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216A -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216A
KR20040073216A KR1020030009215A KR20030009215A KR20040073216A KR 20040073216 A KR20040073216 A KR 20040073216A KR 1020030009215 A KR1020030009215 A KR 1020030009215A KR 20030009215 A KR20030009215 A KR 20030009215A KR 20040073216 A KR20040073216 A KR 2004007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ift lever
lower rod
upper ro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216A/ko
Publication of KR2004007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21S8/03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변속레버의 로드를 상하로 분리하여 상부로드(20)가 하부로드(40) 내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변속레버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variable gear shift leve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변속기의 기어물림을 변화시켜 주행속도를 조정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변속레버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레버(gear shift lever)는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엔진이 있는 곳에 트랜스미션의 기어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는 조작레버로써, 트랜스미션과 변속레버의 사이는 로드 또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공간의 관계로 좁은 장소를 통과하고 엔진의 진동을 방지하는 것 외에 정확한 조작이 요구되므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변속레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차 실내의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변속레버는 로드(2)의 상단부에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4)가 장착되고, 로드(2)의 하단부는 레버커버(6)에 의해 보호되어 트랜스미션(미도시)과 연결됨으로써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을 변속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변속레버는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습관 및 취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그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변속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자세가 불편할 뿐 만 아니라 오조작이 유발될 가능성이 많아 변속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변속레버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변속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변속레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변속레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변속레버의 요부를 도시한 상세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부로드 22 : 손잡이부
24 : 랙기어부 26 : 걸림돌기
40 : 하부로드 42 : 걸림턱
46 : 절개홈 50 : 구동하우징
52 : 구동모터 54 : 구동기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의 기어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설치되는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로드는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로드와 하부로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로드는 하부로드 내에 삽입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길이가 가변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로드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서 형성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리면서 하부로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정,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동기어는 상기 하부로드의 외부면상에 형성된 절개홈을 통해 그 일부가 하부로드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로드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하부로드로부터 상부로드가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상부로드의 일측지점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변속레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변속레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변속레버의 요부를 도시한 상세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로드는 상부로드(20)와 하부로드(40)로 나뉘어지고, 상기 하부로드(40) 내에 상부로드(20)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로드(20)가 하부로드(4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로드(20)의 상단부에는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22)가 장착되고, 그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는 랙기어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로드(40)는 이러한 상부로드(20)가 그 내부로 내삽될 수 있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상기 상부로드(20)의 랙기어(2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4)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기어(54)는 하부로드(40) 내측에 위치한 상부로드(20)의 랙기어부(24)에 맞물려야 하므로, 하부로드(40) 내측에 구비되어야 하나 하부로드(40) 및 상부로드(20)의 크기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힘들므로 하부로드(4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면서 그 일부가 상기 하부로드(4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랙기어부(24)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로드(40)의 외부면 일측에는 절개홈(46)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46)을 통해 하부로드(40) 외측에 설치된 구동기어(54)의 일부가 하부로드(4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기어(54)는 구동모터(52)의 모터축(5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2)의 작동에 의해 정, 역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듯, 하부로드(40)의 외측 절개홈(46) 부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2) 및 구동기어(5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를 수용하는 구동하우징 (50)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랙기어부(24)와 맞물린 구동기어(54)의 정, 역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로드(20)는 상하 이동되면서 하부로드(40)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로드(20)의 랙기어부(24) 위치 및 형성구간 그리고, 이러한 랙기어부(2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4)의 위치 등은 상, 하부로드(20,40)의 크기 및 길이조절 범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로드(4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로드(20)의 일측지점에는 그 외주연을 따라 걸림돌기(26)가 형성됨으로써, 상부로드(20)가 상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부로드(20)의 걸림돌기 (26)가 하부로드(40)의 걸림턱(42)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로드(20)의 걸림돌기(26)는 상기 랙기어부(24)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상부로드(20)가 최대로 인출되더라도 랙기어부(2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변속레버는 로드가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로드(20)가 하부로드(40) 내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부로드(40)로부터 상부로드(20)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은, 상부로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기어부(24)와, 상기 랙기어부(24)에 맞물리면서 구동모터(52)에 의해 정,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52)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어(54)가 정, 역회전함에 따라 상부로드(20)가 상하 이동되면서 변속레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모터(52)의 전원공급 여부 및 공급전원의 극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가 적용됨으로써, 상기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변속레버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게 가능하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조작스위치의 조작만으로도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춰 변속레버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에 의하면, 하부로드에서 상부로드가 출몰되면서 변속레버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편리하게 변속레버의 높낮이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트랜스미션의 기어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설치되는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로드는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로드와 하부로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로드는 하부로드 내에 삽입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길이가 가변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로드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서 형성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리면서 하부로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정,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하부로드의 외부면상에 형성된 절개홈을 통해 그 일부가 하부로드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로드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하부로드로부터 상부로드가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상부로드의 일측지점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KR1020030009215A 2003-02-13 2003-02-13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KR20040073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15A KR20040073216A (ko) 2003-02-13 2003-02-13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15A KR20040073216A (ko) 2003-02-13 2003-02-13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216A true KR20040073216A (ko) 2004-08-19

Family

ID=3736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215A KR20040073216A (ko) 2003-02-13 2003-02-13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2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7268A (zh) * 2013-06-13 2013-09-1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换档杆结构
KR101459322B1 (ko) * 2012-12-27 2014-11-07 전자부품연구원 조작레버의 제한장치
CN107747627A (zh) * 2017-08-30 2018-03-02 合肥华骏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便于调整的选挡接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22B1 (ko) * 2012-12-27 2014-11-07 전자부품연구원 조작레버의 제한장치
CN103307268A (zh) * 2013-06-13 2013-09-1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换档杆结构
CN107747627A (zh) * 2017-08-30 2018-03-02 合肥华骏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便于调整的选挡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3027B (zh) 用于交通工具的换档范围转换装置
US7794000B2 (en) Configuration for operating interior device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EP1338502B1 (en) Throttle-opening detecting apparatus
CN104981633A (zh) 交通工具变速范围转换装置
EP1338503B1 (en) Throttle-opening detecting apparatus
US9718208B2 (en) Chain tension adjusting apparatus for chain saw
US20030173475A1 (en) Elevating device for adjusting a telescopic tube used to support a musical instrument
US5168770A (en) Pivotal handle for a window actuator
JP4046052B2 (ja)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KR20040073216A (ko)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KR20050031813A (ko) 자동차의 컵홀더용 자동승강장치
JP5724381B2 (ja) 携帯型作業機
KR101303564B1 (ko) 자동차의 변속기 노브 각도 및 위치 조절장치
CN113357362A (zh) 选换挡结构、变速器和车辆
KR0139449Y1 (ko) 높이조절 암레스트
JP4367634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8049781A (ja) アームレスト構造
KR200271504Y1 (ko) 자동차용 컴퓨터 시스템의 결합구조
JP4401916B2 (ja) 可動パネル構造及び取付方法
JP2618340B2 (ja) 祭壇用表示物の支持装置
KR200250039Y1 (ko) 자동차시트용헤드시트에착탈이용이한진동시트
KR19990021006U (ko) 기어시프트 셀렉터
KR0133580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장치
JPH0330204Y2 (ko)
KR20000014615U (ko) 모니터의 스피커 방향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