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882A -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 Google Patents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882A
KR20040078882A KR1020040014536A KR20040014536A KR20040078882A KR 20040078882 A KR20040078882 A KR 20040078882A KR 1020040014536 A KR1020040014536 A KR 1020040014536A KR 20040014536 A KR20040014536 A KR 20040014536A KR 20040078882 A KR20040078882 A KR 20040078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foam
thermally decomposable
resin composition
blow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하따히로아끼
하나다사또시
구로다류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J23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올레핀계 공중합체 (a) 및 그곳에 혼련된 열분해성 발포제 (b) 가 함유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로서,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5 내지 50 중량%의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 및 95 내지 50 중량% 의 1-부텐 유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EXPANDABLE RESIN COMPOSITION AND PROPYLENE-BASED RESIN FOA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예를 들어, 단열성, 경량성, 내열성 및 재생능에서 탁월하여, 예를 들어 포장 재료, 자동차 재료로서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특히,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은 발포체가 요망된다. 경량화를 위해서는 발포 배율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발포 배율의 증가로 강도가 저감된다. 특정 발포 배율에서 강도가 더 높은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기포를 가진 발포체가 요망된다.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제조 방법으로서는, 발포제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함께 용융 혼련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열에 의해 분해되는 발포성 화합물, 즉 열분해성 발포제, 예컨대 시트르산,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이 널리 이용된다. 열분해성 발포제가 발포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취급의 용이성 및 분산성 향상의 측면에서, 열가소성 수지 및 열분해성 발포제를 혼련하여 수득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한 예로서, 발포제 및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예시된다 (참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보 제 7-62131 호).
그러나,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기포가 커서, 더 작은 기포를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가 요구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구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원형 다이의 단면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한다.
본 도면에서, 각각의 참조 기호는 하기의 의미를 갖는다:
1: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기구;
2: 50 mmφ 쌍축 압출기;
3: 32 mmφ 단축 압출기;
4: 원형 다이;
5: 이산화탄소 기체 공급용 펌프;
6: 심축 (mandrel):
7: 쌍축 압출기의 50 mmφ헤드;
8: 단축 압출기의 32 mmφ헤드; 및
9a, 9b, 1Oa, 1Ob, 1Oc, 1Od: 유관.
발명의 개요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가들은 미세한 기포를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했다. 그 결과, 발포체의 제조 과정에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개선을 통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가들은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은 올레핀계 공중합체 (a) 및 그곳에 혼련된 열분해성 발포제 (b) 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유래의 단량체 단위 5 내지 50 중량% 및 1-부텐 유래의 단량체 단위 95 내지 50 중량% 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내용물 중 하나인 올레핀계 공중합체 (a) 는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 5 내지 50 중량% 및 1-부탄 유래 단량체 단위 95 내지 50 중량% 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을 가진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발포제로서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프로필렌계 수지발포체가 미세한 기포를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가 되도록 한다.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를 5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기포를 이루는 프로필렌계 수지 및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사이의 열악한 상용능때문에 기포가 큰 프로필렌 수지 발포체가 수득된다. 프로필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량이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높은 융점을 갖게 되므로, 열분해성 발포제를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혼련함으로써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분해성 발포제는 분해한다. 따라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발포체 제조에 필요한 양의 기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분해성 발포제 (b) 는, 가열되어 분해되는 경우 기체를 생성하는 발포성 화합물이다. 발포체 제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열분해성 발포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에는 시트르산,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이 포함된다.
열분해성 발포제 (b) 는 단일 종류의 발포성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열분해성 발포제 (b) 는 130 내지 190℃ 의 분해 온도를 가진 열분해성 발포제 (b-1) 및 190℃ 초과 230℃ 이하의 분해 온도를 가진 열분해성 발포제 (b-2) 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분해 온도가 상이한 열분해성 발포제를 사용하면, 더욱 미세한 기포를 가진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열분해성 발포제 (b-1) 및 (b-2) 는, 바람직하게는 조합되어 사용되며, 열분해성 발포제 (b-1) 및 (b-2) 의 분해 온도차가 10℃ 이상이 되도록 (b-1) 및 (b-2) 를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해 온도차가 3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각각의 열분해성 발포제 (b-1) 및 (b-2) 는 단일 구성원 또는 2 가지 이상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1) 및 (b-2) 의 비율에 대해서는, 원하는 온도에서 필요한 양의 기체를 생성할 수 있게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b-1)/(b-2)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90/10 의 범위이다.
특히, 열분해성 발포제 (b-1) 가 하기 정의된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며, 열분해성 발포제 (b-2) 가 시트르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해성 발포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사용은 극히 미세한 기포를 가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A) 알칼리 금속 탄산수소염, 알칼리 토금속 탄산수소염, 암모늄 탄산수소염,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 토금속 탄산수소염 및 암모늄 탄산염.
군 (A) 의 화합물들 중,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단위 중량 당 다량의 기체를 생성하므로 이들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된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열분해성 발포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열분해성 발포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부서지기 쉽고, 취급하기 어렵거나 또는 발포체를 이루는 프로필렌계 수지 및 발포성 수지 조성물 사이의 상용능이 열악해져, 발포체가 더 큰 기포를 포함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발포제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불충분한 양의 기체가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열분해성 발포제는 일반적으로, 올레핀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10 내지 800 중량부의 양으로 혼입된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함유되는 열분해성 발포제 (b)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임의의 중화제 (c) 및 흡수제 (d)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화제 (c) 및 흡수제 (d) 를 모두 혼입한다. 중화제 (c), 흡수제 (d) 또는 이들 모두의 혼입은 열분해성 발포제의 분해 온도 또는 분해 속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중화제로서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이용된다. 유기산 염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정의된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이용된다.
군 B: 옥살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카프릴산 및 스테아르산.
특히,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칼륨 스테아레이트 및 아연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스테아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중화제를 혼입하는 경우, 그의 혼입량은 일반적으로 올레핀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이다.
흡수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칼슘 클로라이드 및 칼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화물 및 칼슘 산화물 및 칼륨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이용된다. 염 및 산화물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칼슘 산화물이 사용된다.
흡수제를 혼입하는 경우, 그의 혼입량은 일반적으로 올레핀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열분해성 발포제에 추가로 무기성 충전제 (e) 를 함유한다.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거품의 핵을 형성하도록 무기성 충전제가 기포 조절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가공 조건 하에서 안정성이 있는 미세 기포를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다. 너무 많은 무기성 충전제의 혼입은, 열분해성 발포제가 분산되는 것을 방해하여 기포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혼입되는 무기성 충전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열분해성 발포제 100 중량부 당 200 중량부 이하이다. 이용될 무기성 충전제의 예에는 탈크, 점토, 실리카 및 티탄 산화물이 포함된다. 특히, 탈크의 사용은 특히 미세한 기포를 가진 발포체를 수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되는 탈크로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 ㎛ 의 범위인 것이, 우수한 분산능을 나타내며 균일한 기포를 가진 발포체를 용이하게 제공하면서도 기포 조절제로서 제공되므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록 사용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발포제의 종류 및 혼입량과 같은 조건에 의존적이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중화제 (c), 흡수제 (d) 및 무기성 충전제 (e) 가 함유된다. 특히, 발포체 내 기포 크기 감소 측면에서는 이들 성분이 모두 함께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다른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에는,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방출제, 유동화제 및 윤활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유래의 단량체 단위 5 내지 50 중량% 및 1-부텐 유래의 단량체 단위 95 내지 50 중량% 로 이루어진 올레핀계 공중합체 이외의 기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기타 열가소성 수지의 예에는,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비닐 알콜) 및 이오노머 수지가 포함된다.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추가적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함량은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이며, 일반적으로 10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열분해성 발포제가 함께 혼련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임의의 특별한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 가소시킨 후, 열분해성 발포제, 및 필요한 경우, 중화제, 흡수제, 무기성 충전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고, 후속적으로 혼합물을 혼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열분해성 발포제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중에 불균일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 제조에서, 열분해성 발포제가 열분해성 발포제의 분해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는 분해하지 않을 정도로만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열분해성 발포제를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융점보다 5℃ 더 높은 온도) 내지 (열분해성 발포제의 분해 온도보다 10℃ 더 낮은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혼련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제조 방법에서, 공지된 혼련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에는, 리본 블렌더 (ribbon blender), 고속 믹서, 혼련기, 혼합 롤, 단축 압출기, 쌍축 압출기 및 강력 믹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프로필렌계 수지 및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발포제로서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용융 혼련한 후 용융 혼련된 재료를 발포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 제조에 이용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압출기를 이용한 압출 성형이 이용되는 경우,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프로필렌계 수지 및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혼련된 재료를 다이를 통해 대기로 압출시켜 재료가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또한 [1] 용융 혼련 단계 동안의 추가적인 열분해성 발포제 첨가 후, 혼련된 재료를 다이를 통해 대기로 압출하여 재료가 발포되도록 하는 방법, 또는 [2] 프로필렌계 수지 및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한 후, 발포성 수지 조성물 중의 열분해성 발포제가 분해될 때 물리적 발포제를 추가로 첨가 (또는 붓기) 하여 혼련을 계속한 후, 재료를 다이를 통해 대기로 압출시켜 재료가 발포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1] 및 [2] 의 경우, 발포성 수지 조성물 중의 열분해성 발포제는 거품의 핵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분해된다. 이어서, [1]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기체는, [2] 의 경우에서는 추가적인 열분해성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상기 발포된 거품핵 주변에서 발포해 기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수지과 상용성이므로, 프로필렌계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그 결과, 분산된 조성물 주변에 생겨난 기포도 또한 균일해진다. 따라서, 수득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미세한 기포를 포함한다.
상기 [1] 의 방법에서 추가로 부가된 열분해성 발포제는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중에 혼입되는 열분해성 발포제 (b) 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열분해성 발포제보다 더 높은 분해 온도를 가진 열분해성 발포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고온 분해형 열분해성 발포 화합물의 예에는, 공지된 열분해성 화합물, 예컨대 그의 분해를 통해 질소 기체를 형성하는 열분해성 발포제 (예를 들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p-톨루엔술포닐 히드라지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 및 열분해성 무기성 발포제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 암모늄 및 탄산수소 암모늄) 가 포함된다.
추가로 첨가되는 열분해성 발포성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경우, 취급 용이성의 측면에서 열분해성 발포성 화합물 및 수지를 함께 펠렛화하여 수득되는 펠렛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특별한 제한없이 임의의 올레핀계 수지가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에틸렌계 수지 또는 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2] 의 방법에 사용되는 물리적 발포제로서는, 일반적인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리적 발포제, 예컨대 프로판, 부탄, 물 및 이산화탄소 기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중, 발포체 제조 안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고온 또는 화염에 불활성인 물질, 예컨대 물 및 이산화탄소 기체가 이용된다. 특히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에서, 이산화탄소 기체는 탈출에 덜 활성이므로 미세 기포를 가진 발포체가 수득되므로, 이산화탄소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리적 발포제만을 사용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상기 방법 [2] 에서와 같이, 프로필렌계 수지,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물리적 발포제를 함께 용융 혼련한 후, 혼합물을 발포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고 수득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에 함유된 것보다 더 미세한 기포를 함유한다. 특히, 이산화탄소 기체가 물리적 발포제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사용으로 인한 미세 기포의 크기 감소 효과는 괄목할 만하며, 극히 미세한 기포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가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에 사용될 프로필렌계 수지의 예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50 몰% 이상의 프로필렌 단위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적합하게 이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예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0 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탄소수 4 내지 10 의 α-올레핀의 예에는 1-부텐, 4-메틸펜텐-1, 1-헥센 및 1-옥텐이 포함된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내에서 프로필렌을 제외한 단량체 단위의 함량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5 몰% 이하 및 탄소수 4 내지 10 의 α-올레핀 30 몰% 이하이다.
장쇄의 분지형 프로필렌계 수지 (a-1) 또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 ×105이상인 프로필렌계 수지 (a-2) 를 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전체 프로필렌계 수지의 5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은 더욱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장쇄의 분지형 프로필렌계 수지는 분지도 지수 [A] 가 0.20 ≤[A] ≤0.98 를 만족시키는 프로필렌계 수지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예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탄소수 4 내지 10 의 α-올레핀 및 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분지도 지수 [A] 가 0.20 ≤[A] ≤0.98 를 만족시키는 장쇄의 분지형 프로필렌계 수지의 한 예는 Montell Co. 에서 제조하는 Propylene PF-814 이다.
분지도 지수는 중합체 내에서 장쇄의 분지 정도를 측량하며,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된다.
분지도 지수 [A] = [η]Br/[η]Lin
상기 수학식에서, [η]Br은 장쇄의 분지형 프로필렌계 수지의 고유 점도이다. [η]Lin는 장쇄의 분지형 프로필렌계 수지와 동일한 단량체 단위으로 이루어지고, 장쇄의 분지형 프로필렌계 수지의 것과 동일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선형 프로필렌계 수지의 고유 점도이다.
고유 점도는 극한 점도수로도 명명되며, 그의 용액의 점도를 증강시키는 중합체의 용량의 척도이다. 고유 점도는 특히 중합체 분자의 분자량 및 분지화도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장쇄의 분지형 중합체의 고유 점도 대 상기 장쇄의 분지형 중합체와 동일한 평균 분자량을 가진 선형 중합체의 고유 점도의 비율은 장쇄의 분지형 중합체의 분지화도의 척도로 이용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수지의 고유 점도는 문헌 [Elliott 등, J. Appl. Polym. Sci., 14, 2947-2963 (1970)] 에 기재된 것과 같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점도는 프로필렌계 수지를 테트랄린 또는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중에 용해시켜 135℃ 에서 측정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수지의 평균 분자량 (Mw) 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각종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M. L. McConnel 등에 의해 문헌 [American Laboratory. May, 63-75 (1978)] 에서 보고된 방법, 즉 협각 레이저 광산란 강도 측정법 (low-angle laser light-scattering intensity measuring method) 이 이용된다.
1 ×105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를 중합하는 방법의 한 가지 예가 일본 특허 공보 제 11-228629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 (a-1) 및 (a-2)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융점보다 30℃ 더 높은 온도 부근의 온도) 에서, 신장 스트레인 속도 1 초-1로, 단축 신장 점도 측정 장치 (예를 들어, Rheometrics, Inc. 에서 제조하는 단축 신장 점도 측정 장치) 를 이용해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단축 신장 점도를 측정하는 경우, 스트레인의 개시로부터 0.1 초 후의 단축용융 신장 점도를 η0.1로, 스트레인의 개시로부터 5 초 후의 단축 용융 신장 점도를 η5로 하여, η5대 η0.1의 비 (η50.1) 가, η50.1≥10 을 만족시키는 신장 점도 특성을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η50.1≥5 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계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면, 매우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발포체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의 혼합비에 대해서는, 그의 최적의 범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발포성 수지 조성물 중 열분해성 발포제의 함량, 원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발포 배율,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물리적 특성 및 용융 혼련 온도와 같은 각종 조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정상적으로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100 중량부 당 0.5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프로필렌계 수지 및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 과정에서 추가로 첨가되는 열분해성 발포성 화합물 및 물리적 발포제의 양은 각종 조건에 따라 적당히 정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열분해성 발포성 화합물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열분해성 발포성 화합물은 정상적으로는 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 당 각각 0.5 내지 5 중량부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물리적 발포제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물리적 발포제는 정상적으로는 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5 내지 20 중량부 및 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중 기포의 미세한 정도는 발포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기포벽 밀도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발포체의 기포벽 밀도는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정해지는 값으로 정의된다. 발포체의 단면은 우선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각각의 기포가 명확하게 인식될 정도의 배율로 확대한다. 이어서, 확대된 영상에서, 하나의 직선을 발포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그리고, 직선과 교차하는 기포벽의 갯수, 즉 기포를 한정하는 수지벽의 갯수를 계수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상기 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mm 당 발포체층에 존재하는 기포벽의 갯수를 계산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상기 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mm 당 발포체층에 존재하는 기포벽의 갯수를, 각각 서로 1 mm 이상 떨어진 5 개 이상의 지점에서 측정한다. 기포벽의 평균 갯수는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기포벽 밀도로서 정의된다. 기포벽 밀도가 클수록, 기포는 더 미세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므로 기계적 강도및 단열성에서 탁월하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진공 성형과 같은 2 차 성형에서조차 기포의 파괴가 거의 없다. 따라서, 2 차 성형으로부터 수득되는 성형체도 또한 기계적 강도 및 단열성에서 탁월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기타 열가소성 수지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가 기타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 발포체 층의 두께는 기포벽 밀도의 계산에 사용되는 발포체의 두께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필요한 경우 성형과 같은 가공에 적용된 후, 각종 응용에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레이, 보울, 컵 및 박스와 같은 식품 용기; 단열재; 쿠션재, 예컨대 스포츠 용품 또는 랩핑재; 자동차 부품,컨대 수송 수단의 천장재; 밀봉재; 및 건축재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단열성을 이용하여 전자레인지용 용기와 같은 식품 용기의 형태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열분해성 발포제 및 특정 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므로 프로필렌계 수지와의 탁월한 상용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발포제로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미세 기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의 각 측면 상에 비발포성 층을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진2 종 3 층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하기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했다.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하기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했다.
밴버리형 (Banbury type) 혼련 기구에, 45 중량부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a) (TAFMER BL2481, Mitsui Chemicals, Inc. 에서 제작, 1-부탄/프로필렌 중량비 80/20, 융점 = 75℃) 를 넣고, 혼련하면서 115℃ 에서 용융했다. 용융을 수행하면서, 탄산수소나트륨 (분해 온도 153℃)/시트르산 (분해 온도 215℃) 중량비 = 10/10 을 가진 20 중량부의 열분해성 발포제 (b) 및 30 중량부의 탈크 (e) (Talc MICRON WHITE #5000S, Hayashi Kasei Co., Ltd. 제조, 평균 입경 = 2.8 ㎛) 을 차례로 채우고, 혼련을 10 분 동안 지속했다. 수득한 재료를 40 mmφ단축 압출기에 채우고, 스트랜드로 압출하여, 펠렛화함으로써 펠렛형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형성했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펠렛화)
일본 특허 공개 제 11-228629 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분말 100 중량부에, 0.1 중량부의 칼슘 스테아레이트, 0.05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상표명: Irganox 1010, Ciba Specialty Chemicals 제조), 0.2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상표명: Sumilizer BHT, 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를 첨가하고 혼합했다. 혼합물을 230℃ 에서 혼련하여 용융 유속이 4.5 g/10 분 (230℃, 하중 2.16 kgf) 인 펠렛 [i] 을 수득했다.
수득한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물리적 특성:
성분 (A) (일본 특허 공보 제 11-228629 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에 함유된 2 개의 성분들 중 더 큰 분자량을 가진 성분) 의 극한 점도수 ([η]A) = 9.5 dl/g; 성분 (A) 중의 에틸렌 함량 (A 중 C2) = 2.9%: 성분 (B) (일본 특허 공보 제 11-228629 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에 함유된 2 가지 성분들 중 더 작은 분자량을 가진 성분) 의 극한 점도수 ([η]B) = 11 dl/g; 성분 (B) 중의 에틸렌 함량 (B 중 C2) = 2.7%. η5= 300,000 Paㆍs, η0.1= 2900 Paㆍs, Rheometrics, Inc. 에서 제작한 단축 신장 점도계를 이용해 180℃ 에서 측정함.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펠렛 [i] 는, [ii] 폴리프로필렌 1 (Polypropylene R101, 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MFR = 20 g/10 분 (230℃, 하중 2.16 kgf)), 및 [iii] 폴리프로필렌 2 (Polypropylene U1O1E9, MFR = 120 g/10 분 (230℃, 하중 2.16 kgf)) 을, [i]/[ii]/[iii] 중량비 70/21/9 로 건조블렌딩하여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를 제조했다.
(비발포체층 성형용 재료)
[iv] 폴리프로필렌 3 (Polypropylene FS2011DG2, 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MFR = 2.5 g/10 분 (230℃, 하중 2.16 kgf)), [v] 폴리프로필렌 4 (Polypropylene W151, 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MFR = 8 g/10 분 (230℃, 하중 2.16 kgf)), [vi] 폴리프로필렌 5 (Polypropylene PF814, Montell 제조, MFR = 3 g/10 분 (230℃, 하중 2.16 kgf)), [vii] 탈크 마스터뱃치 (폴리프로필렌계 탈크 마스터뱃치 MF11O, 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탈크 함량 = 70 중량%), 및 [viii] 티탄 산화물 마스터뱃치 (폴리에틸렌계 티탄 산화물 마스터뱃치 SPEM7A1155, Sumika Color Co., Ltd. 제조, 티탄 산화물 함량 = 60 중량%) 을 [iv]/[v]/[vi]/[vii]/[viii] 중량비 21/30/20/29/5 로 건조블렌딩하여 비발포체층 성형용 재료를 제조했다.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제조 방법)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비발포체층 성형용 재료를 이용하여,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발포체층 압출용 50 mmφ 쌍축 압출기 (2), 비발포체층 압출용 32 mmφ단축 압출기 (3) 및 90 mmφ원형 다이 (4) 가 장치된 기구 (1) 을 이용하여 압출성형하여 제조했다.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 100 중량부 및 발포성 수지 조성물 2 중량부의 블렌드로부터 수득되는 원료를 호퍼를 통해 50 mmφ쌍축 압출기 (2) 로 주입했다. 이어서, 180℃ 로 가열된 실린더 내에서 혼련했다.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 및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함께 상용화 되도록 완전히 용융 혼련시키고 발포성 수지 조성물 중의 열분해성 발포제를 열분해하여 50 mmφ쌍축 압출기 (2) 내에서 발포되도록 하는 경우, 물리적 발포제로서의 이산화탄소 기체 1 중량부를, 액화 이산화탄소 실린더에 연결된 펌프 (5) 에서 붓는다. 이산화탄소 기체를 부은 후, 혼련된 재료를 추가적인 혼련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로침지시킨 후, 원형 다이 (4) 로 주입했다.
비발포체층 성형용 재료는 32 mmφ단축 압출기 (3) 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원형 다이 (4) 로 주입했다.
원형 다이 (4) 내에서, 50 mmφ쌍축 압출기의 헤드 (7) 을 통해 다이로 도입되는 발포체층용 재료는 유로 (9a) 를 통해 다이의 출구를 향해 이동되었다. 유로 (9a) 도중에, 재료는 패스 (path) P 를 통해 분리되어, 유로 (9b) 를 통해서도 이동된다.
비발포체층 성형용 재료는 32 mmφ단축 압출기 (3) 의 헤드 (8) 을 통해 다이로 도입된 후, 유로 (10a) 및 (10b) 로 분리되었다. 분리 후, 재료는 유로 (9b) 의 양측에 적층되도록 공급되면서 다이의 출구를 향해 이동되었다. 지점 (11a) 에서, 적층이 달성되었다. 비발포체층 성형용 재료는 유로 (10a) 및 (10b) 를 통해 공급되며, 패스 P 와 유사한 분지 패스 (나타내지 않음) 를 통해 (10c) 및 (10d) 로 분리되었다. 이어서, 재료는 유로 (9a) 의 양측에 적층되도록 공급되면서 다이의 출구를 향해 이동되었다. 지점 (11b) 에서, 적층이 달성되었다. (11a) 및 (11b) 에서의 관형 2 종 3 층 구조로 제작된 용융 수지는 원형 다이 (4) 의 출구 (12) 를 통해 압출되었다. 대기압으로의 관형 수지의 방출은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포체 거품으로 발포되도록 했다. 따라서, 발포체층 성형용 재료의 층은 발포체층으로 되었다. 그 결과, 두께가 1.2 mm 인 2 종 3 층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수득했다.
다이를 통해 압출된 2 종 3 층 발포체를, 최대 직경 210 mm 인 심축 (6) 상에서 끌어내면서 신장시키고 냉각시켜 관을 성형했다. 수득한 관형 발포체는 660 mm 너비의 평평한 시트로 세로방향으로 쪼개져, 드로잉 롤을 통해 끌어내고 와인드업 롤 주변에 감았다.
[실시예 2]
두께 1.2 mm 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20 중량부의 열분해성 발포제 (b) 및 30 중량부의 탈크 (e) 를 첨가하는 동안에 2 중량부의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c) 및 0.6 중량부의 칼슘 산화물 (d) 을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비교예 1]
두께가 1.2 mm 인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1-부텐/에틸렌 중량비가 83/17 인 1-부텐 및 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했다.
(발포 배율의 측정)
크기 20 mm ×20 mm 로 샘플링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침전형 밀도계 (Automatic Densimeter, D-H1OO, Toyo Seiki Seisaku-Sho Co., Ltd. 제조) 를 이용하여 비중을 측정했다. 발포 배율은 발포체를 이루는 재료의 밀도를 근거로 계산했다.
(발포체층의 두께 방향에서의 기포벽 밀도의 측정)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중 발포체층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했다. 전자 현미경의 시야 범위에서 존재하는 기포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배율을 조정했다. 수득한 확대된 영상에서, 발포체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직선을 그어, 직선을 가로지르는 기포벽의 갯수를 계수했다. 상기 결과를 근거로 하여, 동일한 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mm 당 발포체층에 존재하는 기포벽의 갯수를 계수했다. 상기 방법으로, 동일한 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mm 당 발포체층에 존재하는 기포벽의 갯수를, 서로 1 mm 이상 떨어진 5 개 이상의 지점에서 측정했다. 측정된 갯수의 평균을 발포체층의 두께 방향에서의 기포벽 밀도로서 사용했다. 발포체층의 두께 방향에서 기포벽 밀도가 클수록,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내의 기포가 더 세밀하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에서 수득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에서 수득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와 비교하여, 실시예 1 및 2 에서 수득한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가 더 큰 기포벽 밀도를 가져, 달리 말하면 더 미세한 기포를 포함한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발포체 두께 (mm) 1.2 1.2 1.2
발포 배율 (배) 3.0 3.0 3.0
기포벽 밀도 (벽/mm) 17 23 13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므로 기계적 강도 및 단열성에서 탁월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는, 필요한 경우 성형과 같은 가공에 적용된 후, 각종 응용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올레핀계 공중합체 (a) 및 그곳에 혼련된 열분해성 발포제 (b) 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로서,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5 내지 50 중량% 의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 및 95 내지 50 중량% 의 1-부텐 유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열분해성 발포제 (b) 가, 분해 온도가 130 내지 190℃ 인 열분해성 발포제 (b-1) 및 열분해성 온도가 190℃ 초과 230℃ 이하인 열분해성 발포제 (b-2) 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임의의 중화제 (c), 흡수제 (d) 및 무기성 충전제 (e) 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용융 혼련시키고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5. 제 4 항에 있어서, 물리적 발포제가 용융 혼련 동안 추가로 이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물리적 발포제가 이산화탄소 기체인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KR1020040014536A 2003-03-06 2004-03-04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KR20040078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9605A JP4126491B2 (ja) 2003-03-06 2003-03-06 発泡性樹脂組成物および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
JPJP-P-2003-00059605 2003-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82A true KR20040078882A (ko) 2004-09-13

Family

ID=328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36A KR20040078882A (ko) 2003-03-06 2004-03-04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98854A1 (ko)
JP (1) JP4126491B2 (ko)
KR (1) KR20040078882A (ko)
CN (1) CN1331933C (ko)
DE (1) DE102004010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484A (ko) * 2007-08-29 2010-06-03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특수한 시각 효과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방법
CN101562175B (zh) * 2008-04-18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感测器封装结构及其应用的成像装置
JP5489561B2 (ja) * 2009-07-07 2014-05-14 株式会社フジクラ 発泡電線及びこれ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JP6809696B2 (ja) * 2016-09-09 2021-01-06 株式会社Tbm 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44B1 (ko) * 1969-12-11 1979-01-18
JPS52123442A (en) * 1976-04-08 1977-10-1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Self-extinguishing resin composition
LU85577A1 (fr) * 1984-10-08 1986-06-11 Montefina Sa Films en polypropylene expanse et procede pour les preparer
JPH0660255B2 (ja) * 1986-09-16 1994-08-1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無架橋発泡体
JPH07116309B2 (ja) * 1987-02-28 1995-12-13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無架橋発泡体用組成物
JP3370469B2 (ja) * 1995-02-23 2003-01-27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発泡シ−ト
JP2002317082A (ja) * 2001-04-18 2002-10-31 Mitsui Chemicals Inc 表皮材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表皮材およ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26491B2 (ja) 2008-07-30
DE102004010698A1 (de) 2004-09-16
US20040198854A1 (en) 2004-10-07
CN1331933C (zh) 2007-08-15
JP2004269603A (ja) 2004-09-30
CN1536013A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62358A1 (en) Composition for polyolefin resin foam and foam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
EP1625174B2 (en) High temperature resistant, flexible, low density polypropylene foams
US20080227877A1 (en) Polyolefin Foam
US6908668B2 (en) Foamed polyolefin resin sheet
JP200433046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EP4112678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ed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 molded body
EP3533823B1 (en) Resin for foam molding, foam-molded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20020098339A1 (en) Polyolefin resin foamed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837958B1 (ko) 수지 발포 시트 및 수지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JP5112674B2 (ja) 射出発泡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射出発泡成形体
JPWO2007004524A1 (ja) 断熱建材用発泡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78882A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및 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
JP200713099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射出発泡成形体
EP1054033A1 (en) Extrusion-foamed board of resin blend comprising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and polystyrene resin
JP2018141031A (ja) 発泡成形用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134323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および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
KR20100087760A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US11124618B2 (en) Foam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JP2020515673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ポリマー(pps)を含む発泡材
JPWO2009001959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非架橋発泡体の製造方法
JP556835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改質樹脂の製造方法
JP2001278916A (ja) 高発泡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および発泡成形体
JP2004323623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押出発泡シート
JP2005041209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およ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