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430B1 -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430B1
KR100611430B1 KR1020050035624A KR20050035624A KR100611430B1 KR 100611430 B1 KR100611430 B1 KR 100611430B1 KR 1020050035624 A KR1020050035624 A KR 1020050035624A KR 20050035624 A KR20050035624 A KR 20050035624A KR 100611430 B1 KR100611430 B1 KR 10061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terminal
call
message
switch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기
박재영
박경종
김수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관점으로서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요청에 따라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 화상 통화를 위한 페이징을 전송하고, 제 1 알러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 단말기가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교환국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발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제 2 셋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착신 단말기가 제 2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교환국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송출하던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종료하고,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교환국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화상 통화를 위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호의 진행상태에 따른 각종 톤과 안내방송 및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PHON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1, 113 : 이동통신 단말기 140, 141, 143 : 이동 교환국
150 : 홈 위치 등록기 160 : 통화 연결음 유닛
170 :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 180 :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호의 진행상태에 따른 각종 톤(Tone)과 안내방송 및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화상 통화는 발신자의 화상 통화 호 설정 시도에 대하여 착신자가 응답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반적인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시도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 시도에 응답하여 호를 연결한다. 즉,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화상 통화를 위한 통화로가 설정된다.
여기서, 통화로가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즉시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왜냐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실제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정보를 주고받는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예로서, H.245) 협상, 즉 H.324M 초기화(Initialization)가 사전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 설정 후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이 이루어진 후에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화상 통화가 가능하다.
H.245 규격은 제조 회사 및 플랫폼에 따라 상이한 단말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여 단말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규격으로서, H.245 메시지는 양 단말간의 코덱과 단말 능력을 맞추기 위한 터미널 캐퍼빌리티 세트(Terminal Capability Set) 메시지, 단말간의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기 위한 마스터 슬레이브 디터미네이션(Master Slave Determination), H.223 베어러 전송을 위한 멀티플렉스 테이블 엔트리 익스체인지(Multiplex Table Entries exchange), 실제 음성 및 영상 채널을 열기 위한 오픈 로지컬 채널(Open Logical Channel) 메시지 등을 주고받으며 화상 통화를 위한 준비를 한다.
한편, 음성 통화 시에는 호가 진행 중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된 가입자는 발신자에게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고,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가입자는 발신자에게 링백톤을 제공하고 있으며, 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호가 종료되거나 다른 호로 연결중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안내방송 및 톤을 송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유선전화 및 이동전화 망에서 서킷(Circuit) 방식의 화상 통화 시에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화상통화가 연결되지 전 까지 음성 통화처럼 통화 연결음 또는 링백톤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발신 단말기 자체에서 제공하는 단순한 링백톤 또는 발신 단말기 카메라에서 비추어지는 화면만이 발신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는 서킷 방식의 화상통화를 정의한 규격 자체가 터미네이션(Termination)간의 앤드 투 앤드(End to End) 프로토콜이어서, 교환기에서는 통화로만 지원할 뿐이지 호의 진행 상태에 따른 톤 및 안내방송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미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호의 진행상태에 따른 각종 톤과 안내방송 및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이 한번만 지원되는 경우에 호의 진행상태에 따른 각종 톤과 안내방송 및 화상 통화 연결음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복수 번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이 지원되는 경우에 호의 진행상태에 따른 각종 톤과 안내방송 및 화상 통화 연결음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는,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에 의한 화상 통화로를 지원하는 교환국과, 발신 단말기와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한 후 화상 통화로의 형성 이전까지 화상 링백톤을 송출하는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는,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에 의한 화상 통화로를 지원하는 교환국과, 발신 단말기와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한 후 화상 통화로의 형성 이전까지 기 설정된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으로서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요청에 따라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 화상 통화를 위한 페이징을 전송하고, 제 1 알러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 단말기가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교환국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발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제 2 셋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착신 단말기가 제 2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교환국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송출하던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종료하고,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교환국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화상 통화를 위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으로서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요청에 따라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 화상 통화를 위한 페이징을 전송하고, 제 1 알러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 단말기가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교환국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발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제 2 셋업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링잉 중인 착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으로서 제 1 커넥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교환국이 송출하던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종료하고, 제 2 커넥트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의 재 수행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 단말기가 제 2 커넥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기와 화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재 실시하고, 재 협상이 완료된 후에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화상 통화가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는,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MS)(110)와,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120)과, 기지국(120)과 이동 교환국(14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하는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130)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에 의한 화상 통화로를 지원하는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140)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위치정보, 화상 통화 연결음 서비스 등의 각종 부가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50)와,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된 가입자인 경우에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유닛(Multimedia Color RingBackTone Unit, M-CRBT Unit)(160)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Multimedia Termination Unit)(170)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로가 설정되면 발,착신간의 화상 통화를 위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Multimedia Relay Unit)(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에 의한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 구분하였으며, 도 1의 이동 교환국(140) 또한 발신 이동 교환국(141)과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 화상 통화를 실시하기 위하여 제 1 셋업 메시지를 발신 이동 교환국(141)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 1 셋업 메시지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의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S301).
이어서,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호를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였다는 정보를 가지는 호 처리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에 전송한다(S302).
계속하여,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착신 정보 요청인 SRI(SendRoutingInfo)를 홈 위치 등록기(150)로 전송한다. 이 때,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화상 통화 호임을 SRI에 표시하여 SRI를 홈 위치 등록기(150)로 전송한다. 예로서, 네트워크시그날인포(NetworkSignalInfo)의 베어러캐퍼빌리티(BearerCapability)에 화상전화 호 임을 표시한다(S303).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150)는 발신 이동 교환국(141)의 착신 정보 요청에 따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1)가 위치한 착신 이동 교환국(141)에 라우팅 정보 요청인 PRN(ProvideRoamingNumber)을 전송한다(S304).
계속하여,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홈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전송된 PRN에 따라 이동국 로밍 번호인 MSRN(Mobile Station Roaming Number)을 할당한다. 여기서, 이동국 로밍 번호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사이의 호를 라우팅해 주는 번호이다. 그런 후, 착신 이동 교환국(111)은 할당된 이동국 로밍 번호를 PRN 액크(PRNACK)에 포함시켜 홈 위치 등록기(150)로 전송한다(S305).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150)는 PRN 액크를 분석하여 이동국 로밍 번호를 검출하고, 이동국 로밍 번호에 대한 정보를 SRI 액크(SRIACK)에 포함시켜 발신 이동 교환국(141)에 전송한다. 그 결과,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알게 된다(S306).
계속하여,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국 로밍 번호를 파악한 후 발신 기지국 제어기(130)에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Radio Access Bearer Assign Req, RAB Assign Req)를 전송한다(S307).
이 경우, 발신 기지국 제어기(130)는 발신 이동 교환국(141)의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에 따라 무선 접속 베어러를 할당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발신 이동 교환국(141)으로 전송한다(S308).
이어서,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이동국 로밍 번호를 분석하여 이에 해당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IAM(Initial Address Mobile)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IAM 메시지는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USI 필드(User Service Information Field)에 본 발명의 호가 화상 통화 호임을 표시한다(S309).
만약, 발신 이동 교환국(141)과 착신 이동 교환국(143)이 동일한 교환국일 경우에는 발,착신의 셋업 메시지로 화상 호의 구분이 가능하다.
계속하여,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ISUP의 IAM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화상 전화 호를 인식하면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발신 이동 교환국(141)에 전송한다. 여기서, ACM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의 호 설정에 필요한 어드레스 정보를 착신 이동 교환국(143)이 모두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S310).
그리고,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화상 통화를 위한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 또는 통화 연결 음 유닛(160)의 구동을 준비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를 호출, 즉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에 전송한다(S311).
아울러,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부터 ACM을 수신한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호 응답 대기 메시지인 제 1 알러팅 메시지(Alerting message)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로 전송한다. 이때, 커넥트(Connect) 이전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예로서, H.245) 협상, 즉 H.324M 초기화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Progress Indicator)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한다. 즉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Reservation)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한다(S312).
이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는 제 1 알러팅 메시지의 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 값을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 또는 통화 연결음 유닛(160)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예로서, H.245) 협상, 즉 H.324M 초기화를 실시하며, H.324M 초기화가 완료되면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이 링백톤을 송출하거나 통화 연결음 유닛(160)이 가입자가 설정한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한다. 즉, 화상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된 가입자는 통화 연결음 유닛(160)에 의해 H.324M 초기화가 실시되며, 이를 완료한 후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것이다(S313).
이 후,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S314)되면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제 2 셋업 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에 전송한다. 이때, 커넥트 이전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 콜(예로서, H.245) 협상, 즉 H.324M 초기화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한다. 즉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한다(S315).
그러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이에 대한 응답인 호 컨펌(Call Confirm)을 착신 이동 교환국(143)에 전송하며(S316),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착신 기지국 제어기(130)에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RAB Assign Req)를 전송한다(S317).
이 경우, 착신 기지국 제어기(130)는 착신 이동 교환국(143)의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에 따라 무선 접속 베어러를 할당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전송한다(S318).
계속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호 응답 대기 메시지인 제 2 알러팅 메시지를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전송한다(S319).
이어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제 2 셋업 메시지의 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 값을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 또는 통화 연결음 유닛(160)과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예로서, H.245) 협상, 즉 H.324M 초기화를 실시한다(S32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 또는 통화 연결음 유닛(160)과의 H.324M 초기화가 완료되면 착신 이동 교환국(143)에 제 1 커넥트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 1 커넥트 메시지는 호 연결, 즉 착신자가 전화를 받은 경우를 알리는 메시지이다(S321).
그러면,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에서 송출되던 링백톤 또는 통화 연결음 유닛(160)에서 송출되던 화상 통화 연결음이 종료되고, 착신 이동 교환국(141)은 발신 이동 교환국(141)에 ANM(Answer Messege)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ANM 메시지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의 호 설정 시도에 대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응답을 알리는 메시지이다(S322).
계속하여,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ANM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제 2 커넥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에 전송한다(S323).
이 때로부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고,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18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간의 화상 통화를 위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이로서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실제 화상 통화가 실시된다.
한편, 단계 S320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가 무응답 타임(No_Answer Time) 내에 커넥트하지 않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에게 부재중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이 때, 2차 호 연결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2차 호를 연결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H.324M 초기화가 한번만 지원되는 경우이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 번의 H.324M 초기화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180)에 의한 릴레이 기능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이 일부 변경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 말기에서 복수 번의 H.324M 초기화가 지원될 때의 화상 통화 서비스 기술을 아래의 제 2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기지국(120), 기지국 제어기(130), 이동 교환국(140), 홈 위치 등록기(150), 통화 연결음 유닛(160),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요소를 비교하여 보면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180)에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에 의한 화상 통화 서비스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4의 단계 S301부터 단계 S314까지는 도 2를 참조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314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 제 2 셋업 메시지를 전송한 다. 이때, 제 2 셋업 메시지의 베어러 캐퍼빌리티 파라메터로 화상 호 구분이 가능하다(S315).
그러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이에 대한 응답인 호 컨펌을 착신 이동 교환국(143)에 전송하며(S316),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착신 기지국 제어기(130)에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RAB Assign Req)를 전송한다(S317).
이 경우, 착신 기지국 제어기(130)는 착신 이동 교환국(143)의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에 따라 무선 접속 베어러를 할당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전송한다(S318).
계속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호 응답 대기 메시지인 제 2 알러팅 메시지를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전송한다(S319).
아울러, 링잉(Ringing)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가 응답하면, 즉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착신 이동 교환국(143)으로 제 1 커넥트 메시지가 전송(S321)되면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에서 송출되던 링백톤 또는 통화 연결음 유닛(160)에서 송출되던 화상 통화 연결음이 종료되고, 착신 이동 교환국(141)은 발신 이동 교환국(141)에 ANM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ANM 메시지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의 호 설정 시도에 대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응답을 알리는 메시지이다(S322).
계속하여,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ANM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제 2 커넥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에 전송한다. 이때 제 2 커넥트 메시지를 송출할 때에 H.324M 초기화를 다시 수행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에 특정 값을 세 팅하여 전송한다(S323).
이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는 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 값을 분석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 화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예로서, H.245) 협상, 즉 H.324M 초기화를 재 실시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간의 H.324M 초기화가 완료된 후에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실제 화상 통화가 실시된다(S424).
한편, 단계 S319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가 무응답 타임(No_Answer Time) 내에 커넥트하지 않는 경우에 착신 이동 교환국(143)은 호 설정 중에 발생하는 사건을 알리기 위한 CPG(Call Progress) 메시지를 발신 이동 교환국(141)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CPG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로 프로그레스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발신 이동 교환국(141)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로 프로그레스 메시지를 송출할 때에 H.324M 초기화를 다시 수행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한다. 역시 특정 값의 세팅은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하여, 프로그레스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는 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 값을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으로부터 부재 중 안내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H.324M 초기화를 재 수행하며, H.324M 초기화의 재 수행이 완료되면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17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1)에게 부재중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이 때, 2차 호 연결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2차 호를 연결한다.
지금까지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동 교환국과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 및 통화 연결음 유닛이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여러 가지의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교환국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호의 진행상태에 따른 각종 톤과 안내방송 및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 가입자에게 착신자 상태 및 부가서비스에 따른 안내방송 송출 후 2차 호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서킷 방식을 사용하는 유선 전화망을 포함한 모든 코어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1)

  1. (a) 발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요청에 따라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 화상 통화를 위한 페이징을 전송하고, 제 1 알러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교환국과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
    (c) 상기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단계;
    (d) 상기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제 2 셋업 메시지에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교환국과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
    (f) 상기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상기 송출하던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종료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화상 통화를 위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1 셋업 메시지에 따라 발신 교환국이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정보 요청(SRI)을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정보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국에 라우팅 정보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이동국 로밍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a3)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수신된 이동국 로밍 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 요청 액크를 상기 발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정보 요청 액크에 포함된 상기 이동국 로밍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호의 설정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 요청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가 화상 통화 호임을 표시하는 요청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호 표시는 네트워크시그날인포(NetworkSignalInfo)의 베어러캐퍼빌리티(BearerCapability)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5)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착신 정보 요청 액크의 수신에 따라 발신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 및
    (a6) 상기 발신 RNC가 상기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에 따라 베어러를 할당하여 상기 발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7)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정보 요청 액크에 포함된 상기 이동국 로밍 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IAM(Initial Address Mobil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a8)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IAM 메시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에 페이징을 전송하고, 호 설정에 필요한 어드레스 정보인 ACM(Address Complete Message) 을 상기 발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a9) 상기 ACM을 수신한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AM 메시지는 호가 화상 통화 호임을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호의 표시는 USI 필드(User Service Information Field)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알러팅 메시지는 커넥트(Connect) 이전에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Progress Indicator)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의 세팅은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Reservation)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은 H.324M 초기화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화상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된 가입자에 한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상기 착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가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통화가 화상 통화임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응답인 호 컨펌(call confirm)을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d4)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호 컨펌에 따라 상기 착신 RNC에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
    (d5) 상기 착신 RNC가 무선 접속 베어러를 할당하여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d6)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알러팅 메시지를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는 커넥트 이전에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의 세팅은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국과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이 완료되면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제 1 커넥트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f2)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제 1 커넥트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ANM(Answer Messege)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f3)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ANM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제 2 커넥트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4)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커넥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무응답 타임(No_Answer Time) 내에 커넥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부재중 안내방송을 송출하거나 2차 호 연결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2차 호를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8. (a) 발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요청에 따라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로 화상 통화를 위한 페이징을 전송하고, 제 1 알러팅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교환국과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실시하는 단계;
    (c) 상기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협상이 완료되면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단계;
    (d) 상기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제 2 셋업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링잉(Ringing) 중인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으로서 제 1 커넥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교환국이 상기 송출하던 화상 링백톤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음을 종료하고, 제 2 커넥트 메시지에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의 재 수행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커넥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와 화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재 실시하고, 상기 재 협상이 완료된 후에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화상 통화가 실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1 셋업 메시지에 따라 발신 교환국이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정보 요청(SRI)을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정보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국에 라우팅 정보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이동국 로밍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a3)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수신된 이동국 로밍 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정보 요청 액크를 상기 발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정보 요청 액크에 포함된 상기 이동국 로밍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호의 설정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 요청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가 화상 통화 호임을 표시하는 요청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호 표시는 네트워크시그날인포(NetworkSignalInfo)의 베어러 캐퍼빌리티(BearerCapability)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5)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착신 정보 요청 액크의 수신에 따라 발신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 및
    (a6) 상기 발신 RNC가 상기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에 따라 베어러를 할당하여 상기 발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3.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7)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정보 요청 액크에 포함된 상기 이동국 로밍 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IAM(Initial Address Mobil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a8)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IAM 메시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에 페이징을 전송하고, 호 설정에 필요한 어드레스 정보인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상기 발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a9) 상기 ACM을 수신한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제 1 알러팅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IAM 메시지는 호가 화상 통화 호임을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호의 표시는 USI 필드(User Service Information Field)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알러팅 메시지는 커넥트(Connect) 이전에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Progress Indicator)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의 세팅은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Reservation)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은 H.324M 초기화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화상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된 가입자에 한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상기 착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가 화상 통화임을 알리는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통화가 화상 통화임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응답인 호 컨펌(call confirm)을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d4)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호 컨펌에 따라 상기 착신 RNC에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
    (d5) 상기 착신 RNC가 무선 접속 베어러를 할당하여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d6)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알러팅 메시지를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1. 제 18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셋업 메시지의 베어러 캐퍼빌리티 파라메터로 화상 호의 구분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링잉 중인 상기 착신 단말기가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제 1 커넥트 메시지를 상기 착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e2)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제 1 커넥트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ANM(Answer Messege)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3)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ANM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제 2 커넥트 메시지에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의 재 수행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3. 제 18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트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이 재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의 세팅은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착신 단말기가 무응답 타임(No_Answer Time) 내에 커넥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착신 교환국이 호 설정 중에 발생하는 사건을 알리기 위한 CPG(Call Progress)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e-2) 상기 CPG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교환국이 프로그레스 메시지에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재 협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3) 상기 프로그레스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국과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재 수행하는 단계; 및
    (e-4)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재 협상이 완료되면 상기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부재중 안내방송을 송출하거나 2차 호 연결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2차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스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재 협상을 수행되도록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에 특정 값을 세팅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의 세팅은 프로그레스 인디케이터 파라메터의 리저베이션 되어 있는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39.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에 의한 화상 통화로를 지원하는 교환국;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한 후 상기 화상 통화로의 형성 이전까지 화상 링백톤을 송출하는 멀티미디어 터미네이션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40.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특정 규격의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에 의한 화상 통화로를 지원하는 교환국;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한 후 상기 화상 통화로의 형성 이전까지 기 설정된 화상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화상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화상 통화를 위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릴레이 유닛
    을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KR1020050035624A 2005-04-28 2005-04-28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61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24A KR100611430B1 (ko) 2005-04-28 2005-04-28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24A KR100611430B1 (ko) 2005-04-28 2005-04-28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430B1 true KR100611430B1 (ko) 2006-08-09

Family

ID=3718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624A KR100611430B1 (ko) 2005-04-28 2005-04-28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4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27B1 (ko) 2005-12-29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대기 시간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101050633B1 (ko) * 2008-11-27 2011-07-19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망과 착신망 간의 영상 통화 가능 식별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895B1 (ko) 2010-09-06 201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링백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링백톤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27B1 (ko) 2005-12-29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대기 시간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101050633B1 (ko) * 2008-11-27 2011-07-19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망과 착신망 간의 영상 통화 가능 식별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895B1 (ko) 2010-09-06 201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링백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링백톤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357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JP4864001B2 (ja) 移動通信網における画像通話サービスの提供方法
KR2005004339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US8525867B2 (en) Chatting service method interworking video phone service
KR10078036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화상통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11430B1 (ko) 화상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4007181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연결방법
KR20050033454A (ko) 반이중 무선통신 장치, 반이중 무선통신 시스템, 및반이중 무선통신 방법
JPH08506230A (ja) 移動局に補助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とシステム
JP2010041513A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518428B1 (ko) 영상 통화 연결시의 통화 접속 제어방법
KR100688228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324엠 화상통화에서의 어얼리 미디어 제공 방법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74065B1 (ko)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058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JP4763037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842415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0066174A1 (zh) 非跨接彩振通信的方法、终端及系统
KR100964465B1 (ko)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CN101489001B (zh) 基于非跨接技术实现彩铃业务的方法及相应设备
KR100668708B1 (ko) 화상 통화의 통화 요금 부과 방법
KR101457376B1 (ko)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78367B1 (ko) 추가 데이터 트래픽 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및 그 장치
KR20050046145A (ko) 호 설정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