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819A -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819A
KR20040071819A KR1020030007709A KR20030007709A KR20040071819A KR 20040071819 A KR20040071819 A KR 20040071819A KR 1020030007709 A KR1020030007709 A KR 1020030007709A KR 20030007709 A KR20030007709 A KR 20030007709A KR 20040071819 A KR20040071819 A KR 2004007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6496B1 (ko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496B1/ko
Priority to US10/772,508 priority patent/US20040157606A1/en
Publication of KR2004007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기 통화 연결시 사용된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통화정보를 이용한 통화도중 기 설정된 대기유효시간 동안 에어 메시지(air message)가 수신되지 않으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인식한 측에서 이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측으로 전송한 후 기 저장된 통화정보에 의거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재통화를 위해 재다이얼링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빠른 시간 안에 이전통화를 자동 연결함으로써 대화 단절의 시간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CALLING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음성호 통화중에 의도하지 않은 통화절단이 발생한 경우 기 저장된 이전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서비스 환경하에서 사용자가 음성호 통화를 하는 도중에 통신망의 통신상태 불량(예컨대, 순간적인 페이딩(fading) 등) 등의 이유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통화 재 연결을 위해서 종래에는 음성호 통화를 하던 쌍방 중 어느 한 측(통상적으로 '발신자')이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재 다이얼링을 해야만 했다. 그러면, 단말기와 기지국간에는 통화연결을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의 전송을 시작으로 일반적인 콜 프로토콜(call protocol)에 따라 호 설정(call setup)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절단시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통상적인 처리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 사용자가 기지국(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음성호 통화를 하는 도중에 통화절단이 발생하면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는 통화절단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예컨대,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송/수신한다(S10).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란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통화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단말기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서 전송하게 된다. 즉, 릴리즈-오더-메시지는 통화의 절단을 먼저 인식한 측에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메시지(message)로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전에 약속된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갖는다.
단말기(10)와 기지국(20)이 이와 같이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의 교환하여 통화가 절단되면, 음성호 통화를 하던 일측의 사용자(통상적으로 발신자)는 통화중이던 상대방과의 재통화를 하기 위해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재 다이얼링을 함으로써 발신을 시도한다(S20). 이 때, 단말기(10)측에서는 기지국(20)으로 통화 연결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예컨대, origination message)를 전달한다(S30). 그러면, 기지국(20)에서는 그 정보(origination message)를 참조하여 해당 통화 연결을 위한 채널을 할당한 후(S40), 통화를 요청한 단말기(10)에게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전달한다(S50). 상기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수신한 단말기(10)는 그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에 의거하여 트래픽채널을 설정한 후(S60), 기지국(20)과의 서비스 옵션 조정(service option negotiation)(S70)을 거쳐 원하는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S80).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 일단 절단된 통화를 다시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재다이얼링작업(S20)을 포함한 일련의 호 설정(call setup) 절차(S30 내지 S80)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시 재통화를 함에 있어서 짧지 않은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 통화중이던 상대방에게 재 다이얼링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통화 중에 의도하지 않은 통화절단이 발생한 경우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기지국에 기 저장된 이전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통화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통화 중에 의도하지 않은 통화절단이 발생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재다이얼링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통화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통화 중에 의도하지 않은 통화절단이 발생한 경우 빠른 시간 안에 이전통화를 연결함으로써 지속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통화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절단시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통상적인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대한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대한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을 위해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송/수신하는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에 대한 데이터 포맷.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자동연결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자동연결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통화연결방법은 초기 통화 연결시 사용된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통화정보를 이용한 통화도중 기 설정된 대기유효시간 동안 에어 메시지(air message)가 수신되지 않으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인식한 측에서 이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측으로 전송한 후 기 저장된 통화정보에 의거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대한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 사용자가 기지국(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음성호 통화를 하는 도중에 통화절단이 발생하면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는 통화절단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예컨대,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송/수신한다(S210).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란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통화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단말기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한 측에서 전송하게 된다. 즉, 릴리즈-오더-메시지는 통화의 절단을 먼저 인식한 측에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메시지(message)로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전에 약속된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을 위해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송/수신하는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에 대한 데이터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더메시지(order message)는 통상적으로 USE_TIME/ ACTION_TIME/ ORDER/ ADD_RECORD_LEN/ ORDQ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USE_TIME'필드는 'ACTION_TIME' 필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며, 'ACTION_TIME'필드는 'USE_TIME'필드가 '1'로 설정된 경우에만 해당 오더메시지의 유효한 시작시간을 저장하고, 'ORDER'필드는 해당 오더메시지의 종류를 저장하고, 'ADD_RECORD_LEN'필드는 해당 오더메시지 전체의 길이를 저장하고, 'ORDQ'는 해당 오더메시지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통상적인 필드 구성을 갖는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의 필들 중 'ORDQ 필드'에 사전에 약속된 소정값을 지정하여 전송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과정(S210)에서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 송/수신되는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단말기(10) 또는 기지국(20)은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의 'ORDER 필드'에 해당 오더 메시지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것임을 알리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값(예컨대, 010101)을 기록하고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의 'ORDQ 필드'에 그 통화의 절단이 의도하지 않은 것임을 알리기 위해 사전에 약속된 값(예컨대, 11110000)을 기록하여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생성한 후 타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기(10)와 기지국(20)은 이러한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공유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했음을 인식하고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절차들(S220 내지 S260)을 수행한다.
도 2의 예에서는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해 단말기(10)가 기 저장된 통화정보(예컨대, 상대방전화번호,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등)를 이용하여 이전 통화를 다시 연결하기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한 후 기지국(20)으로 전송한다(S220).
그러면, 기지국(20)은 상기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참조하여 해당 통화 연결을 위한 채널을 할당한 후(S230), 단말기(10)에게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전달한다(S240). 상기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수신한 단말기(10)는 그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에 의거하여 트래픽채널을 설정한 후(S250), 기지국(20)과 이전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S260).
이 경우 이전통화에 대한 서비스 옵션을 이전통화정보로 이미 저장하고 있으므로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 서비스 옵션 조정(service option negotiation)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대한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의도하지 않게 절단된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해 단말기(10)측에서 통화 연결을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기지국(20)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생략된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측에서 통화 연결을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기지국(20)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서는 기지국(20)에 이전통화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0) 사용자가 기지국(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 대방과의 음성호 통화를 하는 도중에 통화절단이 발생하면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는 통화절단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예컨대,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송/수신한다(S310).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도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도 2를 참조한 설명(S210 과정)에서 언급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과정(S310) 수행 결과 단말기(10)와 기지국(20)이 이러한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공유함으로써 단말기(10)와 기지국(20)은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면, 기지국(20)은 기 저장된 이전통화정보(예컨대, 이전통화자들의 전화번호들, 이전통화의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등)를 이용하여 해당 통화를 다시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한 후(S320), 단말기(10)에게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전달한다(S330). 상기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수신한 단말기(10)는 그 채널할당정보(channel assignment message)에 의거하여 트래픽채널을 설정한 후(S340), 기지국(20)과 이전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S350).
이 경우 기지국에 이전통화에 대한 서비스 옵션을 이전통화정보로 이미 저장하고 있으므로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 서비스 옵션 조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를 요청하면(S110),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그 통화 연결시 사용된 통화정보(예컨대, 통화자 전화번호,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등)을 저장한다(S120). 그리고 그 통화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를 개시한다(S130). 이 때, 상기 과정(S130)은 통상적인 일련의 통화연결과정들(예컨대, 채널할당, 트래픽채널 설정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화연결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므로 통화연결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통화중에 통화대상 이동통신단말기들 또는 기지국에 기 설정된 대기 유효시간 동안 에어 메시지(airmessage)가 수신되지 않으면(S140),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채널 로스(channel loss)등과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어떤 이유로 인해 통화가 절단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상기 과정(S120)에서 저장된 통화정보에 의거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한다(S150).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종료를 요청할 때까지(S170) 통화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S160).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화자동연결과정(S150)에 대하여 서로 다른 2가지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실시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자동연결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과정(S14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예컨대,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생성하여 타측으로 전송한다(S151).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S151)을 통해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공유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은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 사실을 공통적으로 알게 된다.
이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 사실을 인식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리고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52).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이전통화 자동연결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을 받은(S153) 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이전통화 자동 연결을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54).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과정(S120, 도 5)에서 기 저장된 통화정보(예컨대, 통화자 전화번호,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등)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에서 이전통화 자동 연결을 위한 채널정보를 전달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채널정보를 수신하여(S155)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다(S156). 그리고 그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연결한다(S157). 이 경우, 사용자가 이전통화를 다시 연결하기 위해 재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이전통화에 대한 서비스 옵션을 조정(service option negotiation)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자동연결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과정(S14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예컨대,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생성하여 타측으로 전송한다(S151a).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이미언급하였으므로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S151a)을 통해 릴리즈-오더-메시지(release order message)를 공유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은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 사실을 공통적으로 알게 된다. 이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 사실을 인식한 기지국은 상기 과정(S120, 도5)에서 기 저장된 통화정보(예컨대, 통화자 전화번호,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등)를 이용하여 이전통화 자동 연결을 위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한 후 이전통화를 수행 중이던 이동통신단말기들 모두에게 상기 트래픽 채널을 전송한다(S152a). 예를 들어, 이전통화가 2자간 통화였다면 기지국은 그 양측에게 상기 트래픽 채널을 전송한다. 그리고, 그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연결한다(S153a).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이전통화를 다시 연결하기 위해 재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이전통화에 대한 서비스 옵션을 조정(service option negotiation)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전통화연결을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까지도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통화 중에 의도하지 않은 통화절단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식별하고 기 저장된 이전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재통화를 위해 재다이얼링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또한, 빠른 시간 안에 이전통화를 자동 연결함으로써 대화 단절의 시간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호 설정을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절차들(예컨대, 서비스 옵션 조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등)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통화연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상기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초기 통화 연결시 사용된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통화정보를 이용한 통화도중 통화의 절단이 발생하면 그 통화절단의 원인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과정에서 저장된 통화정보에 의거하여 이전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과정은
    상기 통화를 수행중인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화를 제어하는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기 설정된 대기유효시간 동안 에어 메시지(air message)가 수신되지 않으면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제3-1 과정과,
    상기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 과정에서 저장된 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전통화 자동 연결을 위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는 제3-2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3-2 과정에서 생성된 초기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3-3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전통화 자동 연결을 위한 채널정보를 수신하여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제3-3 과정과,
    상기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연결하는 제3-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과정은
    통화종료를 지시하는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의 오더식별자(ORDQ)를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전에 약속된 값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2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전통화 자동연결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을 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서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제3-5 과정과,
    상기 의도하지 않은 통화의 절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제1 과정에서 기 저장된 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전통화 자동 연결을 위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는 제3-6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이전통화를 수행 중이던 이동통신단말기들 모두에게 상기 트래픽 채널을 전송하는 제3-7 과정과,
    상기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이전통화를 연결하는 제3-8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5 과정은
    통화종료를 지시하는 오더메시지(order message)의 오더식별자(ORDQ)를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전에 약속된 값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KR10-2003-0007709A 2003-02-07 2003-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KR10052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09A KR100526496B1 (ko) 2003-02-07 2003-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US10/772,508 US20040157606A1 (en) 2003-02-07 2004-02-05 Automatic call connect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09A KR100526496B1 (ko) 2003-02-07 2003-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19A true KR20040071819A (ko) 2004-08-16
KR100526496B1 KR100526496B1 (ko) 2005-11-08

Family

ID=3282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709A KR100526496B1 (ko) 2003-02-07 2003-02-07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57606A1 (ko)
KR (1) KR100526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47A (ko) *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26B1 (ko) * 2002-08-09 200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단말기의 수신제한 상황 알림방법
US7233788B2 (en) * 2004-07-20 2007-06-19 San Disk Il Ltd. Recovering from a disconnected phone call
US7856230B1 (en) * 2005-04-06 2010-12-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dropped mobile telephone calls
KR100780027B1 (ko) * 2005-09-07 200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CN100442930C (zh) * 2005-11-29 2008-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交换中心及其被叫处理方法
US20080057944A1 (en) * 2006-08-30 2008-03-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via selected networks
US7917633B1 (en) * 2007-04-17 2011-03-29 Glanc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necting to a remote viewing session
US8442492B2 (en) 2008-01-31 2013-05-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mobile communication in areas with sporadic signal reception
FR2929473A1 (fr) * 2008-03-28 2009-10-02 France Telecom Procede de terminaison d'un appel et terminal de voix sur ip
US20130268598A1 (en) * 2009-03-31 2013-10-10 Voispot, Llc Dropped Call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509852B2 (en) 2010-12-15 2013-08-13 Lenovo (Singapore) Pte. Ltd. Cellular communication auto redial for dropped call
JP2012222409A (ja) * 2011-04-04 2012-11-12 Fujitsu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並びに通信方法
US10771629B2 (en) 2017-02-06 2020-09-08 baby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voicemail into a communication session
US10516777B1 (en) * 2018-09-11 2019-12-2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ser experience for voic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2040A (en) * 1997-01-24 2000-02-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reconnect of wireless calls
KR100318940B1 (ko) * 1998-04-17 2002-04-22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재접속방법
US6990349B1 (en) * 1998-11-20 2006-01-24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a mobile station to an emergency operator
KR100277131B1 (ko) * 1998-12-03 2001-01-1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호자동재접속방법
KR100277104B1 (ko) * 1998-12-03 2001-01-1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호재접속방법
US6654360B1 (en) * 2000-01-10 2003-1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ormant mode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US7076245B1 (en) * 2002-03-19 2006-07-11 Sprint Spectrum L.P. Proactive management of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30620B2 (en) * 2002-07-11 2006-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nd apparatus regarding lost connectivity ev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47A (ko) *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6496B1 (ko) 2005-11-08
US20040157606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49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US20060172727A1 (en) Method of providing one-to-one call during conference call in a mobile terminal
US8525867B2 (en) Chatting service method interworking video phone service
JP3796408B2 (ja) 接続を確立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516566B1 (ko) 동영상 호 또는 음성 호 자동 변경 시도가 가능한이동무선단말기,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EP1863298A1 (en) Cellular phone system, video-phone call control device, cellular phone and video-phone call control method
KR100605623B1 (ko)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JPH08506230A (ja) 移動局に補助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とシステム
KR100611430B1 (ko)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18428B1 (ko) 영상 통화 연결시의 통화 접속 제어방법
US20080102891A1 (en) Method For Updating Session Initiatio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Telephone Call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Method
JP2005086544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0498342B1 (ko) 3세대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JP374028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1007800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98971B1 (ko) 패킷 구성 타입 테이블을 이용한 영상 통화 협상 방법 및그 장치
KR100578367B1 (ko) 추가 데이터 트래픽 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및 그 장치
KR10091745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단말 인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588309B1 (ko)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 알림 방법
JPH07327269A (ja) 事業所用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システム
KR100902227B1 (ko) 영상 통화 자동 천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40075562A (ko) 전화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57376B1 (ko)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239387A (ja) 留守番電話装置、及び、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