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253A -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 Google Patents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253A
KR20040073253A KR1020030053691A KR20030053691A KR20040073253A KR 20040073253 A KR20040073253 A KR 20040073253A KR 1020030053691 A KR1020030053691 A KR 1020030053691A KR 20030053691 A KR20030053691 A KR 20030053691A KR 20040073253 A KR20040073253 A KR 2004007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water
adhesiv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072B1 (ko
Inventor
도사키유타카
나가츠히데키
고우노신이치
야타가이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34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8499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3Natural or synthetic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8L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물을 기준으로 수분산형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및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본 발명은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에 관한 것이다.
감압성 접착제는 마스킹(masking) 테이프,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표면 보호 필름, 포장용 테이프 등에 널리 사용된다.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의 개발은 이제까지 환경 보호, 자원 절약, 안전성 등의 척도의 기준에서 진행되어 왔고, 사용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의 양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중에서 고무계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가 피접착물 선택에 제한이 적고 저온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접착성, 내후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는 종래의 수분산형의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를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예를 들면 마스킹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도장, 밀봉 등을 행할 때 피접착물을 차폐하는 테이프인 마스킹 테이프를 우기 또는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결로(結露) 현상이 발생하는 피접착물의 표면에 적용하는 경우, 종종 이를 사용하였을 때 충분한 접착력을 수득할 수 없어, 테이프가 이동하거나 박리되어, 작업성이 악화된다.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등 또한 결로면에 붙일 때 동일한 문제점이 생긴다.
주 성분으로서 수용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결로면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접착 테이프로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박리시킬 때 물을 흡수·팽윤하여 용출되는 저분자량 성분에 의해 오염되거나, 응집력 부족으로 인해 접착 잔류물이 남는 등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습한 장소나, 물, 서리, 얼음 등으로 덮힌 물질에 적용되었을 때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감압성 접착제로서 유화중합에 의해 수득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180 내지 1,1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특정한 양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88-227682호).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이런 성분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는 결로면 등에 대해 충분한 초기 감압성 접착력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킹 테이프를 피접착물에 적용하여 며칠동안 그대로 남겨두면, 이 기간동안 테이프는 끝부분부터 서서히 박리되기 시작한다(일정-하중 박리성). 이로 인해 다시 일할 때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초기 감압성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특정한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특정한 친수성 중합체가 특정한 양으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된 접착제의 초기 감압성 접착력이 이의 일정-하중 박리성과 함께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고형물 기준으로 수성 분산형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의 중량 100부당,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0.5 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형물 기준으로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기본 중합체로서 함유한다. 친수성 중합체는 5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개시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감압성 접착 제품을 제공한다.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이 감압성 접착 층은 다공성 기재 물질의 하나 이상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수분산형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및 수분산형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을 함유한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기본 중합체로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 아크릴계 중합체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공단량체로서 공중합성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런 아크릴계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 단량체 성분을 형성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가 사용된다.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 예에는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차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런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트)아크릴계"는 "아크릴계 및/또는 메트아크릴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주 단량체 성분으로 혼입된다. 따라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 비율이 아크릴계 중합체의 모든 단량체 성분을 기준으로 50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 비율의 상한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중합체의 모든 단량체 성분을 기준으로 100중량%(바람직하게는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8중량%)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비율은 모든 단량체 성분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50 내지 98중량%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 비율이 모든 단량체 성분을 기준으로 50중량%보다 더 낮으면, 만족스러운 박리력 및 응집력을 나타내는 감압성 접착제를 수득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거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중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에서 공단량체 성분으로 혼입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된다.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될 수 있는 단량체의 예에는 (메트)아크릴산의 C1-3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메트)아크릴산의 C13-18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트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메트)아크릴산 지환족 탄화수소 에스테르,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카복실 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 또는 이의 무수물; 설포-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나트륨 비닐설포네이트 등;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면 스티렌, 치환된 스티렌 등; 시아노-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등; 올레핀, 예를 들면 에틸렌, 부타디엔, 등;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등; 비닐 클로라이드; 아미드-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하이드록실-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등; 아미노-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모폴린 등; 이미드 기-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 에폭시-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및 이소시아네이트-함유 단량체, 예를 들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에는 다작용성 공중합성 단량체(다작용성 단량체),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이 포함된다. 공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공중합성 단량체는 이로부터 형성되는 성분의 비율이 모든 단량체 성분을 기준으로 50중량% 미만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교결합제를 상기 개시한 다작용성 단량체 대신(또는 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의 응집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이 가교결합제를 아크릴계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중합 후, 피접착물에 적용하기 전에 첨가할 수 있다. 이 가교결합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교결합제, 예를 들면 수용성 가교결합제 또는 유용성 가교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가교결합제 또는 둘이상의 가교결합제의 조합이 유용하다. 수용성 가교결합제의 구체적인 예에는 에폭시 가교결합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 가교결합제, 옥사졸린 가교결합제, 아지리딘 가교결합제, 친수화된 카보디이미드 가교결합제, 활성 메틸올 기 또는 활성 알콕시메틸 기를 함유하는 가교결합제, 금속 킬레이트 가교결합제, 멜라민 수지 가교결합제, 및 퍼옥사이드 가교결합제 등이 포함된다. 유용성 가교결합제의 예에는 에폭시 가교결합제, 예를 들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등, 이소시아네이트 가교결합제,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유용성 카보디이미드 가교결합제 등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가교결합제의 양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일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공지되거나 일반적인 중합 방법(특히, 유화 중합 방법)에 의해 상기 개시된 단량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괄 부하 방법(일괄 중합 방법), 단량체 적하 방법, 단량체 유화 적하 방법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및 다른 성분이 적가되는 경우, 이들은 연속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적가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중합 개시제 등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면 5 내지 100℃의 범위에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중합에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예에는 아조 개시제,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디설페이트,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티르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 퍼설페이트, 예를 들면 칼륨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등; 퍼옥사이드 개시제, 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 퍼옥사이드와 환원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산화환원반응 개시제, 예를 들면 퍼설페이트와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퍼옥사이드와 아스코브산 나트륨의 조합 등;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중합 개시제를 이들로 한정해서는 안 된다.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 개시제 또는 유용성 개시제일 수 있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양은 이의 종류, 단량체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중합에 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쇄이동제를 이용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쇄이동제의 예에는 일반적인 쇄이동제, 예를 들면 라우릴 머캡탄, 글리시딜 머캡탄, 2-머캡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2,3-디메틸캡토-1-프로판올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쇄이동제의 양은 일반적으로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01 내지 0.5중량부이다.
중합 안정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중합에 유화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의 예에는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포숙시네이트 등; 비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 등이 포함된다. 또한 라디칼-반응기, 예를 들면 프로페닐 기 등을 이들 유화제에 도입함으로써 수득되는 라디칼-중합성 유화제가 유용하다. 이런 유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유화제의 양은 중합 안정성 및 기계적 안정성을 기준으로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이다. 한편,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하이다.
단량체 조성, 및 사용되는 각각의 단량체의 양 및 비율은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수득되는 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만족스러운 감압성 접착성을 수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0℃ 이하의 유리 전이점(Tg)를 갖는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단량체의 조성 및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200,000이상(예를 들면 200,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250,000 내지 9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0,000 내지 800,000일 수 있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는 수성 분산액 상태로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중합체는 유화액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가 유화액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 유화된 아크릴계 중합체는 중합을 통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 선택적으로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다양한 중합 방법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는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화될 수 있다. 즉,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유화액은 선택적으로 공중합성 단량체와 함께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의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유화 중합 이외의 중합 방법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수득한 후, 중합체를 유화제와 함께 물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유화액일 수 있다.
한편, 수분산형의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주 성분으로서 천연 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로 구성된다. 이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저작되거나 아크릴계 또는 다른 단량체가 그래프팅되어 있는 천연 고무의 라텍스를 함유할 수 있다.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에서, 수분산형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주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일 수 있고, 수분산형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주 성분으로서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일 수 있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접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pH 조절을 위한 염기(예를 들면 암모니아수 등) 또는 산, 그리고, 감압성 접착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이런 첨가제의 예에는 박리 조절제, 점착제, 가소화제, 연화제, 충진제, 착색제(예를 들면 안료, 염료 등),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된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친수성 중합체]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는 고형물 기준으로 수분산형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중량부(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본 발명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다.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의 비율이 고형물을 기준으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미만인 경우,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할 때의 감압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효과와 일정 부하 박리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줄어든다. 한편, 이 비율이 15중량부보다 더 높아지면 감압성 접착제의 점도가 증가되고, 이는 종종 이의 적용성에 영향을 미친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와 함께 함유되어 있기만 하면,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를 도입하기 위해,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산형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의 경우,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중합되기 전에 혼입될 수 있다. 그러나, 아크릴계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중합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피하기 위해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중합 후에 수용액 형태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20,000 내지 5,000,000(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3,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000 내지 1,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미만인 경우,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하는 경우 감압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줄어든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0 이상이면, 감압 접착제의 점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생기고, 이의 적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예에는 동종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등; 공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첨가량,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할 때의 접착력 개선 효과, 적용성 등의 균형이 우수하다는 측면에서, 이들 중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글리콜이다.
친수성 중합체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서는 동종중합체로서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닐피롤리돈과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한 이들이 친수성이기만 하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콜)로는 공지되거나 일반적인 폴리(비닐 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콜)은 친수성이기만 하면 비누화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메트)아크릴산)으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과 같은 동종중합체, 또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과 같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외에도,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과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한, 친수성이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친수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약 0.5x103내지 5x106(바람직하게는, 약 0.8x103내지 3x106,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x103내지 1x106)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할 때 감압성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감소된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감압성 접착제의 점도가 증가하고, 이는 적용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x103내지 1x106인 경우,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하는 경우 접착력 개선 효과와 적용성이 매우 잘 균형잡히게 된다.
첨가량, 중량 평균 분자량,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할 때의 접착력 개선 효과, 적용성 등사이의 우수한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친수성 중합체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본 발명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즉,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고형물을 기준으로 수분산형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접착 조성물은 비록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이지만,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되는 경우에 만족스러운 초기 감압성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일정 부하 박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박리동안 감압성 접착제는 물의 흡착/팽윤으로 인해 용출되는 저분자량 성분으로 인한 오염 문제나 불충분한 응집력으로 인해 접착 잔류물이 남는 문제가 억제되거나 방지된다.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는 수성 조성물이기 때문에, 안정성, 환경 위생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 고유의 감압성 접착 성질이 손상되지 않거나, 거의 손상되지 않고 남아있고,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 고유의 우수한 감압성 접착 성질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감압성 접착 제품에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로서 유용하다.
[감압성 접착 제품]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제품의 예에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감압성 접착 시트, 감압성 접착 필름, 감압성 접착 라벨 등이 포함된다. 감압성 접착 제품은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다.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 감압성 접착층은 예를 들면 기재 물질의 하나 이상의 면, 또는 이형 필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기만 하면, 감압성 접착 제품은 기재 물질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기재 물질의 예에는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필름(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등),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필름 등; 금속 호일; 다공성 기재 물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기재 물질로서 다공성 기재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기재 물질의 예에는 일본 종이, 크래프트지, 크레이핑지 등과 같은 다공성 종이 기재 물질; 부직 패브릭, 직조 패브릭 등과 같은 다공성 패브릭 기재 물질이 포함된다.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할 때 초기 감압성 접착력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이들 중에서 특히 효과적인 기재 물질은, 감압성 접착 제품이 매스킹 테이프인 경우에는 일본 종이이고, 감압성 접착제 제품이 감압성 접착 테이프, 예를 들면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등인 경우에는 부직 패브릭이다.
바람직한 일본 종이는 두들겨 만든 목재 펄프, 또는 목재 펄프와 짧은 합성 섬유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것이다. 짧은 합성 섬유를 구성하는 합성 중합체의 예에는 다양한 합성 중합체, 예를 들면 비닐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부직 패브릭으로서, 일반적인 섬유 및 펄프로부터 형성된 시트에 의해 만들어진 패브릭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기재 물질의 기저 중량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약 5 내지 200g/m2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기재 물질의 기저 중량은, 다공성 기재 물질이 일본 종이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100g/m2이고, 부직 패브릭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20g/m2이다.
기재 물질은 목표로 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의 두께는 약 5 내지 30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 물질의 두께는 강도, 힘 등의 관점에서, 일본 종이 기재 물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특히 50 내지 100㎛)이고, 부직 패브릭 기재 물질의 경우 일반적으로 30 내지 50㎛이다.
기재 물질은 단층 또는 다층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기재 물질(특히, 다공성 기재 물질)을 목적에 따라 함침 처리 또는 충전 처리, 및 다양한 공지되거나 일반적인 처리, 예를 들면 이형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제품은 감압성 접착 제품의 종류에 따라, 감압성 접착 제품을 제조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 제품이 기재 물질을 갖는 경우, 기재 물질에 하도 피복, 백사이징(back sizing) 또는 배면 처리 등과 같은 처리를 실시하고,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전술된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 접착 조성물을 기재 물질의 하나 이상의 면(한면 또는 양면)에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5 내지 300㎛의 두께로 직접 도포한 후, 피복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다르게는 감압성 접착 조성물을 건조 기준으로 약 5 내지 300㎛의 두께로 이형 라이너에 적용한 후, 건조된 피복물을 기재 물질로 이동시켜 제품을 수득할 수 있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제품(예를 들면, 롤 형태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을 제조할 수 있다.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해, 일반적인 용도의 피복기, 예를 들면 그라비어 롤 피복기, 역-롤(reverse-roll) 피복기, 키스-롤(kiss-roll) 피복기, 딥 롤(dip roll) 피복기, 바(bar) 피복기, 나이프 피복기, 분무 피복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압성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감압성 접착층 위에 이형 필름을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기재 물질의 배면을 이형제, 예를 들면 실리콘 이형제, 장쇄 알킬 이형제 등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은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초기 감압성 접착력을 나타내고, 바람직한 일정 하중 박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이후에, 모든 부는 중량 기준이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되어 있는 반응 용기에, 46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5부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1부의 아크릴로니트릴, 0.5부의 아크릴산 및 1부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를 75부의 물에 유화시킴으로써 제조된 유화액을 넣었다. 교반하면서 실온(25℃)에서 1시간동안 질소 치환하였다. 그런 다음, 여기에 0.025부의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3시간동안 중합하였다(제 1단 중합). 그런 다음, 0.1부의 칼륨 퍼설페이트를 용기에 추가로 넣었다. 46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5부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1부의 아크릴로니트릴, 0.5부의 아크릴산, 및 1부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를 33부의 물에 유화시킴으로써 제조된 유화액을 70℃에서 3시간동안 적가하였고, 이동안 반응 혼합물이 중합되었다(제 2단 중합).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75℃에서 2시간동안 숙성시킨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그런 다음, 10% 암모니아수로 중화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제(종종 "감압성 접착제 A"로 불린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2부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500,000) 및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Tetrad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품]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10부의 폴리비닐피롤리돈(중량 평균 분자량: 900,000) 및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5부의 폴리비닐알콜(중량 평균 분자량: 22,000) 및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0.5부의 폴리(아크릴산)(중량 평균 분자량: 90,000) 및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0.3부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및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를 첨가하였다.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고형물 기준으로 100중량부의 감압성 접착제 A에 10부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및 0.3부의 유용성 에폭시 가교결합제(상표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기저 중량 30g/m2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 물질)의 한 면에 건조 기준으로 20㎛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피복물을 건조시켰다. 이리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평가 방법)
다음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습윤면에 대한 감압성 접착력 및 일정-하중 박리성을 평가하였다.
(습윤면에 대한 감압성 접착력의 평가 방법)
피접착물로서 유리 조각을 23℃ x 65% RH의 온습도 조절기에 설치되어 있는, 0℃로 온도가 설정된 박스에 1시간동안 저장하였다. 그런 다음, 유리 조각을 박스에서 꺼낸다(동시에, 유리 표면이 결로되거나 젖은 상태가 된다). 10초 후에, 18mm의 폭으로 절단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3중 임의의 하나에서 수득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2kg 롤러를 테이프 위에서 앞뒤로한번씩 롤링함으로써 젖은 유리 조각에 적용하였다. 적용한지 10초 후에, 테이프를 180°의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 속도로 벗겨내어 결로면 또는 습윤된 유리 표면에 적용하였을 때의 감압성 접착력(이는 종종 "습윤면에 대한 감압성 접착력"으로 언급된다)(N/18mm 폭)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의 "습윤면에 대한 감압성 접착력(N/18mm 폭)"이라는 컬럼에 나타내었다.
(일정 하중 박리성의 평가 방법)
500g짜리 롤러를 테이프 위에서 한번씩 앞뒤로 굴림으로써 18mm의 폭으로 절단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아크릴 판에 적용하였다. 적용한지 30분 후에, 30g의 하중을 테이프 말단에 가하고, 90°의 박리각이 만들어지도록 아크릴 판에 고정시켰다. 23℃의 온도 하에서 시간당 박리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의 "일정 하중 박리성(cm/hr)"의 컬럼에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친수성 중합체 종류 PEG PVP PVA PAA 없음 PEG PEG
분자량 500,000 900,000 22,000 90,000 - 1,000 1,000
2 10 5 0.5 - 0.3 10
감압성 접착력(M/18mm 폭) 0.6 0.6 0.5 0.5 0.02 0.03 0.2
일정 하중 박리성(cm/hr) 1.5 1.5 0.8 1.2 30 5.0 0.8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PVP: 폴리비닐피롤리돈PVA: 폴리(비닐 알콜)PAA: 폴리(아크릴산)친수성 중합체의 양은 고형물 기준으로 감압성 접착제 A 100중량부에 대한 비율이다
표 1에 따르면, 비교예 1 내지 3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수득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결로되거나 습윤된 유리 표면에 적용하였을 때의 감압성 접착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테이프가 습윤면에 적용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감압성 접착력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4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일정 하중 박리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리하여, 고형물 기준으로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 당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이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감압성 접착층을 구성하는 감압성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해 우수한 초기 감압력 및 우수한 일정 하중 박리성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본 발명이 그 특정한 양태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그 진의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은 당 분야의 숙련된 이들에게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에 의하여,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적용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초기 감압성 접착력을 나타내고, 또는 양호한 일정 하중 박리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고형물 기준으로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 에 대하여, 20,0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2. 고형물 기준으로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이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기본 중합체로서 포함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조성물이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의 C4-12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기본 중합체로서 포함하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5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500 내지 5,0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
  7. 제 1 항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
  8. 제 3 항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
  9. 제 2 항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
  10. 제 4 항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
  11. 제 5 항의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제품.
  12. 제 7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이 다공성 기재 물질의 하나이상의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접착 제품.
  13. 제 8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이 다공성 기재 물질의 하나이상의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접착 제품.
  14. 제 9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이 다공성 기재 물질의 하나이상의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접착 제품.
  15. 제 10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이 다공성 기재 물질의 하나이상의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접착 제품.
  16. 제 11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이 다공성 기재 물질의 하나이상의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접착 제품.
KR1020030053691A 2003-02-13 2003-08-04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KR100758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4518A JP4108499B2 (ja) 2002-02-25 2003-02-13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JPJP-P-2003-00034518 2003-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253A true KR20040073253A (ko) 2004-08-19
KR100758072B1 KR100758072B1 (ko) 2007-09-11

Family

ID=3267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91A KR100758072B1 (ko) 2003-02-13 2003-08-04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447434A1 (ko)
KR (1) KR100758072B1 (ko)
CN (1) CN1289624C (ko)
SG (1) SG121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9032B2 (ja) * 2004-09-08 2012-07-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映像センサの実装方法
JP4676945B2 (ja) * 2006-01-13 2011-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水性粘着剤組成物、粘着テープ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4236120B2 (ja) * 2006-08-03 2009-03-11 日東電工株式会社 水性感圧接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CN101791426A (zh) * 2010-03-30 2010-08-04 绍兴振德医用敷料有限公司 一次性手术膜用湿粘胶及其制备方法
JP2012117041A (ja) * 2010-11-12 2012-06-21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CN107849263B (zh) 2015-07-10 2020-09-04 株式会社Lg化学 可交联组合物
CN107979959A (zh) * 2017-12-20 2018-05-01 苏州佳值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散热性反射片
CN109536059A (zh) * 2018-11-08 2019-03-29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光学用保护膜
JP2023031748A (ja) * 2021-08-25 2023-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0631A (en) * 1968-07-09 1972-07-05 Smith & Nephew Adhesive materials
US4033918A (en) * 1972-03-24 1977-07-05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Water remov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NO135638C (ko) * 1972-03-24 1977-05-04 Beiersdorf Ag
DE2529512C2 (de) * 1975-07-02 1984-10-04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Klebmittel auf Basis von wäßrigen Dispersionen von Copolymerisaten des Butadiens
ATE147854T1 (de) * 1991-01-31 1997-02-15 Pfister Messtechnik Übertragungselement für kraft- oder momentmessvorrich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9624C (zh) 2006-12-13
CN1521230A (zh) 2004-08-18
SG121782A1 (en) 2006-05-26
EP1447434A1 (en) 2004-08-18
KR100758072B1 (ko)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0332B2 (ja) 粘着製品
KR100731396B1 (ko)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EP1340797B1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US4759983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adhesive articles
US20090137727A1 (e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thereof
US20060100357A1 (en) Water-based adhesives for difficult substrates and low temperatures
WO2015064282A1 (ja) 表面保護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シート用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
JP3953796B2 (ja) 粘着付与樹脂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水系感圧性接着剤組成物
JP4798912B2 (ja) 水系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製品
US5185212A (en) Acetoacetoxy-alkyl acrylate-contain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manufactured articles
KR100758072B1 (ko)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US7396868B2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CN107771201B (zh) 包含(甲基)丙烯酸类聚合物和氨基酸交联剂的压敏粘合剂
US7045568B2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09074083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4731405B2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JP2016102195A (ja) 粘着シート
JP4326092B2 (ja) 塗装用マスキングテープまたはシート
EP1865038B1 (en) Release coating and process
JP4514429B2 (ja) 粘着テープおよび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
JP4087922B2 (ja) 粘着テープ
JP4434432B2 (ja) 水分散型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EP3689990A1 (en) Adhesive article
JP2017088823A (ja) 表面保護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