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202A -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202A
KR20040077202A KR1020030012663A KR20030012663A KR20040077202A KR 20040077202 A KR20040077202 A KR 20040077202A KR 1020030012663 A KR1020030012663 A KR 1020030012663A KR 20030012663 A KR20030012663 A KR 20030012663A KR 20040077202 A KR20040077202 A KR 20040077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body
container
gas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971B1 (ko
Inventor
최봉철
민병돈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알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알엔지 filed Critical (주)우성알엔지
Priority to KR10-2003-001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9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4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high-pressure containers, e.g. boilers,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재충전 사용에 따른 압력변화에도 가스 용기의 기밀성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주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밸브체를 상부캡으로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화상태로 주입되는 가스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용 가스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 직경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는 관형태의 용기몸체를 제작하는 용기몸체 제작공정과; 중앙에 밸브체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으로 나선부가 형성되도록 함입된 결합홈이 형성되게 상부 측이 좁고 하부 측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를 갖도록 상부캡을 제작하는 상부캡 제작공정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가 형성되는 하부캡을 제작하는 하부캡 제작공정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절곡리이브가 그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시이밍(seaming)작업 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과 시이밍 작업에 의해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으로 접혀진 상기 상,하부캡의 절곡리이브 끝단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상,하부캡 용접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 rechargeable gas-can}
본 발명은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재충전 사용에 따른 압력변화에도 가스 용기의 기밀성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주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밸브체를 상부캡으로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탄가스 용기, 살충제용 용기, 방향제용 용기, 스프레이식 페인트 용기, 분사식 의약품 용기 등과 같은 각종 용기에는 내부로 약제나 가스 등이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화상태로 용기 속에 충진된 후 밸브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기화되도록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사용되는 각종의 가스 용기는 그 대부분이 일회용으로 제작됨에 따라 재충전이 불가능하여 전량이 버려지고 있어 많은 자원이 낭비되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스 용기의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과 수거작업 및 처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으며, 버려지는 가스 용기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함은 물론 안전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가스 용기가 제작되어 사용되는 바, 본원에서는 부탄가스 용기를 일예로 첨부된 도면 도 6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대부분이 원통형의 용기몸체(100)를 제작한 후, 그 몸체의 상,하부 끝단을 공지의 방식에 의해 강제 확관시킨 각각 확관결합부(110)(12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측의 확관 결합부(110)에는 그 용기몸체로 주입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밸브체(210)가 용접되는 마운틴컵(220)이 상부캡(200)으로 다시 용접되어 고정된 후 상기 상부캡의 외측단에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절곡부(202)를 형성하여 그 절곡부 끝단과 상기 상부 결합부의 끝단을 공지의 맞대기 용접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100)의 하부 측의 확관 결합부(120)에도 그와 대응되게 외측단에 절곡부(302)를 구비한 하부캡(300)을 삽입하여 그 끝단과 상기 하부 측의 확관 결합부의 끝단 역시 공지의 맞대기 용접하여 결합하므로서, 일련의 가스 용기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마운틴컵에는 공지의 연소장치에 장착된 장착부와 결합되는 일반적인 가이드림부가 형성되어 진다.
이와같이 제조되는 종래 가스 용기에 있어서는 상,하부 캡을 결합하기 위한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부에 형성된 확관 결합부가 확관작업으로 인한 그 부위에 피로강도나 인장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부캡의 끝단과 용기몸체의 끝단이 단순히 맞대기 용접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용기몸체에 고압으로 압축된 액화상태의 가스를 주입시 상기 가스 용기의 확관 결합부와 용접된 부분이 변형되거나 파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로 규정된 이상의 고압이 발생하거나 외부화재 등의 재해로 인한 온도상승에 의해 가스 용기의 형태가 쉽게 변형 및 파열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폭발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재충전 사용에 따른 압력변화에도 가스 용기의 기밀성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주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밸브체를 상부캡으로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화상태로 주입되는 가스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용 가스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 직경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는 관형태의 용기몸체를 제작하는 용기몸체 제작공정과; 중앙에 밸브체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으로 나선부가 형성되도록 함입된 결합홈이 형성되게 상부 측이 좁고 하부 측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를 갖도록 상부캡을 제작하는 상부캡 제작공정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가 형성되는 하부캡을 제작하는 하부캡 제작공정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절곡리이브가 그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시이밍(seaming)작업 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과 시이밍 작업에 의해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으로 접혀진 상기 상,하부캡의 절곡리이브 끝단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상,하부캡 용접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몸체 제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캡 제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캡 제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부캡 용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종래 충전용 가스 용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몸체
20 : 상부캡
22 : 나선부 24 : 결합홈
26,32 : 절곡리이브
30 : 하부캡
210 : 밸브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화상태로 주입되는 가스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충전용 가스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본 발명은 동일 직경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절단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절단되어 제작되는 관형태의 용기몸체를 제작하는 용기몸체 제작공정(S1)과;
상기 용기몸체 제작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용기몸체의 상단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중앙에 밸브체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선부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으로 통상의 나선가공기를 통하여 가공되는 나선부가 형성되도록 함입된 결합홈이 형성되게 상부 측이 좁고 하부 측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가 형성되도록 통상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상부캡을 제작하는 상부캡 제작공정(S2)과;
상기 용기몸체 제작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용기몸체의 하단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통상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가 형성되는 하부캡을 제작하는 하부캡 제작공정(S3)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절곡리이브가 그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공지의 시이밍(seaming)작업 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과 시이밍 작업에 의해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으로 접혀진 상기 상,하부캡의 절곡리이브 끝단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상,하부캡 용접공정(S4)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상부캡의 제작공정 후 그 결합홈의 외측 상부캡의 상면으로 필요에 따라 공지의 연소장치에 장착된 장착부와 결합되는 일반적인 가이드림부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몸체 제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직경(W)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가스 용기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길이(L)를 갖도록 통상의 절단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는 관형태의 용기몸체(10)를 제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캡 제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용기몸체가 제작된 후에는 그 용기몸체의 상단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중앙에 밸브체(21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선부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으로 통상의 나선가공기를 통하여 가공되는 나선부(22)가 형성되도록 함입된 결합홈(24)이 형성되게 상부 측이 좁고 하부 측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26)를 갖도록 통상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상부캡(20)을 제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캡 제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용기몸체의 하단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통상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32)가 형성되는 하부캡(30)을 제작한다.
상기에서, 상부캡와 하부캡의 절곡리이브 직경은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공지의 시이밍작업을 행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용기몸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부캡 용접공정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용기몸체(10)와 상,하부캡(20)(30)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절곡리이브(26)(32)가 그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공지의 시이밍(seaming)작업 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과 시이밍 작업에 의해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으로 접혀진 상기 상,하부캡(20)(30)의 절곡리이브(26)(32) 끝단을 용접하여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캡(20)의 결합홈(24)으로 형성된 나선부에 밸브체를 나사결합하므로서, 일련의 가스 용기를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용기몸체의 상단과 하단으로 상부캡과 하부캡을 결합하기 위해 행하였던 별도의 확관작업을 삭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몸체의 상단과 하단으로 상부캡과 하부캡의 외측단에 형성된 절곡리이브를 그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시이밍작업에 의해 압착과 같은 형태로 밀착되어 접혀진 후 용기의 외측면으로 위치한 상,하부캡의 절곡리이브 끝단과 용접을 통하여 결합하므로서, 상당히 높은 기밀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단으로 각각의 상,하부캡의 외측단으로 형성된 절곡리이브를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시이밍작업에 의해 1차적으로 밀착되게 접혀진 다음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으로 접혀진 상,하부캡의 외측단인 절곡리이브를 재차 용접하여 결합함에 따라 용기몸체와 상,하부캡이 완전히 밀봉되어져 긴밀한 기밀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재충전 사용에 따른 고압으로 압축된 액화상태의 가스를 주입시에도 그 결합부분에서 변형 및 파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이나 온도상승에 따른 용기몸체의 내부 압력변화에서도 가스 용기의 변형이나 파열 및 폭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구바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가스 용기를 용기몸체의 상,하단을 확관작업 없이 그 용기몸체의 상,하단으로 상,하부캡의 외측단으로 형성된 절곡리이브에 의해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밀착되게 접혀진 후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과 그에 접혀진 끝단을 용접작업을 통하여 결합하므로서, 상당히 높을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어 재충전에 따른 고압으로 압축된 액화상태의 가스를 주입시와 가스 용기 내의 압력변화에도 가스 용기의 변형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캡으로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결합홈에 의해 밸브체의 파손이나 손상시에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화상태로 주입되는 가스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용 가스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 직경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는 관형태의 용기몸체를 제작하는 용기몸체 제작공정(S1)과;
    중앙에 밸브체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으로 나선부가 형성되도록 함입된 결합홈이 형성되게 상부 측이 좁고 하부 측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를 갖도록 상부캡을 제작하는 상부캡 제작공정(S2)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지고 외측단에는 절곡리이브가 형성되는 하부캡을 제작하는 하부캡 제작공정(S3)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하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절곡리이브가 그 용기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시이밍작업 한 후,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과 시이밍 작업에 의해 그 용기몸체의 외측면으로 접혀진 상기 상,하부캡의 절곡리이브 끝단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상,하부캡 용접공정(S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03-0012663A 2003-02-28 2003-02-28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KR10048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663A KR100489971B1 (ko) 2003-02-28 2003-02-28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663A KR100489971B1 (ko) 2003-02-28 2003-02-28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202A true KR20040077202A (ko) 2004-09-04
KR100489971B1 KR100489971B1 (ko) 2005-05-16

Family

ID=3736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663A KR100489971B1 (ko) 2003-02-28 2003-02-28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847B1 (ko) 2018-02-12 2018-08-07 다원텍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라이너에 복합재료를 와인딩한 가스용기의 체결구조와 그 제조방법
KR101888368B1 (ko) 2018-02-12 2018-08-16 다원텍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라이너에 복합재료를 와인딩한 가스용기의 체결구조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9971B1 (ko) 200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758B2 (en) Gas cartridge
US20060272731A1 (en) Container for sealant for pneumatic tires
US8025182B2 (en) Gas cartridge
JPH116479A (ja) 密閉型圧縮機
JP4954153B2 (ja) ガスケット及び自動車部品
KR100489971B1 (ko) 충전용 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US775959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as generator
US4427028A (en) Resistance welded accumulator device
CN106468300A (zh) 用于衬套的紧固方法
KR101042599B1 (ko) 스테인레스 강관의 관이음 부재
JP4225396B2 (ja) アキュムレータの製造方法
KR20070109821A (ko) 파이프제품
JP2001116002A (ja) アキュムレータの製造方法
US2012029229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flator
KR102020286B1 (ko) 가스용기용 노즐 보스의 가스 누출 방지장치
JP2002264672A (ja) 燃料注入管とその製造方法
US20090072534A1 (en) Sealed structure of circular tubular heat pipe
JP2000120997A (ja) 高圧容器及びその製作方法
CN206531323U (zh) 一种改进的压缩机储液器
US20230025308A1 (en) Fuel piping, fuel piping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piping
KR200217170Y1 (ko) 휴대용 가스용기
WO2022113749A1 (ja) 燃料分配管
KR200440159Y1 (ko) 재충전식 부탄가스통
KR200343096Y1 (ko) 팔각형 사이폰관
WO2003064862A1 (fr) Accumula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