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860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860A
KR20040068860A KR1020040002498A KR20040002498A KR20040068860A KR 20040068860 A KR20040068860 A KR 20040068860A KR 1020040002498 A KR1020040002498 A KR 1020040002498A KR 20040002498 A KR20040002498 A KR 20040002498A KR 20040068860 A KR20040068860 A KR 2004006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heat exchanger
tube
pipe
det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자노리호
나카타니가즈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86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0Fastening; Joining by force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급탕기 등에 사용하는 누설검지관에 배관을 접속할 때에 필요한 후속가공을 생략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클램프하여 인발가공에 의해 제조하는,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에서는, 상기 클램프에 의한 축관부에 배관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급탕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냉동 사이클장치에는, 이용측열교환기 (2)로서, 외관(11)과 누설검지관(13)으로 구성되는 2중관식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누설검지관(13)에는, 누설검지 홈(12)을 형성하고 있다. 외관(11)과 누설검지관(13)의 사이의 외부공간(15)에 의해서 제 1 유체(예컨대 물)의 유로가 형성되고, 누설검지관(13)의 내부공간(14)에 의해서 제 2 유체(예컨대 냉매)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누설검지 홈(12)은 부식 등이 생기는 것이 원인으로, 누설검지관 (13)의 내부공간(14)과 외부공간(15)이 연이어 통하여, 누설검지관(13)의 외부공간 (15)을 흐르는 제 1 유체(예컨대 물)에 내부공간(14)을 흐르는 제 2 유체(예컨대 냉매)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즉, 누설검지수단은 누설검지관(13)의 바깥둘레면 또는 안둘레면에서 누설검지 홈(12)까지 부식 등이 진행하여, 누설검지 홈(12)내에 제 1 유체(예컨대 물) 또는 제 2 유체(예컨대 냉매)가 유입한 것을 검지한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소 58-120087호 공보(제 3 페이지, 제 2 도)).
그런데, 누설검지관(1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관(131)과 제 1 관(131)보다 지름이 큰 제 2 관(132)으로 구성된다. 제 2 관(132)의 안둘레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누설검지관(13)은 제 1 관(131)을 제 2 관(132)내에 삽입하여 2중관으로 한 상태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중관의 일끝단을 척(21)에 의해 클램프하여 잡아 당겨, 다이스(22)내를 인발하여, 소위 인발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그 후, 척(21)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은 도 9중의 C-C'면에서 절단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발가공만이 종료한 단계에서는, 누설검지관(13)의 한쪽의 끝단부(D)(도 10내의 좌단부)는 제 1 관(131)을 제 2 관(132)보다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른쪽의 끝단부(E)(도 10내의 우단부)는 제 1 관(131)과 제 2 관(132)은 같은 면에서 절단되기 때문에, 제 1 관(131)을 제 2 관(132)보다 돌출하게 할 수는 없었다. 한편, 누설검지관(13)을 2중관식열교환기로서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누설검지관(13)을 외관(11)내에 삽입하여 2중관으로 한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검지관(13)과 외관(11)과의 2중관의 양 끝단에, 배관과의 접속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11에 있어서, 제 1 접속구(31)는 외부공간(15)에만 연이어 통하는 배관을, 제 2 접속구(32)는 내부공간(14)에만 연이어 통하는 배관을 접속하고, 누설검지 홈(12)은 끝단부(33)에서 외기에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접속구(32)를 납땜 등에 의해 누설검지관(13)에 접속할 때에, 한쪽의 끝단부(D)는 제 1 관(131)을 제 2 관(132)보다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납땜 접속할 수 있지만, 다른쪽의 끝단부(E)는 후속가공에 의해 제 2 관 (132)의 일부를 박리하여 취하는 등으로 제 1 관(131)을 제 2 관(132)보다 돌출시킨 상태{끝단(D)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접속구(32)를 접속해야 하였다. 이 후속가공의 필요성에 의해, 열교환기의 생산성이 저하하거나, 열교환기가 고비용화한다고 하는 과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 2 관(132)의 일부를 박리하여 취하는 등과 같은 후속가공을 생략하여,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이용한 급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누설검지관의 양 끝단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누설검지관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누설검지관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누설검지관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예에 의한 2중 링식 죠인트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한 누설검지관의 제작과정에서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누설검지관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누설검지관의 제작과정에서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이용측 열교환기(급탕용 열교환기)
3 : 감압기 4 : 열원측 열교환기(실외 열교환기)
5 : 급수펌프 6 : 급탕탱크
11 : 외관 12 : 누설검지 홈
13, 13a, 13b, 13c, 13d : 누설검지관
131, 131a, 131b, 131c, 131d : 제 1 관
132, 132a, 132b, 132c, 132d : 제 2 관
21 : 척 22 : 다이스
31 : 제 1 접속구 32 : 제 2 접속구
41 : 배관 42 : 접속부
43 : 소켓 44 : 2중 링식 죠인트
441 : 몸통부 442 : 제 1 링
443 : 제 2 링 444 : 너트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는, 일끝단을 클램프하여 인발가공함으로써 누설검지 홈을 구비한 누설검지관을 제조하여, 누설검지관과 외관으로 구성되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클램프에 의해서 생긴 축관부를, 배관과의 접속구로 한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서 생긴 축관부를 이용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관부에서는 누설검지 홈을 폐색(閉塞)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관부에서, 누설검지 홈은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과 누설검지관의 사이의 공간이나, 누설검지관의 내부나, 외기 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는 없어, 누설검지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는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을 관확대하여, 배관을 접속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의 일끝단을 관확대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형태는,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의 내부에 소켓을 삽입하여, 소켓에 배관을 접속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의 일끝단의 내부에 소켓을 삽입하고,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형태는,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에, 2중 링식 죠인트를 사용하여 배관을 접속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중 링식 죠인트를 사용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6 실시형태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2중 링식 죠인트에 의해, 누설검지 홈을 폐색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중 링식 죠인트에 의해, 누설검지 홈은,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과 누설검지관의 사이의 공간이나, 누설검지관의 내부나, 외기 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는 없어, 누설검지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7 실시형태는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끝단을 클램프하여 인발가공을 함으로써 누설검지 홈을 구비한 누설검지관을 제조하여, 클램프에 의해서 생긴 축관부에 배관을 접속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서 생긴 축관부를 이용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를 이용한 급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급탕장치는 압축기(1), 급탕용 열교환기로서의 이용측 열교환기(2), 감압기(3) 및 외기를 열원으로 하는 열원측열교환기(4)로 이루어지는 냉매 사이클 A와, 급수펌프(5), 이용측 열교환기(2) 및 급탕 탱크(6)으로 이루어지는 급탕 사이클 B를 구비하고 있다. 냉매 사이클 A는 냉매로서 예를 들면 탄산가스(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압축기(1)로는 임계압력을 넘는 압력까지 냉매를 압축하여 운전한다.
압축기(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이용측 열교환기(2)에 있어서 급수펌프(5)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뜨거운 물은 급탕 탱크(6)에 저장된다.
다음에, 이러한 급탕장치에 사용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같은 구성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누설검지관(13a)의 양 끝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누설검지관(13a)의 일끝단부(E')는 누설검지관(13a)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 있어서 척(21)에 의해 클램프된 축관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축관부의 바깥둘레부에, 제 2 접속구(32)를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한다. 더욱 제 2접속구(32)에는 제 2 유체(예를 들면, 냉매)가 흐르는 배관(41)이 접속된다.
이 축관부에는, 제 1 관(131a)과 제 2 관(132a)의 사이에 형성된 누설검지 홈(12)이 척(21)에 클램프된 것에 의해,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누설검지 홈(12)은 축관부에 있어서는, 외부공간(15)이나 내부공간(14)이, 외기 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다른쪽의 끝단부(D)에서는, 종래와 같이 누설검지 홈(12)은 외기에만 연이어 통하고 있기 때문에, 끝단부(D)를 이용하여 누설검지를 할 수 있다.
또한, 누설검지 홈(12)은 누설검지관(13a)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서, 척 (21)에 의해 클램프할 때에, 내부공간(14)내에 둥근 막대와 같은 치구를 삽입하여 둠으로써, 내부공간(14)이 납작해지는 경우가 없고, 열교환기로서의 기능이 없어지는 일은 없다.
또, 도 2에 있어서는, 축관부의 관지름과 배관(41)의 관지름은 거의 동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척(21)의 형상을, 원형이 아니라, 반타원, 방형 등의 형으로 하고, 또한, 그에 맞는 형상의 제 2 접속구(32)를 접속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누설검지관(13a)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 있어서 생긴 축관부를 이용하여, 이 축관부에 제 2 접속구(32)를 접속함으로써, 종래의 열교환기와 같이 누설검지관(13)의 일끝단을 절단하거나, 또는 누설검지관(13)의 제 2 관(132)의 일부를 박리하여 취한다고 하는 후속가공을 생략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축관부에서는, 누설검지 홈(12)은 누설검지관 (13a)을 제작하는 인발가공시에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공간(15)이나 내부공간(14)이 외기 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가 없어, 누설검지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내부공간(14)에 둥근 막대와 같은 치구를 삽입하고 나서 클램프하기 때문에, 냉매유로가 되는 제 1 관(131a)의 내부공간(14)이 찌부러지는 경우가없고, 열교환기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누설검지관(13a)을 사용하여 제작한 열교환기(2)를 급탕장치에 사용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누설검지관(13a)의 내부공간(14)을 냉매인 탄산가스의 유로로 하고, 외부공간(15)을 물의 유로로 한다. 이 급탕장치에 있어서는, 압축기(1)로 압축된 냉매는 고온고압상태가 되어, 이용측 열교환기(2)의 누설검지관(13a)의 내부공간(14)을 통과할 때에, 외부공간(15)을 흐르는 물에 방열하여 냉각된다. 즉, 급수펌프(5)에 의해서 급탕 탱크(6)의 하부로부터 이용측 열교환기(2)의 외부공간(15)으로 보내진 물은 내부공간(14)을 흐르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다. 냉매는 그 후 감압기(3)에 의해 감압되어, 저온저압의 기액이상(氣液二相)상태가 된다. 그리고, 열원측 열교환기(4)에서는, 냉매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기액이상 또는 가스상태가 되어, 다시 압축기(1)에 흡입된다. 이러한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이용측 열교환기(2)를 흐르는 물은 뜨거운 물이 되어, 그 뜨거운 물을 급탕 탱크(6)의 정수리부에서 저장함으로써 급탕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산가스를 냉매로서 사용하여, 급탕장치의 이용측 열교환기로서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를 사용하면, 누설검지기능을 가진 저비용의 열교환기라도, 탄산가스를 흐르게 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이 향상한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누설검지관(13b)의 양 끝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누설검지관(13b)의 일끝단부(E')는 누설검지관(13b)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 있어서 척(21)에 의해 클램프된 축관부를 절단하여, 제 1 관(131b)과 제 2 관 (132b)을 합하여 관확대한 접속부(42)이다. 또한 접속부(42)에는 제 2 유체(예컨대, 냉매)가 흐르는 배관(41)이 접속된다.
이 누설검지관(13b)의 일끝단부(E')에서는, 제 1 관(131b)과 제 2 관(132b)의 사이에 형성된 누설검지 홈(12)은 관확대나 접속부(42)에의 배관(41) 납땜 등에 의해 홈이 메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다른 쪽의 끝단부(D)에서는, 종래와 같이 누설검지 홈(12)은 외기에만 연이어 통하고 있기 때문에, 끝단부(D)를 이용하여 누설검지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누설검지관(13b)의 일끝단을, 제 1 관(131b)과 제 2 관(132b)을 합하여 관확대하여 접속부(42)를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열교환기와 같이 누설검지관(13)의 제 2 관(132)의 일부를 박리하여 취한다고 하는 후속가공을 생략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누설검지관(13c)의 양 끝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누설검지관(13c)의 일끝단부(E')는 누설검지관(13c)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 있어서 척(21)에 의해 클램프된 축관부를 절단하여, 접속 소켓(43)을 사용하여배관(41)을 접속하고 있다. 접속 소켓(43)은 그 일끝단측이 제 1 관(131c)의 안지름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다른 끝단측이 제 2 유체(예컨대, 냉매)가 흐르는 배관 (41)의 바깥지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누설검지관(13c)의 일끝단부(E')에서는, 제 1 관(131c)과 제 2 관(132c)의 사이에 형성된 누설검지 홈(12)은 접속 소켓(43)의 삽입이나 납땜 등에 의해 홈이 메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다른 쪽의 끝단부(D)에서는, 종래와 같이 누설검지 홈(12)은 외기에만 연이어 통하고 있기 때문에, 끝단부(D)를 이용하여 누설검지를 할 수 있다. 또, 접속 소켓(43)은 누설검지관(13c)이나 배관(41)과 같은 재질,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누설검지관(13c)의 일끝단에 제 1 관(131c)의 안지름에 따르도록 형성된 접속 소켓(43)을 삽입하여, 배관(41)을 접속함으로써, 종래의 열교환기와 같이 누설검지관(13)의 제 2 관(132)의 일부를 박리하여 취한다고 하는 후속가공을 생략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누설검지관(13d)의 양 끝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누설검지관(13d)의 일끝단부(E')는 누설검지관(13d)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 있어서, 척(21)에 의해 클램프된 세관부를 절단하여, 2중 링식 죠인트(44)를 사용하여 배관(41)을 접속하고 있다. 2중 링식 죠인트(44)는, 그 몸통부(441)의 일끝단측에 일끝단부(E')가 삽입되고, 다른 끝단측에 배관(41)이 삽입되어 있고, 배관(41)은 그 몸통부(441)에 납땜 접합되어 있다. 2중 링식 죠인트(4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441), 제 1 링(442), 제 2 링(443), 너트(444)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441)의 내부는 축방향에 연통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일끝단의 내면에는 제 2 링(443)의 일끝단의 테이퍼부(53)와 끼워맞춤하는 테이퍼부(5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바깥면에는 너트(444)와 결합하는 나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442)의 일끝단에는, 제 2 링(443)의 다른 끝단의 내면에 삽입되는 돌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누설검지관(13d)을, 너트(444),제 1 링(442), 제 2 링(443)의 구멍을 통해서 몸통부(441)의 일끝단에 삽입하여, 너트(444)를 죄는 것에 의해, 제 1 링(442)의 돌기부(54)가 제 2 링(443)의 내면에 끼워맞춤하고, 또한, 제 2 링(443)의 테이퍼부(53)가 몸통부(441)의 테이퍼부(51)에 끼워맞춤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링(442)과 제 2 링(443)이 누설검지관(13d)을 누르는 몸통부(441)에 고정되어, 누설검지관(13d)의 내부공간(14)과 몸통부 (441)의 내부를 연이어 통과시키는 한편, 외기와의 기밀을 유지하다.
이 누설검지관(13d)의 제 1 관(131d)과 제 2 관(132d)의 사이에 형성된 누설검지 홈(12)은 제 1 링(442)과 제 2 링(443)에 의해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다. 또, 2중 링식 죠인트(44)의 몸통부(441)의 축방향에 연이어 통한 내부의 다른 끝단은 납땜 접합으로 배관(41)에 접속되어 있지만, 나사 접속 등의 다른 접합방법이더라도 좋다.
누설검지관(13d)의 일끝단부(E')에서는, 제 1 관(131d)과 제 2 관(132d)의 사이에 형성된 누설검지 홈(12)이 2중 링식 죠인트(44)의 제 1 링(442)과 제 2 링(443)에 의해, 압축되고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끝단부(E')에서는, 외부공간(15)이나 내부공간(14)이 외기 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다른쪽의 끝단부(D)에서는, 종래와 같이 누설검지 홈(12)은 외기에만 연이어 통하고 있기 때문에, 끝단부(D)를 이용하여 누설검지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2중 링식 죠인트(44)를 사용하여 배관(41)을 접속함으로써, 종래의 열교환기와 같이 누설검지관(13)의 제 2 관(132)의 일부를 박리하여 취하는 후속 가공을 생략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2중 링식 죠인트(44)에 의해 누설검지 홈(12)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11)과 누설검지관(13d)의 사이의 공간(15)이나, 누설검지관(13d)의 내부공간(14)이나, 외기 등과 연이어 통하는 경우는 없어, 누설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을 제작할 때의 인발가공에서 생긴 축관부를 이용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관부에서는, 누설검지 홈이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과 누설검지관의 사이의 공간이나, 누설검지관의 내부나, 외기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가 없어, 누설검지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의 일끝단을 제 1 관과 제 2 관을 합하여 관확대하여 접속부를 제작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설검지관의 일끝단에 제 1 관의 안지름을 따르도록 형성된 접속 소켓을 삽입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2중 링식 죠인트를 사용하여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생산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중 링식 죠인트에 의해, 누설검지 홈은, 압축되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과 누설검지관의 사이의 공간이나, 누설검지관의 내부나, 외기 등으로 연이어 통하는 경우가 없어, 누설검지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일끝단을 클램프하여 인발가공함으로써 누설검지 홈을 구비한 누설검지관을 제조하여, 상기 누설검지관과 외관으로 구성되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 의해서 생긴 축관부를, 배관과의 접속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로 상기 누설검지 홈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을 관확대하여, 배관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의 내부에 소켓을 삽입하여, 상기 소켓에 배관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지관의 적어도 일끝단에, 2중 링식 죠인트를 사용하여 배관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링식 죠인트에 의해, 상기 누설검지 홈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외관과, 누설검지 홈을 형성한 누설검지관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끝단을 클램프하여 인발가공함으로써 누설검지 홈을 구비한 누설검지관을 제조하여, 상기 클램프에 의해서 생긴 축관부에 배관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20040002498A 2003-01-27 2004-01-14 열교환기 KR200400688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17371A JP2004226045A (ja) 2003-01-27 2003-01-27 熱交換器
JPJP-P-2003-00017371 2003-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860A true KR20040068860A (ko) 2004-08-02

Family

ID=3290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498A KR20040068860A (ko) 2003-01-27 2004-01-14 열교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26045A (ko)
KR (1) KR20040068860A (ko)
CN (1) CN1517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73U (ko) 2016-04-12 2017-09-20 김화규 낚시바늘용 미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439B2 (ja) * 2005-12-06 2012-02-01 株式会社デンソー 二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03434B1 (ko) * 2017-08-18 2022-05-27 조한용 이중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73U (ko) 2016-04-12 2017-09-20 김화규 낚시바늘용 미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26045A (ja) 2004-08-12
CN1517661A (zh)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35080A (ja) 二重管用継手
JP2010096225A (ja) 管継手、熱交換チューブと管継手の接合構造、および熱交換チューブと管継手の接合方法
JP2006003071A (ja) 熱交換器
JP2007187413A (ja) 熱交換器
CN110369959B (zh) 一体式拉伸储液器制作工艺
KR20040068860A (ko) 열교환기
KR100749536B1 (ko) 냉동장치 및 냉난방 장치의 배관 연결 장치 및 연결방법
US20040183298A1 (en) Double tube coup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379335A (zh) 卡套式管连接结构、管接头、阀、闭锁阀、冷冻循环装置、热水供应装置、卡套式管连接方法及现场配管连接方法
KR100503486B1 (ko) 냉동기의 냉매파이프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KR101133382B1 (ko) 에어컨 냉매순환라인의 수놈배관 및 그 제조방법
JP2009168127A (ja) 二重管継手構造
CN209196383U (zh) 一种换热器多功能压板
JP2008057860A (ja) 熱交換器
KR100558819B1 (ko) 열교환기의 리턴벤드 결합방법
US6991264B2 (en) Compressor and method of connecting pipe to the same
JP5802006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160005446A (ko) 냉장고용 증발기와 캐피러리 튜브 및 석션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 방법
JP2006218517A (ja) 金属製絞り管およびその製造法
KR19980052506A (ko)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KR200218976Y1 (ko) 콘덴서 확관 장치
KR20120007799A (ko) 이중관의 연결구조
KR100846468B1 (ko) 파이프연결구의 제조방법
KR200231206Y1 (ko) 하나의 토출관으로 냉동용 압축기의 실린더와연결되어지는 어큐뮬레이터
JP2009127998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