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443A -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 Google Patents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443A
KR20040075443A KR1020030010940A KR20030010940A KR20040075443A KR 20040075443 A KR20040075443 A KR 20040075443A KR 1020030010940 A KR1020030010940 A KR 1020030010940A KR 20030010940 A KR20030010940 A KR 20030010940A KR 20040075443 A KR20040075443 A KR 2004007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pearl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기
장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to KR102003001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5443A/ko
Publication of KR2004007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9Iridescent, pearlescen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의 상부층에 펄잉크로 인쇄하고 기계적 또는 화학적 요철무늬를 부여한 다음, 요철무늬의 돌출 부위에만 펄잉크 또는 메탈잉크로 다시 인쇄하고 나서, 투명층을 적층하므로써 기존 바닥재가 갖지 못하는 외관효과를 개선한 비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MULTYLAYERLY PRINTED VINYL FLOOR MATERIAL}
본 발명은 바닥재의 상부층에 펄잉크로 인쇄하고 기계적 또는 화학적 요철무늬를 부여한 다음, 요철무늬의 돌출 부위에만 펄잉크 또는 메탈잉크로 다시 인쇄하고 나서, 투명층을 적층하므로써 기존 바닥재가 갖지 못하는 외관효과를 개선한 비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 바닥재는 일반적으로, 발포 또는 비발포 상부층을 기재층과 일체화 하여 인쇄가 가능토록 하고, 무늬를 인쇄한 다음 그 상부에 투명층을 적층하며, 필요에 따라 자외선 표면처리를 실시하고, 하부에 발포 또는 비발포 하부층을적층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외관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부층상에 무늬를 인쇄할 때 임의의 인쇄도수로 펄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다음, 기계적 또는 화학적 요철무늬를 부여하고, 함몰부위를 투명졸로 메꾸고 상부에 투명층을 적층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외선 표면처리를 실시하고 그 하부에 발포 또는 비발포 하부층을 적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닐바닥재는 통상적인 입체인쇄 효과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비닐 바닥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비닐 바닥재의 외관효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단 펄 무늬와 난반사 효과를 유발하는 요철무늬와의 조화, 또는 다단 펄/메탈 무늬와 상기 요철무늬와의 조화로 독특한 입체 외관 효과를 갖는 비닐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바닥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재층 2. 상부층
3. 하부층 4. 다단인쇄무늬
5. 투명층 6. 표면처리층
7. 이면층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다층구조의 바닥재에 있어서, 기재층상의 상부층 위에 난반사 효과를 갖는 펄잉크로 인쇄한 다음, 난반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요철무늬를 부여하고 나서 펄잉크 또는 메탈잉크로 요철무늬의 돌출 부위에만 다시 인쇄하고, 그 상부에 투명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바닥재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도 1의 구조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 바닥재는, 기재층(1)과 일체화된 발포 또는 비발포 상부층(2)상에 원하는 펄 인쇄무늬를 부여한 후, 그 상부에 기계적 또는 화학적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부분의 돌출부위에 난반사 효과가 우수한 펄잉크 또는 메탈잉크를 사용하여 다시 인쇄를 실시하여 다단 인쇄무늬(4)를 구성한 다음, 투명졸을 사용하여 상기 요철부분을 메꾸면서 상부에 투명층(5)을 적층하고, 그 하부에는 발포 또는 비발포 하부층(3)을 적층한 다음, 필요에 따라 하부층 이면에 물성 보강용 이면층(7)을 적층하고, 제품의 표면에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여 경화 처리하여 표면처리층(6)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상기 기재층(1)은 비닐 바닥재 제품에 치수 안정성을 부여한다. 기재층(1)은 예로서 유리섬유 등의 기재 위에 기재층 조성물을 0.3~0.6mm의 두께로 나이프 코팅한 후 130~200℃에서 20~60m/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겔화하여 형성된다. 이때 기재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가 1000~3000인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20~50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10~20중량부, 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1~10중량부, 안료인 산화티탄 1~20중량부, 충진제인 탄산칼슘 50~170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 것이다.
이 기재층(1) 위에 발포 또는 비발포 상부층(2)을 형성한다. 발포 상부층(2)은 예로서 발포 상부층 조성물을 기재층(1) 위에 0.1~0.3mm의 두께로 나이프코팅한 다음 150~210℃에서 20~50m/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겔화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발포 상부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가 1000~2000인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30~60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5~20중량부, 발포제인 아조디카본아미드 2~5중량부, 발포촉진제 1~3중량부, 발포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0.5~2중량부, 안료인 산화티탄 4~10중량부, 충전제 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 것이다. 비발포 상부층(2)은 예로서 비발포 상부층 조성물을 기재층(1) 위에 0.1~0.5mm의 두께로 나이프코팅한 다음, 130~210℃에서 30~50m/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겔화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비발포 상부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가 1000~2000인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30~60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5~20중량부, 내열안정제 2~10중량부, 안료인 산화티탄 5~20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1~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 것이다.
상기 발포 또는 비발포 상부층(2) 위에 인쇄도수를 갖는 1종 이상의 펄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어(gravure) 인쇄, 오프셋(offset) 인쇄 또는 스크린(screen) 인쇄로 무늬를 인쇄한 후, 40~120℃에서 15~60m/min의 속도로 건조한다.
펄잉크에 포함되는 바람직한 펄안료의 일례로 운모에 이산화티탄을 코팅한 구조의 안료를 들 수 있는데, 색상은 이산화티탄의 두께에 대한 빛의 파장당 굴절율의 차이로 화이트, 골드, 옐로우, 브론즈 계통의 색채로 나타난다. 이때 입자의 크기가 6~100㎛인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입자의 크기가 6㎛ 이하이거나 100㎛ 이상인 경우에는 펄잉크의 은폐력 차이로 인해 인쇄된 무늬의 인쇄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펄잉크 조성물은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30~40중량부, 펄안료 10~20중량부, 메틸에틸케톤계 화합물 40~60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계 화합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펄안료의 함량비가 10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펄안료의 난반사 효과가 낮아지게 되어 은폐력이 낮아지고 투과가 많이 일어나 인쇄효과를 느낄 수 없게 되며, 펄안료의 함량비가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잉크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어 고점도 인쇄공정에서 불량을 발생시키고, 은폐력이 증가하여 펄인쇄 하부의 인쇄효과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요철무늬는 기계적 엠보싱 또는 화학적 엠보싱으로 부여하게 되는데, 기계적 엠보싱은 인쇄무늬가 부여된 비발포 상부층(2)에서 10~40m/min의 속도로 진행되며, 적외선 히터, 가스 히터 등으로 상부층(2)의 표면에 순간적으로 150~250℃의 열을 가하면서, 요철무늬가 있는 엠보싱롤을 상부층(2)의 표면에 5~10kg/㎠의 압력으로 눌러 요철무늬를 형성한다. 화학적 엠보싱의 경우에는 인쇄무늬를 부여할 때 억제제가 첨가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고, 20~30m/min의 속도로 150~250℃에서 60~180초 동안 가열하여 화학적 요철무늬를 형성한다.
이렇게 인쇄무늬가 부여된 발포 또는 비발포 상부층(2)에 음각 및 양각이 조화된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가열성형하여 소정의 요철무늬를 부여한 다음, 펄잉크를 사용하여 요철부분의 돌출부위에만 다시 한번 인쇄를 하여 다단 인쇄무늬(4)를 형성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층(2)의 인쇄무늬에 사용된 펄잉크와는 상이한 색상의 펄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요철 부위에 다시 인쇄하는 펄잉크 대신 메탈잉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메탈잉크의 금속분말 성분으로는 일반적인 금속을 대부분 사용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이나 구리분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분말 성분이 함유된 메탈 잉크는 각 금속의 고유광택과 메탈질감, 반사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금속분말의 입자도 크기가 6~100㎛인 것을 사용하며, 메탈 잉크의 조성은 아크릴계 수지 20~30중량부, 금속분말 15~30중량부, 메틸에틸케톤계 화합물 40~6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계 화합물 5~1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펄잉크 또는 메탈잉크로 요철 부위에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펄잉크 또는 메탈잉크 조성물에 분산제, 침강방지제, 안정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된 다단 인쇄무늬(4)를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층(5)을 형성시킨다. 먼저 요철무늬의 함몰부위를 투명층 졸을 사용하여 메꾸고 투명층(5)을 형성한다. 투명층(5)은 예로서 투명층 조성물을 다단 인쇄무늬(4) 위에 0.1~0.5mm의 두께로 나이프코팅한 후, 130~250℃에서 10~50m/min의 속도로 겔화시켜 형성된다. 투명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 1000~2000의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30~60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5~10중량부, 내열안정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 것이다.
상기 과정을 거치고 난 다음에는 기재층(1) 아래에 발포 또는 비발포 하부층(3)을 형성한다. 발포 또는 비발포 하부층(3)은 예로서 기재층(1) 이면에 발포 또는 비발포 하부층 조성물을 0.2~0.7mm의 두께로 나이프코팅한 후 170~250℃에서 10~50m/min의 속도로 30~180초 동안 발포하여 형성된다. 이때 발포 하부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가 1000~3000인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30~60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5~20중량부, 발포제인 아조디카본아미드 1~5중량부, 발포촉진제 1~5중량부, 발포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0.5~2중량부, 충전제 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 것이다. 비발포 하부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가 1000~3000인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50~85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1~10중량부, 내열안정제 1~5중량부, 안료인 산화티탄 1~10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50~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것이다.
하부층(3) 아래에 제품의 경도를 부여하는 이면층(7)을 형성시킨다. 이면층 조성물은 예로서 중합도 1000~3000의 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20~60중량부, 2차 가소제인 파라핀계 화합물 5~20중량부, 내열안정제 1~5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50~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졸 상태로 만든것이다.
투명층(5) 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소포제 및 레벨링젤로 이루어진 통상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의 조성물을 에어나이프코팅한 다음,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표면강도 유지를 위한 표면처리층(6)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비닐 바닥재는 요철무늬의 돌출부위와 함몰부위에 상이한 색상의 펄잉크가 다단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됨에 따라 빛의 굴절에 의한 특이한 난반사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인쇄무늬와 조화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요철부분을 투명졸로 메꾸게 되어도 표면은 평활하지만 상이한 다단 펄 색상 차이에 의한 독특한 입체효과를 갖는다.
또한, 요철무늬의 돌출부위에는 메탈잉크를, 함몰 부위에는 펄잉크를 각각 불균일하게 분포시켜 금속 특유의 메탈효과와 펄잉크의 난반사효과를 조화시켜 다단 입체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다층구조의 바닥재에 있어서, 기재층(1) 위의 상부층(2)상에 펄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무늬를 부여한 후, 그 상부에 기계적 또는 화학적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부분의 돌출부위에 펄잉크를 사용하여 다시 인쇄를 실시하여 형성된 다단 인쇄무늬(4)와 그 상부에 형성된 투명층(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인쇄된 비닐 바닥재.
  2. 다층구조의 바닥재에 있어서, 기재층(1) 위의 상부층(2)상에 펄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무늬를 부여한 후, 그 상부에 기계적 또는 화학적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부분의 돌출부위에 메탈잉크를 사용하여 다시 인쇄를 실시하여 형성된 다단 인쇄무늬(4)와 그 상부에 형성된 투명층(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인쇄된 비닐 바닥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펄잉크의 조성물이 아크릴계 수지 30~40중량부, 펄안료 10~20중량부, 메틸에틸케톤계 화합물 40~60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계 화합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인쇄된 비닐 바닥재.
  4. 제 2항에 있어서, 메탈잉크의 조성물이 아크릴계 수지 20~30중량부, 금속분말 15~30중량부, 메틸에틸케톤계 화합물 40~6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계 화합물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인쇄된 비닐 바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요철부분의 돌출부위의 인쇄에 사용된 펄잉크가 상부층(2)상의 인쇄에 사용된 펄잉크와 다른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인쇄된 비닐 바닥재.
KR1020030010940A 2003-02-21 2003-02-21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KR20040075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40A KR20040075443A (ko) 2003-02-21 2003-02-21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40A KR20040075443A (ko) 2003-02-21 2003-02-21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43A true KR20040075443A (ko) 2004-08-30

Family

ID=3736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940A KR20040075443A (ko) 2003-02-21 2003-02-21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54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35B1 (ko) * 2006-12-11 2011-11-10 (주)엘지하우시스 제품 표면에 유무광 효과가 부여되고 인쇄무늬와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타입 바닥장식재 및 이의제조방법
US8298654B2 (en) 2005-11-07 2012-10-30 Lg Chem Ltd. Tile type flooring in which printing and cutting patterns are harmoniou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68613B1 (ko) * 2007-10-15 2014-02-27 (주)엘지하우시스 금속상감 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
WO2020054960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인쇄 특성이 우수한 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8654B2 (en) 2005-11-07 2012-10-30 Lg Chem Ltd. Tile type flooring in which printing and cutting patterns are harmoniou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082735B1 (ko) * 2006-12-11 2011-11-10 (주)엘지하우시스 제품 표면에 유무광 효과가 부여되고 인쇄무늬와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타입 바닥장식재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68613B1 (ko) * 2007-10-15 2014-02-27 (주)엘지하우시스 금속상감 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
WO2020054960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인쇄 특성이 우수한 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45530B2 (en) 2018-09-13 2023-09-05 Lg Hausys, Ltd. Decora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print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291B2 (en) Selectively embossed surface covering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JP7088431B1 (ja) 艶消物品
JP6507473B2 (ja) 化粧シート
ES2924867T3 (es) Panel de pared o de suelo decorado y con la superficie estructurada
WO2022054644A1 (ja) 艶消物品
WO2022054646A1 (ja) 艶消物品
RU2286883C2 (ru) Избирательно тисненое поверхностное покрытие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NL2024631B1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element, surface covering element covering,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decorative surface covering element
US20240117640A1 (en)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Panel Covering
JP5798145B2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759096B2 (en) Method for making differential gloss coverings
JP2007290383A (ja) 高圧メラミン樹脂化粧板
KR20040075443A (ko) 다단 인쇄 비닐 바닥재
UA82531C2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поверхневого покриття з селективним тисненням і поверхневе покриття
JP6365161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6203432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14193575A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82497B2 (ja) 化粧シート
JP2005298722A (ja) 重合体溶液、艶消し塗料及び化粧シート
KR101247466B1 (ko) A-페트 시트지가 포함된 친환경 건축 자재용 합판의 uv 하이그로시 제조 방법
KR200299622Y1 (ko) 다중입체무늬의 바닥장식재
KR200205954Y1 (ko) 펄 에센스를 함유한 바닥장식재
KR200312478Y1 (ko) 칩을 이용한 입체감이 우수한 바닥재
KR100467227B1 (ko) 금속질감을 갖는 합성수지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133283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