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182A -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182A
KR20040080182A KR1020030015070A KR20030015070A KR20040080182A KR 20040080182 A KR20040080182 A KR 20040080182A KR 1020030015070 A KR1020030015070 A KR 1020030015070A KR 20030015070 A KR20030015070 A KR 20030015070A KR 20040080182 A KR20040080182 A KR 2004008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olyolefin
tarpaulin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114B1 (ko
Inventor
기영상
Original Assignee
기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영상 filed Critical 기영상
Priority to KR102003001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20Polyalkenes, 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with alkenyl groups bonded to aromatic group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코팅한 폴리올레핀 타포린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를 위한 폴리올레핀 타포린 제조과정에서 그라비아 타입의 인쇄기를 이용한 부분적 또는 양면으로 코팅을 하여 표면마찰에 대한 대응력이 좋고, 가공의 방법에 따른 비용 절감이 있어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 직물에 압출 티-다이방식의 코팅기에 폴리에틸렌(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20G/M2~ 700 G/M2표면 코팅을 하여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가공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제조에 있어서 먼저 원료배합을 한다. 배합은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된 바인더, 용제 및 희석제 (톨루엔, 알코올, 에틸아세데이트), 왁스 타입의 첨가제 혼합물을 이용한 배합물의 제조한다. 제조된 배합물의 물리적 화화적 특성은 고형분 20중량부% ~ 40 중량부%, 외관은 황갈색 투명 점조액, 끓는점 범위 80도 ~ 110도, 증기압 22mmHg, 비중 0.98 ~ 1.5의 조건으로 설정을 하여 가공한다. 가공된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그라비아 인쇄기에 0.1-40중량부% 코팅하고, 상온 ~ 60도 건조를 통한 기능성 타포린 완성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코팅된 폴리올레핀 타포린은 내후(광)성, 내용제성, 내이행성, 접착성 등의 물성이 탁월하여 옥외 사용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NON-SLIP CLOTH USING POLYOLEFIN TARPAUL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타포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코팅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 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틸렌 타포린은 천막으로서 방수를 주요 기능으로 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바닥에 깔고 사용하는 경우 그 표면이 미끄러워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폴리올레핀은 올레핀의 중합으로 생기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이에 속한다.
더 세분하면 폴리에틸펜중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실용으로 사용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은 코팅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도 실용 폴리프로필렌과 코팅용 폴리프로필렌으로 나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폴리에틸렌 타포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특히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 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제조 공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은 도 1의 공정에서 폴리올레핀 직물에 코팅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혼합물을 코팅한 그라비아 인쇄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원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폴리에틸렌 직물층 8: 폴리올레핀 코팅층
9: 폴리아마이드 코팅층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 코팅된 타포린 제조에 있어서,
제직된 폴리에틸렌 직물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직물층에 티-다이 코팅장치에 의해 1차 코팅을 하는 단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된 바인더, 용제 및 희석제 (톨루엔, 알코올, 에틸아세데이트), 왁스 타입의 첨가제 혼합물을 이용한 배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상기 1차 코팅된 폴리에틸렌 직물층에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2차 코팅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합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고형분 20중량부% ~ 40 중량부%, 외관은 황갈색 투명 점조액, 끊는점/끊는점 범위 80도 ~ 110도, 증기압 22mmHg, 비중 0.98 ~ 1.5의 조건으로 설정을 하여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코팅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녹여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직물에 단면 또는 양면 코팅을 하는 것이고, 코팅시 폴리프로필렌 함량이 50 ~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 함량이 100 ∼ 50 중량부% 비율로 하여 원단을 제조하며, 2 차 코팅은 폴리아마이드 0.1∼30 중량부% 표면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차 코팅시의 원료는 무기필러, 유기 또는 무기 안료(착색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중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물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한 코팅에 있어서, 배합을 준비하는데 배합의 조건은 먼저 원료 혼합을 하고 원료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된 바인더, 용제 및 희석제 (톨루엔, 알코올, 에틸아세데이트), 왁스 타입의 첨가제 혼합물을 이용한 배합물의 제조하며, 제조된 배합물의 물리적 화화적 특성은 고형분 20중량부% ~ 40 중량부%, 외관은 황갈색 투명 점조액, 끓는점 범위 80도 ~ 110도, 증기압 22mmHg, 비중 0.98 ~ 1.5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직물 제조공정, 폴리올레핀 압출 코팅 공정,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인쇄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의해 타포린 제조되어 표면층에서부터 저면층까지 폴리아마이드 (수지)층, 폴리올레틴 코팅층, 폴리올레핀 직물층 및 폴리올레핀 코팅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 슬립 원단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제조 공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 은 도 1의 공정에서 폴리올레핀 직물에 코팅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혼합물을 코팅한 그라비아 인쇄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폴리올레핀 타포린 제조에 있어서 가공의 흐름도는 폴리올레핀 직물 제조공정, 폴리올레핀 압출 코팅 공정,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인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기능성 폴리올레핀 타포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폴리올레핀 수지와 첨가제 일부를 혼합하여 혼합된 배합물 수지를 압출 성형기(도시안됨)에 이송하여 열에 가열시켜 필름을 가공하여 약 9MM ~ 12MM로 컷팅을 하여 테이프 실을 만들어연신판을 통과하여 제직부로 이송을 한다(S2, S4).
제직(Weaving)은 크게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나눌 수 있고 제직방식은 위터제트(Weter Zet)(도시안됨) 직기를 이용하여 제직을 한다(S6).
상기 제직된 원단은 코팅 공정으로 이동되고, 코팅 방식은 코팅과정을 통해 형성된 폴리에틸렌 직물은 표면층인 폴리에틸렌 수지를 티-다이 코팅 방식으로 코팅된다(S8). 용도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수지를 단면 또는 양면으로 코팅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소정폭을 가진 타포린 제품을 상부에서 보면 상층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가 코팅되도록 하고, 필요시 첨가제를 기능에 따라 유기 또는 무기의 착색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코팅할 수 있다.
이하 기본 수지인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원료에 대해 설명한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이하 LDPE라 칭함) 수지 또는 선형 LDPE로 사용하고, 용융 지수는 5g/10분∼ 20g/10분, 밀도 0.918g/cm2∼0.953g/cm2, 설정하여 가공한다.
상기 원료 혼합과정에서, 폴리에틸렌 수지가 혼합되는데,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 100 ∼ 70중량%,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5 중량% ∼ 20중량%, 자외선 안정제 0.1 ~ 5중량%가 혼합된다. 이후 혼합과정을 통해 코팅 공정으로 이송을 한다.
코팅 과정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팅 장치에서 수행되는데, 상기 코팅 장치는 상부측에 위치한 일명 티-다이(T-Die)(10)와 그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티-다이(10)로부터 상기 폴리에틸렌 혼합물 수지(8)를 원료로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소정길이의 코팅된 폴리에틸렌 직물이 고무 롤러(20)에 감겨지면서 직물의 상면에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8)가 코팅되어 이후 엠보 롤러(30)를 거치면서 코팅과정이 수행된다.
가공된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타포린 제품을 그라비아 인쇄 방식의 인쇄기로 이송을 하여 표면의 넌-슬립 처리를 한다.
그라비아 인쇄기 제조에 있어서 배합을 준비하고 배합의 조건은 먼저 원료 혼합을 하고(S10), 원료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된 바인더, 용제 및 희석제(톨루엔,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왁스 타입의 첨가제 혼합물을 이용한 배합물의 제조를 하고, 제조된 배합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고형분 20중량부% ~ 40 중량부%, 외관은 황갈색 투명 점조액, 끓는점 범위 80도 ~ 110도, 증기압 22mmHg, 비중 0.98 ~ 1.5의 조건으로 설정을 하여 가공을 한다.
상기 1차 코팅된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언와인더(80)를 통해 언와인딩시키고 이송롤(82)을 통해 이송된다. 폴리아마이드 잉크타입의 원료를 그라비아(Gravure) 인쇄 공정으로 이송을 하고 그라비아 인쇄판(도 3의 84 하단부)에 부어 동판 실린다를 장착한 인쇄기에 의해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폴리아마이드 배합물로 표면코팅을 한다(S12). 이때, 가공된 폴리아마이드 용액형 혼합물을 그라비아 인쇄기에 0.1-40중량부 % 코팅하며, 상온 ~ 60도 건조를 통한 기능성 타포린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넌-슬립 기능을 갖춘 기능성 타포린이 완성된다(S14).
상기 타포린은 챔버(86)를 거쳐 경화되고 엠보롤(88)을 거쳐 완제품이 와인더(90)에 감겨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원단의 단면도이다. 이에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층에서부터 저면층까지 폴리아마이드 (수지)층(9), 폴리올레틴 코팅층(8), 폴리올레핀 직물층(4) 및 폴리올레핀 코팅층(8)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코팅된 폴리올레핀 타포린은 내후(광)성, 내용제성, 내이행성, 접착성 등의 물성이 탁월하여 옥외 사용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6)

  1. 폴리아마이드 코팅된 타포린 제조에 있어서,
    제직된 폴리에틸렌 직물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직물층에 티-다이 코팅장치에 의해 1차 코팅을 하는 단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된 바인더, 용제 및 희석제 (톨루엔, 알코올, 에틸아세데이트), 왁스 타입의 첨가제 혼합물을 이용한 배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상기 1차 코팅된 폴리에틸렌 직물층에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2차 코팅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고형분 20중량부% ~ 40 중량부%, 외관은 황갈색 투명 점조액, 끊는점/끊는점 범위 80도 ~ 110도, 증기압 22mmHg, 비중 0.98 ~ 1.5의 조건으로 설정을 하여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팅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녹여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직물에 단면 또는 양면 코팅을 하는 것이고, 코팅시 폴리프로필렌 함량이 50 ~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 함량이 100 ∼ 50 중량부% 비율로 하여 원단을 제조하며, 2 차 코팅은 폴리아마이드 0.1∼40 중량부% 표면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 슬립 원단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차 코팅시의 원료는 무기필러, 유기 또는 무기 안료(착색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중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물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 슬립 원단 제조방법.
  5.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한 코팅에 있어서, 배합을 준비하는데 배합의 조건은 먼저 원료 혼합을 하고 원료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된 바인더, 용제 및 희석제 (톨루엔, 알코올, 에틸아세데이트), 왁스 타입의 첨가제 혼합물을 이용한 배합물의 제조하며, 제조된 배합물의 물리적 화화적 특성은 고형분 20중량부% ~ 40 중량부%, 외관은 황갈색 투명 점조액, 끓는점 범위 80도 ~ 110도, 증기압 22mmHg, 비중 0.98 ~ 1.5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제조방법.
  6. 상기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표면층에서부터 저면층까지 폴리아마이드 (수지)층, 폴리올레틴 코팅층, 폴리올레핀 직물층 및 폴리올레핀 코팅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 슬립 원단.
KR1020030015070A 2003-03-11 2003-03-11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70A KR100552114B1 (ko) 2003-03-11 2003-03-11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70A KR100552114B1 (ko) 2003-03-11 2003-03-11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182A true KR20040080182A (ko) 2004-09-18
KR100552114B1 KR100552114B1 (ko) 2006-02-14

Family

ID=3736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070A KR100552114B1 (ko) 2003-03-11 2003-03-11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1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51B1 (ko) * 2007-07-11 2008-01-21 주식회사 원풍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계 타포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84308B1 (ko) * 2007-05-10 2009-02-18 주식회사 큐디폴리메이트코리아 난연제를 포함하는 방수포 제조 방법 및 방수포
CN102182009A (zh) * 2011-05-04 2011-09-14 东莞方皓汽车配件有限公司 高效环保的织带生产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21B1 (ko) 2006-07-27 2007-12-27 청도교하기공플라스틱유한공사 개선된 타포린 제조방법
KR101102958B1 (ko) 2009-07-28 2012-01-09 경세웅 항균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2054334B1 (ko) * 2018-10-22 2019-12-11 (주)트로이씨앤씨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접속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308B1 (ko) * 2007-05-10 2009-02-18 주식회사 큐디폴리메이트코리아 난연제를 포함하는 방수포 제조 방법 및 방수포
KR100796351B1 (ko) * 2007-07-11 2008-01-21 주식회사 원풍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계 타포린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182009A (zh) * 2011-05-04 2011-09-14 东莞方皓汽车配件有限公司 高效环保的织带生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114B1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7797T2 (de) Filme und etiketten aus zusammensetzungen basierend auf polypropylen
TW467948B (en) Label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E6982085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mweltschonenden Papieren wie auch entsprechende Papieren
US6364988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3-layer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 μm
CA2156896C (en) Composite plastics film or sheet
EP0888866A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high gloss and easy drying printability
DE4336560A1 (d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0552114B1 (ko)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넌-슬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EP0863177B1 (en) Composite plastics film or sheet
US20070202305A1 (en) Floor including wood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212013000053U1 (de) Etiketten-Obermaterial
US3798115A (en) Laminates of polypropylene and polyamide
EP2998096B1 (en) Formulation and method for making voided plastic film
DE1704732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 hoher festigkeit aus thermoplastischem material
KR101269282B1 (ko) 이형 시트
DE2701236C3 (de) Gerät zum Beschichten einer sich bewegenden Bahn
KR100766135B1 (ko) 폴리올레핀 타포린을 이용한 인쇄용 원단
CN107603008B (zh) 一种用于bopp半消光转移基膜的半消光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0655316B1 (en) Watermarks on synthetic paper
CN107116741A (zh) 压纹非硅离型材料的制备方法
DE60215341T2 (de) Weisses polyesterlaminat und bildempfangsschicht für thermotransfer-aufzeichungsverfahren
EP1118453A1 (en) A process using single screw extruder for producing a three layer co-extrusio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um
KR100481401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타포린및 그 제조방법
JP2017214559A (ja) 成型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JP2000108268A (ja) 工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