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811A -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811A
KR20040068811A KR1020030005359A KR20030005359A KR20040068811A KR 20040068811 A KR20040068811 A KR 20040068811A KR 1020030005359 A KR1020030005359 A KR 1020030005359A KR 20030005359 A KR20030005359 A KR 20030005359A KR 20040068811 A KR20040068811 A KR 20040068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pickup
driv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2092B1 (ko
Inventor
강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0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는, 구동원과, 피딩 롤러가 설치되는 피딩 샤프트와, 픽업 롤러가 설치되는 픽업 샤프트와, 픽업된 인쇄 용지의 이송을 도모하는 드라이브 롤러가 설치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피딩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기어와; 제1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1 아이들 기어와; 제1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스윙기어 장치와; 스윙기어 장치와 기어연결되는 제2 기어와;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며, 드라이브 샤프트상에 설치되어 드라이브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기어와; 스윙기어 장치와 축연결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부(universal joint); 및 유니버설 조인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픽업 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변식 링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유니버설 조인트부를 사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급지 카세트에 적재되는 인쇄 용지의 높이에 따라 픽업 롤러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도 줄일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APPARATUS FOR FEEDING PAPER OF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를 통해 인쇄 용지 상에 잉크를 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인쇄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용지를 공급하는 측과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는 측이 동일한 FIFO(Front Insert Front Out) 타입의 급지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FIFO 타입의 급지구조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 용지 상에 잉크를 분사시키기 위한 프린트 헤드(10)와, 인쇄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20)와, 적재된 인쇄 용지를 프린트 헤드(10)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30)를 포함한다. 그리고,급지장치(30)는 적재된 인쇄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31)와, 픽업된 인쇄 용지를 이동시키는 드라이브 롤러(32)와, 이송된 용지를 일정 간격으로 프린트 헤드(1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피딩 롤러(33)와,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되는 인쇄 용지의 높이에 따라 픽업 롤러(31)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36)(37)를 포함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8은 지지대를 나타낸다.
상기 픽업 롤러(31)가 구동되면,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되어 있는 인쇄 용지는 분리벽(21)에 의해 분리되어 낱장씩 픽업된다. 그리고, 픽업된 인쇄 용지는 드라이브 롤러(32)와 드라이브 롤러(32)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고 있는 핀치 롤러(34) 사이로 진입하여 드라이브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피딩 롤러(33) 측으로 이동된다. 피딩 롤러(33)로 이동된 인쇄 용지는 피딩 롤러(33)와 피딩 롤러(33) 상측에 설치된 마찰 롤러(35)의 회전에 의해 프린트 헤드(10)의 하측으로 이송된다. 인쇄 용지가 프린트 헤드(10) 하측에 설치된 용지 가이드(40)에 도달되면, 프린트 헤드(10)가 캐리지 이동축(11)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후, 인쇄가 완료된 인쇄 용지는 배지 롤러(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프린트 헤드(10)가 이동되면서 인쇄 용지 상의 좌, 우 동일선 상에 잉크 분사를 완료하는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피딩 롤러(33)는 인쇄 용지를 일정 간격을 두고 용지 가이드(40)로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인쇄 용지에 대한 간격이송(Line Feed)을 위해서 피딩 롤러(33)를 구동시키기 위한 LF모터(미도시)가 이용된다. 이 LF모터는 피딩 롤러(33)를 구동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픽업 롤러(3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즉, LF모터가 정회전하여 피딩 롤러(33)를 용지 이송 방향(A)으로 구동시키다가 그 회전 방향을 바꾸면, 피딩 롤러(33)는 역방향(B)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링크부(36) 및 제2 링크부(37)에 의하여 구동력이 픽업 롤러(31)에 전달되어 픽업 롤러(31)가 용지 픽업 방향(C)으로 회전되면서 용지를 픽업하게 된다. 픽업 롤러(31)에 의해 픽업된 용지가 드라이브 롤러(32)에 의해 역방향(B)으로 회전되고 있는 피딩 롤러(33)에 도달되면, LF모터는 다시 정회전하여 피딩 롤러(33)를 용지 이송 방향(A)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픽업 롤러(31)로의 구동력은 차단되어 픽업 롤러(31)는 정지된 상태로 인쇄 용지 상에 놓이게 되며, 용지는 피딩 롤러(33)에 의해 용지 가이드(40)로 간격이송된다.
이와 같은 구동 메커니즘에 의하여 픽업 및 이송이 진행되면서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가 낮아 지게 되며, 이에 따라 픽업 롤러도 적재된 인쇄 용지를 픽업하도록 제1 링크부(36) 및 제2 링크부(37)에 의하여 그 위치가 조절된다. 즉,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가 낮아지면 제1 링크부(36) 및 제2 링크부(37)가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 이동됨으로써, 픽업 롤러(31)가 인쇄 용지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조절된다. 이와 반대로, 급지 카세트(20)에 인쇄 용지가 새롭게 적층되는 경우에도 그 인쇄 용지의 높이에 따라 제1 링크부(36) 및 제2 링크부(37)가 시계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여 픽업 롤러(31)가 인쇄 용지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30)는 적재된 인쇄용지의 높이에 따라 픽업 롤러(3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링크부(36)(37)를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구동원으로 부터의 구동력을 위치 고정된 샤프트(36a)를 통해서 전달받아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높이나 위치에 대한 제약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가 변하게 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로서 픽업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급지장치 110 : 구동원
120 : 피딩 샤프트 130 : 픽업 샤프트
131 : 픽업 롤러 140 : 스윙기어 장치
141 : 제3 기어 143 : 제1 스윙기어
145 : 제2 아이들 기어 147 : 제2 스윙기어
149 : 스윙 프레임 150 : 유니버설 조인트
151 : 커넥터 151a : 돌출부
153 : 제1 축부 155 : 제2 축부
160 : 가변식 링크부 161 : 링크 하우징
163 : 픽업 구동기어 165 : 픽업 기어
169 : 가이드부 169a : 가이드 봉
169b : 가이드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며 피딩 롤러가 설치되는 피딩 샤프트와,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며 픽업 롤러가 설치되는 픽업 샤프트와, 상기 픽업 샤프트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용지의 이송을 도모하는 드라이브 롤러가 설치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딩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1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1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스윙기어 장치와; 상기 스윙기어 장치와 기어연결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스윙기어 장치와 축연결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부(universaljoint); 및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픽업 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변식 링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윙기어 장치는 상기 제1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3 기어와; 상기 제3 기어의 일측과 기어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1 스윙기어와; 상기 제3 기어의 타측과 기어연결되는 제2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2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 스윙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제1 및 제2 스윙기어와, 제2 아이들 기어가 설치되는 스윙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의 일측과 축연결된 스윙 샤프트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변식 링크부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의 타측과 축연결된 픽업 구동 샤프트상에 설치되는 픽업 구동기어와; 상기 픽업 구동기어와 기어연결되며, 상기 픽업 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픽업 기어와; 상기 픽업 샤프트상에 설치되며, 상기 픽업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픽업 롤러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픽업 샤프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축공과, 상기 픽업 구동 샤프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 축공이 형성되는 링크 하우징; 및 상기 링크 하우징의 선회 및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링크 하우징의 상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 하우징을지지하며,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변식 링크부는 상기 픽업 구동기어 및 픽업 기어에 개재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픽업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픽업 기어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는 소정 개수의 중계기어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는 상기 제3 기어가 설치되는 스윙 샤프트와 축연결되는 제1 축부와; 상기 픽업 구동기어가 설치되는 픽업 구동 샤프트와 축연결되는 제2 축부; 및 상기 제1 축부 및 상기 제2 축부를 축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는 상기 커넥터의 양단에 그 축방향과 직교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축부와 제2 축부의 상기 커넥터와 대향되는 측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윙 샤프트와 제1 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픽업 구동 샤프트와 제2 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는, 상기 픽업 샤프트가 삽입되는 지지공이 일단에 형성되며, 프린터 프레임상에 삽입회전하는 회전 돌기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100)는, 구동원(110)과, 피딩 롤러(123)가 설치되는 피딩 샤프트(120)와, 스윙기어 장치(140)와, 드라이브 롤러(183 : 도 5a 참조)가 설치되는 드라이브 샤프트(180 : 도 5a 참조)와, 유니버설 조인트부(150)와, 가변식 링크부(160)와, 픽업 롤러(131)가 설치되는 픽업 샤프트(130)와, 지지대(170)를 포함한다.
구동원(110)은 피딩 샤프트(120), 드라이브 샤프트(180), 픽업 샤프트(130)를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일반적으로 DC 모터가 사용된다. 이 구동원(110)은 피딩 롤러(123)의 간격이송(Line Feed)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LF모터라 불리기도 한다. 모터에는 타이밍 벨트(113)가 연결되며, 이 타이밍 벨트(113)는 감속 기어(111)와 연결된다.
피딩 샤프트(120)는 구동원(110)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 기어(111)로부터 전달받는 피딩 기어(121)가 설치되며, 그 외주면을 감싸도록 복수개의 피딩 롤러(123)가 설치된다. 또한, 피딩 샤프트(120)의 일단에는 제1 기어(125)가 설치되어 회전 구동력을 후술할 스윙기어 장치(140)로 전달한다. 이러한 피딩 롤러(123)는 픽업 롤러(131)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프린트 헤드(10 : 도 1 참조)측으로 간격이송시킨다. 여기서 피딩 샤프트(120)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된다.
스윙기어 장치는 고정 기어의 회전력을 유성 기어를 통하여 주변 기어에 전달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기어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윙기어 장치(140)는, 제1 기어(125)와 기어연결되는 제1 아이들 기어(127)를 통하여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스윙기어 장치(140)는, 제3 기어(141)와, 제1 스윙기어(143)와, 제2 아이들 기어(145)와, 제2 스윙기어(147)와, 스윙 프레임(14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기어(141)는 스윙 샤프트(141a)상에 설치되며, 피딩 샤프트(120)상에 설치된 제1 기어(125)와 기어연결된 제1 아이들 기어(127)와 기어연결된다. 이 제3 기어(141)는 제1 스윙기어(143)와 제2 아이들 기어(145)와 기어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제2 스윙기어(147)는 제2 아이들 기어(145)와 기어연결된다. 스윙 프레임(149)은 제3 기어(141)와, 제1 스윙기어(143)와, 제2 아이들 기어(145)와, 제2 스윙기어(147)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윙기어 장치(140)는, 구동원(110)의 회전방향과 상관없이 드라이브 롤러(183)를 일정한 방향 즉, 인쇄 용지가 피딩 롤러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어(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스윙기어(143)가 제2 기어(185)와 기어연결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어(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스윙기어(147)가 제2 기어(185)와 기어연결된다.
드라이브 샤프트(180)는 드라이브 롤러(183)가 설치되어 픽업 롤러(131)에 의하여 낱장씩 픽업된 인쇄 용지가 피딩 롤러(123)측으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드라이브 샤프트(180)상에는 드라이브 기어(181)가 설치되어 제2 기어(185)와 기어연결된다. 상기한 스윙기어 장치(140)의 구동 메커니즘에 의하여 제1스윙기어(143) 또는 제2 스윙기어(147)와 선택적으로 기어연결된 제2 기어(185)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기어(181)에 의하여 드라이브 샤프트(180)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드라이브 롤러(18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드라이브 롤러(183)의 회전은 제2 기어(185)가 제1 스윙기어(143)와 제2 스윙기어(147) 중 어느 측과 기어연결되더라도 그 회전방향은 인쇄 용지를 피딩 롤러(123)측으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회전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7은 핀치 롤러를 나타낸다.
가변식 링크부(160)는 링크 하우징(161)과, 픽업 구동기어(163)와, 픽업 기어(165)와, 원웨이 클러치(133)와, 가이드부(1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크 하우징(161)은 픽업 구동 샤프트(163a)와 픽업 샤프트(1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픽업 샤프트(130)가 삽입되는 제1 축공(130a)과, 픽업 구동 샤프트(163a)가 삽입되는 제2 축공(163b)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69)는 링크 하우징(161)의 선회 및 이동을 가이드한다.
픽업 구동기어(163)는 픽업 구동 샤프트(163a)상에 설치되며, 후술할 유니버설 조인트부(15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픽업 기어(165)는 픽업 샤프트(130)상에 설치되며 픽업 구동기어(163)와 기어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픽업 기어(165)에 의하여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하여 픽업 샤프트(130)상에 설치된 픽업 롤러(131)가 회전하게 되어 인쇄 용지를 픽업하게 된다. 이때, 픽업 샤프트(130)상에는 원웨이 클러치(133)가 설치되어 픽업 기어(165)가 인쇄 용지를 픽업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픽업 롤러(131)가 회전되며, 픽업 기어(16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픽업 롤러(131)에 구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픽업장치(100)의 설치공간 등을 고려하여 픽업 기어(165)와 픽업 구동기어(163) 사이에 중계기어(167a)(167b)가 설치된다. 이러한 중계기어(167a)(167b)는 픽업 구동기어(163)의 회전방향과 픽업 기어(165)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는 개수로 설치된다.
가이드부(169)는, 링크 하우징(161)의 상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169b) 및 이에 삽입되는 가이드 봉(169a)을 포함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20 : 도 1 참조)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에 따라서 링크 하우징(161)의 선회 및 이동이, 가이드 홈(169b)과 가이드 봉(169a)에 의하여 안내된다.
유니버설 조인트부(150)는, 제1 축부(153)와, 제2 축부(155)와, 커넥터(151)를 포함한다. 제1 축부(153)는 제3 기어(141)가 설치되는 스윙 샤프트(141a)와 축연결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축부(153)와 스윙 샤프트(141a)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축부(155)는 픽업 구동기어(163)가 설치되는 픽업 구동 샤프트(163a)와 축연결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축부(155)와 픽업 구동 샤프트(163a)는 일체로 형성된다. 커넥터(151)는 제1 축부(153)와 제2 축부(155)가 축연결되도록 하며, 그 양단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돌출부(151a)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축부(153)와 제2 축부(155)에 있어서, 커넥터(151)와 대향되는 양측에는 돌출부(151a)가 끼워지는 홈부(153a)(155a)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3 기어(14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축부(153)가 회전하게 되면 그 홈부(153a)에 끼워진 돌출부(151a)에 의하여 커넥터(151)가 회전하게 되고 반대측에 위치한 돌출부(151a)에 의하여 제2 축부(155)가 회전하게 되어 픽업 구동기어(163)가 구동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링크 하우징(161)이 그 가이드 홈(169b)의 상측이 가이드 봉(169a)에 걸리게 될때까지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때 커넥터(151)는 제1 축부(153)로부터 제2 축부(155)로 경사진 상태로 계속하여 구동력을 픽업 구동기어(163)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픽업 롤러(131)가 인쇄 용지상에 접촉되어 픽업이 이루어 진다.
이와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링크 하우징(161)이 그 가이드 홈(169b)의 하측이 가이드 봉(169a)에 걸리게 될때까지 상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커넥터(151)는 제1 축부(153)와 제2 축부(155)와 대략 수평방향을 유지하는 상태로 계속하여 구동력을 픽업 구동기어(163)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 샤프트(141a) 즉, 제1 축부(153)와 픽업 구동 샤프트(163a) 즉, 제2 축부(155)가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유니버설 조인트부(150)에 의하여 회전구동력이 전달된다.
지지대(170)는 링크 하우징(161)의 선회, 이동시 이를 지지하도록, 픽업 샤프트(130)가 삽입되는 지지공(172)이 일단에 형성되며, 타단에는 회전 돌기부(171)가 형성된다. 회전 돌기부(171)는 지지대(17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프린터의 프레임(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된 인쇄용지가 소모되어 감에 따라, 지지공(172) 및 제1 축공(130a)에 삽입되는 픽업 샤프트(130)를 선회축으로 하여 링크 하우징(161)은 선회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지대(170)는 회전 돌기부(171)를 선회축으로 하여 선회하게 된다.
이하, 도 5a 및 도 5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인쇄신호가 프린터 시스템으로 전달되면, 구동원(110)이 회전(도 5a에서 반시계 방향)하여 픽업 롤러(131)를 용지 픽업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타이밍 벨트(113)에 연결된 감속 기어(11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감속 기어(111)와 기어연결된 피딩 기어(1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피딩 기어(121)가 결합되어 있는 피딩 샤프트(120)와 피딩 롤러(12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피딩 샤프트(120)의 단부에 설치된 제1 기어(125)와 제1 아이들 기어(127)를 통하여 제3 기어(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3 기어(141)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기어 장치(140)의 제1 스윙기어(143)가 제2 기어(185)와 기어연결되어, 제2 기어(18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기어(185)와 기어연결된 드라이브 기어(18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드라이브 기어(181)가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18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함께 드라이브 샤프트(180)에 설치된 드라이브 롤러(1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픽업 기어(131)에 의해 픽업된 인쇄 용지를 피딩 롤러(123)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141)가 설치된 유니버설조인트부(150)의 제1 축부(153)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커넥터(151)에 의하여 제2 축부(155)에 설치된 픽업 구동기어(163)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링크 하우징(161)의 하부에 설치된 픽업 기어(16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된 인쇄 용지를 낱장씩 픽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낱장씩 픽업된 인쇄 용지는 상기한 드라이브 롤러(183)에 의하여 피딩 롤러(123)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인쇄 용지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딩 롤러(123)에 인쇄 용지가 도달되면, 이송되는 인쇄 용지의 라인 피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픽업 롤러(131)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원(110)은 반대 방향,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어연결 메커니즘에 의하여 반대 방향의 회전 구동력은 스윙기어 장치(140)의 제3 기어(141)로 전달되며, 그에 의하여 제3 기어(1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스윙기어 장치(140)의 스윙 프레임(149)이 스윙 샤프트(141a)를 선회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제2 스윙기어(147)가 제2 기어(185)와 기어연결되어 드라이브 롤러(18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드라이브 롤러(183)의 회전방향은 제1 스윙기어(143)와 제2 스윙기어(147) 중 어느 기어와 기어연결되더라도 그 회전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즉, 픽업된 인쇄 용지를 피딩 롤러(123)측으로 이송시키는 방향(도 5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항상 회전하게 된다.
한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141)가 설치된 제1 축부(153)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축부(153)의 회전 구동력을 커넥터(151)에 의하여 전달받는 제2 축부(15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픽업 기어(16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픽업 샤프트(130)상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133)에 의하여 구동력은 픽업 롤러(131)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픽업 롤러(131)에 의하여 인쇄 용지가 더 이상 픽업되지 않게 되어, 인쇄 용지의 라인 피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의 픽업 롤러(131)는 급지된 인쇄 용지가 드라이브 롤러(183)에 의하여 이동될 때 자유 회전을 하게 되어 인쇄 용지의 이송 저항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링크 하우징(161)이 급지 카세트(20)에 적재된 인쇄 용지의 높이에 따라 선회 및 이동시에, 장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69b)을 따라 가이드 봉(169a)에 의하여 링크 하우징(161)이 지지되며, 이때, 지지대(170)가 회전 돌기부(171)를 선회축으로 하여 선회하면서 그 지지공(172)에 삽입된 픽업 샤프트(130) 및 링크 하우징(161)을 지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니버설 조인트부를 사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급지 카세트에 적재되는 인쇄 용지의 높이에 따라 픽업 롤러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설치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도 줄일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며 피딩 롤러가 설치되는 피딩 샤프트와,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며 픽업 롤러가 설치되는 픽업 샤프트와, 상기 픽업 샤프트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용지의 이송을 도모하는 드라이브 롤러가 설치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딩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상기 제1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스윙기어 장치;
    상기 스윙기어 장치와 기어연결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스윙기어 장치와 축연결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부(universal joint); 및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픽업 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변식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기어 장치는,
    상기 제1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3 기어;
    상기 제3 기어의 일측과 기어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1 스윙기어;
    상기 제3 기어의 타측과 기어연결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상기 제2 아이들 기어와 기어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 스윙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제1 및 제2 스윙기어와, 제2 아이들 기어가 설치되는 스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의 일측과 축연결된 스윙 샤프트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링크부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의 타측과 축연결된 픽업 구동 샤프트상에 설치되는 픽업 구동기어;
    상기 픽업 구동기어와 기어연결되며, 상기 픽업 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픽업 기어;
    상기 픽업 샤프트상에 설치되며, 상기 픽업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픽업 롤러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
    상기 픽업 샤프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축공과, 상기 픽업 구동 샤프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 축공이 형성되는 링크 하우징; 및
    상기 링크 하우징의 선회 및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링크 하우징의 상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 하우징을 지지하며,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링크부는,
    상기 픽업 구동기어 및 픽업 기어에 개재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픽업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픽업 기어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는 소정 개수의 중계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는,
    상기 제3 기어가 설치되는 스윙 샤프트와 축연결되는 제1 축부;
    상기 픽업 구동기어가 설치되는 픽업 구동 샤프트와 축연결되는 제2 축부; 및
    상기 제1 축부 및 상기 제2 축부를 축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부는,
    상기 커넥터의 양단에 그 축방향과 직교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축부와 제2 축부의 상기 커넥터와 대향되는 양 측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샤프트와 제1 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픽업 구동 샤프트와 제2 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10.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샤프트가 삽입되는 지지공이 일단에 형성되며, 프린터 프레임상에 삽입회전하는 회전 돌기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2003-0005359A 2003-01-27 2003-01-27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049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59A KR100492092B1 (ko) 2003-01-27 2003-01-27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59A KR100492092B1 (ko) 2003-01-27 2003-01-27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811A true KR20040068811A (ko) 2004-08-02
KR100492092B1 KR100492092B1 (ko) 2005-06-01

Family

ID=3735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359A KR100492092B1 (ko) 2003-01-27 2003-01-27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1235B2 (en) 2005-06-02 2008-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129426A (ko) * 2014-05-12 2015-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N105437797A (zh) * 2015-12-14 2016-03-30 广州市宝比万像科技有限公司 打印机传动切换装置及其切换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1235B2 (en) 2005-06-02 2008-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129426A (ko) * 2014-05-12 2015-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N105437797A (zh) * 2015-12-14 2016-03-30 广州市宝比万像科技有限公司 打印机传动切换装置及其切换控制方法
CN105437797B (zh) * 2015-12-14 2018-08-10 广州市宝比万像科技有限公司 打印机传动切换装置及其切换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2092B1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127B2 (en) Drive apparatus for ink jet printer
KR100449021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
KR100485789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0441503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구동장치
KR100492092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KR20070075094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US643574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JP3926594B2 (ja) 画像形成装置の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425327B1 (ko) 인쇄기의 급지장치
KR0135429Y1 (ko)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JP2008068989A (ja) 画像形成装置
US6648469B2 (en) Paper-discharging system and method in an inkjet printer
KR100421030B1 (ko) 잉크젯 팩시밀리의 용지이송장치
CN218343118U (zh) 一种印刷机
KR100485815B1 (ko) 용지이송장치와, 이러한 용지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프린터및 그 용지이송방법
JP2003314631A (ja) 駆動装置および駆動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220947259U (en) Double paper outlet mechanism is printed to high-speed two-sided
KR200217777Y1 (ko) 복합기의 원고/용지 이송장치
KR200153202Y1 (ko) 용지이송 및 급지장치
KR100437160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
KR100479842B1 (ko) 열전사리본의 이송을 제한하는 동력전달장치
JP4203726B2 (ja) 被記録媒体のスキュー防止装置、両面記録装置、両面液体噴射装置
CN117445564A (zh) 一种高速双面打印双排纸口机构及打印控制方式
KR100247399B1 (ko) 인쇄속도를향상시킨잉크젯프린터
KR200258629Y1 (ko) 프린터용 용지이송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