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375A -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375A
KR20040069375A KR1020030005709A KR20030005709A KR20040069375A KR 20040069375 A KR20040069375 A KR 20040069375A KR 1020030005709 A KR1020030005709 A KR 1020030005709A KR 20030005709 A KR20030005709 A KR 20030005709A KR 20040069375 A KR20040069375 A KR 2004006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희
박정임
Original Assignee
윤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희 filed Critical 윤두희
Priority to KR102003000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375A/ko
Publication of KR2004006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37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2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arp, e.g. cleaning, moi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택(Tag)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택이 부착된 곳의 위치 정보 및 택의 고유 번호(ID)를 문자, 바코드 또는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 형태로 제공하는 택; 상기 택이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자 지도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정보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최근 이동 통신 및 정보 기술 산업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 및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없는 실내, 지하 및 고층 빌딩이 많은 도심지와 같은 장소에서 더욱 유용하다.

Description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Location tag system}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정보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포함하는 택을 이용하여 택이 부착된 장소의 위치 및 부가 정보를 단말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보유자 및 이해 당사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에서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및 이해 당사자에게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관련 기술 개발이 뜨거운 관심사가 되고 있다. 과거에는 이동 통신 기지국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HLR(Home Location Register)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셀 단위로 파악하는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그 정확도는 기지국 배치 밀도에 따라 대략 수 백미터에서 수 킬로미터에 이른다. 이 정도의 정확도는 상업적인 서비스로서 가치가 없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미 국방성에서 운용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GPS 위성 및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가 4개 이상 안정적으로 수신되면서 모든 신호들의 가시성 및 직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단말기의 위치를 수 십 미터의 정확도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많이 존재하는 실내, 지하 및 고층 빌딩이 밀집한 도심지 환경에서는 GPS 위성 신호 차단 및 다중 경로 오차, 중계기로 인한 기지국 신호의 직진성 상실로 인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아예 계산하지 못하거나 정확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기존의 방식은 이동 통신 사용자들이 별로 존재하지 않는 시골이나 고층 건물 등이 없는 한적한 실외 환경에서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이동 통신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실내, 지하 및 도심지와 같은 환경에서는 원하는 정확도로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없는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방식에서는 단말기의 위치를 기지국에서 계산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가 원하지 않는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GPS 위성 신호 및 기지국 신호가 안정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실내, 지하 및 도심지와 같은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택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자신의 위치를 파악 할 수 있는 경제적인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세부 기술적 과제는 위치 확인 시스템의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택에서 단말기로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저렴한 비용으로 전달할 수 방법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세부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정보 노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방식에서 문제가 되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보유자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부가 정보를 이용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수동형 택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능동형 택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동형 택10': 능동형 택
20: 수동형 택을 인식하는 단말기20': 능동형 택을 인식하는 단말기
30: 부가 정보 서버
50: 수동형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
50': 능동형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
60: 단말기에서 부가 정보 서버로의 데이터 링크
61: 부가 정보 서버에서 단말기로의 데이터 링크
100: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된 수동형 택의 주소
101: 숫자 및 알파벳으로 표현된 수동형 택의 고유 번호(ID)
102: 바코드 형태로 표현된 수동형 택의 고유 번호(ID)
103: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된 수동형 택의 위치 정보
104: 바코드 형태로 표현된 수동형 택의 위치 정보
105: 수동형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담고 있는 RF IC 칩
200: 백열 전구 소켓
201: 능동형 택
202: 백열 전구
211: 능동형 택의 표면에 패턴으로 제작된 안테나
212: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능동형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포함한 신호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택이 부착된 곳의 위치 정보 및 택의 고유 번호(ID)를 문자, 바코드 또는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 형태로 제공하는 택; 상기 택이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자 지도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정보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실시 예로서, 택(10, 10'), 단말기(20, 20'), 부가 정보 서버(30)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택(10, 10')들은 자신이 부착 되어 있는 장소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가 바코드, 단순한 숫자, RF IC 칩 방식으로 표현되어 사용자가 단말기(20)에 부착된 바코드 스캐너 기능을 사용하여 택(10)을 직접 스캔하거나 숫자를 직접 단말기(20)에 입력하거나 아니면 RF IC칩을 인식하는 방식(50)을 사용하는 것을 수동형 택(10)이라 한다. 이와는 달리 전등, 가로등, 전원 콘센트 등에 어댑터 타입으로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의사 GPS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적외선 신호, 단말기 통신 신호 등과 같은 신호(50')를 사용하여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단말기(20')에 송출하는 것을 능동형 택(10')이라 한다. 여기서, 모든 택들은 기존에 구축된 전자 지리 정보 시스템에 쉽게 사용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GPS에서 사용하는 WGS-84 LLH (Longitude, Latitude, Height) 좌표계, ECEF (Earth-Centered-Earth-Fixed) XYZ 좌표계, TM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등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적절한 값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위치 확인 시스템용 택들을 GPS 위성 신호나 이동 통신 기지국의 신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계산할 수 없는 실내, 지하 및 도심지와 같은 장소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단말기(20, 20')를 사용하여 자기 주변에 존재하는 가장 근접한 택으로부터 위치 정보 및 택의 고유 번호(ID)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 할 수 있다. 만일, 단말기 사용자가 전자 지도 정보나 정보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위치 기반 부가 정보의 사용을 원한다면 부가 정보 서버(30)에 데이터 링크(60)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요청을 하고, 부가 정보 서버는 반대 방향 데이터 링크(61)를 사용하여 해당 단말기에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택이 부착된 곳의 위치 및 택의 고유 번호(ID) 정보를 바코드 또는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 형태로 제공하는 택(10); 상기 택이 제공하는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50)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20);단말기가 단말기에서 부가 정보 서버로의 데이터 링크(60)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서버(30)에 부가 정보를 요청하면 부가 정보 서버(30)는 반대방향 데이터 링크(61)를 이용하여 이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해당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보유자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부가 정보를 이용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보면, 단말기 사용자는 위치 정보가 저장된 택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직접 획득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사용자는 부가 정보가 필요할 경우에만 부가 정보 서버에 자신이 인식한 택의 고유 번호(ID)를 송부하여 해당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기 사용자는 위치 정보외의 부가 정보에 대한 수요가 있을 때에만 본인의 인지 하에 부가 정보 서버에 택의 고유 번호(ID)를 노출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기술 방식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단말기에서 측정한 모든 GPS 위성 및 기지국 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위치 계산 전용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 후에 이를 사용자 단말기에 다시 송출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기술 방식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제3자에게 자신의 위치가 노출될 수 있는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단말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수동형 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동형 택에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된 주소 정보(100), 사용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사용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숫자 및 알파벳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택의 고유 번호(ID)(101), 이를 스캐너로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102), 택이 부착된 장소의 위치를 WGS-84 LLH 좌표계를 사용하여 문자로 표시한 위치 정보(103), 이를 스캐너로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104)가 포함된다. 이러한 수동형 택은 간단한 인쇄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택의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지만 선택 사양으로 RF-IC 칩(105)을 부착하여 택의 모든 정보를 담아 전달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동형 택을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건물, 아파트 및 사무실의 주소, 동, 호수 등을 표시하는 문패가 부착되는 장소에 설치한다면 그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5는 능동형 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능동형 택은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는 전기 신호를 송출해야 하므로 전원 확보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된다. 도 5에서는 능동형 택(201)을 천정이나 벽에 설치된 백열전구(202)의 전원을 간단히 이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 모양으로 디자하여 이를 백열전구 소켓(200)과 백열전구(202)사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능동형 택(201) 내부에는 의사 GPS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적외선 신호, 단말기 통신 신호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212)를 생성하는 간단한 회로 및 택의 위치 및 고유번호(ID)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를 내장하고 있다. 능동형 택(201)이 생성한 전기적 신호(212)에는 택이 설치된 장소의 위치 및 택의 고유 번호(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신호(212)는 능동형 택(201) 외부 표면에 패턴으로 제작된 안테나(211)를 통하여 주변에 송출된다. 이와 같이 능동형 택에는 전기 회로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는 수동형 택보다는 다소 비싸진다. 그러나, 수동형 택을 이용하기에 부적합한 지하 주차장과 같은 장소,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 장소, 대형 빌딩 내부, 고층 빌딩이 산재한 도심지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간단히 조명 등이나 가로등의 전구 소켓에 설치될 수 있는 능동형 택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본 발명의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장소에 부착된 택을 단말기가 인식함으로써 택이 부착된 장소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장소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GPS, Galileo, GLONASS 등과 같이 위성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전파 항법 시스템에서 문제시되는 지하, 실내, 고층 빌딩 등이 많은 도심지에서의 전파 차단으로 인한 사용자 위치 계산 불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이동 통신 사용자들이 위성 신호가 차단되는 실내, 지하 및 도심지 환경에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택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효용성 및 경제성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는 택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원하는 경우에만 부가 정보 서버에 택의 고유 번호(ID) 정보를 송출하게 되므로 기존 방식에서 문제가 되었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7)

  1. 택이 부착된 장소의 위치 및 택마다 부여된 고유 번호(ID) 정보를 문자, 바코드 또는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로 송출해주는 택과;
    상기 택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받아 통신망을 이용하여 택이 부착된 장소의 전자 지도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부가 정보 서버;
    를 구비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GPS 위성 신호 및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실내, 지하 및 도심지와 같은 장소에서 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위치 확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택의 위치 및 고유번호(ID) 정보를 숫자, 문자, 바코드 등으로 구성하여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간단한 출력 장비로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수동형 택.
  4. 제1항에 있어서, 택의 위치 및 고유번호(ID) 정보를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의사 GPS 신호, 블루투스, 적외선 신호, 또는 기타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내장한 백열 전구 소켓 어댑터 모양으로 제작된 능동형 택.
  5. 제1항에 있어서, 택의 위치 및 고유번호(ID)를 인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택의 고유번호(ID)에 따른 전자 지리 정보 및 상업적 부가 정보를 제공해주는 부가 정보 서버 또는 부가 정보 시스템. 특히, 건물이나 상가에 택을 부여하여 단말기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건물이나 상가의 부동산 관련 정보, 세금 및 금융 관련 정보, 상업적 광고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부가 서비스.
  7.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가 택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자신의 위치가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기능.
KR1020030005709A 2003-01-29 2003-01-29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KR20040069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709A KR20040069375A (ko) 2003-01-29 2003-01-29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709A KR20040069375A (ko) 2003-01-29 2003-01-29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375A true KR20040069375A (ko) 2004-08-06

Family

ID=3735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709A KR20040069375A (ko) 2003-01-29 2003-01-29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937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3274A1 (en) * 2005-01-06 2006-07-13 Dong-Wook Se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rf-tag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tilizing both of them
KR100778282B1 (ko) * 2006-02-08 2007-11-2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보완한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10020706A1 (en) * 2008-08-18 2010-02-25 Upc Konsultointi Oy Positioning in mobile device
KR101114639B1 (ko) * 2005-08-17 2012-03-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정보 등록이 가능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그장치
KR101241793B1 (ko) * 2012-11-01 2013-03-15 (주)위니텍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형광등 소켓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KR101292277B1 (ko) * 2011-01-31 2013-08-01 주식회사 케이티 실내의 gps 신호 특성값을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와 실내 위치 측정 방법
KR20140006669A (ko) * 2012-07-06 2014-01-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내 측위용 근거리통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US8878666B2 (en) 2012-12-14 2014-11-04 Winitech Co., Ltd. Emergency sign having beacon module for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positioning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3274A1 (en) * 2005-01-06 2006-07-13 Dong-Wook Se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rf-tag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tilizing both of them
KR101114639B1 (ko) * 2005-08-17 2012-03-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정보 등록이 가능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그장치
KR100778282B1 (ko) * 2006-02-08 2007-11-2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보완한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10020706A1 (en) * 2008-08-18 2010-02-25 Upc Konsultointi Oy Positioning in mobile device
KR101292277B1 (ko) * 2011-01-31 2013-08-01 주식회사 케이티 실내의 gps 신호 특성값을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와 실내 위치 측정 방법
KR20140006669A (ko) * 2012-07-06 2014-01-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내 측위용 근거리통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KR101241793B1 (ko) * 2012-11-01 2013-03-15 (주)위니텍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형광등 소켓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US8878666B2 (en) 2012-12-14 2014-11-04 Winitech Co., Ltd. Emergency sign having beacon module for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positio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423B1 (en) RF beacon deployment and method of use
US9491584B1 (en) Hospitality venue navigation, guide, and local based services applications utilizing RF beacons
CN101385382B (zh) 使用手持设备进行测向的系统和方法
CN101493510B (zh) 室内定位系统及方法
US20070001904A1 (en) System and method navigating indoors and outdoors without GPS. utilizing a network of sensors
CN101688911A (zh) 跟踪实施地理定位和局部模式
AU2007239793A1 (en)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ransmitter
KR20050085484A (ko) 휴대 장치 위치 추적 방법,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고정국및 휴대 장치
BRPI0609755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localização de um equipamento de usuário
JP2000111648A (ja)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装置
KR100594120B1 (ko) 위치 측정을 위한 가시광선 통신 시스템과 그 위치 측정방법 및 그를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전송 방법
CN105183771A (zh) 基于城市编码的定位方法和装置
KR20040069375A (ko) 택을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JP2005032155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電子タグ並びに携帯情報端末
KR102009973B1 (ko) 고정용비콘을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593400B1 (ko) 무선 주파수 식별 코드의 구조, 이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N115862204B (zh) 群体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2228481A (ja) 位置関連情報取得方法及び装置
KR20100069908A (ko) 복층 건물 내 2단계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JP2007194801A (ja) 端末位置情報の統合システム
US20180197148A1 (en) Data Acquisition, Fraud Prevention, and Location Approaches
KR101535005B1 (ko) 스마트 기기,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장치 및 그 방법
JP6964842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位置情報サービス方法及び端末プログラム
KR102009964B1 (ko) Ble송수신기를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197586B1 (ko) 와이파이망을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위치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