion Toothpast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902A (en) * 1979-09-21 1982-02-23 Yu Ruey J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vehicles for topical pharmaceuticals
US5234947A (en) * 1991-11-07 1993-08-10 New York University Potassium channel activating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GB9617001D0 (en) * 1996-08-13 1996-09-25 Tillotts Pharma Ag Oral composition
US6071541A (en) * 1998-07-31 2000-06-06 Murad; Howar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skin conditions
US6274124B1 (en) * 1999-08-20 2001-08-14 Dragoco Gerberding & Co. Ag Additive for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of cosmetic or dermatological formulations
US20020006886A1 (en) * 1999-11-19 2002-01-17 Peter William Beerse Personal care articles comprising cationic polymer coacervate com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935A (ko) * 2013-08-22 2016-04-22 루카스 마이어 코스메틱스 캐나다 인크. 항-비듬 조성물, 그리고 이의 이용 방법
US10500152B2 (en) 2014-03-10 2019-12-10 Mary Kay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73143A1 (en) 2003-08-14
WO2003066073A2 (en) 2003-08-14
AU2003218982A1 (en) 2003-09-02
ES2285107T3 (es) 2007-11-16
WO2003066073A3 (en) 2004-01-15
CN1627956A (zh) 2005-06-15
DE60313127D1 (de) 2007-05-24
JP2005516995A (ja) 2005-06-09
MXPA04007655A (es) 2004-11-10
DE60313127T2 (de) 2008-01-03
EP1474159B1 (en) 2007-04-11
BR0307494A (pt) 2004-12-28
ATE359082T1 (de) 2007-05-15
EP1474159A2 (en) 2004-11-10
US20050208106A1 (en)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1130A (ko) 오트짚 및 윌로우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E60224718T3 (de) System zur hautpflege von benutzern von absorbierenden artikeln
KR100712235B1 (ko) 클렌징 조성물 및 여성용 위생 와이프로서의 그의 용도
RU2246319C2 (ru) Влажные салфетки, оказывающие благоприятное воздействие на кожу
EP1372599B1 (en) Skin care products with improved skin and material softness
US6534074B2 (en)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kin health benefits
US8173153B2 (en) Skin-care compositions
KR20020030265A (ko) 피부-친화적 흡수 제품 및 조성물
JP3794241B2 (ja) 保湿剤含有シート状製品および使いすておむつ
CA2448964C (en) Sun protection product
WO2020108733A1 (en) Wet wipes for cleansing and moisturizing of the skin
EP1238653A1 (en) Skin care products with improved skin and material softness
AU2002250930A1 (en) Sun protectio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