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625A -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625A
KR20040073625A KR1020030009276A KR20030009276A KR20040073625A KR 20040073625 A KR20040073625 A KR 20040073625A KR 1020030009276 A KR1020030009276 A KR 1020030009276A KR 20030009276 A KR20030009276 A KR 20030009276A KR 20040073625 A KR20040073625 A KR 20040073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losing
shutter opening
signal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257B1 (ko
Inventor
김준식
임상빈
김병성
Original Assignee
넥스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비(주) filed Critical 넥스비(주)
Priority to KR10-2003-000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257B1/ko
Priority to US10/544,734 priority patent/US20060232606A1/en
Priority to PCT/KR2004/000288 priority patent/WO2004073308A1/en
Publication of KR2004007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3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mono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타이머를 갖는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먼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셔터개폐신호의 시퀀스 시점과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시킨다. 다음에는 셔터 장치에서의 실제 셔터개폐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한다. 다음에는 타이머의 소정 시점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송지연을 극복하여 사용자 시지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FOR INDICATING OPENING OR SHUTTERING OF A SHUTTER IN A PRIVATE IMAGE DISPLAYING DEVICE}
본 발명은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개된 디스플레이에서 비허가자는 볼 수 없도록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와 데스크탑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 PC)는 공공장소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용은 그 디스플레이의 가시거리 내에 있는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성 문제로 인해 텍스트 작성, 메일, 채팅, 동영상 감상 등을 위해 컴퓨터를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이 보기를 원하지 않는 내용의 경우 컴퓨터 사용에 제한이 많다. 프라이버시 문제는 개인적인 컴퓨터 사용 외에도 기업, 정부 등에서 기밀문서를 컴퓨터로 작업할 때도 야기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디스플레이의 보안성 문제는 다양한 분야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동 예금 지급기(automatic teller machine : 이하, "ATM"이라고 함)는 공공장소에 배치되므로 ATM 사용자의 비밀번호 키입력과 화면상의 거래내역과 같은 비밀정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개적으로 볼 수 있는 모니터 상에서 허가된 사용자에게 비공개 정보를 제공하고, 반면에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람은 동일한 모니터 상의 비공개 정보를 볼 수 없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면 유용하다.
초창기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고 함) 모니터는 시야각이 좁아서 정면에서 조금 옆으로 비껴서 보면 화면이 어둡게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은 일반적인 사용 측면으로 보면 불편한 사항이었기 때문에 시야각을 넓히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보안 관점으로 보면 약간의 보안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가장 초보적인 형태의 비공개 디스플레이(private display)라 할 수 있다. 이런 개념을 좀 더 발전시킨 마이크로 차단판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미국특허 제5,528,319호(발명자는 Russel임)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사용자의 뒤편에 있는 사람에게도 디스플레이의 내용이 완전히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좀 더 발전된 개념의 비공개 디스플레이는 셉터(Sceptre)사가 1998년에 제품 출시한 보안 LCD이다. 편광을 이용한 이 제품은 일반 LCD 모니터 내부에 있는 편광판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편광안경을 이용하여 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품은 프라이버시가 중요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항상 편광안경을 착용해야만 시지각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도로는 불편하다. 또한, 일반 선글래스와 같은 단순한 편광특성을 가진 안경을 착용한 비허가자도 내용을 볼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낮다. 결국 이 제품은 시장에서 실패하고 단종되었다. 이 방식을 약간 개선하여 2001년에 MMI사(http://www.man-machine.com/invisivw.htm)는 편광판을 장탈착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했다. 그러나 이 제품도 선글래스 등의 단순 편광 안경을 착용한 비허가자가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단점이 남아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니터의 수직동기(vertical sync)로 구별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모니터 프레임(monitor frame)이라 하고, 영상 데이터의 한 조각을 영상 데이터 프레임(image data frame)이라 한다. 하나의 영상 데이터 프레임은 모니터의 한 프레임과 같은 크기일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비공개 영상(private image : 이하, "P 영상"이라고 함)은 허가된 사용자의 사적인 비공개 영상이다. 마스킹 영상(masking image : 이하, "M 영상"이라고 함)은 비허가자가 허가된 사용자의 비공개 영상을 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영상이다.
셔터안경을 이용하여 사적인 정보를 보호하는 비공개 디스플레이가 현재 구현되고 있다. 원가가 저렴하고 착용이 가벼우며 성능 향상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가장 경쟁력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비공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시지각 성능', '맨눈 보안 성능', '염탐자 대항 보안 성능' 등 세가지 성능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사용자 시지각 성능'은 허가된 사용자가 영상을 시각적 불편 또는 피로감 없이 명료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맨눈 보안 성능'은 셔터를 갖지 않은 비허가자가 영상을 명료하게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며, '염탐자 대항 보안 성능'은 셔터를 가진 비허가자나 고의적인 염탐자(peeper)가 영상을 명료하게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비공개 디스플레이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DA, 휴대전화, TV, DVD, ATM/CD기, 도어락(door lock) 정보입력기와 같은 각종 모니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전형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PC 모니터에 대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당업자라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PC 모니터 보다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PC 모니터 실시예의 필수 구성요소 가운데 일부를 제외하고도 비공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비공개 디스플레이가 노트북 PC에 적용된 경우의 기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니터(102)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104), 광 필터링을 하는 셔터 개폐 수단(106), 컴퓨터(104)와 셔터 개폐 수단(106)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수단(108), 비공개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컴퓨터(104)는 비공개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04)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거나 자체적으로 비공개 영상과, 비공개 영상을 마스킹하는 마스킹 영상을 모니터(102)에 디스플레이하고, 상응하는 셔터개폐신호를 셔터 개폐 수단(106)에 전송하여 셔터 개폐 수단(106)을 작동함으로써 허가된 사용자만이 비공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컴퓨터(104)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DA, 휴대전화, TV, DVD, ATM/CD기, 도어락 정보입력기 등 모니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운영하는 다양한 정보기기를 통칭한다.
셔터 개폐 수단(106)은 기계식, 또는 액정 셔터와 같은 광전식일 수 있다. 셔터 개폐 수단(106)은 셔터 렌즈를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가진 셔터 안경, 지지대를 가진 셔터 구조물, 셔터 모자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는셔터안경 형태의 셔터 개폐 수단을 도시하였다.
컴퓨터(104)를 주위가 밝은 곳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모니터(104)에서 반사된 주변광이 사용자 눈에 입사하여 모니터 영상의 대비(contrast)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3M사가 판매하고 있는 "3MTMPrivacy Computer Filters"와 같은 주변광 차단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모니터(102)의 전면에 부착한다. 주변광 차단 필터는 광투과율이 입사각에 의존하는 광필터로서 입사각이 특정 각도 이상인 광을 차단하는 필터이다. 주변광 차단 필터는 햇볕 차단용 창문 블라인드와 같은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루버(Microlouver) 차단판을 가진 필름으로 구성되어 특정 각도 이상으로 입사하는 경사광을 차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3M사가 판매하고 있는 "VikuitiTMDisplay Enhancement Films"와 같은 조도 강화 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을 모니터(102)의 전면에 부착하여 모니터의 밝기를 향상시킨다. 모니터(102)의 전면에 이러한 필터를 부착할 경우에는 모니터(102)로 입사하여 반사하는 주변광 차단에는 효과적이지만 직접 셔터 개폐 수단(106)으로 입사하는 주변광을 차단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상태정보)은 셔터의 개폐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값이고, 셔터개폐 시퀀스는 영상 시퀀스에 상응하는 셔터개폐 상태값의 시퀀스로서 [0, 1, 0, 0, 1, 0, ...]와 같이 표현된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은 셔터개폐 시퀀스에 따라 셔터가 이상적으로 작동해야하는 시점으로서 컴퓨터가 생성하는 시점이고, 실제 셔터개폐 시점은 셔터에서 실제로 셔터개폐 작동이 일어나는 시점을 의미한다. 셔터개폐신호는 셔터개폐 시퀀스에 따라 셔터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신호로서 일반적으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을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한다.
셔터개폐신호를 유무선 전송하는데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미국특허 제5,629,984호에 개시된 선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의 방식에서는 모니터의 수직동기에 맞추어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마다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염탐자가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을 가로채어 알아내기가 쉽고 셔터개폐 시퀀스가 반복 주기적이므로 염탐자가 해독하기 쉽다. 아울러 셔터개폐신호를 암호화하지 않고 셔터에게 전송함으로써 염탐자가 가로채기가 더욱 쉽다.
또한 영국특허공개공보 GB 2360414 A에 개시된 IBM의 방식에서는 P/M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가변하여 염탐자가 가로채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셔터개폐신호로서 특정 기간 동안의 여러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 및 영상 프레임 디스플레이 시간을 묶어서 암호화하여 셔터에게 전송하고 셔터에서 이를 복호화한 다음에 해독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 및 영상 프레임 디스플레이 시간을 셔터측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 동기에 맞춤으로써, 염탐자가 셔터개폐 정보를 가로채어 해독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비동기식이라 할지라도 영상 프레임이 반복적으로 P 영상과 M 영상을 교체하기 때문에 염탐자가 튜닝(tuning)을 통해 비공개 영상을 시청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셔터개폐신호 암호화 전송 및 동기화를 위해 수신부 셔터측에 타이머가 필요하기 때문에 셔터 제작비용을 비용을 증가시키고 무선 셔터일 경우에는 셔터에서의 전력소모를 증가시키는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두가지 방법 모두 호스트 컴퓨터에서 송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 전송 지연(delay)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전송 지연에는 컴퓨터와 송신부 사이의 전송지연,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전송지연이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전송지연은 유무선 전송에 관계없이 미미하지만 호스트 컴퓨터와 송신부 사이의 전송지연은 상황에 따라 커질 수 있다.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MS Windows XP, 2000, 9x와 같이 실시간 운영체제가 아니면 전송 지연이 발생하고, 컴퓨터와 송신부의 연결이 USB와 같은 패킷전송 방식이면 추가로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운영체제의 실시간성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럽트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염탐자 대항 보안 성능을 갖도록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지연을 극복하여 사용자 시지각 성능이 우수하도록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셔터 상대 광투과율과 셔터 입력 전압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수신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송지연 보상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 타이머를 이용한 전송지연 보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을 맞추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분 보상법을 이용하여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을 맞추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와 모니터를 갖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비공개 영상과 마스킹 영상에 대한 영상 시퀀스에 따라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로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 또는 수평동기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입력받은 동기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셔터개폐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비공개 영상을 공개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공개 영상에 대한 마스킹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과, 비공개 영상과 마스킹 영상에 대한 영상 시퀀스 패턴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영상 시퀀스 패턴에 따라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와,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셔터개폐 시퀀스에 동기하여 상기 셔터 장치에서 실제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개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서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개폐 상태가 변할 때 제1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개폐 상태가 유지되는 임의의 시점에 제2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개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서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을 포함하는 셔터개폐신호와 상기 셔터 장치로 하여금 셔터를 개폐하도록 지시하는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으로 구성된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상기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수신 받으면 수신 받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으로 구성된 셔터개폐신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머를 갖는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의 소정 시점에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타이머를 갖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셔터개폐신호의 시퀀스 시점과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의 소정 시점에 상기 수신된 셔터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면 염탐자 대항 보안 성능을 향상된다. 또한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송지연을 극복하여 사용자 시지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 또는 신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로서, 특히 소프트웨어 방식의 전용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방식이란 셔터 개폐 수단(306)과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8)를 제외한 기능의 구현을 소프트웨어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용 드라이버(310)는 PC(302) 내의 그래픽 드라이버(314)와 별개로 그래픽카드와 같은 비디오제어기(312)에 접근하여 비공개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드라이버를 의미한다.
비공개 디스플레이 제어 블록(318)은 보안 성능 제어부, 암호화부, 사용자 인증부, 관리부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사용자를 인증하고, 허가된 사용자의 인증 수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부호(identification number : 이하, "ID"라고 함)와 비밀번호 입력을 받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ID와 비밀번호의 입력 없이 허가된 셔터 개폐 수단(306)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또한 허가된 셔터 개폐 수단(306)을 연결하고, 허가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받음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허가된 셔터 개폐 수단 여부 인증 및 정품 인증은 셔터 개폐 수단(306)의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 ROM)(도시되지 않음)에 내장된 제품의 일련번호 등으로 수행한다. 비공개 디스플레이 제어 블록(318)은 모니터 정보 획득 수단(328)으로부터 모니터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인증 수준 및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을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생성수단(322),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324),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326)을 제어한다. 모니터 정보 획득 수단(328)은 모니터(304)의 해상도,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 수직 동기(vertical sync), 수평 동기(horizontal sync) 등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생성 수단(322),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324),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326)은 사용자의 인증 수준 및 디스플레이보안 레벨과 사용자의 추가적인 선택에 따라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셔터개폐 시퀀스, 마스킹 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324)는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에 동기되어 셔터개폐 시퀀스를 생성하고, 셔터개폐 시퀀스에 따라 현재 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한다.
전용 드라이버(310)는 생성된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에 따라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326)에서 생성된 마스킹 영상을 비디오 메모리(340)에 제공하거나,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326)의 지시에 따라 스스로 마스킹 영상을 생성시켜 비디오 메모리(340)에 제공하거나, 컬러 테이블(color table)을 실시간 변경 제어한다. 또한 전용 드라이버(310)는 생성된 영상 시퀀스에 따라 비디오 제어기(312)가 비공개 영상 메모리 블록과 마스킹 영상 메모리 블록을 스위칭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304)로의 영상 전송을 제어한다.
송신부(308)는 셔터 개폐 수단(306)에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송신부(308)는 암호화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허가된 사용자에게 암호화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308, 310)는 USB, 직렬 링크(serial link)와 같은 유선링크나 IR, RF(FM, AM, Bluetooth)와 같은 무선링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카드와 같은 비디오 제어기(312)는 비디오 메모리(34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래픽 드라이버(314)로부터 받은 원래의 비공개 영상과 전용 드라이버(310)로부터 받은 마스킹 영상을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에 따라 모니터(304)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개폐 수단(306)은 수신부(336)와 디코더/인증수단(330)과 셔터 제어기(332)와 셔터부(3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부(336)는 송신부(308)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셔터개폐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더/인증수단(330)에 전송한다. 디코더/인증수단(330)은 셔터개폐신호를 해독하여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을 획득하고, 셔터 제어기(332)는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에 따라 셔터부(334)를 완전히 개폐하거나 중간 상태로 개폐한다.
본 발명의 셔터개폐신호 통신에서는, 컴퓨터의 P/M 영상 시퀀스에 따라 셔터개폐 시퀀스를 생성하고 컴퓨터 상에서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점에 상응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셔터에서의 실제 셔터개폐 시점을 동기하도록 통신한다. 도 2의 호스트 컴퓨터(302)-송신부(308)-수신부(336))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송신부와 수신부의 전송은, 다른 셔터를 소지한 염탐자가 셔터개폐시점을 알아내지 못하도록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는 임의의 시점에 현 셔터상태를 유지하는 셔터개폐신호를 추가로 전송하는 임의시점 전송방식이다.
도 3은 셔터 상대 광투과율과 셔터 입력 전압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셔터개폐신호는 열림과 닫힘의 2가지 셔터상태만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 또는 중간상태를 포함하는 다층상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액정 셔터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지 않았을 때 셔터가 최대 열림 상태(1)로 있고 최대전압 Vmax를 인가했을 때 셔터가 최대 닫힘 상태(0)로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일실시예로서 셔터개폐신호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이 열림과 닫힘의 2가지 셔터상태로만 이루어질 경우, 최대 열림 상태(1)에 대하여 대응 셔터제어값을 "0"으로 최대 닫힘 상태(0)에 대하여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을 "1"로 하여, 이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셔터에서 복호화한다. 상기 암호화방식은 셔터의 ID를 이용한 암호화 복호화를 비롯한 일반적인 암호화 복호화 방법을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셔터개폐신호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이 중간상태를 포함하는 다층 셔터상태로 이루어질 경우, 최대 열림 상태(1)에 대하여 대응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을 "0"으로 최대 닫힘 상태(0)에 대하여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을 "Dmax"로 하여 셔터 중간상태에 대응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들을 적절히 산출하여, 이 값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셔터에서 복호화한다. 예를 들어 8bit로 중간상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들을 스케일링하면 Dmax=255가 되고 중간상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들은 0~255 사이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셔터개폐신호 통신의 일실시예로서 염탐행위를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암호화된 셔터개폐신호를 통신한다. 여기에는 알려진 많은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기화 과정과 셔터개폐신호 전송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와 송신부 사이의 초기화 과정에서는 송신부는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과 같은 모니터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초기화 과정에서는 초기화 프로토콜이 컴퓨터에 의해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시드를 수신부로 전송하여 셔터를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는 바람직하게는 짧은 버스트(burst)에 의해 진행되고 송신부와 수신부 간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 동기 패턴과 시드를 전송한다. 일 예로서, 셔터의 ROM에 저장된 일련 번호를 상기 시드의 부분으로 이용하여 셔터개폐신호를 암호화하고, 상응하는 셔터만이 상기 시드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하여 셔터를 인증할 수 있다. 셔터개폐신호 전송 과정에서의 프로토콜은 통신 동기 패턴과 암호화된 셔터개폐신호의 방송(broadcast)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셔터개폐신호 통신에서는, 컴퓨터 상에서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점에 상응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셔터에서의 실제 셔터개폐 시점을 동기해야 한다. 컴퓨터(엄밀하게는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와 송신부 사이의 전송지연을 포함한 전송 지연이 미미할 때는 상기 시점들이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셔터개폐신호는 모니터의 수직동기나 수평동기에 동기되거나 비동기식일 경우 데이터 동기에 동기되어 전송된다. 이 때 동기 한 번에 하나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상태정보)을 담은 셔터개폐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셔터개폐신호 전송 한 번에 하나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경우, 일실시예로서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마다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즉시 상기 셔터개폐신호의 상태로 셔터를 작동하는 방법, 다른 실시예로서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보다 미리 일정 순서/시간 전에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이 되면 셔터를 작동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셔터개폐신호 전송 한 번에 하나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본 발명의 셔터개폐신호의 통신은 수신측인 셔터에 타이머 수단없이 또는 셔터의 타이머를 이용하지 않고,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는 임의의 시점에 현 셔터상태를 유지하는 셔터개폐신호를 추가로 전송하는 임의시점 전송방식이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암호화 전송한다. 일실시예로서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추가로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지만 P/M 영상 프레임의 상태(P, M 여부)가 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추가로 모니터 프레임 수직동기 시에는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더라도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추가로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는 임의의 순간에 현 셔터상태를 유지하는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방식의 일실시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2번째 모니터 프레임 위치에서는 셔터개폐 시퀀스 T(2)가 모니터 프레임 한 주기동안에 여러 개의 상태로 변동하고 있다. 그림과 같은 셔터개폐 시퀀스일 경우에, 도 4c의 셔터개폐신호 전송 펄스열에서 보듯이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을 때는 임의의 순간에 현상태 유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도 4c에서 셔터상태가 변할 때의 셔터개폐신호를 짙은 회색 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는 임의의 순간에는 현 셔터상태 유지 셔터개폐신호를 발생시켜 암호화 전송한다. 현 셔터상태 유지 셔터개폐신호는 백색 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현 셔터상태 유지 셔터개폐신호는 비동기식으로 또는 특정 수평동기(Hsync)나 수직동기에 동기되어 전송된다. 반복주기를 가진 수직동기식 방법에도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는 임의의 순간에 현 셔터상태 유지 셔터개폐신호 전송방법을 이용하면 염탐자가 가로채어 해독하는 것을 일정정도 방지한다. 일실시예로서 현 셔터상태 유지 셔터개폐신호는 현재 셔터상태에 대응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이거나 셔터개폐 상태 유지(hold) 신호값일 수 있으며 상기 값을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셔터개폐신호 전송 한 번에 여러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경우, 일 실시예는 특정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몇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묶은 셔터개폐신호를 컴퓨터에서 송신부를 거쳐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수신부에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을 저장하는 단계,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마다 셔터개폐 지시신호를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수신부는 셔터개폐 지시신호를 받으면 수신부에 저장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에 따라 셔터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셔터개폐 지시 신호는 미리 전송받은 셔터개폐신호로부터 해독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에 따라 셔터개폐를 하도록 셔터개폐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뜻한다.
다른 예로서, 특정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몇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묶은 셔터개폐신호를 컴퓨터에서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부에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을 저장하는 단계,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마다 셔터개폐 지시신호를 컴퓨터에서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부는 셔터개폐 지시신호를 받으면 송신부에 저장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에 따라 셔터 작동을 위한 셔터개폐신호를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상태정보의 묶음은 일 실시예로서 5개 상태를 묶어서 전송한다면 [1, 0, 0, 1, 0] 또는 [255, 0, 128, 255, 0]와 같은 형태가 된다. 상기 셔터개폐 지시신호는 셔터 개폐동작을 지시하는 단순한 펄스일 수 있고, 셔터개폐 지시신호를 받으면 저장된 [255, 0, 128, 255, 0]와 같은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값 가운데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상태값으로 셔터를 작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USB, IEEE 1394, 직렬 링크(Serial link)와 같은 유선링크나 IR, RF(FM, AM, Bluetooth)와 같은 무선링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USB 유선 링크에서 USB 시스템(410)은 컴퓨터의 USB 포트(404)로부터 셔터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USB 시스템(410)은 컴퓨터의 USB 포트(404)로부터 +5V의 전원을 입력 받아 전력 모듈(Power Module)(414)에서 +12V, +15V 등으로 승압하여 셔터 제어에 필요한 전압을 얻는다. 셔터 제어기(412)는 USB 시스템(4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셔터(416)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셔터 제어기(412)는 컴퓨터의 VGA 출력단자(402)를 통해 수직동기신호(Vsync) 및 수평동기신호(Hsync)를 수신받으며, 이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셔터(416)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펄스폭 변조 방식(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이라고 함)과 같은 변조 방식이나 단순한 DC 전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에서 타이머(510)가 USB 시스템(508)에 내장되어 있는 있는데, 타이머는 셔터 제어기(512)에 내장되거나 송신부(504)에 독립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타이머(510)의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은 도 5에서의 해당 구성요소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수신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이머(616)가 수신부(606)의 셔터 제어기(614)에 내장되어 있으나, 수신부(606)에 독립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타이머(616)의 동작은 후술한다.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은 도 5에서의 해당 구성요소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다. 디코더/인증수단(612)이 수신부(606)에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허가받은 셔터 장치(사용자)만이 비공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송지연 보상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8a에 컴퓨터에서 생성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이 (k-1), k, (k+1) 시점 순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맞추어 컴퓨터(엄밀하게는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가 셔터개폐신호를 송신부를 거쳐 수신부로 전송한다면, 도 8b와 같이 k시점에서는 컴퓨터에서 송신부로의 전송시작신호 S1(k)에 맞추어 셔터개폐신호 C1(k)가 전송된다. 이 때 운영체제의 전송지연으로 인해 셔터개폐신호 C1(k)가 지연을 가지고 발행되고 USB와 같은 패킷전송이면 추가적인 전송지연이 생긴다. 컴퓨터에서 송신부로의 전체 전송지연은 d1(k)로 표시한다. 송신부는 수신부로 전송시작신호 S2(k)에 맞추어 셔터개폐신호 C2(k)를 전송한다. 이 때 전송지연 d2(k)후에 실제 셔터가 작동을 하는 시점은 A(k)가 된다. 전체 전송지연은 d1(k)+d2(k)가 된다. 셔터개폐신호 C2(k)는 셔터개폐신호 C1(k)와 동일하거나 C1(k)의 정보 중 일부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송 지연이 있을 경우에 전송 지연을 알 수 있다면 보상이 간단해진다. 전송 지연을 측정 또는 계산으로 알아낼 수 있거나 전송 지연이 일정하다면, 일실시예에서는 컴퓨터가 송신부로 셔터개폐시퀀스 시점보다 알아낸 전송지연 시간만큼 미리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즉시 송신부가 수신부로 전송한다면 전송 지연이 없는 실시예와 동일해진다.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MS Windows XP, 2000, 9x와 같이 실시간 운영체제가 아니면 변동하고 알 수 없는 전송지연이 발생한다. 여기에 USB와 같은 패킷전송을 사용하면 컴퓨터에서 송신부로의 전송지연은 더욱 알 수 없고 가변적이 된다. 이 때는 간단한 보상이 어렵다.
전송지연을 모르고 전송지연이 변동할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동기 신호(수직동기, 수평동기)를 송신부에 입력하고 상기 모니터 동기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의 수직동기나 특정 수평동기에 맞추어 셔터개폐 시퀀스가 생성될 때, 컴퓨터는 도 8(c)와 같이 현재 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임의의 시간 이전에 미리 전송하고 송신부는 이를 저장한다. 도 8c에서는 컴퓨터가 k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k시점보다 임의의 d1(k)+d3(k) 시간 전에 송신부로 전송하고 있다. 여기에서 d1(k)은 컴퓨터와 송신부사이의 변동하는 전송지연이고, d1(k)+d3(k)는 설정된 임의 시간이다. 상기에서 일례로 k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k-1)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이전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인 (k-n)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는 입력되는 수직동기나 특정 수평동기에 맞추어 저장된 셔터개폐신호를 수신부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서는 송신부에 입력된 수직동기신호나 수평동기신호 가운데 특정한 수직동기나 수평동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일치하는 특정 수직동기나 특정 수평동기를 알아내어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수직동기나 수평동기에 동기하여 셔터개폐신호 C2(k)를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선택부에 타이머나 카운터가 필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을 수직동기를 기준으로 한 소정의 오프셋 시점들로 표현하여 컴퓨터에서 송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 C1(k)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현재 수직동기후 a, b, c, d 시간 이 되면 셔터를 [255, 0, 128, 0]의 상태값으로 작동하는 식으로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 정보를 셔터개폐신호 C1(k)에 포함한다. 선택부는 타이머나 카운터를 이용하여 수직동기후 a, b, c, d 시간이 되면 특정 수평동기를 선택하여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동기한다.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서 암호화 전송시 약간의 전송지연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미미하기 때문에 상기의 방법을 사용하면 전송지연이 없는 실시예와 거의 동일해진다.
전송지연을 모르고 전송지연이 변동할 경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송신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타이머를 이용한 전송지연 보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컴퓨터의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한다(910). 상기 동기는 셔터 초기화 과정에서 맞출 수도 있고 비공개 디스플레이 작동 중에 계속 맞출 수 있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을 어느 정도 맞추었다면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셔터개폐신호를 송신부로 전송한다(920). 컴퓨터는 도 8d와 같이 현재 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임의의 시간 이전에 미리 전송하고 송신부는 이를 저장한다. 도 8d에서는 컴퓨터가 k시점의 셔터개폐신호 C1(k)를 k시점보다 임의의 d1(k)+d2(k)+d3(k) 시간 전에 송신부로 전송하고 있다. 여기에서 d2(k)은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전송 지연이고, d1(k)+d2(k)+d3(k)는 설정된 임의 시간이다. 상기에서 k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k-1)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이전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인 (k-n)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는 소정 시점에 송신부의 타이머가 발행하는 동기에 맞추어 저장된 셔터개폐신호 C2(k)를 수신부로 전송한다(93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을 맞추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이다. 시점 맞추기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장 간단한 실시예로서 임의의 j시점의 모르는 전송지연 d1(j)+d2(j)을 전송지연 예측값 de라 가정하고 de만큼 보상한다. 도 10a에서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 j,j+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j시점을 컴퓨터 기준 시점으로 하여 j시점에서 시점 맞추기 위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도 10b와 같이 전송지연 d1(j) 후에 송신부는 상기 신호를 받는다. 이 때를 송신부 타이머 기준시점 Ti(j)로 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 그 다음에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 C1(j+1)를 (j+1)시점으로부터 전송지연보다 충분히 앞선 임의의 시간에 미리 송신부로 전송한다. 일례로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j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j시점과 (j+1)시점 간의 시간을 t(j)라 하면, 송신부의 타이머는 타이머 기준시점 Ti(j)로부터 {t(j)-de}만큼 후에 상기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 C2(j+1)를 수신부로 전송한다. 이 시점을 Ti(j+1)이라 한다. 다음에는 t(j+1)후인 Ti(j+2) 시점에 셔터개폐신호를 수신부로 전송한다. 이후에는 1보다 큰 정수 n에 대하여 Ti(j+n) 시점으로부터 t(j+n)후인 Ti(j+n+1) 시점에 셔터개폐신호를 수신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시점 맞추기 과정에서,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의 시간 간격 정보 t(j+n)이 컴퓨터에서 송신부로 전송되어야 한다. 일례로 수직동기식과 같이 주기적으로 셔터개폐 시퀀스를 생성한다면 컴퓨터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모니터 정보의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간격 정보 t(j+n)를 산출한다. 다른 예로서 특정 수평동기에 동기하여 또는 비동기적으로 임의시점에 셔터개폐 시퀀스를 생성한다면 셔터개폐 시퀀스의 시점이 주기적이지 않으므로 소정 시점에 컴퓨터에서 상기 시간 간격 정보 t(j+n)를 송신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시점 맞추기 과정에서 수직동기식과 같이 주기적으로 셔터개폐 시퀀스를 생성한다면 컴퓨터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모니터 정보의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을 이용하여 송신부의 타이머가 수신부로 주기적으로 셔터개폐신호 전송 동기신호 S2(k)를 발행한다. 특정 수평동기에 동기하여 또는 비동기적으로 임의시점에 셔터개폐 시퀀스를 생성한다면 셔터개폐 시퀀스의 시점이 주기적이지 않으므로 컴퓨터에서 송신부로 전송하는 셔터개폐신호는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 뿐만 아니라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셔터를 작동시키면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전송지연 d2는 거의 일정하므로 항상 기준시점에서의 {d1(j)+d2(j)-de}의 크기 만큼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실제 셔터개폐 시점의 시간차가 동기 오프셋으로 생긴다. 기준시점에서의 전송지연 d1(j)+d2(j)와 de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 사용자가 비공개 영상을 수월하게 볼 수 있다. 만약 차이가 크면 사용자가 일부 비공개 영상을 못보고 일부 영역에서는 마스킹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송지연 보상을 안할 경우에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실제 셔터개폐 시점의 시간차(동기 오프셋)가 변동해서 비공개 영상 영역이 상하로 떨리는 화면을 보게 되지만, 상기보상을 하게 되면 상기 시간차가 매 시점마다 일정하게 고정되어 비공개 영상의 떨림 현상이 없어져서 사용자의 시지각이 편안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조정을 통해 전송지연 예측값 de을 바꿈으로서 추가 보상을 하면 비공개 영상을 수월하게 볼 수 있다. 동기 오프셋을 작게 하기 위하여 전송지연 예측값 de는 다양하게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셔터 작동 전에 충분한 시간동안 전송지연을 테스트하여 평균 전송지연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전송지연 근처의 값을 전송지연 예측값 de로 선정한다. 전송지연 예측오차인 동기 오프셋이 가능하면 가장 작도록 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전송지연 예측값 de는 전송지연 예측오차가 가장 작은 특정 시점의 예측값 dme로부터 산출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분 보상법을 이용하여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을 맞추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이다. 시점 맞추기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소차분합(minimum difference summation, MDS) 보상법 등의 차분 보상법을 사용하여 보상한다. 일 실시예로서 셔터 초기화 과정에서, 도 11a와 도 11b에서와 같이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맞추어 셔터개폐신호 C1(k)를 송신부로 전송하면 각각의 전송지연 d1(0), d1(1), …, d1(k-1), d1(k), d1(k+1),…후에 송신부는 타이머 시점 …,Ti(k),Ti(k+1),…에 상기 신호를 받는다. 여기서 전송지연은 간단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각각의 시점에서 전송지연의 차분값 e(1) = d1(1) - d1(0),…, e(k) = d1(k) - d1(k-1)은 송신부 타이머의 각각의 Ti(k) 시점값으로부터 간단히 측정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k시점에서의 차분합은 h(k) == d1(k)-d1(0) 와 같이 계산된다. 0 시점에서의 차분합은 h(0) = d1(0) - d1(0) = 0 으로 정의한다. 우선 초기화 구간 동안 각각의 차분합 가운데 최소값 h(m)을 찾는다. 그러면 최소차분합 h(m)이 있는 m시점에서 전송지연 d1(m)이 최소 전송지연이다. 일반적으로 1초 정도의 충분한 초기화 구간동안 발생한 전송지연 가운데 최소값인d1(m)은 컴퓨터와 송신부 사이에서 발생 가능한 최소 전송지연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dme이 발생 가능한 최소 전송지연의 예측값이라면 dme~= d1(m)이 된다.
도 11c와 도 11d에서와 같이 초기화 마지막 시점 또는 초기화가 끝난 후 작동 시작 시점인 j시점을 컴퓨터 기준 시점으로 하여 j시점에서 시점 맞추기 위한 셔터개폐신호 C1(j)를 전송한다. 그러면 도 11d와 같이 전송지연 d1(j) 후에 송신부는 상기 신호를 받는다. 이 때를 송신부 타이머 기준시점 Ti(j)로 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 그 다음에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 C1(j+1)를 (j+1)시점으로부터 전송지연보다 충분히 앞선 임의의 시간에 미리 송신부로 전송한다. 일례로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j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j시점과 (j+1)시점 간의 시간을 t(j)라 하면, 송신부의 타이머가 타이머 기준시점 Ti(j)로부터 {t(j) - (d1(j) + d2)}만큼 후에 상기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수신부로 전송하면 완벽한 보상이 된다. dme~= d1(m)이므로 [t(j) - {d1(j) + d2}] ~= [t(j) - {d1(j) - d1(m) + dme+ d2}]가 된다. 여기서, j시점에서의 차분합 h(j) = d1(j) - d1(0)로부터 h(j) - h(m) = d1(j) - d1(m)이므로 [t(j) - {d1(j) - d1(m) + dme+ d2}] = [t(j) - {h(j) - h(m) + dme+ d2}]가 된다. d1(j), d1(m) 각각은 측정할 수 없지만 차분합 h(j), h(m)은 차분값 측정후 계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의 타이머는 타이머 기준시점 Ti(j)로부터 [t(j) - {h(j) - h(m) +dme+ d2}]만큼 후에 상기 (j+1)시점의 셔터개폐신호 C2(j+1)를 수신부로 전송하면 거의 완벽한 보상이 된다. 상기 전송시작 시점을 Ti(j+1)이라 한다. 이 때 전송지연 예측값은 de= h(j) - h(m) + dme+d2와 같다. 다르게 말하자면 기준 시점 j에서의 전송지연 예측값 de과 예측오차 Err은 d1(j) +d2= de+ Err이고, 예측오차가 가장 작은 특정 시점의 컴퓨터와 송신부 사이의 전송지연 d1의 예측값 dme과 예측오차 Err은 d1(m) = dme+ Err이다. 셔터 작동 전에 충분한 시간동안 전송지연을 테스트하여 예측오차가 가장 작은 시점의 예측값 dme를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dme은 충분한 시간동안 측정한 최소 전송지연 값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동기 오프셋인 예측오차 Err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Err = d1(j) - de+d2= d1(m) - dme이 되어, de= d1(j) - d1(m) + dme+d2이다. 차분합으로 산출하면 de= h(j) - h(m) + dme+d2이 된다.
다음에는 t(j+1)후인 Ti(j+2) 시점에 셔터개폐신호 C2(j+2)를 수신부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셔터를 작동시키면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전송지연 d2는 거의 일정하므로 항상 일정한 {d1(m) - dme}의 크기 만큼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실제 셔터개폐 시점의 시간차가 생긴다. dme~= d1(m)이므로 상기 시간차가 미미하여 사용자가 비공개 영상을 수월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조정을 통해 최소 전송지연 예측값 dme을 바꿈으로서 추가 보상을 하면 비공개 영상을 수월하게 볼 수 있다.
상기 최소차분합 보상법과 같은 차분 보상법을 실시할 때, 상기에서는 최소 전송지연 차분합을 셔터 초기화 과정에서 계산하고 초기화가 끝난 후 송신부 타이머의 시점 맞추기를 하는 실시예를 서술하였으나, 셔터 초기화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비공개 디스플레이를 작동하면서 작동과정 중에 전송지연 차분합을 계산하고 타이머의 시점 맞추기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컴퓨터의 타이머나 모니터 동기신호에 의한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송신부 타이머의 타이머 시점을 맞추었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소한 시점오차가 축적되어 두 시점이 불일치해질 수 있다. 상기 시점오차의 원인은 노이즈, 전송오차,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과 같이 컴퓨터가 전송하는 시간 정보의 생략 에러(truncation error)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공개 디스플레이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차분 보상법 등을 사용하여 상기 두 시점을 맞춘다.
전송지연을 모르고 전송지연이 변동할 경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신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송지연을 보상한다. 송신부 타이머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당업자라면 쉽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면 염탐자 대항 보안 성능을 향상된다. 또한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송지연을 극복하여 사용자 시지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8)

  1.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와 모니터를 갖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비공개 영상과 마스킹 영상에 대한 영상 시퀀스에 따라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로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 또는 수평동기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입력받은 동기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는 현재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의 셔터개폐신호를 소정 시간 이전에 미리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부는 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송신부로 입력되는 상기 수직동기신호 또는 수평동기신호 가운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일치하는 특정 수직동기나 특정 수평동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한 특정 수직동기나 수평동기에 동기하여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는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송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로부터 재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5. 셔터개폐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비공개 영상을 공개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공개 영상에 대한 마스킹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과,
    비공개 영상과 마스킹 영상에 대한 영상 시퀀스 패턴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영상 시퀀스 패턴에 따라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와,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셔터개폐 시퀀스에 동기하여 상기 셔터 장치에서 실제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는 시점 j에서 시점 맞추기를 위한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시점 맞추기용 셔터개폐신호의 수신 시점을 상기 타이머의 기준시점 T(j)로 하여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며,
    상기 셔터개폐신호는 시점 (j+n)(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셔터개폐신호를 시점 (j+n)으로부터 전송지연보다 충분히 앞선 임의의 시간에 미리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부는 시점 (j+n-1)와 시점 (j+n) 사이의 간격이 t(j+n-1)인 경우 n이 1이면 상기 타이머 기준시점 T(j)로부터 {t(j)-de}(여기서, de는 전송지연 예측값) 만큼 이후인 시점 T(j+1)에 상기 수신된 시점 (j+1)의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고, n이 2 이상이면 상기 타이머 기준시점 T(j+n-1)로부터 t(j+n-1) 만큼 이후인 시점 T(j+n)에 상기 수신된 시점 (j+n)의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시키며,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타이머의 소정 시점에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한번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할 때 하나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셔터 장치의 셔터상태가 변할 때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셔터상태가 변하지 않는 임의의 시점에서도 현 셔터상태를 유지하는 셔터개폐신호를 추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한번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할 때 여러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특정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소정 수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묶은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송신부를 거쳐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묶은 셔터개폐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에 저장된 셔터개폐신호에 따라 셔터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한번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할 때 여러 개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담은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특정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소정 수의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묶은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를 묶은 셔터개폐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는 매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마다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부는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받으면 상기 송신부에 저장된 셔터개폐신호에 따라 셔터 작동을 위한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
  11. 공개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서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개폐 상태가 변할 때 제1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셔터개폐 시퀀스의 셔터개폐 상태가 유지되는 임의의 시점에 제2 셔터개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개폐신호는 암호화되어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4. 공개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서 셔터 장치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을 포함하는 셔터개폐신호와 상기 셔터 장치로 하여금 셔터를 개폐하도록 지시하는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으로 구성된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상기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지시 신호를 수신 받으면 수신 받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으로 구성된 셔터개폐신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으로 구성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상태정보의 묶음으로 구성된 셔터개폐신호는 암호화되어 상기 셔터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7. 타이머를 갖는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수신부를 갖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과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의 소정 시점에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의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동기 단계는, 사용자가 동기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 동기 오프셋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동기 단계는 매 시점마다 일정한 동기 오프셋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오프셋은 가능하면 작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동기 단계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동기 단계는
    소정의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부가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수신 받은 시점을 상기 타이머의 기준시점으로 하여 상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과정과,
    소정의 전송지연 예측값으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서의 전송지연을 예측하여 상기 타이머를 보상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부 타이머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들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지연 예측값으로서 평균 전송 지연값의 근처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지연 예측값은 전송지연 예측오차가 가장 작은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의 예측값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지연 예측값은 소정 시간 동안 최소 또는 최대 전송지연이 발생한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의 예측값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방법은 전송지연 예측오차가 가장 작은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의 전송지연과 상기 선택된 기준시점의 전송지연의 차분값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의 전송지연 차분합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28. 송신부와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와 타이머를 갖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셔터 장치 사이에서 셔터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및 셔터개폐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셔터개폐신호의 시퀀스 시점과 상기 타이머의 시점을 동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셔터개폐 시퀀스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셔터개폐신호를 상기 송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의 소정 시점에 상기 수신된 셔터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KR10-2003-0009276A 2003-02-14 2003-02-14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KR10050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76A KR100502257B1 (ko) 2003-02-14 2003-02-14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US10/544,734 US20060232606A1 (en) 2003-02-14 2004-02-13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for indicating opening or shuttering of a shutter in a private image display device
PCT/KR2004/000288 WO2004073308A1 (en) 2003-02-14 2004-02-13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for indicating opening or shuttering of a shutter in a private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76A KR100502257B1 (ko) 2003-02-14 2003-02-14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25A true KR20040073625A (ko) 2004-08-21
KR100502257B1 KR100502257B1 (ko) 2005-07-20

Family

ID=3286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276A KR100502257B1 (ko) 2003-02-14 2003-02-14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32606A1 (ko)
KR (1) KR100502257B1 (ko)
WO (1) WO2004073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0851A1 (ja) 2007-01-26 2008-07-31 Nec Corporation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表示装置
KR101416879B1 (ko) 2008-10-06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방법
KR20110023108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는 셔터방식의 입체안경 및 그 구동방법
IL211738A0 (en) * 2010-03-31 2011-06-30 X6D Ltd Universal 3d glasses for use with televisions
CN104090374B (zh) * 2014-06-18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防偷窥显示系统及方法、防偷窥显示器、防偷窥眼镜
CN106448521A (zh) * 2016-09-14 2017-02-22 山东师范大学 一种防偷窥显示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026B1 (ko) * 1994-05-13 1999-05-01 마츠모도 세이야 입체표시방법 및 장치
JPH07307961A (ja) * 1994-05-13 1995-11-21 Pioneer Electron Corp 立体表示方法及び装置
US5629984A (en) * 1995-03-10 1997-05-13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security
KR20000032887A (ko) * 1998-11-18 2000-06-15 윤종용 입체 영상 투사장치
US6529209B1 (en) * 2000-01-12 2003-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privately viewable data in a publically viewable display
US6687399B1 (en) * 2000-08-03 2004-02-03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Stereo synchronizing signal generator for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US7978929B2 (en) * 2003-01-20 2011-07-12 Nexvi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 private image using a publ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257B1 (ko) 2005-07-20
WO2004073308A1 (en) 2004-08-26
US20060232606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338B2 (en) Secure method for providing privately viewable data in a publicly viewable display
JP5447391B2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制御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0731405B1 (en)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ata security
US82241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 private image using a public display
US20140351896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for accessing encrypted information by the apparatus
WO2013102003A1 (en) A strong authentication token with visual output of pki signatures
US20160203796A1 (en) Actuation of device for viewing of first content frames presented on a display between second content frames
US20180192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ivate display device
KR100502257B1 (ko) 비공개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셔터개폐신호의 전송 방법
US20030165240A1 (en) Decryption system for encrypted display
CA2792320C (en) Displaying private information using alternate frame sequencing
CN102110402B (zh) 数据产生方法及其电子装置
US20120229250A1 (en) Host apparatus, accessory apparatus, and authenticat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50074646A (ko) 영상 암호 시스템에서의 키 동기화
WO2004090840A1 (en)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with a variable arrangement of keypa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10695A1 (en) Securing information
US10663835B2 (en) Dynamic privacy glasses
US20110141127A1 (en) Data produc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0538140B1 (ko) 공개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비공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
KR100538131B1 (ko) 공개된 디스플레이와 셔터 장치를 이용하여 비공개 영상을출력하는 방법
JPWO2009022483A1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JP2000310965A (ja) ディスプレイセキュリティ確保装置
JP2012103625A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6483701A (zh) 一种图像显示系统及其方法
JPH112458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