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143A -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143A
KR20040071143A KR10-2004-7007813A KR20047007813A KR20040071143A KR 20040071143 A KR20040071143 A KR 20040071143A KR 20047007813 A KR20047007813 A KR 20047007813A KR 20040071143 A KR20040071143 A KR 20040071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maging
natural
stabilizer
anatomical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씨. 로엔스타인
조르그 에프. 데바틴
허베르트 슈니만
Original Assignee
이-지-이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이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지-이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7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1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측면에서, 상기 안정화제는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 바람직하게는 로커스트 빈 검이고, 상기 삼투제는 당-기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만니톨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진단 영상 상에서 해부학상 부위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 의료 및 치료적 용도뿐 아니라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자기 공명 영상(MR), 컴퓨터 단층촬영(CT), 및 CT-PET(양전자방출 단층촬영)을 포함하는 진단 영상 절차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FORMULATIONS FOR USE IN MEDICAL OR DIAGNOSTIC PROCEDURES}
조영제는 주위 조직과의 관계에서 신체의 기관 또는 기타 구조들의 위치, 크기 및 배열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진단 영상법에 유용하다. 연질의 비-골질(non-bony) 해부학상 부위의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는 간, 췌장 및 장과 같이 형태 및 구조에 있어 현저히 다른 부분들 중에서도 주로 물로 이루어진다.
진단 영상 기법은 표적 대상의 조성물 내에서 변이를 검출하고 맵핑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기법은 따라서 정상 조직과 예를 들면 종양, 병변 또는 장애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종양 및 오버랩되는 조직은 구별하기 어렵다. 위장관(GI:gastrointestinal tract) 장애의 진단에서, 예컨대, 서로 중첩되는 장의 루프의 배열의 장애 또는 이상은 위장관의 단면이 부피의 정의 및 경계의 윤곽을 그릴수 있도록 하는 조영제로 채워져 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전형적인 방사선 진단 영상 절차에서, X-레이 빔이 표적 대상을 통과하며 그 밑에 있는 사진 필름을 노출시킨다. 다음, 현상된 필름은 대상의 방사선 밀도(radio-density) 패턴의 영상을 제공한다. 보다 방사선 밀도가 적은 영역에서는 필름이 더욱 검게되며; 보다 방사선 밀도가 큰 골질 조직은 보다 밝은 영상을 생산한다. X-레이를 위한 효율적인 조영제는 체조직보다 방사선 밀도가 적거나 또는 클 수 있다. 방사선 밀도가 보다 적은 제제는 공기 및 기타 가스를 포함하며; 보다 방사선 밀도가 큰 조영 물질의 예는 바륨 설페이트 현탁액이다.
컴퓨터 단층촬영법(computed tomography:CT)는 그 영상화능, 매우 높은 해상도, 표적 대상의 X, Y 또는 Z를 따르는 특정 지점, 선 또는 평면에서 대상의 얇은 단면의 성공으로 인하여 전형적인 방사선 사진술 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이 절차 또한 방사선 밀도 차이의 검출에 근거하므로, CT에서 조영제의 요구는 전형적인 방사선 사진술에서와 필수적으로 동일하다.
신체 영상화를 위한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 시스템은 상이한 물리적 원리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MR은 무선주파수 방사로 스캐닝될 때 조직 내 양자의 원자 특성(핵 공명)에 의존한다. 약간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공명하는 조직 내 양자는 컴퓨터가 한 조직으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전달하는 시그널을 생성한다. MR은 세부적인 3-차원의 연질 조직 영상을 제공한다.
기능 관련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영상화 방법은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법(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ized tomography:SPECT) 및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법(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을 포함한다.SPECT은 원자 중 하나가 방사성 원자로 대체된 신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분자를 사용한다. 상기 방사성 분자는 특정 조직과 상호작용하도록 선택된 것으로 트레이서(tracer)라 불리운다. 상기 트레이서는 조직이 다양한 각도에서 스캐닝됨에 따라 검출될 수 있는 광자를 방출한다. 컴퓨터는 3-차원적 컬러 트레이서 영상을 재구성한다. PET는 방사성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트레이서를 이용하여 3-D 컬러 영상을 SPECT 보다 큰 감광성으로 생산한다. PET는 CT와 함께 보완적 영상 효과를 창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기술을 CT-PET이라 한다.
위장관 영역의 진단 영상법은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더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지는 해부학상 부위를 수반하며, 해부학상 부위들 또한 서로 근접하거나 오버랩되므로 특히 어렵다. 따라서, 위장관 영상법의 성공은 적절한 장 팽창과 함께 내강 조영제에 근거한다.
팽창을 제공하기 위한 전형적인 기술 중 하나는 형광투시적으로 배치된 비십이지장관(nasoduodenal) 튜브를 경유하여 메틸셀룰로오스-물 용액을 투여하는 것이다. 전체 소장의 신속한 충전 후에 영상 세트가 수집된다. 상기 기술은 우수한 영상 질을 제공하나, 많은 환자가 십이지장 삽관이 조직에 상처를 주는 것으로 인식하여 영상법 고유의 비-침입 특성이 퇴색된다.
기타 전형적인 조영제는 CO2가스를 포함하며, 이는 특히 위장관 내에서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위장관 영상법은 미네랄 오일을 사용하여 증진되어 오고 있다. 또한, 브롬화 퍼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하는 플루오로카본을 Long의 미국특허 제 3,975,512 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선학적 영상법에서의 조영 증진 매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기타 MR에 사용되는 조영제는 진단 영상 절차 이전에 환자에게 도입되는 예를 들면 바륨 및 클레이-기재 매질을 포함한다.
종래에, 위장관 영상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기를 삽관을 통하여 장 내 원하는 부위 내로 집적 도입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미국특허 제 4,074,709 호). 결과적으로, 바륨 및 클레이-기재 조영 매질과 함께, 분말, 과립 또는 정제를 이산화탄소를 장 내로 방출할 매질 내로 집적 도입함에 의해 검사되는 부분을 확장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수성 매질 내 가스의 유지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종종 조영 용액 내 가스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가압된 용기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에컨대, 미국 특허 제 4,215,103 호 참조).
상기한 전형적인 조영 매질의 문제점은 얕은 궤양(shallow ulcer) 및 평편 또는 표면 궤양과 같은 작은 병변을 해부학상 부위 내에서 정확히 검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전형적인 조영 매질의 다른 문제는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삽관을 통한 조영 매질의 투여는 침입적이며 해부학상 부위의 팽창이 엄격히 조절되지 않는다면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전형적인 조영 매질은 환자에게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뿐 아니라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방해 및/또는 지연할 수 있다. 또한, 전형적인 조영 매질은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시 불쾌하다. 에컨대, 환자는 플루오로카본 매질을 슬릭(slick)한 구강 느낌을 갖는 것으로 종종 기술한다. 따라서, 환자에게의부작용이 감소되며 비-침입적이고 맛이 좋은 조영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조영제는 해부학상 부위를 충분히 팽창시켜 진단 영상 상에서 해부학상 부위의 윤곽을 그릴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영상은 종양, 작은 병변, 얕은 궤양 및 평편 또는 표면 궤양을 탐지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료 또는 진단 절차, 특히 GI 관과 같은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법에 사용하기 위한 비-침입적이고 맛이 좋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종래의 조영제와 비교하여 환자의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본원은 2001. 11. 21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332,074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전체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진단 영상법 또는 수술과 같은 의료 또는 진단 절차,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개인에게 투여되는 전형적인 경구 및 삽관 조영제를 이에 상응하는 소장의 MRI 영상과 함께 도시한다.
도 2는 10명의 연구 지원자의 장 루멘 직경의 전체적인 평균을 도시한다.
도 3은 각각의 경우에 만니톨 또는 로커스트빈 검 또는 이들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투여된 개인의 복부에 대한 일련의 영상을 도시한다.
도 4 및 5는 로커스트빈 검-만니톨 조합을 이용하여 평가된 소장 및 삽관에 의해 평가된 장과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6-8은 로커스트빈 검-만니톨 조합을 이용하여 평가된 위장관을 도시한다.
도 9는 물, 메타뮤실(MetamucilR), 만니톨, 로커스트빈 검 및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을 이용하여 평가된 장을 도시한다.
도 10은 항정상태 세차운동 시퀀스 영상 (TrueFISP)에 의해 영상화된 장을 도시한다.
도 11은 상이한 조영제: (a) 물, (b) 메타뮤실, (c) 로커스트빈 검, (d) 만니톨, 및 (e)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을 이용한 개인의 장을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조성물을 이용한 상이한 정도의 장 팽창을 도시한다.
도 13은 개인의 CT, PET, 및 융합 PET/CT 영상을 도시한다.
도 14는 개인의 CT, PET 및 융합 PET/CT 영상을 도시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영상화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진단 영상 상에서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장관과 앝은 환자의 해부학상 부위의 팽창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학적 또는 진단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및 진단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거나 상기 해부학상 부위 상에서 의료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부학상 부위의 영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질병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염증성 장질환(Inflammataroy Bowel Disease), 크론 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소장 암, 항문 암, 간암, 췌장암, 농양, 궤양, 및 비장, 간, 림프절 및 맥관계의 장애를 포함하는 질병을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내시경(endoscopy), x-레이 영상법, 가상 영상법 등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위장관의 내부를 가시화하는 임의의 기술을 포함하는 위장관 가시화 또는 영상화 절차에 관한 것이다.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장-직장(colo-rectal)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료적 경감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진단 영상과 같은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에 적합한 진단 영상 기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X-레이 영상, MR, CT, US, 광학 영상, SPECT, PET, 및 플랫 패널 영상을 포함한다. CT 및 PET 영상의 조합, 즉, CT-PE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본원에 사용되는 진단 영상 기법은 MR, CT 또는 CT-PET이다.
보다 상세하세는, 본 발명은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진단 영상을 위한 조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정화제는 유체, 반-유체 또는 고체를 포함하는 물질의 점도를 조절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적합한 양의 유체가 관심 해부학상 부위 내에 보유되도록 하므로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소장의 진단 영상이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소장 내에 충분한 유체가 보유되도록 하여 소장이 진단 영상을 위하여 적절하게 팽창될 수 있을 것이다. 진단 영상을 위한 해부학상 부위를 적절히 팽창시키는 것이 진단 영상 상에서 충분히 해부학상 부위의 윤곽을 그리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소장이 적절히 팽창된 다음 영상화되면, 소장은 진단 영상 상에서 충분히 윤곽이 그려져 환자가 환자의 소장 내의 잠재적인 문제 및/또는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영 조성물은 임의의 신체의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위(stomach), 및 십이지장(duodenum), 공장(jejunum), 회장(ileum), 충수(appendix), 대장(large intestine), 맹장(cecum), 상행 장(ascending bowel), 횡행 결장(transverse colon), 좌결장곡(splenic flexure), 하행 결장(descending colon), S상 결장(sigmoid) 및 직장(rectum), 및 결장(colon)을 포함하는 위장관 (GI tract)을 포함하는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췌장, 담낭, 충수, 비장, 간, 림프절, 맥관계 등을 영상화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는 위장관이 예컨대 적절히 팽창되고 따라서 진단 영상 상에서 충분히 윤곽이 그려지면, 의사가 얻어진 진단 영상 내에서 예컨대 췌장과 같은 주변 기관을 보다 명확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정화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준비하기 위하여 해부학상 부위 내에서 물질(예컨대, 유체, 반-유체 및 고체)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기타 유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해부학상 부위 내에 물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해부학상 부위의 적합한 팽창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물질의 점도가 환자에게 참을 수 없을 정도이거나 불충분한 용량의 조영 조성물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면, 환자의 해부학상 부위 내 물질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삽관 투여된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예컨대 경구 투여되는 경우보다 점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거나 요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사용에 적합한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1) 카라기난, 알긴산 염, 한천, 아가로오스, 푸셀란(fucellan) 및 크산탄 검과 같은 천연 해초 추출물; (2)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타라 검, 타마린드 검 및 프실리움(psillium) 검과 같은 천연 시드(seed) 검; (3)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카라야 및 가티(ghatti) 검과 같은 천연 식물 삼출물(exudate); (4) 저-메톡실 펙틴 및 고-메톡실 펙틴과 같은 천연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안정화제는 천연 시드 검,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로커스트 빈 검이다. 로커스트 빈 검의 화학 구조는 다음과 같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용액 내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안정화제, 또는 약 0.05% 내지 약 25 중량%의 안정화제, 또는 약 0.005 중량% 내지 약 0.1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성분의 백분율은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중량%를 나타낸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0.1 중량%, 0.2 중량%, 0.3 중량%, 0.4 중량%,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또는 1 중량%의 안정화제를 수용액 내에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용액 내에 1 중량%, 2 중량%, 3 중량%, 4 중량%, 5 중량%, 6 중량%, 7 중량%, 8 중량%, 9 중량%, 또는 10 중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영제는 약 0.25 중량% 내지 약 0.3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을 수용액 내에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다른 안정화제는 셀룰로오스, 젤라틴 또는 해부학상 부위 내에서 물질(예컨대, 유체, 반-유체 또는 고체)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기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용액 내에 안정화제를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삼투제는 신체로부터 해부학상 부위 내로의 유체의 이송을 촉진시키고/거나 신체에 의한 해부학상 부위 내 유체 재흡수의 억제를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조합되어 사용될 경우, 안정화제(예컨대,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삼투제(예컨대, 당-기재 화합물)는 상승 작용하여 진단 영상과 같은 의료 진단 절차에서 사용을 위한 향상된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삼투제는 적합한 양의 유체의 관심 해부학상 부위 내로의 이송을 촉진시키고, 안정화제 및 삼투제는 충분한 양의 유체가 관심 해부학상 부위 내 보유되도록 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해부학상 부위는 진단 영상을 위해 충분히 팽창 또는 확장되어, 상기 해부학상 부위가 예컨대 영상화되면, 얻어진 진단 영상 상에서 충분히 윤곽이 그려진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삼투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당-기재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당-기재 화합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fructose), 만니톨,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알도헥소오스(aldohexose), 알트로오스(altrose), 탈로오스(talose), 솔비톨, 크실리톨, 락토오스, 비이온성 시드 폴리사카라이드, 하나의 갈락토오스 단위에 의해 각각의 만노오스에서 브랜칭으로 그루핑하는 직쇄 만난, 베타-D-man, 알파-D-gal, D-glcA, D-gal A, L-gul, 베타-D-man, 알파-D-gal(4:1), D-글루쿠론산, D-갈락투론산, 및 L-글루쿠론산을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모노사카라이드, 및 디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사카라이드의 화학 구조는 이하 도시하는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 상기 삼투제는 만니톨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삼투제, 또는 약 0.10 중량% 내지 약 45 중량%의 삼투제, 또는 약 1 중량%, 2 중량%, 3 중량%, 4 중량%, 5 중량%, 6 중량%, 7 중량%, 8 중량%, 9 중량%, 또는 10 중량%의 삼투제, 또는 약 1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의 삼투제, 바람직하게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중량%의 만니톨을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액 내에 약 0.1 중량% 내지 약 0.5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 및 약 1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만니톨, 또는 바람직하게 약 0.25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 및 약 3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술 또는 생체검사와 같은 의료 행위를 위하여 개인을 준비하는데에 또는 그러한 의료 행위와 동시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의료 절차의 효율성을 보완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의료 절차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인이 장의 생체검사를 받기 이전에 개인에게 투여되어 생체검사 수행 중에 장이 충분히 안정화되도록 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맥관계 또는 림프절 또는 기타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을 얻기 위하여 개인의 위장관을 안정화하데에 이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진단 영상 상에서 해부학상 부위의 루멘 또는 벽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단 영상은 해부학상 부위의 2- 또는 3-차원적 영상이다. 상기 윤곽을 그리기 위한 조성물은 수용액 내에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안정화제를 수용액 내에, 또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안정화제, 또는 약 0.1 중량%, 약 0.2 중량%, 약 0.3 중량%, 약 0.4 중량%, 약 0.5 중량%, 약 0.6 중량%, 약 0.7 중량%, 약 0.8 중량%, 약 0.9 중량%, 또는 약 1 중량%의 안정화제를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진단 영상 상에서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루멘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0.3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을 수용액 내에, 또는 약 0.25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을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또한, 진단 영상 상에서 해부학상 부위의 루멘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삼투제,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35 중량%의 삼투제, 또는 약 1.5 중량%, 2 중량%, 2.5 중량%, 3 중량%, 3.5 중량%, 4 중량%, 4.5 중량% 또는 5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약 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만니톨, 또는 약 3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0.3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 및 약 3.0 중량%의 만니톨을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위하여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수용액 내에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안정화제, 또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안정화제,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안정화제를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삼투제, 또는 바람직하게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의료 절차 또는 진단 영상을 위하여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0.5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 및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만니톨을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액은 약 10 mL 내지 약 10 L, 또는 약 100 mL 내지 약 5L, 또는 약 200 mL, 300 mL, 400 mL, 500 mL, 600 mL, 700 mL, 800 mL, 900 mL, 1L, 1.5L, 2L, 2.5L, 3L, 3.5L, 4L 또는 4.5L일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삽관을 통하여 투여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L의 물 내에 2g의 상업적 등급의 로커스트빈 검을 용해시킴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로커스트빈 검-물 용액은 로커스트빈 검 분말이 용해될 때까지 가열된 다음, 살균된다. 상기 용액을 살균한 후, 25g의상업적 등급의 만니톨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거나 그 윤곽을 그리기 위한 종래의 조영제 또는 조영 조성물에 비하여 향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결장을 팽창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은 메틸셀룰로오스-물 용액을 침입적 절차인 삽관을 통하여 투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침입적이고, 또한 비-침입적 기술로서 진단 영상의 완전성을 유지한다. 또한, 경구 투여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조영제와 비교하여 환자에게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교적 환자에게 편안하고 용이하게 경구 투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조영제에 비하여 향상을 제공한다. 전형적인 플루오로카본 조영제는 "슬릭(slick)"한 구강 느낌을 가지며 과일 드링크 내 가용성이 아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투여시 슬릭한 구강 느낌을 가지지 않도록 제제화될 수 있고, 인공 향료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환자들 중 설사 발생을 감소시키는 예기치 못한 잇점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만니톨이 단독으로 조영제로서 투여될 경우, 환자의 대략 99%가 설사를, 때로는 심각한 형태로 경험한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건강 및/또는 수화에 영향을 미치며, 검사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들 중 설사의 발생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발견되었따. 이는 안정화제의 증점 성질로 인한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환자가 절차 중 화장실 사용을 할 필요가 없음으로 인하여, 환자의 불편함 및 간섭을 적게하면서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절차에 따른 합볍증 감소로 인하여,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환자가 보다 순응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잇점은 해부학상 부위의 충분한 팽창을 제공하여 진단 영상 상에 충분히 윤곽이 그려질 수 있다록 한다는 점이다. 이는 종래의 조영제 사용에 비하여 향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종래의 영상 조영제는 환자의 장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스캐닝 이전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물이다. 이러한 방법의 문제점 중 하나는 신체에 의한 물의 신속한 재흡수로, 이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해부학상 부위의 팽창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감소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 이전에 일어나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할 기회가 좁아진다. 또한, 진단 영상 절차에 있어서는, 상기 절차가 수 시간 지속되기 때문에, 영상화되는 해부학상 부위의 팽창 수준이 절차에 걸쳐 상당히 감소하여, 시그널 균질성이 위협받는다. 본 발명은 안정화제의 특성, 즉 증점제로서 작용하고 유체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능력으로 인하여 적합한 양의 유체가 충분한 시간에 걸쳐 해부학상 부위 내에 보유되므로 신속한 재흡수의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의미있는 진단 영상을 얻고 스캐닝 절차 중에 시그널 균질성을 유지할 기회를 증가시켜, 보다 나은 진단 영상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조영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스캐닝의 반복의 필요성이 감소 또는 제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을 위한 향상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진단 영상 기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X-레이 영상, MR,CT, US, 광학 영상, SPECT, PET, CT-PET 및 플랫 패널 영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사용되는 진단 영상 기법은 MR, CT 또는 CT-PET이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개인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MR,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소장의 가시 영상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의 소장을 영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해부학상 부위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십이지장, 공장, 회장, 충수, 결장, 대장, 맹장, 상행장, 횡행결장, 좌결장곡, 하행결장, S상 결장, 직장, 췌장, 담낭, 비장, 간, 림프절, 맥관계 등을 포함하는 위장관 및 위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에서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해부학상 부위의 영상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질병을 진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1)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 또는 진단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2) MR,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해부학상 부위의 영상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거나 질병 진단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내에서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부학상 부위의 향상된 팽창 및 윤곽으로 인하여 진단 영상 기법을 이용하는 종래 진단에 비하여 향상을 보이며, 이는 진단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위장관 질환, 위장관 또는 위의 궤양, 병변, 종양 또는 농양,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게실염(diverticulitis),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및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소장 암, 항문 암, 위암, 결장암, 간암 및 췌장암을 포함하는 암을 포함하는 질병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림프절, 비장 또는 충수, 맥관계 등의 질환 또는 이상을 진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단 영상 상에서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향상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진단 영상은 MR,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창출된 2- 또는 3-차원 영상이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신체에 의한 유체의 재흡수가 지연되거나 최소화되어, 해부학상 부위가 보다 장기간 동안 팽창되고/되거나 팽창이 유지되므로,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위하여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는데 이용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향상을 보인다. 본 발명의 방법은 향상된 시그널 균질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진단 영상법에 비하여 향상을 보인다.
본 발명은 또한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치료 목적을 위하여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목적을 위하여 환자의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기 위한 향상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위장관의 궤양, 병변, 종양 또는 농양, 위장관 출혈,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또는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가진 개인을 치료하기 위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부가적으로 (1) 환자의 위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환자에게 위배출(gastric-emptying)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2) 수용액 내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3)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에게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약 0.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화제는 로커스트빈 검이고, 상기 삼투제는 만니톨이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위배출 물질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에리쓰로마이신(erythromycin), 파스페르틴(paspertin), 세로토닌(serotonin) 아고니스트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환자에게 예컨대 경구 또는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1) 약 10mg 내지 약 100mg의 에리쓰로마이신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스캐닝 단계 대략 1 시간 이전에 환자의 위를 배출시키는 단계; (2) 약 0.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 및 약 1.0 중량% 내지 약 50.0 중량%의 만니톨을 1.5L의 용액 내 포함하는 수용액을 환자에게 스캐닝 단계 대략 1 시간 이전에 투여하는 단계; 및 (3) MT,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환자를 스캐닝하여 환자의 소장의 가시 영상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상기 위배출 물질은 상기 영상 또는 스캐닝 절차 약 10분 내지 약 8 시간 이전에, 또는 상기 절차 직전에 투여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수용액은 스캐닝 절차 약 10분 내지 약 8 시간 이전에, 또는 스캐닝 절차 직전에, 또는 스캐닝 절차 약 180분, 120분, 90분, 60분 또는 약 30분 이전에 투여된다.
제공된 수용액은 약 50mL 내지 약 5L, 또는 약 100mL 내지 약 1.5L, 또는 약 200 mL, 300mL, 400mL, 500mL, 600mL, 700mL, 800mL, 900mL, 1L, 1.5L, 2L, 2.5L 또는 약 3L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은 단일 투여량으로 투여되거나 복수 투여량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액이 2L이면, 환자는 상기 절차 약 2 시간 전에 1L를 소비할 것이고, 절차 1 시간 전에 잔류 1L를 소비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결장-직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조성물 및 향상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삼투제와 조합하여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로커스트빈 검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만니톨을 수용액 내에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직장내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이해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위장관 질환 경력이 없는 10 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8시간의 숙면 이후에 MR 영상법을 실행하였다. 무작위 순서로 상이한 삼투 물질을 이용하여 검사를 4일반복하였다: 물, 만니톨을 탄 물(2.5%), 메타뮤실(0.7%), 또는 로커스트빈 검(0.2%). 상기 첨가제의 농도를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피하도록 선택하였다.
검사 45분 전에, 50mg의 에리쓰로마이신을 정맥내 투여하여 위배출을 증가시키고, 지원자는 각각의 조영 물질을 섭취하기 시작하였다. 1.5T 스캐너(Sonata, Siemens) TRUFISP 시퀀스 (TR/TE/flip 3.2/1.6/70°)로 잠재 환자 부위 내에서 코로나 2D 측정을 수행하였다. 획득 시간은 16초에 달하였다. 소장 충전을 두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정량하였다: (1) 물의 시그널 강도에 부합하는 모든 픽셀들을 자동 측정함으로써 소장 유체 측정, 및 (2) 15 소장 직경의 수동적 측정 및 평균값의 계산에 의한 소장 팽창의 평가.
6 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8시간의 숙면 이후에 MR 영상을 수행하였다. 무작위 순서로 상이한 삼투제를 이용하여 검사를 5 일 반복하였다: 물, 만니톨을 탄 물(2.5%), 메타뮤실(0.7%), 로커스트빈 검(LBG, 0.2%), 또는 만니톨(2.5%) 및 LBG(0.2%)의 조합. 검사 45 분 전에, 지원자는 각각의 조영 물질을 섭취하기 시작하였다. 1.5T 스캐너(Sonata, Siemens)를 이용하여 TRUFISP 시퀀스(TR/TE/flip 3.2/1.6/70°)로 잠재 환자 부위 내에서 코로나 2D 측정을 수행하였다. 획득 시간은 16 초 달하였다. 15 소장 직경의 측정 및 평균 값의 계산에 의해 소장 충전을 정량하였다.
환자에게 MR 검사 45 분 전에 1500ml의 상이한 용액을 경구 투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I.V. 조영제 없이 코로나 TrueFisp 시퀀스의 획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소장 직경의 측정 및 평균값의 계산이 결정되었다.
표 1은 본 실시예에 참가자에게 투여된 용액을 보인다.
[표 1]
지원자 용액 지원자 용액 지원자 용액
1-1 B 3-1 A 5-1 B
1-2 C 3-2 E 5-2 C
1-3 F 3-3 B 5-3 F
1-4 A 3-4 C 5-3 A
1-5 D 3-5 D 5-4 D
1-6 E 5-6 E
2-1 A 4-1 A 6-1 B
2-2 C 4-2 B 6-2 C
2-3 B 4-3 C 6-3 F
2-4 D 4-4 D 6-4 D
2-5 E 4-5 E 6-5 A
6-6 E
A: 물
B: 메타뮤실(0.7%)
C: 만니톨(2.5%)
D: 로커스트빈 검(0.2%, 오렌지 향)
E: 만니톨(2.5%) + 로커스트빈 검(0.2%, 오렌지향)
F: 로커스트빈 검 (0.2%, 딸기 향)
지원자 2는 결장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하여 평가에서 제외되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장 팽창의 평가는 의미심장하지 않았다. 용액 F는 세 명의 지원자들에게 테스트되었다. 불쾌한 미감으로 인하여, 지원자들은 1500ml를 완전히 섭취할 수 없었다. 따라서, 검사의 결과를 평가하지 않았다.
도 1은 MR 영상 이전에 조영제를 투여하는 종래 방법을 도시한다. 종래에는, 환자에게 최적의 소장 검사를 달성하기 위하여 삽관을 필요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 조영제의 경구 투여는 허용가능한 또는 진단상 결과를 달성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10 명의 지원자들을 8 시간 숙면 후에 검사하였다. 검사를 4 일 반복하였다. 1일에, 지원자들에게 검사 이전에 물을 투여하였다. 2일에, 지원자들에게 검사 이전에 물 및 만니톨(2.5%)을 투여하였다. 3일에, 지원자들에게 검사 이전에 물 및 메타뮤실(0.7%)을 투여하였다. 4일에, 지원자들에게 검사 이전에 물 및 로커스트빈 검(0.2%)을 투여하였다. 용액은 1.5 리터 용액을 제공하였고, MR 검사 대략 45 분 전에 섭취되었다. 1/5T 스캐너(Sonata, Siemens)-TrueFisp를 이용하여 잠재 부위 내에서 검사를 수행하였다.
도 2는 본 연구 내 10 명의 환자의 장 루멘 직경의 평균을 도시한다. 도 3은 각각의 경우에 만니톨 또는 로커스트빈 검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투여받은 환자의 복부의 일련의 영상을 보인다. 도 3은 또한 팽창 및 일시적인 성분인 만니톨을 균일하고 일관된 팽창 특성을 가지는 로커스트 빈 검과 조합함으로써 최적의 진단 결과를 달성하였음을 보인다.
도 4 및 5는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을 이용하여 평가된 소장 및 삽관에 의한 소장 평가와의 비교를 보인다. 이들 영상은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의 경구투여시 삽관을 필요로하는 유사 절차와 같은 진단 성능을 입증한다.
실시예 2
도 6-8은 18 및 21세 여성, 및 22세 남성에 대한 환자 케이스 스터디이다. 각각의 환자의 위장관을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으로 검사하였다. 여기서, 모든 환자는 크론병을 보이며 이와 같이 진단되었다. 각각의 영상에서, 증가된 염증부위가 2 명의 대상에서 나타나는 반면, 다른 대상은 활성 염증 없는 회맹판(ileocecal valve)의 크론병을 보였다.
실시예 3
도 9는 물 대 메타뮤실 대 만니톨 대 로커스트 빈 검 대 로커스트 빈 검/조합의 전체적인 성능을 보인다. 본 연구는 로커스트빈 검이 전체적인 루멘 팽창 및 장 루멘 분화에 있어서 다른 조영제보다 일관되게 우수한 성능으르 보임을 보인다. 따라서,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은 소장 검사를 위해 환자에게 삽관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요약하면, 도 1-9는 경구 로커스트 빈 검/만니톨 조합이 정상적인 환자 내에서 효율적일 뿐 아니라 크론병과 같은 병리학적 증상의 존재 하에서도 효율적임을 입증한다.
실시예 4
MT 영상에 알려진 부적합함이 없는 6 명의 건강한 지원자(세 명의 여성 및 세 명의 남성: 21-28세)를 본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본 연구를 승인 규격 관찰 보드에 기술된 모든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위장관 질환, 복부 수술 경험 및 식후 트림(post-prandiol belching), 메스꺼움(nausea), 또는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와 같은 위장관 이상의 존재를 배제하였다. 각각의 지원자를 5 개의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검사하였다.
장 루멘을 T2-중량 영상 상에서 밝게 하고 T1-중량 영상 상에서 어둡게 하는 수돗물을 조영제로 사용하였다. 첨가제 없이 베이스라인으로서 평가하고, 삼투및/또는 비-삼투 첨가제를 함유하는 4 가지 용액과 비교하였다: 메타뮤실 0.7% 용액 (MucofalkR, Falk Pharma, Freiburg, Germany), 만니톨 2.5% 용액(Merck, Darmstadt, Germany), 로커스트빈 검 0.2% 용액(LBG) (Roeper, Hamburg, Germany) 및 2.5% 만니톨 및 0.2% LBG를 함유하는 용액. LBG 및 메타뮤실 농도를 점도 및 향에 있어서 섭취가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한 높게 선택하였고, 만니톨의 농도는 이전의 연구에 근거하였다.
장 활성의 균일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모든 검사를 8 시간의 숙면 이후에 수행하였다. 각각의 검사 이전에, 1500ml의 각각의 조영 용액을 45 분에 걸쳐 꾸준하고 균일하게 분포된 비율로 경구 투여하였다. 일관된 섭취를 보증하기 위하여, 지원자들에게 매 4-5 분 마다 150ml를 마실것을 요청하였다. 위배출을 증진하기 위하여, 조영제 150ml를 첫번째로 섭취한 직후 100mg의 에리쓰로마이신(Abbott Pharmaceutics, Wiesbaden, Germany)을 정맥내 투여하였다.
최대 구배 진폭 40 mT/m 및 슬루율 (slew rate) 200 mT/m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증 구배 시스템을 구비한 1.5T 시스템(Magnetom Sonata, 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 상에서 MR 검사를 수행하였다. 시그널 수령을 위하여, 큰 '구부러진 표면 코일'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획득 이전에, 진경약(spasmolytic agent) 또는 상자성(paramagnetic) 조영 화합물 모두 정맥내 투여하지 않았다. 항정상태 세차운동 시퀀스(True FISP, TR/TE/flip 3.9/1.9/70°)를 이용하는 T2-중량 고속 영상법으로 코로나 2D 영상을 수집하였다. 다른 서열 패러미터는 시야 범위 35 cm, 슬라이스 두께 7mm(25 슬라이스) 및 획득시간 24 초를 포함한다. 매트릭스 크기는 144 x 256이고, 내부 섹션 갭은 1mm에 달하였으며, 여기(excitation) 수는 1 이었다. 모든 30 MR 검사는 진단 영상 질이었다. 각각의 용액 1500ml를 45 분의 표적 시간 내에 섭취시켰다.
사용되는 경구 조영제의 유형을 모르는 두 명의 방사선 의사와 무관하게 영상을 정량 분석하였다. 포스트프로세싱 워크스테이션(Virtuoso, 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 상에서, 각각의 방사선 의사는 공장 및 회장 내 5 개의 소장 루프 직경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하여, 최대 직경을 가진 장 루프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20개의 장 직경을 각각의 MR 검사에 대하여 얻었다. 후속적인 분석은 평균 소장 직경 및 그 표준 편차에 근거하였다.
정성 평가를 위하여, 각각의 지원자에 대한 5 검사의 MR 영상을 무작위 방식으로 하드카피로서 5 명의 방사선 의사에게 제시하였다. 그들에게 각각의 지원자에 대하여 오름차 순으로 장 팽창에 대한 영상을 등급매기도록 요청하였다. 정성적 평가를 교감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각각의 MR 검사 24시간 후, 지원자들에게 설사 또는 메스꺼움이 조영제 섭취와 관련하여 일어났는지에 대하여 3=포인트 스케일에 근거한 (0=부작용 없음, 1=온화한 부작용, 2=심각한 부작용) 표준 질문서를 요청하였다.
소장 팽창과 관련한 분석되는 경구 조영제의 효과를 한 쌍의 t-테스트에 의해 비교하였다. 다수 샘플에 대한 적응을 위하여, Bonferoni-교정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분석에 있어서, P 값 < 0.01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항정 세차운동 시퀀스(TrueFISP) 영상 (도 10)을 이용하는 고속 영상 상에서 밝은 액체 함유 소장 루멘과 어두운 주변 조직 간의 갈망되는 콘트래스트는 장 벽 및 장 루멘 사이의 분명한 윤곽을 허용하였다. 만니톨 용액 섭취 후 심각한(온화한) 설사가 6 명의 지원자들 중 2 명 에서 부작용으로서 확인되었다. 한 지원자는 로커스트 빈 검 및 만니톨을 함유하는 용액의 섭취 후에 온화한 설사를 보고하였다. 부작용으로서 메스꺼움은 경험되지 않았다.
단지 물의 섭취는 네가지 첨가제 중 어느 하나를 탄 물 (p<0.01, 도 11)과 비교하여 상당히 적은 소장 팽창을 초래한다. 도 11은 상이한 조영제: (a) 물, (b) 0.7% 메타뮤실 용액, (c) 0.2% 로커스트빈 검 용액, (c) 2.5% 만니톨 용액, (d) 2.5% 만니톨 용액, 및 (e) 2.5% 만니톨 및 0.2% 로커스트빈 검을 함유하는 용액을 섭취하고 5 개의 MR 검사를 받은 지원자에 대한 항정 세차운동 (TrueFISP, TR/TE/flip 3.9/1.9/70°)을 이용하는 코로나 고속 영상을 보인다. 단지 물의 섭취는 상기 네 가지 첨가제 중 어느 하나를 탄 물과 비교하여 상당히 적은 소장 루미날(luminal) 유체 및 적은 장 팽창을 초래한다. 네 가지 첨가제 중에서, LBG 및 만니톨의 조합을 탄 물이 최상의 장 팽창을 보였다.
상기 네 가지 첨가제의 비교는 LBG 및 만니톨의 조합이 최고의 소장 팽창(p<0.01)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합은 23.7mm의 소장 직경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만니톨 단독의 경우 21.3mm, LBG 단독의 경우 19.9mm, 및 메타뮤실의 경우 16.6mm와 비교된다. 한 지원자 내에서, LBG의 적용은 만니톨보다 큰 팽창을유도한 반면, 두가지 물질의 조합은 모든 지원자에 있어서 최상의 팽창을 보였다. 표 2는 상기 결과를 요약한다.
[표 2]
평균 소장 직경(mm) 및 이에 상응하는 표준 편차
지원자 #1 #2 #3 #4 #5 #6 AV
물(SD) 13.62.6 15.03.0 12.42.6 14.62.2 12.63.1 11.82.9 13.3
메타뮤실(SD) 18.22.4 15.62.8 15.32.9 18.12.6 16.62.2 15.91.7 16.6
만니톨(SD) 23.73.6 22.94.0 19.22.6 19.32.7 22.93.1 19.61.8 21.3
LBG(SD) 21.32.9 19.53.3 20.23.1 19.42.2 20.72.4 18.22.1 19.9
만니톨/LBG(SD) 25.93.6 23.63.5 24.13.2 21.23.3 23.94.1 23.23.0 23.7
우측 마지막 컬럼은 6명의 지원자 검사에 대한 평균 값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소장 팽창의 정성 평가는 정량 평가의 결과를 언더스코어하였다. 단지 물의 섭취에 근거한 모든 검사는 가장 열등한 것으로 평가된 반면, 만니톨 및 LBG의 조합의 투여는 6 명의 지원자 모두에 있어서 최상의 팽창을 제공하였다. 유사하게, 메타뮤실은 만니톨 및 LBG 단독 모두에 대하여 열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LBG와 만니톨 사이의 차이는 다소 덜 명확하였다: 4 명의 지원자에서는 만니톨이 나은 것으로 평가된 반면, 나머지 두 지원자에서는 LBG가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패러미터에 근거한 것이다. 45 분에 걸친 상기 용액 1500ml의 섭취는 지원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메스꺼움과 같은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세 가지 평가된 물질 중에, 만니톨 단독만이 설사를 초래하였다. 만니톨 및 LBG 모두 정량 및 정성 분석을 기준으로 메타뮤실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들의 활성 방식에 있어서는 매우 다르나, 만니톨- 및 LBG-유도된 장 팽창은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삼투제인 만니톨과 증점제인 로커스트 빈 검을 조합함으로 인하여 최상의 팽창이 얻어졌다: 모든 소장 부위가 최대로 확장되었다.
실시예 5
요오드- 및 바륨-기재 경구 조영제는 듀얼-모드 PET/CT 단층촬영법에서 PET 영상 내로 인위구조를 도입할 수 있다. 네거티브(negative) 경구 조영제는 조영제-유도된 인위구조를 방지하고 PET/CT 영상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기의 연구는 2.5% 만니톨 및 0.2% 로커스트 빈 검(LBG)을 PET/CT 영상을 위한 네거티브 경구 조영제로서 함유하는 용액을 도입하였다. 하기 연구의 목적은 상기 조영제의 바륨 및 물과 비교하여 PET 인위 구조를 피하면서 위 및 소장을 팽창하는 능력을 정량적으로 및 정석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60 명의 종양 환자에 대한 CT-PET 검사를 조합된 CT-PET 단층촬영법으로 수행하였다. 세 개의 상이한 경구 조영제를 20 명의 환자 각각에 무작위 할당하였다: 바륨, 물, 및 2.5% 만니톨과 0.2% 로커스트빈 검(LBG) 용액. 상기 세 가지 조영제의 장 팽창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위, 회장 및 공장 각각의 대표적인 직경을 두 명의 방사선 의사가 측정하였다. 4-포인트 스케일에 근거하여 증가된 장 FDG 업테이크 영역에 대하여 PET 영상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표준 업테이크 값(SUV)의 측정에 의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상이한 조영제의 트레이서 활성농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환영(phantom) 측정을 수행하였다.
LBG/만니톨을 이용한 장 팽창은 물(p<0.05 내지 p<0.001) 및 바륨(p<0.001)보다 나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PET 데이터의 정량 분석은 LBG/만니톨의 경우 SUV 1.8(+/-0.5), 물의 경우 1.7(+/-0.5), 및 바륨의 경우 2.5(+/-0.6)임을 보였다. 표 2를 참조. 장 내 FDG 업테이크의 정성 평가는 종종 바륨을 이용할 경우 물 또는 LBG/만니톨을 이용할 경우보다 훨씬 많이 장 루멘 내 글루코오스 대사가 증가됨을 명백히 보인다. 트레이서 활성 농도는 포지티브(positive) 조영제를 이용하여 대략 어림잡았다. 표 3 참조.
도 12는 검사되는 조영제에 의한 상이한 정도의 장 팽창을 도시한다. LBG/만니톨(A)은 물(B) 및 바륨(C)와 비교하여 우수하고 보다 균일한 소장 팽창을 유도하였다. 도 13은 LBG/만니톨을 함유하는 경구 조영제 용액 2 리터를 섭취한 후 환자의 CT(A), PET(B) 및 융합된 PET/CT 영상(C)를 보인다. 조영제-유도된 인위구조없는 복부 내 균일한 트레이서 업테이크가 PET(B) 및 융합 영상(C) 상에서 보였다. 한편, 소장 루프는 CT 영상(A) 상에서 용이하게 윤곽이 그려졌다. 도 14는 경구 조영제로서 바륨을 이용하는 PET/CT 영상법을 받은 환자 내에서 CT(A), PET(B), 및 융합 PET/CT 영상(C)를 보인다. 장 루멘 내 명백한 트레이서 업테이크가 PET 및 융합 데이터 세트 상에서 탐지되었다. 분명한 생리학적 FDG 업테이크 또한 비-증진된 상행 결장 내에서 탐지되었다.
LBG/만니톨은 조영제-유도된 PET 인위구조를 피하면서 충분한 장 팽창을 제공하므로 PET/CT 영상법에서 네거티브 경구 조영제로서 유용하다고 결론지어진다.
[표 3]
검사 하에 조영제에 의하여 유도된 위, 공장, 및 회장의 장 팽창, 및 상이한 조영 물질의 존재 하에 소장의 SUV
LBG/만니톨평균 SD 물평균 SD 바륨평균 SD p-값
6.4 1.8 6.1 1.5 0.0401
6.4 1.8 5.0 1.1 <0.001
6.1 1.5 5.0 1.1 <0.001
공장 2.1 0.3 1.6 0.3 <0.001
2.1 0.3 1.9 0.3 <0.001
1.6 0.3 1.9 0.3 <0.001
회장 2.0 0.3 1.4 0.3 <0.001
2.0 0.3 1.9 0.2 <0.001
1.4 0.3 1.9 0.2 <0.001
SUV 1.8 0.5 1.7 0.5 0.4002
1.8 0.5 2.5 0.6 <0.001
1.7 0.5 2.5 0.6 <0.001
위, 공장, 및 회장 각각, 및 SUV에 대한 200 측정에 근거하여 한쌍을 이루지 않은 Student 테스트에 의해 통계학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전체 800 측정을 각각의 조영제에 대하여 검사하에 수행하였다.
[표 4]
3개의 상이한 경구 조영제의 존재하에 소장 트레이서 업테이크의 정성 평가
LBG/만니톨 바륨
FDG 업테이크의 정성 평가 없음 12 10 5
온화함 7 7 10
중간 1 3 5
심각함 0 0 0
업테이크 위치 루멘 0 0 10
7 8 0
모두 1 2 5
장 FDG 업테이크를 보이는 환자 중 가장 적은 약이 LBG/만니톨을 사용하는 경우 발견되었다. FDG는 주로 LBG/만니톨 및 물에서 주로 장벽 내에서 발견된 반면, 바륨 FDG 업테이크는 주로 장 루멘과 함께 나타났다.
본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양태에 대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변화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본 발명의 잇점을 감소시키지 않고 행하여 질 수 있따. 따라서, 그러한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의료 또는 진단 절차, 특히 GI 관과 같은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법에 사용하기 위한 비-침입적이고 맛이 좋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종래의 조영제와 비교하여 환자의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Claims (106)

  1.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신체의 유체 또는 반-유체의 점도를 조절하여 해부학상 부위 상에서 의료상 또는 진단상 유용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정화제를 의료상 또는 진단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또는 반-유체의 해부학상 부위 내로의 이송을 촉진하거나 해부학상 부위로 내 유체의 재흡수 억제를 촉진할 수 있는 삼투제를 의료상 또는 진단상 유효량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천연 해초 추출물, 천연 식물 삼출물(exudate), 및 천연 과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해초 추출물이 카라기난(carrageenan), 알긴산 염(alginate), 한천(agar), 아가로오스(agarose), 푸셀란(fucellan) 및 크산탄 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가 구아(guar) 검, 타라(tara) 검, 타마린드(tamarind) 검 및 프실리움(psillium) 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시드(seed) 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시드 검이 로커스트 빈 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삼출물이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카라야 및 가티(ghatti) 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과일 추출물이 저-메톡실 펙틴 및 고-메톡실 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로커스트 빈 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액 내에 약 0.005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수용액 내에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로커스트 빈 검을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3항에 있어서,
    약 0.005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제가 당-기재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기재 화합물이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가 만니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약 0.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안정화제 및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천연 해초 추출물, 천연 시드 검, 천연 식물 삼출물, 및 천연 과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제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로커스트 빈 검이고, 상기 삼투제가 만니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약 0.25 중량%의 로커스트 빈 검 및 약 3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액 내 제공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천연 또는 인공 향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신체의 유체 또는 반-유체의 점도를 조절하여 진단상 유용한 절차가 해부학상 부위 상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정화제를 진단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25항에 있어서,
    유체 또는 반-유체의 해부학상 부위 내로의 이송을 촉진하거나 해부학상 부위 내에서 유체 재흡수 억제를 촉진할 수 있는 삼투제를 의료상 또는 진단상 유효량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천연 해초 추출물, 천연 시드 검, 천연 식물 삼출물, 및 천연 과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해초 추출물은 카라기난, 알긴산염, 한천, 아가로오스, 푸셀란, 및 크산탄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시드 검이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타라 검, 타마린드 검 및 프실리움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시드 검이 로커스트 빈 검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삼출물이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카라야 및 가티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과일 추출물이 저-메톡실 펙틴 및 고-메톡실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로커스트 빈 검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5.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액 내에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로커스트 빈 검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7.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0.05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제가 당-기재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당-기재 화합물이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가 만니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1.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로커스트 빈 검 및 약 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조성물.
  4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경구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삽관(intubation)에 의해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절차가 수술 또는 생체검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절차가 장의 생체검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절차 또는 진단 절차가 림프절, 맥관계, 췌장, 간, 충수, 담낭, 또는 비장을 수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2항에 있어서, 의료 절차 또는 진단 절차가 위를 수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2항에 있어서,
    의료 절차 또는 진단 절차가 위장관을 수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2항에 있어서,
    진단 절차가 X-레이 영상법, MR, CT, SPECT, PET 및 CT-PET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위장관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소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3. 제50항에 있어서,
    결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4. 제50항에 있어서,
    췌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5. 제50항에 있어서,
    십이지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6. 제50항에 있어서,
    맹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7. 제50항에 있어서,
    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8. 제50항에 있어서,
    대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9. 제50항에 있어서,
    공장(jejunum)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0. 제50항에 있어서,
    회장(ileum)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1. 제50항에 있어서,
    충수(appendix)를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2. 제50항에 있어서,
    췌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3. 제50항에 있어서,
    십이지장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4. 제50항에 있어서,
    S자 결장(sigmoid)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5. 제50항에 있어서,
    직장(rectum)을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6. 제50항에 있어서,
    위를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7. (1)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및
    (2) MR, CT 또는 CT-PET 영상법을 이용하여 소장의 가시 영상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의 소장을 영상화하는 방법.
  68. (1) 약 0.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35 중량%의 삼투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2) 진단 영상법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영상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병의 진단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영상법은 MR, CT 또는 CT-PET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궤양, 병변(lesion), 종양 및 농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염증성 장 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 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또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췌장, 비장, 간 또는 담낭의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림프절의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맥관계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6. 진단 영상 상에서 해부학상 부위의 루멘(lumen)의 윤곽을 그리기 위한 조성물로서, 신체 유체 또는 반-유체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정화제의 진단상 유효량 및 유체 또는 반-유체의 해부학상 부위 내로의 이송을 촉진하거나 상기 해부학상 부위 내 유체 재습수 억제를 촉진할 수 있는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7. 제76항에 있어서,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안정화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로커스트 빈 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제가 만니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0. 제76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단 영상 상에서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루멘의 윤곽을 그리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경구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삽관(intubation)에 의해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80항에 있어서,
    MR,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4.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위하여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기 위한 조성물로서, 약 0.00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안정화제 및 약 0.005 중량% 내지약 2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로커스트 빈 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제가 폴리사카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7. 제85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수용액 내에 약 0.25 중량%의 로커스트 빈 검 및 약 3.0 중량%의 만니톨을 포함하는 조성물.
  88. 제84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위하여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를 팽창시키는 방법.
  89. (1) 안정화제 및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및
    (2) MR,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해부학상 부위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의 해부학상 부위의 진단 영상을 얻는 방법.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천연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상 부위가 위장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2.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상 부위가 소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3.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상 부위가 대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4.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상 부위가 결장(col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5.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상 부위가 장(bowe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6. 치료적 목적을 위하여 위장관을 팽창시키기 위한 조성물로서, 수용액 내에 약 0.0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로커스트 빈 검 및 약 0.011 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당-기재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7. 제96항의 조성물을 개인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목적을 위하여 개인의 위장관을 팽창시키는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이 위장관의 궤양, 병변, 종양 또는 농양, 위장관 출혈,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게실염(diverticulitis) 또는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9.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1)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기 이전에 위배출(gastric-emptying)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2)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기 이전에, 약 0.005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안정화제 및 약 0.01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삼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및
    (3) 상기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위배출 물질이 에리쓰로마이신(erythromycin) 또는 파스페르틴(paspertin)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위배출 물질이 세로토닌 아고니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2.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영상화 단계 약 1시간 반 내지 약 8 시간 전에 개인에게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영상화 단계 직전에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4.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는 방법:
    (1)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기 이전에 약 25mg 내지 약 75mg의 에리쓰로마이신을 경구 투여하여 위 배출을 촉진시키는 단계;
    (2) 해부학상 부위의 영상화 이전에 수용액 내에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천연 시드 검 및 약 0.5 중량% 내지 약 25.0 중량%의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단계; 및
    (3) MT, CT 또는 CT-PET을 이용하여 해부학상 부위를 영상화하는 단계.
  105. 수용액 내에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로커스트 빈 검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를 포함하는, 대장-직장(colo-rectal) 검사를 수행하는데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06. 제105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직장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
KR10-2004-7007813A 2001-11-21 2002-11-21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KR20040071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207401P 2001-11-21 2001-11-21
PCT/US2002/037385 WO2003045308A2 (en) 2001-11-21 2002-11-21 Formulations for use in medical or diagnostic proced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143A true KR20040071143A (ko) 2004-08-11

Family

ID=2329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813A KR20040071143A (ko) 2001-11-21 2002-11-21 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427391B2 (ko)
EP (1) EP1458328B1 (ko)
JP (1) JP4820054B2 (ko)
KR (1) KR20040071143A (ko)
AU (1) AU2002365395B2 (ko)
BR (1) BR0214314A (ko)
CA (1) CA2466808C (ko)
IL (1) IL162095A0 (ko)
RU (1) RU2004119035A (ko)
WO (1) WO2003045308A2 (ko)
ZA (1) ZA200404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4119035A (ru) * 2001-11-21 2005-11-20 Э-З-Эм, Инк. (Us) Композиции,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медицинских и диагностических процедурах
US20050180920A1 (en) * 2003-01-29 2005-08-18 Vincenzo Giuliano Oral contrast media composition for computerized axial tomographic examinations and method
US7378081B2 (en) * 2003-01-29 2008-05-27 Vincon Research Enterprises,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direct visualization of the human appendix
ATE385006T1 (de) * 2003-02-05 2008-0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zeige der genauigkeit einer quantitativen analyse
US7582283B2 (en) * 2004-02-13 2009-09-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ntrast agents to improve gastrointestinal tract opacification during abdominal and pelvic CT scans
US8992887B2 (en) 2004-07-15 2015-03-31 Gynaecologiq B.V. Method for medical imaging of body cavities
US9585973B1 (en) * 2008-06-05 2017-03-07 Peter Quagliano Palatable liquid dilution vehicles for oral contrast agents
NL2003660C2 (en) 2009-10-16 2011-04-19 Giskit B V Composition and method for medical imaging of body cavities.
JPWO2011136336A1 (ja) * 2010-04-30 2013-07-22 味の素株式会社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組成物
JP2021515592A (ja) * 2018-02-27 2021-06-24 トリスコ アイキャップ プロプライアタリー リミティド 成分
IT201900003113A1 (it) * 2019-03-04 2020-09-04 Azienda Ospedaliero Univ Policlinico S Orsola Malpighi Bologna Bevanda coadiuvante
US11730831B2 (en) 2019-03-26 2023-08-22 Sicreations, Llc Imaging ag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976117A4 (en) 2019-05-29 2023-02-01 Sicreations, LLC METHODS OF CONSERVING A SUBJECT AND USING IMAGING CONTRAST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7979A (en) * 1948-07-03 1951-10-03 Miles L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x-ray contrast mediums
US3975512A (en) * 1970-12-21 1976-08-17 University Of Illinois Foundation Non-toxic brominated perfluorocarbons radiopaque agents
US4074709A (en) * 1976-04-15 1978-02-21 Kaplan Leopold S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double-contrast studi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GB1599881A (en) * 1977-02-02 1981-10-07 Millington A R Preparation for diagnostic radiology
US4448207A (en) * 1981-11-03 1984-05-15 Vital Metrics, Inc. Medical fluid measuring system
DE3316703A1 (de) * 1983-05-04 1984-11-08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709 Bergkamen Orales kontrastmittel fuer die kernspintomographie und dessen herstellung
SE8601563D0 (sv) * 1986-04-08 1986-04-08 Carbomatrix Ab Matrismaterial,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derav och anvendning derav
US5019059A (en) * 1986-12-15 1991-05-28 Uresi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body fluids
US4930997A (en) * 1987-08-19 1990-06-05 Bennett Alan N Portable medical suction device
WO1990004431A1 (en) * 1988-10-20 1990-05-03 Chen Fusen H Incontinence device
US5783171A (en) * 1989-06-16 1998-07-21 Neorx Corporation Radionuclide metal N2 S2 chelates substituted with glucose and biotin moieties
GB8916782D0 (en) 1989-07-21 1989-09-06 Nycomed As Compositions
US4957486A (en) * 1989-10-02 1990-09-18 Davis Emsley A Rectal-stomal insert apparatus and method
US6088613A (en) * 1989-12-22 2000-07-11 Imarx Pharmaceutical Corp. Method of magnetic resonance focused surgical and therapeutic ultrasound
US5368840A (en) * 1990-04-10 1994-11-29 Imarx Pharmaceutical Corp. Natural polymers as contrast media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5179955A (en) 1991-02-22 1993-01-19 Molecular Biosystems, Inc. Method of abdominal ultrasound imaging
US5107842A (en) * 1991-02-22 1992-04-28 Molecular Biosystems, Inc. Method of ultrasound imaging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JP3238485B2 (ja) * 1992-08-07 2001-12-17 明治乳業株式会社 消化管造影用組成物
US5380522A (en) 1992-08-11 1995-01-10 Day; Charles E. Method f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EP0669823A4 (en) * 1992-10-06 1996-03-13 Molecular Biosystems Inc METHOD FOR ULTRASONIC IMAGING OF BODY CAVITIES.
JPH06157355A (ja) * 1992-11-13 1994-06-03 Dai Ichi Seiyaku Co Ltd Mri用粒状製剤
EP0741581A1 (en) 1994-01-28 1996-11-13 Nycomed Imaging As Oral magnetic particle formulation
US5611342A (en) * 1994-02-15 1997-03-18 Molecular Biosystems, Inc. Method of computer tomography imag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surrounding upper abdominal tissues and organs using an orally administered low density contrast medium
US5736121A (en) * 1994-05-23 1998-04-07 Imarx Pharmaceutical Corp. Stabilized homogenous suspensions as computed tomography contrast agents
DE4424233C1 (de) * 1994-07-09 1995-12-07 Thomas Gieselmann Orales Echokontrastmittel für Ultraschalldiagnostik
US5782762A (en) * 1994-10-27 1998-07-21 Wake Forest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renderings of selected body organs having hollow lumens to enable simulated movement through the lumen
US6066139A (en) * 1996-05-14 2000-05-23 Sherwood Services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embolization
US5779662A (en) * 1996-05-20 1998-07-14 Linvatec Corporation Laparoscopic tissue resection system
WO1998011066A1 (en) * 1996-09-10 1998-03-19 Medinox, Inc. Polydithiocarbamate-containing macromolecules and the use thereof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applications
EP0959693A1 (en) * 1997-01-31 1999-12-01 Fmc Corporation Texture and stabilizer composition
GB9710699D0 (en) * 1997-05-24 1997-07-16 Danbiosyst Uk Gastro-retentive controlled release system
CN1233505A (zh) * 1998-04-24 1999-11-03 胡挽华 一种胃肠阴性造影剂及其生产方法
US6214376B1 (en) * 1998-08-25 2001-04-10 Banner Pharmacaps, Inc. Non-gelatin substitutes for oral delivery capsules, their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JP3099293B2 (ja) * 1999-02-12 2000-10-16 イトー海外事業株式会社 可食印刷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2001048810A (ja) * 1999-08-04 2001-02-20 Ina Food Ind Co Ltd 造影剤用増粘剤
IN192748B (ko) * 2000-08-29 2004-05-15 Ranbaxy Lab Ltd
EP1324778A2 (en) * 2000-10-02 2003-07-09 Arizeke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ansport of biologically active agents across cellular barriers
EP1416914A1 (en) * 2001-08-16 2004-05-12 The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Oregon State University Expandable gastric retention device
RU2004119035A (ru) * 2001-11-21 2005-11-20 Э-З-Эм, Инк. (Us) Композиции,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медицинских и диагностических процедура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41093A1 (en) 2004-12-02
US7427391B2 (en) 2008-09-23
US20090180963A1 (en) 2009-07-16
JP2005510531A (ja) 2005-04-21
CA2466808C (en) 2009-01-27
AU2002365395A1 (en) 2003-06-10
WO2003045308A3 (en) 2003-12-18
EP1458328B1 (en) 2013-01-30
RU2004119035A (ru) 2005-11-20
EP1458328A4 (en) 2009-06-17
WO2003045308A2 (en) 2003-06-05
AU2002365395B2 (en) 2006-07-20
ZA200404023B (en) 2005-05-24
US8343462B2 (en) 2013-01-01
BR0214314A (pt) 2004-11-09
CA2466808A1 (en) 2003-06-05
IL162095A0 (en) 2005-11-20
JP4820054B2 (ja) 2011-11-24
EP1458328A2 (en)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3462B2 (en) Formulations for use in medical and diagnostic procedures
Lauenstein et al. Optimization of oral contrast agents for MR imaging of the small bowel
US20090136426A1 (en) Contrast media for using in medical and diagnostic procedur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7847445B (zh) 包封的气体或部分真空ct造影材料
JP2005510531A5 (ko)
Lohan et al. MR small bowel enterography: optimization of imaging timing
Berther et al. Comparison of neutral oral contrast versus positive oral contrast medium in abdominal multidetector CT
Kinner et al. MRI of the small bowel: can sufficient bowel distension be achieved with small volumes of oral contrast?
US7582283B2 (en) Contrast agents to improve gastrointestinal tract opacification during abdominal and pelvic CT scans
Lee et al. Comparison of static-fluid or excretory magnetic resonance urography with computed tomography urography for visualization of nondilated renal pelvises and ureters in healthy Beagles
Vikram et al. Comparison of mannitol and meglumine diatrizoate for stomach and small bowel wall study by computed tomography, a prospective study
US20220401587A1 (en) Low x-ray attenuation change hard shelled oral contrast material
Shi et al. Magnesium sulfate as an oral contrast medium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small intestine
SU1156641A1 (ru) Способ рентгенологического исследовани органов гепатодуоденопанкреатической области
Steingötter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the analysis of human gastric motor activity, intragastric distribution and related emptying
Hall Scientific Programme Abs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