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318A -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318A
KR20040076318A KR1020030011616A KR20030011616A KR20040076318A KR 20040076318 A KR20040076318 A KR 20040076318A KR 1020030011616 A KR1020030011616 A KR 1020030011616A KR 20030011616 A KR20030011616 A KR 20030011616A KR 20040076318 A KR20040076318 A KR 2004007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drying
exhaust gas
combus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192B1 (ko
Inventor
김병길
이하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고려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고려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고려자동화
Priority to KR10-2003-001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1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003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고형연료화하기 위한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형연료의 원료가 되는 생활쓰레기의 건조시에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서 에너지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저장시설에 적재된 생활쓰레기를 이송시켜 고온으로 건조시키는 건조로와,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상기 건조로에 공급하는 연소로와, 상기 건조로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폐기물 고형연료로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으로 제거하는 탈취로와, 상기 탈취로를 거친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고온으로 승온시켜 이 승온된 외부공기를 상기 연소로와 탈취로의 연소용공기로 투입시켜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열교환장치와, 상기 열교환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형연료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배기가스등의 각종 유해물질을 중화 및 흡착 처리하는 배가스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system of dry refuse derived fue}
본 발명은 폐기물을 고형연료화하기 위한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형연료의 원료가 되는 생활쓰레기의 건조시 이미 생산된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서 에너지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고형연료(Refuse Derived Fue: "RDF")라 함은 도심지의 각종 생활쓰레기나 산업폐기물 및 일반폐기물들 가운데에서 선별한 가연물을 건조, 파쇄, 분쇄, 성형하여 제조한 고체연료를 말하며 상기의 폐기물들중 생활쓰레기의 경우 통상 4200~4500kcal/kg의 발열량을 갖는다.
한편, 상술한 폐기물들중 생활쓰레기의 고형연료화를 위한 공정을 간략히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매립지의 생활쓰레기를 이송시켜 건조로내에 투입시켜 고온의 열원으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생활쓰레기에는 주지하다시피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분이 함유된체 RDF로 성형할 경우 상기 RDF의 성형이 어려울 뿐 아니라 연소효율이 극히 낮아져 연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생활쓰레기의 고형연료시에는 타 폐기물과 달리 건조공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로에 공급되는 열원은 통상 경유를 연소시켜 얻어진 에너지(열풍)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유는 통상 쓰레기 1톤당 대략 70리터정도가 소비되며 9200kcal/kg의 발열량을 갖는다.
한편, 상기 건조로를 거쳐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생활쓰레기는 이후 이송장치를 통해 파쇄 및 분쇄공정을 거쳐 잘게 분쇄되어 진 후, 성형장치를 통해 압축되어 일정한 고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생활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로에는 고가의 경유를 이용하여 열원을 공급함에 따라 극심한 에너지낭비를 초래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고가의 경유를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서 고형연료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한편, 상기 생활쓰레기는 건조시 다량의 유해성분이 함유된 배기가스가 배출되기 마련이며 이 배기가스를 중화시켜 대기로 방출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형의 배기가스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했으며, 이는 상기 배기가스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확보와 막대한 설비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진 열원으로 건조로내의 생활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서 에너지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건조로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로를 설치하여 상기 탈취로에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함유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탈취로를 거친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이 승온된 공기를 다시 탈취로와 연소로에 연소용공기로 투입시킴으로서 열원을 발생하기 위한 폐기물 고형연료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기가스를 중화시키기 위한 배기가스처리장치를 소형화하여 부지확보 및 이에 따른 불필요한 설비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소로에 별도의 연소가스대피관을 설치하여 건조로의 화재시 연소로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가스대피관을 통해 배기가스처리장치로 직접 유입시켜 처리함으로서 건조로의 폭발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 아니라 연소가스내에 함유된 각종 유해성분을 처리하여 대기로 방출함으로서 공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시설의 일측에 침출수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저장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시설에 적재되어 있는 생활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연료화하기 위한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시설에 적재된 생활쓰레기를 이송시켜 고온으로 건조시키는 건조로와,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상기 건조로에 공급하는 연소로와, 상기 건조로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폐기물 고형연료로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으로 제거하는 탈취로와, 상기 탈취로를 거친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고온으로 승온시켜 이 승온된 외부공기를 상기 연소로와 탈취로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열교환장치와, 상기 열교환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형연료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배기가스등의 각종 유해물질을 중화 및 흡착 처리하는 배가스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의 구성 및 공정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건조로 18: 연소로
20: 연소가스 공급관 22: 배기가스 배출관
24: 싸이클론 32: 탈취로
36: 열교환기 38: 이코노마이저
42: 재순환관 44: 중화기
46: 제 1저장탱크 48: 제 2저장탱크
52: 백필터 54: 활성탄 재이송장치
64: 연소가스 대피관 66: 제 3저장탱크
74: 분사노즐
100: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A: 저장시설 B: 건조장치
C: 연소장치 D: 탈취장치
E: 열교환장치 F: 배기가스 처리장치
G: 침출수 처리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이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의 구성 및 공정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100)은 크게 생활쓰레기의 적재 및 악취를 처리하는 저장시설(A)과, 상기 저장시설(A)에서 이송된 생활쓰레기를 건조로(10)내에 투입시켜 고온의 열원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장치(B)와;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로(18)내에서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상기 건조로(10)에 공급시키는 연소장치(C)와.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를 탈취로(32)내에서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으로 상기 건조로(1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D)와, 상기 탈취장치(D)를 거친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승온시켜 상기 연소로와 탈취로로 공급시키는 열교환장치(E)와, 상기 열교환장치(E)를 거친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과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대기로 방출시키는 배기가스처리장치(F)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들을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장시설(A)은 도심지나 기타 지역에서 이송된 생활쓰레기를 저장하는 시설로서 매립지(4)와, 상기 매립지(4)에 적재되어 있는 생활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6)와, 상기 이송장치(6)를 통해 유입된 생활쓰레기를 건조로(10)내로 투입시키기 위한 저장호퍼(8)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장치(B)는 생활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수분을 고온의 열원으로 제거하는 장치로서 건조로(10)와, 상기 건조로(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분이 제거되지 못한 생활쓰레기를 전 공정인 저장호퍼(8)로 다시 리턴시키는 재이송장치(1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저장호퍼(8)에 저장되어 있는 생활쓰레기는 상기 건조로(10)에 투입되어 건조되며, 이때 건조과정에서 수분이 기준 이상 함유되어 있는 생활쓰레기는 다시 별도로 선별한 후 상기 재이송장치(15)를 통해 저장호퍼(8)로 다시 재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로(10)에는 배기가스배출관(22)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기가스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된 악취 및 유해성분이 다량 함유된 배기가스는 후술할 싸이클론(24)으로 유입된다.
상기 연소장치(C)는 상기 건조로(10)에 고온의 열원인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연소로(18)와, 상기 연소로(18)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상기 건조로(10)에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공급관(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로(10)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소로(18)에서는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연소로의 일측에는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를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장치(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투입장치(16)를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전술한 건조로(10)에 공급하게 됨으로서 종래 경유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열원을 충당하는 것에 비해 에너지낭비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탈취장치(D)는 상기 건조로(10)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를 연소시켜 제거하는 장치이며, 그 구성은 배기가스가 투입되는 탈취로(32)와, 상기 탈취로(32)에 폐기물 고형연료를 투입하는 투입장치(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탈취로(32)는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를 연소시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탈취로(32)는 전술한 연소로(18)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소로(18)와 탈취로(32)의 사이에는 싸이클론(24)이 복수개가 설치되며, 이 싸이클론(24)에는 전술한 건조로(10)의 배기가스배출관(22)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싸이클론(24)은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등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기능외에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로(18)와 탈취로(32)로 적정량씩 분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싸이클론(24)에는 각각의 송풍기(26, 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송풍기(26, 28)에 의해 흡입된 배기가스는 탈취로(32)와 연소로(18)에 적정량씩 공급되어 진다.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배기가스를 분배시키는 것은 상기 배기가스를 모두 수용하여 처리하기 위한 탈취로(32)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설비비용을 줄여주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장치(E)는 상기 탈취로(32)를 거친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열교환시켜 승온된 외부공기를 상기 탈취로(32)와 연소로(18)에 투입하여 연소용공기로 이용하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그 구성은 열교환기(36)와, 상기 열교환기(36)와 일정간격을 두며 설치되는 이코노마이저(38)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36)는 탈취로(32)와 재순환관(41)으로 연결되어 승온된 외부공기를 상기 탈취로(32)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이코노마이저(38)는 상기 탈취로(32) 및 연소로(18)와 각각 재순환관(42)으로 연결되어 송풍기(40)에 의해 승온된 외부공기들을 상기 탈취로(32)와 연소로(18)에 각각 공급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의 온도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열교환장치(E)로 승온시켜 이 승온된 공기를 탈취로(32)와 연소로(18)에 각각 공급하여 연소용 공기로 이용하게 됨으로서 상기 탈취로(32)와 연소로(18)는 고온의 연소공기를 얻기 위한 고형연료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기가스처리장치(F)는 상기 열교환장치(E)를 거친 배기가스의 대기방출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과 유해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며, 그 구성은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중화되는 중화기(44)와, 상기 중화기(44)를 거친 배기가스에 함유된 분진 및 다이옥신성분과 산화가스를 흡착, 처리하는 백필터(52)로 구성된다.
상기 중화기(44)에는 소석회가 저장되어 있는 제 1저장탱크(46)와 활성탄이 저장되어 있는 제 2저장탱크(48)가 각각 연결되어 중화기(44)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제 1, 2저장탱크(46, 48)에서 소석회와 활성탄이 정량 공급되어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공해물질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석회는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공해물질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활성탄은 배기가스에 다이옥신성분의 흡착 및 산화가스를 흡착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석회는 적정한 온도, 습도 및 반응시간에서 유해성분을 가장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석회의 반응조건을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중화기(44)의 제작시는 상기의 반응조건을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험에서는 온도: 110℃, 절대습도: 20%, 반응시간: 5초의 조건으로 중화기를 세팅하여 제작할 경우 상기 중화기(44)에 투입된 소석회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99,9%이상 중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백필터(52)는 전술한 싸이클론(24)에서는 포집할 수 없는 미세한 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백필터(52)를 프리코팅(Pre coating), 즉 상기 백필터(52)의 제작시 우선적으로 코팅처리한 후 사용토록 함으로서 수명의 연장과 아울러 다이옥신성분 및 산화가스의 흡착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백필터(52)의 하단에는 제 1, 2스크류피더(56, 58)로 구성된 활성탄 재이송장치(54)가 설치되어 상기 백필터(52)에 유입된 활성탄을 전술한 제 1저장탱크(46)로 다시 리턴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백필터(52)에는 배기가스외에 전술한 중화기(44)에 공급되었던 소석회와 활성탄이 같이 배출되어지며 이러한 활성탄을 상기 제 1, 2스크류피더(56, 58)로 구성된 활성탄 재이송장치(54)를 통해 걸러내어 다시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자원낭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백필터(52)의 일측에는 송풍기(68)가 설치되어 상기 백필터(52)를 거쳐 유해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연돌(Stack)을 통해 대기로 방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연소로(18)의 연소가스공급관(20)에는 건조로(10)의 화재발생시에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0)을 통해 건조로(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소가스대피관(64)이 설치되며, 상기 연소가스대피관(64)의 일단이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0)과 밸브(65)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가스대피관(64)의 타단은 전술한 배기가스처리장치(F)의 구성인 중화기(44)에 연결된다. 즉, 건조로(10)화재발생시 상기 밸브(65)를 개방하면 연소로(18)내의 연소가스는 상기 연소가스대피관(64)을 통해 중화기(44)로 직접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건조로(10)의 폭발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화기(44)에는 액상의 가성소다(NaOH)가 저장되어 있는 제 3저장탱크(66)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대피관(64)을 통해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가지는 온도 및 각종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연소가스대피관(64)을 통해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열교환장치(E)FMF 거치지 않고 중화기(44)내로 직접 투입됨에 따라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진 상태이며 이 경우 전술한 백필터(52)로 배출시 상기 백필터(52)가 가열되어 화재의 위험이 발생함으로서 연소가스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낮춰줄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이유로 상기 중화기(44)에 액상의 가성소다를 공급함으로서 연소가스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낮춰줄 수 있으며, 또한 연소가스에 함유된 각종 유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저장시설(A)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시설(A)의 구성인 매립지(4)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제거하기 위한 침출수처리장치(G)가 설치되며, 상기 침출수처리장치(G)의 상세구성을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침출수처리장치(G)는 상기 매립지(4)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별도의 저수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1펌프(68)와, 상기 저수조(70)에 저장된 침출수를 전술한 탈취로(32)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2펌프(72)로 구성되며, 상기 제 2펌프(72)에는 분사노즐(74)이 설치되어 침출수를 전술한 탈취로(32)의 내부에 강한압력으로 분사하게 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74)는 상기 제 2펌프(72)를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강한 압력을 이용하여 분무(atomizing)형태로 상기 탈취로(32)내에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침출수처리장치(G)를 상기 저장시설(A)의 일측에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대형처리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100)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저장시설(A)에 적재되어 있는 생활쓰레기를 상기 건조로(10)내에 투입시킨 후 상기 연소로(18)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상기 건조로(10)내에 투입시켜 생활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이용한다. 이때 상기 건조로(10)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배출관(22)을 통해 싸이클론(24)으로 공급되어 분진이 일차적으로 제거된후, 상기 싸이클론(24)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송풍기(26, 28)에 의해 배기가스를 연소로(18)와 탈취로(32)로 각각 적정량씩 분배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탈취로(32)에 투입된 배기가스중는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연소가스에 의해 악취가 제거되며, 상기 악취가 제거된 배기가스는 다음공정인 열교환장치(E)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장치(E)는 상기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열교환시켜 승온된 외부공기를 다시 상기 탈취로(32)와 연소로(18)에 투입시켜 연소용공기로 이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열교환장치(E)를 거친 배기가스는 다음공정인 배기가스처리장치(F)로 투입되어 유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다. 즉, 중화기(44)에배기가스가 투입되면 상기 중화기(44)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2저장탱크(46, 48)에서 소석회와 활성탄이 적정량 투입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공해물질의 중화 및 다이옥신성분의 흡착 및 산화가스를 처리시킨 후, 이 배기가스를 백필터(52)로 투입시킨다. 상기 백필터(52)에 투입된 배기가스는 전술한 싸이클론(24)에서 제거되지 못한 미세한 분진 및 다이옥신과 산화가스를 다시한번 제거한 후, 청정된 배기가스를 송풍기(68)로 흡입하여 대기로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배기가스와 함께 상기 백필터(52)에 투입된 활성탄은 활성탄 재이송장치(54)를 통해 다시 중화기(44)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한편, 전술한 저장시설(A)의 구성인 매립지(4)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침출수처리장치(G)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즉, 상기 매립재(4)내의 침출수는 제 1펌프(68)를 통해 저수조(70)에 유입시킨 후, 이를 다시 제 2펌프(72)를 통해 유입하여 분사노즐(74)을 통해 전술한 탈취로(32)의 내부로 분무시킴으로서 별도의 처리장치없이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건조로(10)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소로(18)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연소공기공급관(20)과 밸브(65)로 연결되어 있는 연소가스대피관(64)을 통해 전술한 중화기(44)에 직접 투입됨으로서 건조로(10)의 폭발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가스대피관(64)을 통해 중화기(44)로 투입된 연소가스는 상기 중화기(44)에 연결되어 있는 제 3저장탱크(66)에서 공급되는 가성소다에 의해 공해물질이 제거되고 또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낮추어 전술한 백필터(52)로 투입시킨 후, 대기로 방출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첫번째로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진 열원으로 건조로내의 생활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서 에너지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로 상기 건조로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로를 설치하여 상기 탈취로에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함유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번째로 열교환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탈취로를 거친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이 승온된 공기를 다시 탈취로와 연소로로 투입시킴으로서 열원을 발생하기 위한 폐기물 고형연료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번째로 상기 배기가스를 중화시키기 위한 배기가스처리장치를 소형화하여 부지확보 및 이에 따른 불필요한 설비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번째로 상기 연소로에 별도의 연소가스대피관을 설치하여 건조로의 화재시 연소로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가스대피관을 통해 배기가스처리장치로 직접 유입시킴으로서 건조로의 폭발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 번째로 저장시설의 일측에 침출수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저장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저장시설(A)에 적재되어 있는 생활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연료화하기 위한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시설(A)에 적재된 생활쓰레기를 이송시켜 고온으로 건조시키는 건조로(10)와;
    폐기물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을 상기 건조로(10)에 공급하는 연소로(18)와;
    상기 건조로(10)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폐기물 고형연료로 연소시켜 발생한 열원으로 제거하는 탈취로(32)와;
    상기 탈취로(32)를 거친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고온으로 승온시켜 이 승온된 외부공기를 상기 연소로(18)와 탈취로(32)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열교환장치(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E)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장치(E)를 거친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 1, 2저장탱크(46, 48)에 저장되어 있는 소석회와 활성탄을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중화기(44)와, 상기 중화기(44)를 거친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과 다이옥신을 흡착 처리하는 백필터(52)로 구성된 배기가스처리장치(F)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10)의 화재발생시 상기 연소로(18)내의 연소가스를 상기 중화기(44)로 직접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대피관(64)이 연결되며, 상기 중화기(44)의 내부로 가성소다를 공급하기 위한 제 3저장탱크(66)가 상기 중화기(44)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의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52)의 하단에는 상기 백필터(52)를 통해 걸러진 활성탄을 상기 중화기(44)로 다시 투입시키기 위한 활성탄 재이송장치(5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의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8)와 탈취로(32)의 사이에는 상기 건조로(1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로(18)와 탈취로(32)로 각각 분배시키기 위한 싸이클론(24)이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시설(A)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시설(A)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제 1펌프(68)를 통해 유입시켜 저장하는 저수조(70)와, 상기 저수조(70)에 저장된 침출수를 제 2펌프(72)로 유입시켜 상기 탈취로(32)내로 분무시키는 분사노즐(74)로 구성된 침출수처리장치(G)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E)는 열교환기(36)와 이코노마이저(38)로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기(36)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승온된 외부공기를 상기 탈취로(32)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이코노마이저(38)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승온된 외부공기를 송풍기(40)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로(32)와 연소로(18)내로 각각 공급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시스템.
KR10-2003-0011616A 2003-02-25 2003-02-25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KR10053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616A KR100530192B1 (ko) 2003-02-25 2003-02-25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616A KR100530192B1 (ko) 2003-02-25 2003-02-25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318A true KR20040076318A (ko) 2004-09-01
KR100530192B1 KR100530192B1 (ko) 2005-11-22

Family

ID=3736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616A KR100530192B1 (ko) 2003-02-25 2003-02-25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1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66B1 (ko) * 2014-02-14 2014-12-04 이백수 음식물 쓰레기 건조방법
KR101695977B1 (ko) * 2016-04-11 2017-01-17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하수 슬러지 자원화용 마이크로파 적용 패들 건조기
CN110551550A (zh) * 2019-09-17 2019-12-10 龙朝锋 一种生活垃圾制rdf及高温热解气化处理工艺
CN114110604A (zh) * 2021-12-21 2022-03-01 湖北悦源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全自动化垃圾热解系统的热解方法
CN114806613A (zh) * 2021-01-28 2022-07-29 柯世苑 废弃物处理炉及具有该废弃物处理炉的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253B1 (ko) * 2018-07-23 2020-06-05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커피추출잔사를 이용한 바이오 고형연료 성형장치
KR102512708B1 (ko) * 2022-05-19 2023-03-22 김남수 고체연료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보일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66B1 (ko) * 2014-02-14 2014-12-04 이백수 음식물 쓰레기 건조방법
KR101695977B1 (ko) * 2016-04-11 2017-01-17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하수 슬러지 자원화용 마이크로파 적용 패들 건조기
CN110551550A (zh) * 2019-09-17 2019-12-10 龙朝锋 一种生活垃圾制rdf及高温热解气化处理工艺
CN114806613A (zh) * 2021-01-28 2022-07-29 柯世苑 废弃物处理炉及具有该废弃物处理炉的处理设备
CN114806613B (zh) * 2021-01-28 2024-03-15 柯世苑 废弃物处理炉及具有该废弃物处理炉的处理设备
CN114110604A (zh) * 2021-12-21 2022-03-01 湖北悦源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全自动化垃圾热解系统的热解方法
CN114110604B (zh) * 2021-12-21 2024-03-26 湖北悦源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全自动化垃圾热解系统的热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192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9332B (zh) 一种污泥干化焚烧发电一体化系统及方法
CN2926833Y (zh) 医疗垃圾焚烧工艺的系统设备
CN204629501U (zh) 一种零排放、能量自耗型垃圾完全裂解处理系统
KR101309000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는 가열로와 열교환기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장치
CN1211309A (zh) 废物的处理方法和装置
CN107917427A (zh) 一种水泥窑协同处置生活垃圾的系统及其方法
KR101762092B1 (ko) 자화공기를 이용한 가연성폐기물의 저온분해 소각장치
CN108704931A (zh) 一种移动式污染废物热脱附的成套设备及方法
KR101534197B1 (ko)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CN110360575A (zh) 一种危废处置中心的焚烧系统
CN112503539A (zh) 焚烧物料预处理配伍特征污染因子自动控制工艺
CN113587117B (zh) 一种无害化处置污泥的系统及方法
CN107084396B (zh) 环保型城市固体废弃物直接焚烧气化供能系统及工作方法
KR100530192B1 (ko)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KR101447918B1 (ko) 에너지 절감 및 환경 친화형 화장설비
CN205351332U (zh) 一种生活垃圾环保焚烧炉
CN203653400U (zh) 一种污泥干化焚烧发电一体化系统
KR101252289B1 (ko)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CN218741209U (zh) 一种危废活性炭热解再生烟气净化系统
CN106871125A (zh) 一种垃圾焚烧炉污泥直接混合掺烧方法和系统
KR20120018938A (ko) 유동상 소각로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
KR100373589B1 (ko) 프레코트식의 백필터장치에서의 약제 분사·처리방법
KR100240833B1 (ko) 폐기물처리시스템
CN201672522U (zh) 污泥焚烧炉
KR100804832B1 (ko) 반건식 반응기를 구비하는 소각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