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754A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754A
KR20040068754A KR1020030005280A KR20030005280A KR20040068754A KR 20040068754 A KR20040068754 A KR 20040068754A KR 1020030005280 A KR1020030005280 A KR 1020030005280A KR 20030005280 A KR20030005280 A KR 20030005280A KR 20040068754 A KR20040068754 A KR 2004006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y tube
panel
permeability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3000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754A/ko
Publication of KR2004006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01J9/14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of shadow-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레일 내부에 생성되는 타원형 자계 흐름을 직선형으로 흐르게 하여 전자빔의 미스랜딩을 최소화하고 지자기 여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면에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펀넬,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삽입되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상기 패널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고 레일에 용접된 새도우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장변부와 단변부의 재질이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 Color Cathode-ray Tube }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레일 내부에 생성되는 타원형 자계 흐름을 직선형으로 흐르게 하여 전자빔의 미스랜딩을 최소화하고 지자기 여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에 방폭특성을 가진 안전유리(2)가 부착된 패널(3)과, 상기 패널에 프릿글라스에 의해 융착되는 펀넬(4)과, 상기 펀넬 후방에는 적, 녹, 청색의 전자빔(6)을 패널 내면으로 방사하는 전자총(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내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는 새도우 마스크(8)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가 패널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레일(9)과, 상기 레일에 음극선관 동작 중 외부 지자기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하는 인너쉴드(10)가 고정된다.
상기 레일은 새도우 마스크의 인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프릿 글라스에 의해 패널 내면에 융착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새도우 마스크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은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에 부딪혀 일어나는 열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 원리는, 펀넬(4)의 넥크부(5)에 내장된 전자총에서 전자빔(6)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3)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막(1)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전자빔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요크(미도시)에 의해서 상, 하, 좌, 우로 편향되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 동작 시엔 편향요크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되어 진행하지만 외부 지자기의 영향으로 화면 코너부에 미스랜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02- 10991에서 외부 지자기를 차폐하는 인너쉴드의 장, 단변부의 재질을 달리하여 상기 발생되는 미스랜딩을 최소화 하고자 출원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레일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레일의 장변부와 단변부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 재질의 장, 단변부를 갖는 레일에서 발생하는 수평자계(Bh)는 레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나 가까운 거리에서는 자계의 경로가 바뀌게 된다.
즉, 레일의 외면에 형성된 자계는 전자빔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미스랜딩을 유발시키지 않지만, 레일 내면에서의 자계는 전자빔의 경로에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된다.
왜냐하면 단일 재료 레일의 내면에서 수평방향(MFx)의 자계경로는 로렌츠 법칙에 의하여 전자빔을 상하로 이동시켜 색순도(Purity)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수직 방향(MFy)의 자계경로는 전자빔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전자빔이 적절한 형광막에 타격되지 않아 색순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외부 지자기로 인한 색순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모니터 회로에서 색순도 코일 또는 LCC(Local Current Controller)회로를 적용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모니터 회로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 내면에 발생되는 자계가 레일 전 부분에서 수평이 되도록 하여 수직성분의 자계로 인하여 발생되는 미스랜딩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음극선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레일 구조에 따른 자계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일 구조에 따른 자계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레일의 재질에 따라 스크린 코너부에 나타난 자계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형광막 2: 안전유리
3: 패널 4: 펀넬
5: 넥크부 6: 전자빔
7: 전자총 8: 새도우 마스크
9: 레일 10: 인너쉴드
11: 보강밴드 12: 레일의 장변부
13: 레일의 단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내면에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펀넬,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삽입되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상기 패널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고 레일에 용접된 새도우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장변부와 단변부의 재질이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레일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레일의 장변부(12)와 단변부(13)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의 장변부는 300 ~ 2000G/Oe의 투자율인 26Cr강으로 형성되고, 단변부는 2000 ~ 5000G/Oe의 투자율를 갖는 28Cr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레일의 장변부 최대 투자율은 856.3G/Oe이고, 단변부의 최대 투자율은 2287.1G/Oe으로 형성되어 단변부의 최대 투자율이 장변부의 최대 투자율보다 2.7배정도 높게 형성된다.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일 내부에 생성되는 수직 자계흐름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수평자계 흐름만 발생하여 전자빔의 좌우 이동으로 인한 미스랜딩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자기 해석을 통한 전자빔 이동량 거동을 살펴보면 단변부의 최대 투자율이 장변부의 최대 투자율보다 1.5배 이상이 될 때 상기 전자빔 이동량이 거의 줄게 된다.
다음 표 1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레일재료에 대한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위치 재질 Hc(Oe) Bs(G) mu i(G/Oe) mu max(G/Oe) 열팽창율(10-6/℃)
장변부 26Cr강 2.5 10044.2 534.6 856.3 9.4
단변부 28Cr강 0.6 12216.1 753.1 2287.1 9.5
상기 표 1에서 Hc는 보자력, Bs는 포화자화, mu i는 초기 투자율, mu max는 최대 투자율을 나타낸 것이고, 26Cr강과 28Cr강의 열팽창률은 비슷하며 열 공정시 열팽창에 의한 튜브 파손은 동등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다음 표 2는 레일의 장변부와 단변부에 26Cr강과 28Cr강을 조합하여 사용할 때 나타나는 색순도(Purity)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2]
재질 색순도(Purity)변화
장변부 단변부 동향⇔서향 남향⇔북향
26Cr강 26Cr강 16.0 16.2
28Cr강 26Cr강 21.4 16.6
26Cr강 28Cr강 10.6 16.2
28Cr강 28Cr강 13.2 16.4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일의 장변부에 26Cr강을 사용하고, 단변부에 28Cr강을 사용할 때, 동서방향으로 색순도 변화 특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다.
도 4는 상기 표 2에 대응된 레일재료를 사용할 때 스크린에 나타난 자계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적용하면 레일 내부에 생성되는 수평자계 흐름을 종래의 타원형 흐름에서 직선형 흐름으로 바꿀 수 있고, 스크린 각 코너부에 생성된 수직방향의 자계성분이 없어 전자빔 좌우 이동으로 인한 미스랜딩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 장, 단변부의 재질을 달리 하여 레일 내면에 발생되는 수직 성분의 자계를 최소화하고 수평성분의 자계만이 발생하도록 하여 전자빔의 좌우 이동으로 발생되는 미스랜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면에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펀넬,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삽입되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상기 패널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고 레일에 용접된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장변부와 단변부의 재질이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장변부는 저투자율의 재료로 형성되고, 레일의 단변부는 고투자율의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장변부의 재질은 26Cr강이고, 레일 단변부의 재질은 28Cr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장변부의 투자율이 300 ~ 2000 G/Oe이고, 레일 단변부의 투자율이 2000 ~ 5000 G/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30005280A 2003-01-27 2003-01-27 칼라 음극선관 KR20040068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280A KR20040068754A (ko) 2003-01-27 2003-01-27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280A KR20040068754A (ko) 2003-01-27 2003-01-27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754A true KR20040068754A (ko) 2004-08-02

Family

ID=3735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280A KR20040068754A (ko) 2003-01-27 2003-01-27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7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604B1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
KR20040068754A (ko) 칼라 음극선관
KR900001701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778403B1 (ko)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KR10041893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이너쉴드
KR100468427B1 (ko) 칼라 음극선관
KR960003382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지자계 차폐장치
KR100213785B1 (ko) 칼라음극선관의 자기쉴드
KR10044765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8554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인너쉴드
KR100426013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6428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50246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20030086881A (ko) 칼라브라운관용 보강밴드
KR20020045338A (ko)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KR20040068383A (ko) 칼라 음극선관
JP2003331756A (ja) 陰極線管のファンネル構造
KR20050006575A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KR20060012884A (ko) 마스크 프레임
KR20050033989A (ko) 최적 인너마그네틱실드를 갖는 성형마스크 방식 음극선관
KR20000013827A (ko) 칼라브라운관의 편향장치
KR20030063605A (ko) 평면 브라운관의 색순도 보정구조
US20030222563A1 (en) Structure of slot feature for shadow mask
KR20040068375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30062514A (ko) 칼라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