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684A - 택시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시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684A
KR20040069684A KR1020030006194A KR20030006194A KR20040069684A KR 20040069684 A KR20040069684 A KR 20040069684A KR 1020030006194 A KR1020030006194 A KR 1020030006194A KR 20030006194 A KR20030006194 A KR 20030006194A KR 20040069684 A KR20040069684 A KR 2004006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axi
certification
vehicl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597B1 (ko
Inventor
정진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호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호서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호서학원
Priority to KR10-2003-000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5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정류장에서 대기중인 택시에 대하여 차량의 정상인증 여부를 식별하고 이를 별도의 표시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이 차량의 허위 인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인식장치를 내장하여 운전자에 대한 생체인증을 수행하여 생체인증에 따른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인증결과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인증 정보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를 전송하는 차량 탑재장치; 차량 탑재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인증코드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관제서버; 관제서버에서 부여된 기설정된 기준 인증코드를 기저장하며 기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인증 정보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탑재장치로부터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가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코드와 기준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된 차량번호를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인증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택시 인증 시스템{TAXI CER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택시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택시 정류장에 대기중인 택시에 대하여 정상 운행중인 택시임이 인증할 수 있는 택시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택시를 이용하거나 택시를 상대로 하거나 택시를 이용하는 범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택시를 이용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 및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개발된 대표적인 기술로는 택시 내부에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생체 인식장치를 구비하여 운전자 생체 정보를 확인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음성 정보에 의거하여 택시 운전자의 정상 여부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택시 보안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생체 인식장치(110), 영상 기록장치(120), GPS 모듈(130), 카드판독 모듈(140), 디스플레이부(150), 외부 표시장치(155), 음성신호 출력부(161), 음성신호 입력부(162), 무선통신 모듈(170)로 구성된 차량 탑재장치(100)와 관제 서버(200) 및 금융결재 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차량 탑재장치(100)는 보안 시스템에 등록된 다수의 차량에 각각 장착되는 수단으로서, 원격지에 구비된 관제 서버(200)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차량 탑재장치(100) 내의 생체 인식장치(110)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부(111), 메모리부(112), 비교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캐닝부(111)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운전자의 지문, 홍채 정보, 안면 윤곽선과 같은 생체 정보를 스캐닝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비교부(113)로 전송한다. 메모리부(112)는 운전자에 대한 기준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상술한 스캐닝부(111)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이 기준 생체 정보가 사용된다. 이 메모리부(112)에 저장되는 기준 생체 정보는 후술하는 관제 서버(20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되며, 특히 영업용 택시와 같이 동일 차량의 운전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시간대별 운전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시간대별로 운전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부(113)는 스캐닝부(111)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와 메모리부(112)에 기저장된 기준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 인증을 처리하며, 그에 따른 인증 결과를 후술하는 제어부(180)를 통해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
영상인식 장치(120)는 후술하는 제어부(18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영상 촬영부(121)는 차량 내부의 상태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연상 압축부(122)는 영상 촬영부(121)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과정을 통해 압축하여 이를 제어부(180)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촬영부(120)를 구동하기위한 구동 제어신호는 운전자에 대한 정상 인증이 불가능한 경우에 제어부(180)로부터 발생된다.
GPS 모듈(130)은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판별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카드 판독모듈(140)은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또는 스마트카드와 같은 전자결재수단을 이용하여 승객이 택시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카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카드 정보를 제어부 (18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차량 탑재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및 메뉴, 그리고 각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외부 표시장치(155)는 차량의 외부 또는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이 가능한 차량의 전면부나 후면부 또는 측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대한 정상인증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정상적인 운전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이를 알리는 적색등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외부 표시장치(155)의 장착 위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차량의 측면부, 특히 운전석과 반대되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쪽의 창문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인증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 'X'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LED 등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음성신호 출력부(161)는 일종의 스피커 장치로서 후술하는 관제 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메시지나 음성신호 등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음성신호 입력부(162)는 일종의 마이크로폰으로서 운전자의 음성 또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이러한 음성신호 출력부(161) 및 음성신호 입력부(162)는 증폭수단, 필터링 수단, A/D 변환수단 또는 D/A 변환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음성신호 입출력 수단에서 널리 적용되는 일반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무선통신 모듈(170)은 후술하는 관제 서버(2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8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관제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또는 음성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무선통신망은 통상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거나 택시 보안 시스템에서 구축한 별도의 독립적인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보아 같이 차량 탑재장치(100) 내에 구비된 각 구성수단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각 구성수단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생체 인식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결과(인식결과), 영상 기록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신호 입력부(162)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무선통신 모듈(170)을 통해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며, 관제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차량 탑재장치(100) 내의 각 구성수단을 구동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관제 서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탑재장치(100)를 장착한 다수의 차량에 대해 운전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보안 관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무선통신망을 통해 차량탑재 장치(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운전자의 생체인식 결과를 차량탑재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1차적인 인증을 처리한 다음, 다시 차량탑재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음성정보에 의거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관제 서버 (200)는 ARS 시스템을 구동하여 음성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안내 메시지를 차량탑재 장치(100)로 전송하며, 이에 의거하여 차량탑재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자에 대한 음성인식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금융결재 서버(3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금융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카드회사의 서버 또는 금융기관의 서버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 금융결재 서버(300)는 차량탑재 장치(100) 내의 카드판독 모듈(140)로부터 판독된 승객의 카드(신용카드, 스마트카드, 직불카드 등) 정보와 지불하고자 하는 택시요금(결재 요금)을 포함하는 결재 정보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그에 따른 결재 승인 여부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차량 탑재장치(100)로 전송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택시 보안 시스템에서는 차량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정상 인증 여부에 표시하는 표시수단(디스플레이부(150))을 위조하거나 변조하여 허위로 차량의 인증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은 이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 택시 정류장에서 대기중인 택시에 대하여 차량의 정상인증 여부를 식별하고 이를 별도의 표시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이 차량의 허위 인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택시의 인증 상태를 식별하여 표시하기 위한 택시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인식장치를 내장하여 운전자에 대한 생체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생체인증에 따른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결과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상기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인증 정보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를 전송하는 차량 탑재장치; 상기 차량 탑재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인증코드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에서 부여된 기설정된 기준 인증코드를 기저장하며 기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상기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인증 정보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탑재장치로부터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와 상기 기준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차량번호를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인증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인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무인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에서 택시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인증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인증 시스템에서 택시 정류장에 구비되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탑재 장치 110 : 생체 인식장치
120 : 영상 기록장치 130 : GPS 모듈
140 : 카드판독 모듈 150 : 디스플레이부
155 : 외부 표시장치 161 : 음성신호 출력부
162 : 음성신호 입력부 171 : 무선통신 모듈
200 : 관제 서버 300 : 금융결재 서버
400 : 인증 표시장치 410 : 무선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30 : 표시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인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을 응용하고 택시 정류장에 인증 표시장치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택시 인증 시스템을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 인증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인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에 인증 표시장치(400)를 추가 구성하였다. 즉, 도 3에 도시된 차량 탑재장치(100), 관제 서버(200), 금융결재 서버(30)는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수단으로 구성되며, 무선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표시부(430)로 구성된 인증 표시장치 (400)는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추가된 구성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인증 표시장치(400)는 택시 정류장에 설치되는 수단으로서, 먼저 무선 송수신부(41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응답하여 각 차량으로부터 인증 정보, 즉 인증 코드 및 차량 번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4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인증 코드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인증 시스템에 위해 기설정된 암호화된 코드로서 정상 인증된 차량의 경우에는 이 인증 코드를 발생하여 인증 표시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 무선 송수신부(410)는 택시 정류장에 대기중인 차량에 대해서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선 신호의 송수신 범위는 택시 정류장과 인접한 거리, 예를 들면 50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20)는 택시 정류장에 설치되는 인증 표시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410)를 제어하여 주기적인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발생하며 무선 송수신부(410)로부터 인증 코드 및 차량 번호가 수신도리 경우에는 정상적인 인증 코드인지를 식별한 다음, 그에 따라 표시부(430)를 구동하여 정상 인증된 차량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표시부(430)는 제어부(420)에 의해 구동되어 정상 인증된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LED 등으로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인증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증 표시장치(400)의 무선 송수신부(41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의해 택시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해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택시 정류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무선 송수신부(4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수신한 택시의 차량 탑재장치(100)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인증 코드 및 차량 번호를 전송하게 된다. 즉, 차량 탑재장치(100)의 무선통신 모듈(170)은 인증 요구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게 되고, 차량 탑재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기설정된 소정의 인증 코드에 차량번호를 무선통신 모듈(170)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의 내부에는 소정의 인증 코드와 차량번호가 기저장되어 있어야하는데, 특히 인증코드는 관제서버(200)와의 보안관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보안관제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관제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내부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차량 탑재장치(100)로 전송된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는 인증 표시장치(400)의 무선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420)로 전달되는데, 인증 표시장치(400)의 제어부(420)는 수신된 인증코드가 기설정된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 탑재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번호를 표시부(4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인증 표시장치(400)의 표시부(430)에는 택시 정류장에서 대기중인 택시 또는 택시 정류장에 인접한 택시에 대해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차량번호를 표시부(43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이 표시부(430)에 디스플레이된 차량번호와 택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150)의 인증 표시를 대조하여 각 차량의 정상적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안전한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인증 표시장치(400)의 표시부(4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술한 인증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관제서버(200)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지 못한 택시, 즉 도 1에 도시된 보안관제 시스템을 통해 정상적인 운전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관제 서버(200)로부터 인증 코드를 부여받지 못한 택시의 경우에는 인증 표시장치(400)의 제어부(420)에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검출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420)는 차량 탑재장치(100)로부터 인증코드가 수신되지 않거나 잘못된 인증코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차량에 대한 비정상적인 인증으로 간주하여 표시부(430)에 해당 차량의 번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 탑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위변조하여 정상적인 인증표시(예를 들어, 'O' 표시)를 한 차량이더라도 정류장에 설치된 인증 표시장치(400)에는 해당 차량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음으로써 승객은 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에서는 차량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정상 인증 여부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위조하거나 변조하여 허위로 차량의 인증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 승객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택시의 허위 인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택시 정류장에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택시 정류장을 이용하는 차량에 대해서만 차량의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택시 정류장 이용의 활성화를 추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택시의 인증 상태를 식별하여 표시하기 위한 택시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인식장치를 내장하여 운전자에 대한 생체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생체인증에 따른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결과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상기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인증 정보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를 전송하는 차량 탑재장치;
    상기 차량 탑재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인증코드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에서 부여된 기설정된 기준 인증코드를 기저장하며 기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상기 인증 정보 요구신호를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인증 정보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탑재장치로부터 인증코드 및 차량번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와 상기 기준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차량번호를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인증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은 상기 운전자에 대한 지문정보 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표시장치는 택시 정류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인증 시스템.
KR10-2003-0006194A 2003-01-30 2003-01-30 택시 인증 시스템 KR10049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194A KR100496597B1 (ko) 2003-01-30 2003-01-30 택시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194A KR100496597B1 (ko) 2003-01-30 2003-01-30 택시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684A true KR20040069684A (ko) 2004-08-06
KR100496597B1 KR100496597B1 (ko) 2005-06-23

Family

ID=3735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194A KR100496597B1 (ko) 2003-01-30 2003-01-30 택시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62Y1 (ko) * 2008-04-02 2010-05-27 (주)하이게인안테나 지능형교통시스템용 다기능 차량탑재 단말기
KR101469850B1 (ko) * 2005-07-07 2014-12-0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휴대폰과 연동되는 표시장치를 활용한 안심택시운영시스템과 그 방법
CN109334569A (zh) * 2018-10-30 2019-02-15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双屏显示的渣土车稽查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273B1 (ko) * 2005-08-02 2014-08-12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요금협상 및 대리기사들의 브랜드화를 통한 안심대리운전에관한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50B1 (ko) * 2005-07-07 2014-12-0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휴대폰과 연동되는 표시장치를 활용한 안심택시운영시스템과 그 방법
KR200448862Y1 (ko) * 2008-04-02 2010-05-27 (주)하이게인안테나 지능형교통시스템용 다기능 차량탑재 단말기
CN109334569A (zh) * 2018-10-30 2019-02-15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双屏显示的渣土车稽查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597B1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3879B2 (en) Toll charging system and toll charging method
US7408480B2 (en) Dual mode electronic toll collection transponder
EP2575091B1 (en) Unattended fleet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849323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traffic infraction
US9858734B2 (en) Motor vehicle having a driver identification device and driver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r
US8138949B2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on-board unit, and terminal unit
CN107492152B (zh) 一种基于汽车电子标识的电子不停车收费提示方法及系统
CN112132986A (zh) 一种基于v2x车联网技术和rsu技术的近场支付系统
CN101937588A (zh) 一种停车场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109445732A (zh) 基于身份识别的车用信息显示方法及其显示系统
JP2020009302A (ja) 車載機、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転者確認方法
US7053769B2 (en) Vehicle security methods and apparatus
US10956908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cashless payment process from a motor vehicle
US20190325544A1 (en) Automatic Vehicle And Driver Identification System
KR100496597B1 (ko) 택시 인증 시스템
EP1583038B1 (en) Automatic toll pay system
CN110766814A (zh) 车辆支付方法、装置及车辆钥匙
KR20040063245A (ko) 무인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
US20220156748A1 (en) Contactless payment from a vehicle
KR20100085758A (ko) 택시의 불법 운행 방지 시스템
KR100384742B1 (ko)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US20230252475A1 (en) System With A Motor Vehicle And A Data Server Device External To The Motor Vehicle, Motor Vehicle With A User Recognition Device,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Server Device
US201703723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KR20230158996A (ko) 비콘을 활용한 버스 자동결제시스템 및 방법
CN113112624A (zh) 车载设备及用于登记车内人员的身份信息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