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502A -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502A
KR20040071502A KR1020030007500A KR20030007500A KR20040071502A KR 20040071502 A KR20040071502 A KR 20040071502A KR 1020030007500 A KR1020030007500 A KR 1020030007500A KR 20030007500 A KR20030007500 A KR 20030007500A KR 20040071502 A KR20040071502 A KR 20040071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nitrogen gas
substrate
silicon oxide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798B1 (ko
Inventor
박용주
정민철
이태경
한문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0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7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결정립 실리콘을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온에서 표면에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있는 실리콘 기판에 표면의 실리콘 산화물을 나노 단위의 구조물로 형성하고 형성된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산화물의 구조물 사이에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산화질화물(SiOxNy)을 바로 성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진공에서 질소(N2)가스를 직류형 이온총(DC ion gun)을 이용하여 낮은 에너지의 이온화된 질소가스를 저온상에서 일정한 전압이 걸려 있는 시료에 노출함으로써 실리콘 나노 결정립을 형성한다. 노출되는 이온화된 질소가스의 압력과 시료에 걸리는 전압 및 시간을 통하여 실리콘 나노산화물 구조의 크기,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나노 결정립 사이에 형성되는 실리콘산화질화물 나노구조물은 후열처리를 통해 실리콘 나노결정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온에서 초고진공상의 공정을 통해 불순물의 오염이 거의 없어 고순도의 실리콘 기반 나노 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FABRICATION METHOD OF Si-BASED NANO-STRUCTURES}
본 발명은 실리콘 나노 결정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나노 결정립은 차세대 실리콘 기반 광전자소자로서의 응용과 나노소자 개발의 핵심소재로 인식되어 최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리콘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나노미터 크기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데는 플라즈마 증강 화학기상능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이온주입(ion-implantation)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화학기상 증착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방법은 자기 성장 기법(self-assemble growth method)을 기반으로 하며, 반응기의 압력, 온도, 플라즈마 조건등의 성장조건 조절을 통해 실리콘의 나노 구조물 형성을 하는 것이다. 일례로 실리콘 기판상에 실리콘 산화물 혹은 실리콘 질화물을 형성함에 있어 비화학양론적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을 증착시킨 후 후열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자발적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결정립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기술의 단점은 가스의 압력 및 플라즈마 상태, 시료의 온도등 복잡한 실험조건들에 의하여 매우 민감하게 실리콘 나노구조물 형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기 어렵고, 기타 불순물의 함유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 화합물의 증착공정이 비교적 높은 온도인 300 ℃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나노 결정립 형성에 있어 상온에서 공정이 가능하고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화합물 구조제어가 가능하며, 초고진공 공정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 반도체 공정에 적합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나노 구조물 형성 및 제어가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질소이온화 가스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실리콘 산화물 도포된 실리콘 기판의 엑스선광전자분광 그래프.
도 2a 내지 2e는 질소이온화 가스의 표면처리시간변화에 따른 시료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낸 사진 및 그래프.
도 3은 질소이온화 가스 표면처리기법으로 형성되는 나노 실리콘산화질화물의 모식도.
도 4는 급속열처리를 통해 형성된 나노 실리콘 결정립의 광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질소이온화 가스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시료를 열처리 한 후 측정한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이온총을 이용하여 질소가스를 이온화한 후, 초 고진공상에서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표면을 이온화된 질소가스로 에칭하여 실리콘 기판 표면에 실리콘 산화물 나노 구조물이 형성하며, 계속적인 에칭에 의하여 실리콘 표면이 드러난 후에는 실리콘 산화물 나노 구조물 사이에 나노 구조의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형성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콜드 캐소드 방식(cold cathod type)의 직류 이온총을 이용하여 질소가스를 질소이온(N2 +)으로 이온화시킨 후, 표면에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음(-)전압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질소이온을 노출시키는 기판의 표면에 나노 미터 단위의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형성한다.
이온화된 질소가스의 압력, 시료에 걸어주는 음(-) 전압의 크기, 처리 시간 등의 공정 조건에 따라 실리콘 기판 표면에는 약 3∼10 nm 크기의 실리콘 산화물 나노 구조물이 형성되며, 제조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의 크기, 물성 등이 용이하게 제어된다.
질소가스의 압력 및 음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표면형상이 바뀌는데 이들 조건을 최적화 하는 것이 필요하며, 과도한 음전압을 인가하면 거칠기가 매우 커지고 너무 작게주면 변화가 너무 적어 효과적이지 않다. 세부적인 공정 조건으로서, 기판의 온도는 상온∼1000 ℃의 범위로 하고, 기판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은 -500V ∼ - 5kV의 범위로 하며, 챔버의 압력은 1×10-6torr ∼ 1×10-5torr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나노결정립의 물성 및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상온에서 이온화된 질소가스의 압력을 4.0×10-6torr, 시료에 대하여 전압을 -1 kV를 인가한 상태에서 처리 시간을 달리하여 표면처리된 시료의 표면에 대해 엑스선광전자분광법(XPS)을 이용하여 물리화학적 변화모습을 측정한 것이다.
초기 시료의 표면에는 실리콘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표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 1s와 질소 1s의 코어준위(core level) 스펙트럼의 피크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실리콘 2p코어준위 스펙트럼에서는 벌크(bulk)상에서 약 3 eV 높은 결합에너지 영역에서 피크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이온화된 질소가스에 의하여 시료표면의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있으며,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 그리고 실리콘 산화질화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초기 시료표면 처리시간이 30 분까지 스펙트럼상에서는 질소가 거의 증착되지 않으나, 표면 처리시간이 그보다 증가하는 경우에는 질소에 대한 화학적 결합상태가 새롭게생성됨을 알 수 있다.
도 2a 내지 2e는 원자력간 현미경(AFM)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조건에서 처리된 시료의 표면 형상에 대한 표면처리 시간을 달리하며 측정한 원자력간현미경의 이미지와 평균거칠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면의 실리콘 산화물은 이온화된 질소가스에 대하여 에칭이 되어 평균 3.7 nm 사이즈의 실리콘 산화물 나노구조물이 형성되고, 증착시간이 30분을 지나면서 점점 평평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면 처리시간이 30분을 지나면서 평평해지는 것은 표면의 실리콘 산화물이 에칭되어 하부의 실리콘 표면이 드러나면서 실리콘 질화물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3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나노 실리콘 산화물 및 나노 실리콘 산화질화물 형성기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은 이온화된 질소가스에 의하여 초기에는 표면에서 에칭반응이 일어나 약 3∼4 nm 크기의 실리콘 산화물 나노 구조물이 형성되고, 하부의 실리콘 표면이 드러나는 증착조건하에서 실리콘 표면에서부터 실리콘 질화물이 성장하게 되어 나노구조의 실리콘 질화물이 나노구조의 실리콘 산화물 사이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나노구조의 실리콘 산화질화물도 함께 형성되고, 이같은 구조는 초기 에칭이 일어나는 처리조건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상온에서 이와 같이 형성되는 실리콘 나노구조에 대한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후열처리 공정을 초고진공 챔버내에서 행하여 도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1000℃ 에서 약 1분간 급속열처리를 수행한 것이며, 후열처리 온도는 처리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처리 시간은 수초에서 십여분 정도가 적당하다.
도 4는 상온에서 측정한 광루미네슨스 결과이다. 실리콘 나노결정은 이론적으로 크기가 2-5 nm 정도에서 가시광의 발광특성이 나타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열처리 하기 전에는 발광스펙트럼이 나타나지 않다가 열처리 후에 발광 파장 400 nm 부근에서 발광특성이 나타난다. 이같은 현상은 나노구조 실리콘산화질화물(SiOxNy)이 열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나노결정 실리콘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비화학양론적인 나노구조 실리콘산화질화물(SiOxNy)박막이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화학양론적인 박막(SiO2혹은 Si3N4)으로 변화되면서 남아있는 Si과 같은 원소들이 나노미터 규격으로 서로 뭉쳐서 형성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5는 후열처리 공정이 끝난 후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시료의 표면영상이다. 형성된 실리콘 나노결정립의 평균적 크기는 약 6 nm 이고 면밀도는 대략 1011cm-2이상에 이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화 가스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실리콘 나노 구조물의 형성 및 제어가 이온화 가스의 압력 및 시료에 인가되는 전압에 조절에 따라 가능하여, 궁극적으로는 실리콘 기반의 광전소자 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Claims (7)

  1. 챔버 내에서 질소가스를 이온화시키고,
    표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고 직류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실리콘기판에 상기 이온화된 질소가스를 가하여 표면을 에칭하여 나노구조의 실리콘 산화물을 형성하고,
    계속되는 에칭을 통하여 상기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된 나노구조의 실리콘 산화물 사이에 나노구조의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의 온도는 상온∼1000 ℃의 범위로 유지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 500V ∼ - 5kV 범위의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챔버의 압력은 1×10-6torr ∼ 1×10-5torr 범위로 유지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질소가스는 콜드 캐소드 방식(cold cathod type)의 직류 이온총을 이용하여 이온화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이온화된 질소가스의 종(species)은 주로 N2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형성된 나노구조의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후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결정립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KR10-2003-0007500A 2003-02-06 2003-02-06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KR10045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00A KR100457798B1 (ko) 2003-02-06 2003-02-06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00A KR100457798B1 (ko) 2003-02-06 2003-02-06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502A true KR20040071502A (ko) 2004-08-12
KR100457798B1 KR100457798B1 (ko) 2004-11-18

Family

ID=3735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500A KR100457798B1 (ko) 2003-02-06 2003-02-06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80B1 (ko) * 2005-11-26 2006-12-1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실리콘 기반 나노 구조물 내부에 실리콘 나노결정립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80B1 (ko) * 2005-11-26 2006-12-1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실리콘 기반 나노 구조물 내부에 실리콘 나노결정립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798B1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3076B2 (en)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399177B1 (en) Deposited thin film void-column network materials
US7192802B2 (en) ALD ZnO seed layer for deposition of ZnO nanostructures on a silicon substrate
Park et al. Atomic layer etching of ultra-thin HfO2 film for gate oxide in MOSFET devices
Namatsu et al. Fabrication of thickness‐controlled silicon nanowires and their characteristics
US20060090693A1 (en) Selective growth of ZnO nanostructure using a patterned ALD ZnO seed layer
US20030126742A1 (en) Method of fabrication of ZnO nanowires
Taghavi et al. Synthesizing tubular and trapezoidal shaped ZnO nanowires by an aqueous solution method
KR101027315B1 (ko) 나노 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0457798B1 (ko) 실리콘 나노결정립 형성방법
Tsutsumi et al. Fabrication technology of ultrafine SiO 2 masks and Si nanowires using oxidation of vertical sidewalls of a poly-Si layer
KR20090093081A (ko) 정렬된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나노와이어 응용소자
KR20170056388A (ko) 육방정계 질화붕소 및 그래핀의 이종접합구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US6589337B2 (en) Method of producing silicon carbide device by cleaning silicon carbide substrate with oxygen gas
Lee et al. 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ive ion etching of ZnO using C2F6 and NF3-based gas mixtures
KR100659280B1 (ko) 실리콘 기반 나노 구조물 내부에 실리콘 나노결정립 제조방법
JP3908898B2 (ja) 炭素系材料のエッチング方法
KR20030059936A (ko) 실리콘 나노 결정을 형성하는 새로운 공정.
Patil et al. Characterization of silicon films deposited in presence of nitrogen plasma
Gatilova et al. Addition of Si-containing gases for anisotropic etching of III–V materials in chlorine-based inductively coupled plasma
Evtukh et al. Electrical and emission properties of nanocomposite Si O x (Si) and Si O 2 (Si) films
JP3926690B2 (ja) ガスクラスターイオン援用酸化物薄膜形成方法
KR101018537B1 (ko) 게르마늄 나노결정립의 제조방법
Xu et al. AFM observation of nanosized SiC dots prepared by ion beam deposition
RU2692406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упорядоченного массива нанокристаллов или нанокластеров кремния в ди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триц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