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956A -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안테나 - Google Patents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956A
KR20040067956A KR1020040003661A KR20040003661A KR20040067956A KR 20040067956 A KR20040067956 A KR 20040067956A KR 1020040003661 A KR1020040003661 A KR 1020040003661A KR 20040003661 A KR20040003661 A KR 20040003661A KR 20040067956 A KR20040067956 A KR 2004006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late
radiation conductor
radiation
dual ban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카타마사루
사사키가즈히로
다나카노리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42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tu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two or more simultaneously fed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저 2종류의 어느쪽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듀얼밴드 안테나(10)는 접지도체(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방사도체판(12)과, 제 1 방사도체판(1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설치된 급전용 도체판(13)과, 제 1 방사도체판(12)을 접지도체(11)에 단락시키는 접속도체판(14)과, 대략 く자형으로 굴곡된 탄성변형부(15a)를 가지고 제 1 방사도체판(12)의 아래쪽에 세워 설치된 제 2 방사도체판(15)과, 제 1 방사도체판(12)에 나사 고정되어 제 2 방사도체판(15)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합성수지제의 조정나사(1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방사도체판(12)은 제 1 주파수로 공진하고, 제 2 방사도체판(15)은 더욱 고주파인 제 2 주파수로 공진한다. 또 제 2 방사도체판(15)은 제 1 방사도체판(12)과의 간격을 변경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 안테나{DUAL BAND ANTENNA WHICH MAKE SATISFACTORY RECEPTION IN PARALLEL DIRECTION}
본 발명은 2종류의 주파수 대역(밴드)의 신호파의 송신이나 수신이 가능하고, 차량탑재용 통신기 등에 조립하기 적합한 소형의 듀얼밴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형화에 적합한 듀얼밴드 안테나로서, 방사도체판에 노치를 설치함으로써 고저 2종류의 주파수로 공진 가능하게 한 역 F형 안테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문헌 1 참조).
도 5는 이와 같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에 나타내는 역 F형 듀얼밴드 안테나(1)는 방사도체판(2)에 직사각형상의 노치(4)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주파수(f1)에 공진하는 L자형 도체편(2a)과, 제 1 주파수(f1)보다도 고주파인 제 2 주파수(f2)에 공진하는 직사각형 도체편(2b)을 구비하고 있다. 방사도체판(2)의한변 끝은 접속도체판(3)에 연속되어 있고, 접속도체판(3)은 접지도체판(5) 상에 세워 설치되어 방사도체판(2)과 상기 접지도체판(5)을 단락하고 있다. 방사도체판(2)은 전면이 접지도체판(5)과 소정의 간격〔접속도체판(3)의 높이 치수〕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고, 방사도체판(2)의 소정 위치에 급전 핀(6)이 납땜되어 있다. 이 급전 핀(6)은 접지도체판(5)과는 비접촉이고 도시 생략한 안테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종래의 듀얼밴드 안테나(1)는, L자형 도체편(2a)의연장방향을 따른 길이 치수가 제 1 주파수(f1)에 대응하는 공진길이(λ1)의 약 4분의 1로 설정되고, 또한 연장치수가 짧은 직사각형 도체편(2b)의 길이치수가 제 2 주파수(f2)에 대응하는 공진길이(λ2)(단 λ21)의 약 4분의 1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급전 핀(6)을 거쳐 방사도체판(2)에 소정의 고주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각 도체편(2a, 2b)을 서로 다른 주파수로 공진시킬 수 있어, 고저 2종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파를 송수신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93332호 공보(제 2 내지 3 페이지, 도 1)
도 5에 나타내는 종래의 듀얼밴드 안테나(1)에 있어서, 제 1 주파수(f1)에 공진하고 있을 때에 L자형 도체편(2a)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지향성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고, 위쪽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에서도 높은 이득을 기대할 수 있으나, 더욱 고주파인 제 2 주파수(f2)에 공진하고 있을 때에 직사각형 도체편(2b)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지향성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치우친 것이 되어, 수평방향의 이득은 낮다. 그런데 차량탑재용 통신기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파를 송수신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종래의 듀얼밴드 안테나(1)를 차량탑재용 통신 안테나로서 사용하면, 제 2 주파수(f2)의 전파를 충분히 이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특히, 직사각형 도체편(2b)의 공진 주파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 2 주파수(f2)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감도는 현저히 저하되어 버린다. 그러나 실제로는,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등의 영향으로 공진 주파수가 설정값으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고, 종래의 듀얼밴드 안테나(1)에서는 이와 같은 어긋남을 수정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저 2종류의 어느쪽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듀얼밴드 안테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듀얼밴드 안테나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듀얼밴드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예에 관한 듀얼밴드 안테나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예에 관한 듀얼밴드 안테나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듀얼밴드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듀얼밴드 안테나 11 : 접지도체
12 : 제 1 방사도체판 13 : 급전용 도체판
14 : 접속도체판 15, 21 : 제 2 방사도체판
15a : 탄성변형부 15b : 받이부
16 : 조정나사 21a : 기립도체부
21b : 슬라이드 도체부 22 : 볼트(고정수단)
23 : 너트(고정수단) 30 : 지지기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듀얼밴드 안테나는, 접지도체를 가지는 지지기판과, 상기 접지도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방사도체판과, 이 제 1 방사도체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하단부에 제 1 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용 도체판과, 상기 제 1 방사도체판을 상기 접지도체에 단락시키는 접속도체판과, 상기 접지도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져 상단부가 상기 제 1 방사도체판의 하면과 대향하고, 또한 하단부에 상기 제 1 주파수보다도 고주파인 제 2 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는 제 2 방사도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사도체판을 그 상단부와 상기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듀얼밴드 안테나에서는, 제 1 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을 급전용 도체판의 하단부에 공급함으로써, 제 1 방사도체판을 역 F형 안테나로서 공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이득이 양호한 방사패턴이 얻어진다. 또 제 2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을 제 2 방사도체판의 하단부에 공급함으로써, 이 제 2 방사도체판을 모노폴 안테나로서 공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이득이 양호한 방사패턴이 얻어진다. 따라서 고저 2종류의 어느쪽의 주파수에 공진하는 경우에도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방사도체판의 공진시에, 그 상단부와 대향하는 제 1 방사도체판이 용량성 부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의 높이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안테나 전체의 높이를 낮게 도모하기 쉬워진다. 또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와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양 도체판간의 용량결합의 정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제 2 방사도체판의 공진 주파수를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와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을 변경 가능한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제 2 방사도체판의 일부에 탄성변형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 1 방사도체판에 나사 고정되어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합성수지제의 조정나사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이 경우, 조정나사를 조이면 제 2 방사도체판은 제 1 방사도체판으로부터 이간(離間)되어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고, 그 반대로 조정나사를 풀면 제 2 방사도체판은 제 1 방사도체판에 접근하여 공진 주파수가 높아진다. 또 조정나사를 거쳐 제 1 및 제 2 방사도체판이 연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변형되기 어렵게 된다.
이 외,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와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방사도체판이 상기 지지기판상에 세워 설치된 기립도체부와, 이 기립도체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도체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들 기립도체부 및 슬라이드도체부를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립도체부에 대한 슬라이드도체부의 설치위치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도체부와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이 변화되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의 공진 주파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가 제 1 방사도체판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듀얼밴드 안테나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부와 제 1 방사도체판 사이의 용량값이 커지므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듀얼밴드 안테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듀얼밴드 안테나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듀얼밴드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 2에 나타내는 듀얼밴드 안테나(10)는 1매판의 금속도체판(예를 들면, 구리판)을 소정형상으로 프레스가공한 것을, 지지기판(30) 상의 거의 전면에 구리박 등의 도체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접지도체(11) 상에 설치하여, 역 F형 안테나겸 모노폴 안테나로서 동작시키도록 한 소형 안테나이다. 이 듀얼밴드 안테나(10)에는 접지도체(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방사도체판(12)과, 제 1 방사도체판(12)의 적절한 2개 부분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설치된 가늘고 긴 급전용 도체판(13) 및 접속도체판(14)과, 대략 く자형으로 굴곡한 탄성변형부(15a)를 가지고 제 1 방사도체판(12)의 아래쪽에 세워 설치된 제 2 방사도체판(15)과,제 1 방사도체판(12)의 대략 중앙에 나사 고정되어 제 2 방사도체판(15)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합성수지제의 조정나사(16)가 구비되어 있다.
급전용 도체판(13)의 하단부와 제 2 방사도체판(15)의 하단부에는 각각 동축케이블 등의 도시 생략한 급전선이 접속되어 있고, 제 1 주파수(f1)의 고주파 전력이 급전용 도체판(13)을 거쳐 제 1 방사도체판(12)에 공급 가능함과 동시에, 제 1 주파수(f1)보다도 고주파인 제 2 주파수(f2)의 고주파 전력이 제 2 방사도체판(15)에 공급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방사도체판(12)은 제 1 주파수(f1)로 공진하도록 그 크기나 형상이 설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방사도체판(15)은 제 2 주파수(f2)로 공진하도록 그 크기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제 2 방사도체판(15)의 상단부는 제 1 방사도체판(1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린 받이부(15b)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받이부(15b)를 제 1 방사도체판(12)과 용량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15)의 공진시에 제 1 방사도체판(12)은 용량성 부하가 되어 단축콘덴서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급전용 도체판(13) 및 제 2 방사도체판(15)은, 접지도체(11)와는 비접촉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나, 접속도체판(14)의 하단부는 접지도체(11)에 납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방사도체판(12)은 접속도체판(14)을 거쳐 접지도체(11)에 단락되어 있다. 이 접속도체판(14)은 인피던스의 부정합을 회피할 수 있는 최적위치를 선택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듀얼밴드 안테나(10)는, 제 1 주파수(f1)의 고주파 전력을 급전용 도체판(13)에 공급함으로써, 제 1 방사도체판(12)을 역 F형 안테나로서 공진시킬 수 있다. 그 때, 주파수(f1)에 공진되고 있는 제 1 방사도체판(12)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지향성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패턴이 되어, 수평방향으로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2 주파수(f2)의 고주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 2 방사도체판(15)을 모노폴 안테나로서 공진시킬 수 있고, 그 때 주파수(f2)에 공진되고 있는 제 2 방사도체판(15)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지향성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패턴이 되어, 역시 수평방향으로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방사도체판(15)의 공진시에, 그 상단부〔받이부(15b)〕와 대향하는 제 1 방사도체판(12)이 용량성 부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15)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안테나 전체의 높이를 낮게 도모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조정나사(16)를 조이고 풀어 받이부(15b)와 제 1 방사도체판(12)과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용량결합의 정도가 변화되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15)의 공진 주파수를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나사(16)를 조이면, 대략 く자형의 탄성변형부(15a)가 휘어져 받이부(15b)가 하강하여 가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15)은 제 1 방사도체판(12)으로부터 점차 떨어져 용량결합의 정도가 약해져 가고, 그것에 수반하여 공진 주파수가 낮아져 간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조정나사(16)를 풀면, 탄성변형부(15a)의 탄발력에 의하여 받이부(15b)가 상승하여 가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15)은 제 1 방사도체판(12)에 접근하여 용량결합의 정도가 강해져 가고, 그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높아져 간다.
또한 조정나사(16)를 거쳐 제 1 및 제 2 방사도체판(12, 15)이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양 방사도체판(12, 15)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하여,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듀얼밴드 안테나(10)는 고저 2종류의 어느쪽의 주파수에 공진하는 경우에도 수평방향의 감도가 양호하고, 또한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강하여, 차량탑재용 통신기에 적합한 안테나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와 같이 제 2 방사도체판(15)의 상단부〔받이부(15b)〕가 제 1 방사도체판(12)의 대략 중앙에 대향되어 있으면, 제 2 방사도체판(15)의 공진시에 윗쪽으로의 지향성이 약해지고 수평방향으로의 지향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예에 관한 듀얼밴드 안테나의 측면도로서, 도 1, 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듀얼밴드 안테나(20)는 모노폴 안테나로서 공진하는 제 2 방사도체판(21)의 구조가 상기 실시형태예와 크게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제 2 방사도체판(21)은 지지기판(30) 상에 세워 설치된 기립도체부(21a)와, 이 기립도체부(21a) 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대략 L자형의 슬라이드도체부(21b)로 이루어지고, 이들 기립도체부(21a) 및 슬라이드도체부(21b)는 볼트(22) 및 너트(23)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체결·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기립도체부(21a)와 슬라이드도체부(21b)에 뚫려 있는 볼트(22)용 삽입구멍은, 어느 한쪽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기립도체부(21a)에 대한 슬라이드도체부(21b)의 설치위치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도체부(21b)와 제 1 방사도체판(12)과의 간격에 의존하는 용량결합의 정도가 변화되어, 상기 실시형태예와 마찬가지로 제 2 방사도체판(21)의 공진 주파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듀얼밴드 안테나(20)의 경우도, 제 1 방사도체판(12)에 나사 고정되어 슬라이드도체부(21b)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합성수지제의 나사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방사도체판(12, 21)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예에서는, 제 2 방사도체판(15, 21)의 상단부가 제 1 방사도체판(1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나, 상기 상단부가 구부러져 있지 않아도 제 2 방사도체판(15, 21)을 모노폴 안테나로서 동작시킬 수는 있다. 단, 상기 상단부가 구부러져 있으면, 제 1 방사도체판(12) 사이의 용량값이 커지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쉽게 되어 높이를 낮게 도모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 1 방사도체판을 역 F형 안테나로서 공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 2 방사도체판을 모노폴 안테나로서 공진시킬 수 있는 듀얼밴드 안테나이므로, 고저 2종류의 어느쪽의 주파수에 공진하는 경우에도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제 2 방사도체판의 공진시에, 그 상단부와 대향하는 제 1 방사도체판이 용량성 부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2 방사도체판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안테나 전체의 높이를 낮게 도모하기 쉽게 된다. 또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와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양 도체판간의 용량결합의 정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제 2 방사도체판의 공진 주파수를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4)

  1. 접지도체를 가지는 지지기판과, 상기 접지도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방사도체판과, 이 제 1 방사도체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하단부에 제 1 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용 도체판과, 상기 제 1 방사도체판을 상기 접지도체에 단락시키는 접속도체판과, 상기 접지도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져 상단부가 상기 제 1 방사도체판의 하면과 대향하고, 또한 하단부에 상기 제 1 주파수보다도 고주파인 제 2 주파수의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는 제 2 방사도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사도체판을, 그 상단부와 상기 제 1 방사도체판과의 간격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도체판의 일부에 탄성변형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도체판에 나사 고정되어 상기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합성수지제의 조정나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안테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도체판이, 상기 지지기판상에 세워 설치된 기립(起立)도체부와, 이 기립도체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도체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들 기립도체부 및 슬라이드도체부를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안테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도체판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방사도체판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안테나.
KR1020040003661A 2003-01-20 2004-01-19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안테나 KR20040067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11389A JP2004228692A (ja) 2003-01-20 2003-01-20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
JPJP-P-2003-00011389 2003-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956A true KR20040067956A (ko) 2004-07-30

Family

ID=3258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61A KR20040067956A (ko) 2003-01-20 2004-01-19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4565B2 (ko)
EP (1) EP1439609B1 (ko)
JP (1) JP2004228692A (ko)
KR (1) KR20040067956A (ko)
CN (1) CN1521891A (ko)
DE (1) DE602004000568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500B1 (ko) * 2005-04-21 2007-10-1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안테나 장치
KR102049755B1 (ko) * 2018-07-27 2019-11-2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버튼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3471A (en) * 2001-12-19 2003-06-25 Harada Ind High-bandwidth multi-band antenna
WO2004030143A1 (en) * 2002-09-27 2004-04-08 Radiall Antenna Technologies, Inc. Compact vehicle-mounted antenna
JP4063741B2 (ja) * 2003-09-01 2008-03-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
US7345634B2 (en) * 2004-08-20 2008-03-18 Kyocera Corporation Planar inverted “F” antenna and method of tuning same
JP4623272B2 (ja) * 2004-09-02 2011-02-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WO2007021247A1 (en) * 2005-08-17 2007-02-2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ompact antennas for ultra-wideband applications
JP4747988B2 (ja) * 2006-08-07 2011-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71804B2 (en) * 2006-09-05 2010-03-02 Apple Inc. Tunable antennas for handheld devices
JP4645614B2 (ja) * 2007-03-29 2011-03-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7701401B2 (en) * 2007-07-04 2010-04-20 Kabushiki Kaisha Toshiba Antenna device having no less than two antenna elements
US9035830B2 (en) * 2012-09-28 2015-05-19 Nokia Technologies Oy Antenna arrangement
US9331397B2 (en) 2013-03-18 2016-05-03 Apple Inc. Tunable antenna with slot-based parasitic element
US9559433B2 (en) 2013-03-18 2017-01-31 Apple Inc. Antenna system having two antennas and three ports
US9293828B2 (en) 2013-03-27 2016-03-22 Apple Inc. Antenna system with tuning from coupled antenna
US9444130B2 (en) 2013-04-10 2016-09-13 Apple Inc. Antenna system with return path tuning and loop element
SE537042C2 (sv) * 2013-04-29 2014-12-16 Proant Ab Antennarrangemang
CN105244603B (zh) * 2015-10-13 2018-05-1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
IT201800004603A1 (it) * 2018-04-17 2019-10-17 Sistema perfezionato di misurazione della temperatura in un ambiente ad atmosfera gravosa, antenna ricevente
CN110544816B (zh) * 2019-08-30 2022-10-14 歌尔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天线和可穿戴设备
US11489263B2 (en) * 2020-07-01 2022-11-01 Honeywell Federal Manufacturing & Technologies, Llc Method for tuning an electrically small antenna
KR20220036602A (ko) 2020-09-16 2022-03-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20220126148A (ko) 2021-03-08 2022-09-15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0216A1 (de) 1973-12-03 1975-06-12 Kathrein Werke Kg Buegelantenne
JP2712931B2 (ja) 1991-09-30 1998-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5355142A (en) * 1991-10-15 1994-10-11 Ball Corporation Microstrip antenna structure suitable for us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1093332A (ja) 1996-09-13 1998-04-10 Nippon Antenna Co Ltd 複共振逆f型アンテナ
US5880697A (en) 1996-09-25 1999-03-09 Torrey Science Corporation Low-profile multi-band antenna
FI114255B (fi) * 2000-06-30 2004-09-15 Nokia Corp Antennipiirijärjestely ja testausmenetelmä
DE20106005U1 (de) 2001-04-05 2001-08-30 Receptec Gmbh Antennenmodul, insbesondere für Frequenzen im GHz-Bereich zum Einsatz in Kraftfahrzeugen, vorzugsweise für einen Dualband- bzw. Multibandfunkbetrieb
TW579077U (en) 2001-04-11 2004-03-01 Wistron Neweb Corp Tunable antenna for radio transceiver device
US6667716B2 (en) * 2001-08-24 2003-12-23 Gemtek Technology Co., Ltd. Planar inverted F-type antenna
JP3763764B2 (ja) * 2001-09-18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板状逆f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3101336A (ja) 2001-09-26 2003-04-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2周波数帯共用アンテナ
US6542123B1 (en) * 2001-10-24 2003-04-01 Auden Techno Corp. Hidden wideband antenna
TW527754B (en) * 2001-12-27 2003-04-11 Ind Tech Res Inst Dual-band planar antenna
US6680705B2 (en) * 2002-04-05 2004-0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pacitive feed integrated multi-band antenna
US6812891B2 (en) * 2002-11-07 2004-11-02 Skycross, Inc. Tri-band multi-mode antenna
US6831607B2 (en) * 2003-01-28 2004-12-14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Single-feed, multi-band, virtual two-antenna assembly having the radiating element of one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contained within the radiating element of another PIF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500B1 (ko) * 2005-04-21 2007-10-1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안테나 장치
KR102049755B1 (ko) * 2018-07-27 2019-11-2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버튼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9609A1 (en) 2004-07-21
EP1439609B1 (en) 2006-04-05
DE602004000568D1 (de) 2006-05-18
CN1521891A (zh) 2004-08-18
JP2004228692A (ja) 2004-08-12
DE602004000568T2 (de) 2006-08-24
US6914565B2 (en) 2005-07-05
US20040140933A1 (en)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7956A (ko)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감도를 기대할 수 있는 듀얼밴드안테나
US7319431B2 (en) Surface mount antenna apparatus having triple land structure
US7242353B2 (en) Bracket-antenna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6809687B2 (en) Monopole antenna that can easily be reduced in height dimension
US5880697A (en) Low-profile multi-band antenna
US6239753B1 (en) Transmitter-and-receiver device
US6876329B2 (en) Adjustable planar antenna
US7952529B2 (en) Dual band antenna
US7782270B2 (en) Planar inverted-F antenna with extended grounding plane
EP0444679A2 (en) Mobile antenna
CN110574230B (zh) 车载用天线装置
CN110637394B (zh) 车载用天线装置
US9692133B2 (en) Antenna
EP1432070A1 (en) Dual-band antenna
JP2005167730A (ja) 多周波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端末機器
US7119752B2 (en) Antenna unit
KR200381796Y1 (ko) 다중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패턴 구조
WO2023090212A1 (ja) 半波長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低背型アンテナ装置
KR102273252B1 (ko) 주차 관리를 위한 지능형 검지센서 장착용 안테나
KR100631435B1 (ko) 다중대역 프린트 안테나
JP2021125849A (ja) 複合アンテナ装置
CN116885433A (zh) Pcb天线及无线通信移动终端
CN113839188A (zh) 天线和电子设备
KR20080109262A (ko) 다중 주파수 대역용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갖는 안테나 장치
WO2002039538A2 (en) Compact antenna with multiple polariz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