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465B1 -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465B1
KR100964465B1 KR1020080045492A KR20080045492A KR100964465B1 KR 100964465 B1 KR100964465 B1 KR 100964465B1 KR 1020080045492 A KR1020080045492 A KR 1020080045492A KR 20080045492 A KR20080045492 A KR 20080045492A KR 100964465 B1 KR100964465 B1 KR 10096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called
processing server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44A (ko
Inventor
이원준
김기문
김민석
윤헌주
문재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46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호 처리 방법은,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착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화상 호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로 음성 호를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교환기 또는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Call Processing Method for Video Calling Supported Terminal, Call Processing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통화 단말기를 위한 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화상호와 음성호를 중개하기 위한 호 처리 서버를 구비하고, 발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화상통화를 시도할 경우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호 처리 서버-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호 경로가 설정되도록 하여, 착신자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발신자가 시도한 화상통화 호가 종료되어, 다시 음성통화를 시도해야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간에는 화상통화가 연 결될 수 없으며, 발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발신자가 시도한 화상통화 호는 종료되고, 발신자가 해당 착신자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다시 음성통화를 시도해야만 한다.
결국,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는 착신자와 화상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착신자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사용자이면 두번의 통화 시도를 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며, 미리 착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 후 화상통화를 하는 것은 화상통화 활성화에 큰 장애 요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에 비해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사용자가 훨씬 많기 때문에,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가 화상통화 기능을 사용할 확률이 매우 낮으며, 이는 화상통화 시도후 다시 음성통화를 시도해야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의 고객 불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연결 문제를 해결하고자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안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된 방법은 화상통화 요청을 받은 착신자가 음성통화로의 전환을 요청함에 의해 화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전환되는 방법이어서, 일일이 전환을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것은 화상통화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의 고객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자가 화상통화 시도 후 다시 음성통화를 시도할 필요가 없이 착신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별도의 서버를 개재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는 해당 서버를 통해 화상통화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는 해당 서버를 통해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시도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착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호를 처리함으로써 착신자가 음성통화로의 전환을 일일이 요청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착 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화상 호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로 음성 호를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교환기 또는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해당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SRI 응답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SRI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호 처리 서버로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면,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를 통해 발신 단말기와 호 처리 서버 간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IAM에 포함된 착신 번호를 근거로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SRI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교환기로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PRN(Provide Roaming Numb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PRN 응답 메시지를 통해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SRI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SRI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 교환기로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면, 상기 착 신 교환기가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호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Paging)하여 그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호 처리 서버와 착신 단말기 간에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착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발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해당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착신 단말기로 호가 시도된 경우, 발신 교환기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번호를 제공하여 발신 교환기가 호 처리 서버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발신 교환기와는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 교환기와는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며, 발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 를 포함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교환기 또는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화 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간에 호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로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을 음성 신호 분리부로 전달하며, 음성 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상기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호 처리부; 상기 화상 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음성 신호 분리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와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음성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음성 신호를 음성 호 경로를 통해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전송하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화상 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음성 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상기 화상 호 트래픽에서 분리된 음성 신호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고, 상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는 코덱 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호 처리부는, 각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관리하여, 음성 호 경로가 설정된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사용자의 대체 화상을 해당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함께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상기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홈 가입자 서버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홈 가입자 서버가 해당 착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화상 호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홈 가입자 서버로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음성 호를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고,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착신 단 말기로 호가 시도된 경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번호를 제공하여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호 처리 서버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홈 가입자 서버;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는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착신 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는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고,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 를 포함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착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자가 화상통화 시도 후 다시 음성통화를 시도할 필요가 없이 착신자와 통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는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를 사용하는 착신자와 통화하더라도 화상통화를 유지할 수 있고, 착신자는 미리 대체 화상을 지정해놓음으로써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홈 위치 등록기 또는 홈 가입자 서버에서 착신자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호 처리 서버로 호를 라우팅시키기 때문에, 착신자가 음성통화로의 전환을 일일이 요청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호 처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 10')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20') 간의 호 처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서킷 기반 망일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발신 교환기(110), 홈 위치 등록기(120), 착신 교환기(130), 및 호 처리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패킷 기반 망(IP 망)일 경우 도 1b에서와 같이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홈 가입자 서버(HSS, 120'), 착신 교환기(130'), 및 호 처리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 처리 서버(140, 140')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 10')에게는 화상통화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20')에게는 음성통화를 제공하면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 10')와 미지원 단말기(20, 20') 간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 개 역할을 하는 서버이다.
즉, 본 발명에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와 미지원 단말기(20)는 발신 교환기(110), 호 처리 서버(140), 착신 교환기(130)를 경유하는 호 경로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되며, 패킷 기반 망일 경우에는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호 처리 서버(140'),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30')를 경유하는 호 경로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20')는 단말기 자체가 화상통화 기능이 없는 단말기이거나, 화상통화 기능은 있으나 화상통화가 불가능한 네트워크에 로밍되어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홈 위치 등록기(120) 또는 홈 가입자 서버(120')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 10')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20')인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시도된 경우, 발신 교환기/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110')로 호 처리 서버(140, 140')의 라우팅 번호를 제공하여 발신 교환기/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110')가 호 처리 서버(140, 140')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 처리 서버(140, 140')는 호 처리 서버(140, 140')의 라우팅 번호를 제공받은 발신 교환기/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110')의 요구에 따라 발신 교환기/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110')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며, 발신 교환기/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10, 110')로부터 착신번호 정보를 받아 해당 착신 교환기/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130, 130')와 음성 호 경로를 설 정한다.
이와 같이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 10')와는 화상 호 경로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20')와는 음성 호 경로가 설정되면, 호 처리 서버(140, 140')는 발신측에서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측으로 전송하고, 착신측에서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측으로 전송하여 호를 중개한다.
한편, 상기 호 처리 서버(140, 140')는 화상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코덱과 음성통화에 사용되는 음성코덱이 다른 경우, 음성코덱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측은 WCDMA 화상통화 발신을 하고, 착신측은 CDMA 음성통화 착신을 하는 경우, 호 처리 서버(140, 140')는 WCDMA 화상통화에 사용되는 AMR 음성코덱을 CDMA 음성통화에 사용되는 EVRC 음성코덱으로 변환하여 착신측으로 전송하여야 하고, 반대로 EVRC 음성코덱은 AMR 음성코덱으로 변환하여 발신측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만약, 발신측은 WCDMA 화상통화 발신을 하고, 착신측은 WCDMA 음성통화 착신을 하는 경우, 발신측과 착신측은 모두 AMR 음성코덱을 사용하므로 코덱 변환 작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서버(140, 140')는 착신 가입자가 미리 대체 화상을 저장해둔 경우,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대체 화상을 발신측 즉,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 10')로 전송한다. 즉, 호 처리 서버(140, 140')는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20') 사용자가 대체 화상을 지정해두었는지를 판단하고, 대체 화상이 지정 되어 있으면 화상 호 경로의 비디오 채널로 대체 화상을 전송하고, 오디오 채널로 음성을 전송하며, 대체 화상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오디오 채널로의 음성 전송만을 수행한다.
다음, 호 처리 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 처리 서버(140)는 화상 호 처리부(141), 음성 호 처리부(142), 음성 신호 분리부(143), 코덱 변환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호 처리부(141)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을 음성 신호 분리부(143)로 전달하며, 음성 호 처리부(142)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상기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화상 호 처리부(141)는 각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관리하여, 음성 호 경로가 설정된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사용자의 대체 화상을 해당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함께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상기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호 처리부(142)는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와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음성 신호 분리부(143)에 의해 분리된 음성 신호를 음성 호 경로를 통해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로 전송하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화상 호 처리부(141)로 전달한다.
음성 신호 분리부(143)는 화상 호 처리부(141)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화상 호 처리부(141)로 회신하거나 음성 호 처리부(14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신측과 착신측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상기 분리된 음성 신호는 코덱 변환 작업을 거쳐 상대측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코덱 변환부(144)는 상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와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상기 화상 호 트래픽에서 분리된 음성 신호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고, 상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의 코덱에 맞게 변환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발신 교환기(110) 및 착신 교환기(130)를 'MSC'로, 홈 위치 등록기(120)를 'HLR'로 표기하였으나, 도면 또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CDMA 시스템, WCDMA 시스템, HSDPA 시스템 등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도 1a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킷 기반 시스템일 수도 있고, 패킷 기반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되는 '교환기'는 서킷 기반 시스템의 MSC 또는 패킷 기반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등) 등 음성 호 교환 또는 화상 호 교환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해석되어야 하고, '홈 위치 등록기'는 HLR, HSS, HA 등 호 라우팅을 위한 가입자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음, 상술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10)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20) 간 호 처리 과정을 도 3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발신 단말기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이고, 착신 단말기는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의 호 처리 과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가 화상 호를 발신하여 발신 교환기로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면(S301), 발신 교환기는 발신 단말기로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전송한 후(S302),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전송하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303).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임을 확인한 후 SRI 응답 메시지에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 대신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번호를 포함 시켜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며(S304), 이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는 착신 교환기가 아닌 호 처리 서버에게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고(S305), 호 처리 서버는 상기 IAM에 대한 응답으로서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 후(S306), 발신 교환기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한다(S307).
한편, 호 처리 서버는 착신 단말기와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로 SRI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308),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착신 교환기로 PRN(Provide Roaming Numb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309), PRN 응답 메시지(S310)를 통해 획득되는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SRI 응답 메시지에 실어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한다(S311).
다음, 호 처리 서버는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착신 교환기에게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며(S312), 착신 교환기는 해당 착신 번호가 자신에게 속한 가입자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님을 확인한 후, 상기 IAM에 대한 응답으로서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호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S313),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Paging)하여 그 응답을 수신한다(S314).
페이징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착신 교환기는 호 설정을 위한 Setup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S315),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는 Call Confirmed 메시지 및 Alert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고(도면 미도시), 착신자 응답에 따라 착신 교환기로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면,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로 그 응답(Connect Ack)을 전송한 후(S316) 호 처리 서버와 착신 단말기 간에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한다(S317).
이와 같이 발신 단말기와는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기와는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한 호 처리 서버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318).
이 때, S318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착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발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S318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패킷 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발신 단말기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이고, 착신 단말기는 화상통화 미 지원 단말기인 경우의 호 처리 과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가 화상 호를 발신하여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면(S401),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발신 단말기로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전송한 후(S402), 홈 가입자 서버로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착신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03).
홈 가입자 서버는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임을 확인한 후 착신 위치 정보 요청 응답 메시지에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 대신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번호를 포함시켜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며(S404), 이를 수신한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아닌 호 처리 서버에게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05), 호 처리 서버는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호 설정 요청 응답 메시지를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한 후(S406),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한다(S407).
한편, 호 처리 서버는 착신 단말기와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홈 가입자 서버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408),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전송한다(S409). 여기서,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PRN(Provide Roaming Numb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PRN 응답 메시지를 통해 획득되는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한다.
다음, 호 처리 서버는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게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410),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해당 착신 번호가 자신에게 속한 가입자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님을 확인한 후,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호 설정 요청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S411),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Paging)하여 그 응답을 수신한다(S412).
페이징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호 설정을 위한 Setup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S413),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는 Call Confirmed 메시지 및 Alert 메시지를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고(도면 미도시), 착신자 응답에 따라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면,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착신 단말기로 그 응답(Connect Ack)을 전송한 후(S414) 호 처리 서버와 착신 단말기 간에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한다(S415).
이와 같이 발신 단말기와는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기와는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한 호 처리 서버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 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416).
이 때, S416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착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발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S416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호 처리 과정은 특정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규격을 적용한 실시예로서, 호 처리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메시지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되는 각 메시지는 그 메시지의 명칭으로 인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주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에게 화상 호 발신을 수행한 경우의 호 처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발신측이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이고, 착신측이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가 음성 호를 시도한 경우에도 착신측인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는 화상통화를, 발신측은 음성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규격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호 처리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패킷 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 20, 20' :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
110, 110' : 발신 교환기(MSC, 데이터 서비스 노드)
120, 120' : 홈 위치 등록기(HLR, HSS)
130, 130' : 착신 교환기(MSC, 데이터 서비스 노드)
140, 140' : 호 처리 서버 141 : 화상 호 처리부
142 : 음성 호 처리부 143 : 음성 신호 분리부
144 : 코덱 변환부

Claims (21)

  1.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착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화상 호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로 음성 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교환기 또는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해당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5.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SRI 응답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SRI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호 처리 서버로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면,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를 통해 발신 단말기와 호 처리 서버 간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IAM에 포함된 착신 번호를 근거로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SRI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교환기로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PRN(Provide Roaming Numb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PRN 응답 메시지를 통해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SRI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SRI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 교환기로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을 호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Paging)하여 그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호 처리 서버와 착신 단말기 간에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착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발신 단말기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대체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해당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9.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착신 단말기로 호가 시도된 경우, 발신 교환기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번호를 제공하여 발신 교환기가 호 처리 서버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및
    발신 교환기와는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 교환기와는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며, 발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 교환기 또는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 단말기로 화상 호가 발신됨에 따라,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홈 가입자 서버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홈 가입자 서버가 해당 착신 단말기의 화상통화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화상 호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홈 가입자 서버로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면, 홈 가입자 서버가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호 처리 서버로 회신하는 단계;
    E)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음성 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고,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 또는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17. 삭제
  18. 호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의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인 착신 단말기로 호가 시도된 경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호 처리 서버의 라우팅 번호를 제공하여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호 처리 서버와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홈 가입자 서버; 및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는 화상 호 경로를 설정하고,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착신 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는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호 트래픽에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고,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호 트래픽을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음성 코덱이 상이한 경우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 또는 착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코덱을 상대 단말기의 코덱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체 화상을 상기 화상 호 경로를 통해 발신측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21.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미지원 네트워크로 로밍되어 있는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를 화상통화 미지원 단말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80045492A 2008-05-16 2008-05-16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096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92A KR100964465B1 (ko) 2008-05-16 2008-05-16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92A KR100964465B1 (ko) 2008-05-16 2008-05-16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44A KR20090119444A (ko) 2009-11-19
KR100964465B1 true KR100964465B1 (ko) 2010-06-16

Family

ID=4160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492A KR100964465B1 (ko) 2008-05-16 2008-05-16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273B1 (ko) * 2009-12-04 2013-04-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재생에 따른 착신 처리 시스템 및 착신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425A (ko) * 2004-03-19 2005-09-23 주영천 아이피 통신망과 피에스티앤을 이용한 영상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96389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모드와 데이터 모드간 대체를 이용한 화상전화안내방송 방법
KR20080014694A (ko) * 2006-08-11 2008-02-1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통신 방법, 비디오 통신 시스템, 및 통합 미디어자원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425A (ko) * 2004-03-19 2005-09-23 주영천 아이피 통신망과 피에스티앤을 이용한 영상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96389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모드와 데이터 모드간 대체를 이용한 화상전화안내방송 방법
KR20080014694A (ko) * 2006-08-11 2008-02-1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통신 방법, 비디오 통신 시스템, 및 통합 미디어자원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44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3558B2 (en) Method and system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JP3744854B2 (ja) 移動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発呼者位置に基づくコール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20071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EP2159969A1 (en) Sip terminal and the status reporting method, system and sip server thereof
JP2006121534A (ja) 管理サーバ及び移動端末
JP200752817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呼を確立する方法、通信ネットワークならびに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964465B1 (ko) 화상통화 지원 단말기와 미지원 단말기 간 호 처리 방법 및이를 위한 호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
JP446331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1507196B (zh) 呼叫仲裁节点失败路由重选方法、交换机和系统
JP4354875B2 (ja) サービス提供モードが指定されたデータサービスを実施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645923B1 (ko) 패킷 통신망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923390B1 (ko) VoIP망과 WCDMA망 사이의 연동 방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20090038232A (ko) 영상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1135554A (ja) 音声情報サービス方法および情報サービス方法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0059A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KR101495251B1 (ko) Erbt 제공 통신 환경에서의 통화중 서비스 전환 시스템및 방법
KR101172261B1 (ko)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착신전환시의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JP2008219402A (ja) 通話制御サーバ、及び、通話制御方法
KR1006855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6235B1 (ko) 우선 착신자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538552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JP4354479B2 (ja) ガイダンスシステム、サーバ装置、ガイダン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