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746A -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746A
KR20040070746A KR1020030006933A KR20030006933A KR20040070746A KR 20040070746 A KR20040070746 A KR 20040070746A KR 1020030006933 A KR1020030006933 A KR 1020030006933A KR 20030006933 A KR20030006933 A KR 20030006933A KR 20040070746 A KR20040070746 A KR 2004007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mage
sensor unit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윤
문익상
Original Assignee
문상윤
문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윤, 문익상 filed Critical 문상윤
Priority to KR102003000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0746A/ko
Publication of KR2004007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7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 지문 이미지 센서부를 단순히 지문 이미지만을 취득하여 이를 처리하는 용도 외에 추가로 손가락 끝 등을 이용, 터치 패드(Touch Pad) 또는 키 패드(Key Pad)와 같이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의 이미지 센서부 표면을 가상의 작은 터치 패드 또는 키 패드로 간주하고, 센서부 상에서 미리 정의된 블록 영역 내에 손가락 끝을 접촉하거나 소정의 기호 또는 문자를 그리면 이에 대한 이미지를 소프트웨어 상에서 처리하여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형태와 비교,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사용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인식장치의 센서부를 가상 키 패드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조입력장치로 사용되었던 키 패드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센서부를 문자/심볼 입력장치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센서부를 가지고 지문입력장치의 보조장치 또는 추가적인 보안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Integrated Input Device of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의 입력장치 및 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부를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이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지문을 입력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의 센서부는 크게 광학식과 반도체식으로 구분된다. 광학식 센서부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지문의 융선및 곡을 빛의 굴절 및 흡수의 원리에 의해 지문의 융선 부분은 흑(黑)으로, 곡 부분은 백(白)으로 처리하여 이를 렌즈를 통해 카메라에 비추어 융선과 곡을 흑백의 영상으로 만들어낸다. 이 흑백의 지문 영상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 및 확인하게 된다.
반면, 반도체 방식은 반도체 칩 상에서 바로 지문의 융선과 곡의 차이를 전기적 저항 또는 온도의 차이값 등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광학장치 없이 바로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지문인식장치 사용시 사용자의 지문이 손상되거나 원래 특이한 지문을 가진 경우, 지문의 특징적인 요소 정보를 얻어낼 수 없기 때문에 지문 처리가 곤란해진다.
종래에는 지문 입력장치의 센서부와 별도로 키 패드 장치 등을 설치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를 추가할 경우 제조가격의 상승, 입력장치 크기의 증가, 하드웨어 추가에 의한 에러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지문인식장치의 입력장치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지문 입력장치(10)로서는 광학식 센서부(8)와 키 패드부(9)를 구비하고, 이들 입력장치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제어 하에 RAM(30)에 저장되고 나서 ROM(4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ID, 암호, 지문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을 식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는 일반적으로 보안지역의 출입문 통제, 컴퓨터에 대한 액세스 제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및 전자상거래시 보안에 이용된다.
상기 지문 입력장치(10)의 외관을 도 2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지문입력장치(10)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기 위한 광학식 센서부(8)와, 지문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 보조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키 패드부(9)를 가지고 있다. 이외에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LCD등의 디스플레이와 음성안내용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공간의 부족 등 주변 환경의 여건상 지문입력장치의 크기가 한정되어 지문 센서부만을 설치할 경우, 손상된 지문 또는 특이 지문을 가진 사용자는 센서부에서 지문의 특성상 제대로 인식을 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종래의 지문입력장치에 사용되는 키 패드와 같은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문 센서부만으로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입력장치의 개발이 적극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문인식장치의 지문 센서부만으로 일반적인 지문인식 및 키 패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지문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문인식장치의 지문 센서부에서 키 패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의 지문 센서부만을 가지고 사용자의 손끝 등을 이용, 센서부 상에 미리 정해진 위치 및 절차에 따라 누르거나 심볼을 그리게 하여이를 기 등록된 형태와 비교, 그 결과치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한다는 데에 인식의 기초를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의 지문 센서부를 가상의 작은 터치 패드 또는 키 패드로 간주하고, 사용자가 센서 상에 약속된 위치 및 절차에 따라 손가락 끝을 누르면 이에 대한 이미지를 소프트웨어 상에서 처리하여 기존에 입력된 형태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문 센서부의 표면은 소정 개수의 분할영역으로 미리 정의되고, 각각의 분할영역은 통상 텐 키(Ten key) 숫자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지문센서부와 키 패드의 기능이 통합되는 것에 의해 종래 지문 입력장치에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키 패드를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문인식장치에 사용자가 소정의 심볼을 미리 등록시키고, 지문 센서부 상에서 그 심볼을 그리게 하는 형태 인식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문 센서부를 가지고 지문입력장치의 보조장치 또는 추가적인 보안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 지문인식장치의 입력장치에 대한 일 예를 보인 간략도.
도 3은 종래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동작원리와 이에 의해 얻어지는 지문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간략도.
도 4는 도 3의 센서부에 손끝을 이용하여 키 패드와 같이 사용하는 예와 센서부에 손가락 끝을 대었을 경우 나타나는 이미지를 나타낸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입력장치에 대한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도 6의 입력장치의 센서부 표면을 가상적으로 9등분한 경우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의 센서부 상에 가상 키 패드의 5와 7 부분을 누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지문 센서부를 문자/심볼 입력장치로 가상하여 ㄴ자를 그린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센서부 상에 ㄴ자를 그릴 경우 지문인식장치의 심볼 인식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지문인식장치의 사용자 확인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지문 센서부를 이용한 가상 키 패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 지문 센서부 80a-80n: 분할영역
100: 지문입력장치 200: 마이크로프로세서
300: RAM 400: ROM
Ft: 손가락 끝 지문 Sc: 문자/심볼
Sc1-Sc3: 심볼 특징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 이미지 센서부와; 이미지 센서부의 표면을 촬상 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를 기초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적으로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이 텐 키 패드의 숫자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도록 한 가상 키 패드/터치 패드와; 이미지 센서부에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 메모리부와; 사용자 각각의 지문 이미지 및 암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데이터저장부와; 가상 키 패드/터치 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분할 영역에 손가락 끝을 접촉했을 때 촬상된 이미지를 키 패드의 숫자 입력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의 미리 저장된 암호 숫자와 비교,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통합 입력장치에 대한 처리방법으로서, 지문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지문 이미지의 형태가 기준치를 만족하고 있는지 무결성을 체크하는 단계와; 지문 이미지에 결함이 있다고 판단될 때, 이미지 센서부를 초기화시키고 손가락을 대지 않은 상태의 이미지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N개의 분할 영역마다 픽셀 컬러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암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N개의 분할 영역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부 표면을 접촉하였을 때 촬상된 이미지 프레임에서 N개 분할영역 각각에 대한 픽셀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와; 손가락을 접촉한 후 구해진 픽셀 평균값과 초기화 단계에서 구한 픽셀 평균값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N개 분할영역 중 가장 평균값 변화율이 큰 블록을 찾아서 저장하는 단계와; 입력되어야 할 암호의 미리 정해진 자릿수만큼 손가락이 닿은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자릿수만큼 손가락이 접촉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기 등록된 암호 숫자와 현재 순차적으로 저장된 블록에 대응한 숫자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확인 또는 거부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지문 입력장치에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키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지문 이미지 센서를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지문인식장치의 센서부만으로도 일반 지문인식 및 키 패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지문 센서부만으로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 끝 등으로 센서부에 접촉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암호 또는 기호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었다. 지문인식장치는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 입력부(100)와, 지문 이미지의 처리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 메모리부(RAM: 300)와, 등록된 사용자 각각의 지문 이미지 및 암호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저장부(ROM: 400)와,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비교 및 기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0)로 구성된다.
상기 지문 입력부(100)는 통상의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다.
도 6은 상기 지문 입력부(100)의 외관도로서, 장치의 상부표면으로 광학식 지문 센서부(80)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광학식 지문인식장치의 센서부(80)의 구성과 촬상된 지문 이미지의일 예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지문 센서부(80)는 지문접촉면을 갖는 프리즘(4)과, 지문 접촉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 등의 광원(6), 그리고 프리즘을 통해 굴절된 이미지를 얻기 위한 CCD 카메라(2)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지문 IF1은 CCD 카메라(2)에서 촬상된 지문 이미지의 일 예이다. 지문의 융선 부분은 흡수되어 검게 나오고 곡 부분은 반사되어 광원이 바로 렌즈를 통해 카메라에 비추어 짐으로서 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문 이미지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지문인식장치로 입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센서부(80)을 키 패드/터치 패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손끝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도 3의 촬영 원리에 의해 센서부(80)의 표면에 손가락을 댄 부분은 빛의 흡수에 의해 카메라(2) 상에 검게 나타나고 그 외의 부분은 빛이 프리즘에서 굴절하여 카메라 상에 희게 나타나게 된다. 그 촬상된 이미지는 IF2 로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타원형의 점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센서부(80)를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80)의 표면은 가상적으로 N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80)의 표면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2)에서 촬상 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를 기초하여 지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9개의 영역(801- 809)으로 균등 분할된다. 여기서, 각 분할 영역(801- 809)은 키 패드의 숫자 1 내지 9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7과 같이 가상적으로 분할된 센서부 표면에서 키 패드 숫자 5와 7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손가락을 대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Ft는 손가락 끝의 이미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지문센서부(80)를 문자/심볼 입력수단으로 가상하여 ㄴ자를 그린 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Sc는 손가락 끝으로 그린 ㄴ자를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서, 도 9의 센서부(80) 상에 ㄴ자를 그릴 경우 지문인식장치에서 ㄴ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의 (a), (b), (c)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는 센서부의 표면에서 그려지는 문자의 소정 주기마다의 영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특징점을 추출해내면 해당 문자를 인식하게 된다. 도면부호 Sc1, Sc2, Sc3 는 프레임 상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의 특징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지문입력장치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의 동작을 도 11 및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을 참고하여 지문인식장치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 다음 본 발명에 따라 지문 이미지 센서부(80)를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된 키 패드(9) 또는 컴퓨터의 키보드를 통해 ID를 입력하여 지문인식장치에 액세스를 시도하게 되면, 지문인식장치는 입력된 ID가 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지문을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단계 S11). 이 ID 입력단계는 지문인식장치에서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센서부(80)에 손가락을 대면 지문 스캔이 이루어져 카메라에서 촬상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한다(단계 S12).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입력된 지문 이미지 데이터를 작업 메모리부(RAM: 300)에 저장하고, 지문 이미지의 형태가 기준치를 만족하고 있는 지 무결성을 체크하여 처리할 수 있는 지문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3). 처리하기 적당한 지문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14로 진행하여 데이터저장부(ROM: 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ID에 대응한 지문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S14).
따라서, 단계 S16에서는 검색된 지문 데이터가 현재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17에서 사용자 인증 및 확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단계 S16에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거부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18).
한편, 단계 S13에서 현재 입력된 지문 데이터가 지문으로서 특징점이 거의 없어 식별하기 어려운 지문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5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키 패드를 사용하여 암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종래의 키 패드(9)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80)를 이용한 가상 키 패드를 사용하여 암호를 입력하였을 때, 단계 S16에서 등록된 암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거나 거부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단계 S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80)를 이용한 가상 키 패드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에서 사용자의 지문이 식별할 수 없는 지문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장치는 지문 센서부(80)의 동작을 초기화시킨 후 가상 키 패드의 동작을 수행하게 만든다. 먼저 단계 151에서, 센서부를 초기화시켜 손가락을 대지 않은 상태의 이미지(즉, 배경화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N개 블록마다 픽셀 컬러 평균값을 구한다.
단계 152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소정 자리 수의 암호, 예를 들어 4자리의 암호에 대한 카운터 값을 초기화하고 나서 단계 153으로 가서 "손가락 끝으로 암호를 입력하시오"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 메시지는 장치에서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의 문자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부(80) 표면에 마련된 가상 터치 패드의 숫자 영역을 누르면 센서부(80)는 촬상된 손가락 끝의 이미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한다. 단계 15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입력된 이미지 프레임에서 N개 블록(여기서는 9개 블록) 각각에 대한 픽셀 평균값을 구해 저장한다. 여기서 손가락 끝이 닿은 블록 영역은 닿지 않은 영역에 비해 픽셀 평균값이 훨씬 작다. 다음 단계 155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0)는 손가락을 댄 후 구해진 픽셀 평균값과 손가락을 대지 않고 초기화 단계에서 구한 픽셀 평균값과의 차이를 계산한다. 이어서 9개 블록 중 가장 평균값 변화율이 큰 블록을 찾아서 저장하고(단계 156), 이로써 특정 블록에 손끝이 닿아졌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계속하여 단계 157에서 입력되어야할 암호의 소정 자릿수만큼 손가락이 닿은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소정 자릿수만큼 손가락을 대었을 경우 암호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판단하고 단계 158에서 ROM에 등록된 암호 숫자와 현재 순차적으로 저장된 블록에 대응한 숫자를 비교한다.
이 후, 도 11의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확인 또는 거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센서부(80)의 가상 키 패드 동작이 종료된다.
상기 가상 키 패드 동작 대신에 사용자는 도 9와 같이 센서부(80)를 문자/심볼 입력장치로 가상하여 임의의 문자 또는 도형을 그리게 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지문인식장치는 입력된 이미지의 형상을 인식함으로써 기 등록된 형상과 유사한 특징을 갖게 되면 본인임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도 12의 처리과정과 유사하게, 지문인식장치는 각 순간마다의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여 조작하면 전체적으로 ㄴ형태의 형상이 나올 것이고 이를 적절히 영상 처리하여 기 등록된 형태의 특징과 비교한다면 지문인식장치에서 센서부(80)를 문자/심볼 입력장치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인식장치의 지문 센서부를 가상의 작은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센서부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게 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지문 입력장치에서 사용되는 키 패드 등의 보조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문인식장치에 사용자가 소정의 문자 또는 심볼을 미리 등록시키고, 지문 센서부 상에서 그 문자/심볼을 그리게 하여 사용자를 확인해 줄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센서부를 가지고 지문입력장치의 보조장치 또는 추가적인 보안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표면을 촬상 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를 기초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적으로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이 텐 키 패드의 숫자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도록 한 가상 키 패드/터치 패드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 메모리부와;
    사용자 각각의 지문 이미지 및 암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가상 키 패드/터치 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분할 영역에 손가락 끝을 접촉했을 때 촬상된 이미지를 처리한 결과치를 키 패드의 숫자 입력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의 미리 저장된 암호 숫자와 비교,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이미지 센서부는 일정 시점마다 촬상된 손가락 끝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키 패드/터치 패드 상의 다수의 분할 영역을 가로질러 소정의 문자 또는 기호를 그렸을 때 입력되는소정 주기마다의 영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특징점을 추출해내는 것에 의해 해당 문자 또는 기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4.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표면을 촬상 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를 기초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적으로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이 텐 키 패드의 숫자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도록 한 가상 키 패드/터치 패드와, 이미지 센서부에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 메모리부와, 등록된 사용자 각각의 지문 이미지 및 암호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저장부와,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저장된 지문 이미지 및 암호 데이터와 비교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의 입력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지문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지문 이미지의 형태가 기준치를 만족하고 있는지 무결성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지문 이미지에 결함이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초기화시키고 손가락을 대지 않은 상태의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N개의 분할 영역마다 픽셀 컬러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암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상기 N개의 분할 영역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 표면을 접촉하였을 때 촬상된 이미지 프레임에서 상기 N개 분할영역 각각에 대한 픽셀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손가락을 접촉한 후 구해진 픽셀 평균값과 상기 초기화 단계에서 구한 픽셀 평균값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N개 분할영역 중 가장 평균값 변화율이 큰 블록을 찾아서 저장하는 단계와,
    입력되어야 할 암호의 미리 정해진 자릿수만큼 손가락이 닿은 블록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의 입력 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자릿수만큼 손가락이 접촉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기 등록된 암호 숫자와 현재 순차적으로 저장된 블록에 대응한 숫자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확인 또는 거부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의 입력 처리방법.
KR1020030006933A 2003-02-04 2003-02-04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40070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933A KR20040070746A (ko) 2003-02-04 2003-02-04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933A KR20040070746A (ko) 2003-02-04 2003-02-04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746A true KR20040070746A (ko) 2004-08-11

Family

ID=3735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933A KR20040070746A (ko) 2003-02-04 2003-02-04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07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7581A (zh) * 2005-10-11 2011-06-08 阿卜杜勒拉希姆·埃纳迪 通用触摸屏键盘
KR101438636B1 (ko) * 2013-07-25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터치점 인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68041B1 (ko) * 2019-05-23 2020-01-20 주식회사 네오패드 유저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한 유저 인증 및 서명 장치와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7581A (zh) * 2005-10-11 2011-06-08 阿卜杜勒拉希姆·埃纳迪 通用触摸屏键盘
KR101438636B1 (ko) * 2013-07-25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터치점 인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68041B1 (ko) * 2019-05-23 2020-01-20 주식회사 네오패드 유저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한 유저 인증 및 서명 장치와 방법
WO2020235733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네오패드 유저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한 유저 인증 및 서명 장치와 방법
US11868457B2 (en) 2019-05-23 2024-01-09 Neopad Inc.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obtaining user signature using user's biometr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1944B2 (ja) 生体情報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
KR101857287B1 (ko) 제스처 기반 바이오메트릭 시스템의 방법 및 장치
US9436864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finger biometric pre-matching and related methods
EP1418486A2 (en) Fingerprint-based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050063567A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KR100862916B1 (ko) 이중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6751072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
KR20180060840A (ko) 압력에 기초한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230149320A (ko)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한 지문-기반 사용자 인증 수행 시스템 및 방법
CN106415570A (zh) 动态键盘和触摸屏生物标识
CN111507146B (zh) 指纹辨识装置与方法
JP3224216B2 (ja) 指紋による個人識別機能付きマウス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該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個人識別方法
JP4588577B2 (ja) 掌紋認証装置、掌紋認証プログラム、及び掌紋認証方法、並びに掌紋画像の抽出方法、並びに掌紋認証装置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KR102333453B1 (ko) 지문 및 얼굴 영상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 신원확인 방법
KR20000030122A (ko) 멀티바이오메트릭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방법 및사용자인증시스템
KR20040070746A (ko) 지문인식장치의 통합 입력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10663043B (zh) 生物度量对象的模板匹配
KR20200137450A (ko) 인공지문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공지문 감지 방법
JP3734242B2 (ja) 指紋認識型データ入力装置
CN109583168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JP2004021615A (ja) 画像照合システム、画像照合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照合方法及びその方法を記述したプログラム
JP2001242952A (ja) 個人認証装置、個人認証方法および個人認証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65136B1 (ko) 지문이미지의 영상처리방법
KR100629410B1 (ko) 지문인증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KR101670645B1 (ko) 지문 조합을 이용한 인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