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452A - 방화패널 - Google Patents

방화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452A
KR20040067452A KR1020030004561A KR20030004561A KR20040067452A KR 20040067452 A KR20040067452 A KR 20040067452A KR 1020030004561 A KR1020030004561 A KR 1020030004561A KR 20030004561 A KR20030004561 A KR 20030004561A KR 20040067452 A KR20040067452 A KR 2004006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ixed solution
solidified
fireproof
solidified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528B1 (ko
Inventor
최문규
Original Assignee
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규 filed Critical 최문규
Priority to KR10-2003-000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5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섬유나 기존에 유통하는 섬유 부직포에 세라믹계 고화제를 침투시켜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가 뛰어난 방화패널을 제조하는 것으로, 제조된 방화패널은 절단, 못질 등이 가능하여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고 단열, 차음효과도 뛰어난 다 기능성의 신소재 패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패널은, 폐섬유 부직포 또는 일반 부직포에 세라믹계 고화제를 물과 혼화시킨 고화혼화제를 침투시켜 굳힌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에 필요한 방화, 차음, 흡음, 차수능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화패널을 제조하므로서, 친환경적이고 방화능력이 뛰어난 제품이 제조되기 때문에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환경성을 도모하면서 제조시 석고보드나 시멘트 제품처럼 양생을 하지 않고 자연 건조만으로도 우수한 제품생산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한 신소재 기능성 제품이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패널{PANEL FOR PREVENTING FIRE}
본 발명은 방화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섬유나 기존에 유통하는 섬유 부직포에 세라믹계 고화제를 침투시켜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가 뛰어난 방화패널을 제조하는 것으로, 제조된 방화패널은 절단, 못질 등이 가능하여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고 단열, 차음효과도 뛰어난 다 기능성의 신소재 패널이 된다.
종래의 건축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은 단열성이 뛰어나고 가격이 싼 장점은 있으나 화재시 너무 빨리 연소되면서 유독성 가스 배출이 많아서 화재 진압전에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므로 정부에서도 공공장소, 공장 등에서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방화성이나 단열성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는 석고보드, 유리섬유, 암면 등은 화재에는 안전하지만, 시공시 또는 시공후에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석면가루가 암 발생위험물질로 규정되어 향후 규제가 예상되며, 유리섬유가루는 폐에 부착하여 폐기종을 일으키는 등 친환경적인 제품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레탄, 레미콘 등의 여러 종류의 재질을 사용한 난연, 방화, 단열 패널이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재질들은 가격이 비싼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섬유 부직포나 섬유 부직포에 세라믹계 고화제를 물과 혼화시킨 혼화제를 침투시켜 굳힌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에 필요한 방화, 차음, 흡음, 차수능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화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로서, 방화패널의 제작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로서, 건물 내벽 마감재로 사용되는 방화패널의 제작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으로서, 건물 내부 칸막이로 사용되는 방화패널의 제작 개념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로서, 건물 외벽에 사용되는 방화패널의 제작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부직포 3. 섬유판
5. 칼라강판 7. 고화혼화액
10. 방화패널 12. 고화부직포
20. 건물 내벽 마감재용 방화패널 30. 건물 내부 칸막이용 방화패널
40. 건물 외벽용 방화패널
본 발명에 의한 방화패널은, 부직포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드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포에 상기 고화혼화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고화혼화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는 고화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벽 마감재 또는 칸막이로 사용되는 방화패널은, 부직포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드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포에 상기 고화혼화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고화혼화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여 방화부직포를 만드는 고화단계와, 섬유판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기 방화부직포를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건물 외벽에 사용되는 방화패널은, 부직포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드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포에 상기 고화혼화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고화혼화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여 방화부직포를 만드는 고화단계와, 섬유판을 준비하고, 상기 섬유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방화부직포를 부착하고 타측면에는 철판 또는 칼라강판을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부직포 및/또는 섬유판은 단가가 비싸므로, 환경오염을 줄이는 차원에서 폐섬유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 고화제는 무기 복합제 고화제로서, 그 화학성분은 <표1>과 같다.
<표1> 세라믹 고화제 화학성분
이러한 화학성분을 갖는 세라믹 고화제를 물과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들고, 고화혼화액을 1cm의 두께로 고화시키면 <표2>와 같은 물성을 나타낸다.
<표2> 세라믹 고화제품의 물성
상기 <표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라믹 고화제품은, 내화성에 대하여 불연성이 있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견딜수 있는 내열성이 있으며, 또한 황산 염산,질산, 수산화 나트륨에서 산 농도가 10%인 용액과 메틸알콜의 산 농도가 95%인 용액에서도 내약품성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된 고화제는 표1 또는 표2의 화학성분과 물성을 가지나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다른 화학성분과 물성을 갖는 고화제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구성에는 무리가 없으며, 표1 또는 표2의 화학성분과 물성을 갖는 고화제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실시예 1: 방화패널의 제조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 방화패널을 제작하는 개념도이다.
도1의 (a)를 살펴보면, 부직포(1)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7)을 만들었다. 부직포(1)에 고화혼화액(7)을 함침시키고, 고화혼화액(7)이 함침된 부직포(1)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여 도1의 (b)와 같이 방화패널(10)을 만들었다.
상기 부직포(1)는 폐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 또는 일반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화혼화액(7)은 세라믹 고화제 : 물 =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여기서, 부직포(1)를 고화혼화액(7)에 함침시키는 것은, 부직포(1)를 위치시키고 부직포(1)의 상부에 고화혼화액(7)을 부을 수도 있으며, 부직포(1)의 상부에숏크리트공법으로 고화혼화액(7)을 타설할 수도 있으며, 일정한 형틀에 부직포(1)를 넣은 상태에서 형틀내부로 고화혼화액(7)을 사출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1)에 고화혼화액(7)이 잘 침투하도록 부직포(1)를 진동시킬 수도 있다.
일반섬유 또는 폐섬유로 제작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제작한 방화패널의 물성은 <표3>과 같다.
<표3> 실시예1에 따른 방화패널의 물성
실시예 2: 건물 내벽 마감재로 사용되는 방화패널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 건물 내벽 마감재로 사용되는 방화패널을 제작하는 개념도이다.
도2의 (a)에서 사용되는 방화부직포(12)는 도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다.
도2의 (a)를 살펴보면, 섬유판(3)을 준비하고, 섬유판(3)의 상부에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였다. 고화혼화액(7)이 도포된 섬유판(3)의 상부에 방화부직포(12)를 올려놓고 공기중에 방치하면 섬유판(3)과 방화부직포(12)의 사이에 위치한 고화혼화액(7)이 고화되어 서로 부착된다.
상기 섬유판(3)은 폐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 또는 일반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화혼화액(7)은 세라믹 고화제 : 물 =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제작된 방화패널은 건물 내부의 벽체 마감용 등으로 사용된다.
실시예 3: 건물 내부 칸막이로 사용되는 방화패널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이다.
도3을 살펴보면, 섬유판(3)의 하부에도 방화부직포(12)를 부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도3의 (a)를 살펴보면, 섬유판(3)의 상부와 하부에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상부와 하부에 방화부직포(12)를 부착시킴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일 밑에 위치한 방화부직포(12)의 상부에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그 위에 섬유판(3)을 올려놓은 후, 상기 섬유판(3)의 상부에 다시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그 위에 제일 위의 방화부직포(12)를 올려놓고 공기중에서 고화시켜도도3과 동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제작된 방화패널은 건물 내부의 칸막이로 사용된다.
실시예 4: 건물 외벽에 사용되는 방화패널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4로서, 건물 외벽에 사용되는 방화패널을 제작하는 개념도이다.
도4의 (a)에서 사용되는 방화부직포(12)는 도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다.
도4의 (a)를 살펴보면, 섬유판(3)을 준비하고, 섬유판(3)의 상부와 하부에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였다. 그런다음, 방화부직포(12)와 고화혼화액(7)이 도포된 섬유판(3)과 칼라강판(5)을 차례로 적층하고 공기중에 방치하면, 섬유판(3)과 방화부직포(12) 및 칼라강판(5)의 사이에 위치한 고화혼화액(7)이 고화되어 서로 부착된다.
한편, 제일 밑에 위치한 방화부직포(12)의 상부에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그 위에 섬유판(3)을 올려놓은 후, 상기 섬유판(3)의 상부에 다시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그 위에 칼라강판(7) 올려놓고 공기중에서 고화시켜도 도4와 동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일 밑에 칼라강판(7)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그 위에 섬유판(3)을 올려놓은 후, 상기 섬유판(3)의 상부에 다시 고화혼화액(7)을 도포하고 그 위에 방화부직포(12)를 올려놓고 공기중에서 고화시켜도 도4와 동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섬유판(3)은 폐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 또는 일반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화혼화액(7)은 세라믹 고화제 : 물 =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제작된 방화패널은 건물 내부의 벽체 마감용 등으로 사용된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 사용되는 부직포(1) 및/또는 섬유판(3)은 폐섬유를 활용한 폐섬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폐섬유 부직포는 폐섬유를 파쇄, 타면, 인출, 타공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섬유 부직포는 내부에 난연성 물질을 함유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불연성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 섬유판(3)에 방화부직포(12) 또는 칼라강판(4)를 부착시킬때 고화혼화액(7)을 사용하였지만, 본드, 아교등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는 도2 내지 도4의 고화혼화액(7)을 본드, 아교등의 접착제로 간주하고 도면을 이해하면 된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 고화혼화액은 세라믹 고화제 : 물 =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세라믹 고화제 : 물 = 1∼8 : 2∼9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패널은, 폐섬유 부직포 또는 일반 부직포에세라믹계 고화제를 물과 혼화시킨 고화혼화제를 침투시켜 굳힌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에 필요한 방화, 차음, 흡음, 차수능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화패널을 제조하므로서, 친환경적이고 방화능력이 뛰어난 제품이 제조되기 때문에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환경성을 도모하면서 제조시 석고보드나 시멘트 제품처럼 양생을 하지 않고 자연 건조만으로도 우수한 제품생산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한 신소재 기능성 제품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방화패널에 있어서,
    부직포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드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포에 상기 고화혼화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고화혼화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여 고화부직포를 만드는 고화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방화패널.
  2. 방화패널에 있어서,
    부직포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드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포에 상기 고화혼화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고화혼화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여 방화부직포를 만드는 고화단계와;
    섬유판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기 방화부직포를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거쳐 제조되어 건물 내벽 마감재 또는 칸막이로 사용되는 방화패널.
  3. 방화패널에 있어서,
    부직포를 준비하고, 세라믹 고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고화혼화액을 만드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포에 상기 고화혼화액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고화혼화액이 함침된 부직포를 일정시간 공기중에 방치하여 방화부직포를 만드는 고화단계와;
    섬유판을 준비하고, 상기 섬유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방화부직포를 부착하고 타측면에는 철판 또는 칼라강판을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거쳐 제조되어 건물 외벽에 사용되는 방화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및/또는 섬유판은 폐섬유를 재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패널.
KR10-2003-0004561A 2003-01-23 2003-01-23 방화패널 KR10052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561A KR100524528B1 (ko) 2003-01-23 2003-01-23 방화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561A KR100524528B1 (ko) 2003-01-23 2003-01-23 방화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52A true KR20040067452A (ko) 2004-07-30
KR100524528B1 KR100524528B1 (ko) 2005-10-28

Family

ID=3735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61A KR100524528B1 (ko) 2003-01-23 2003-01-23 방화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20B1 (ko) * 2003-06-17 2005-04-14 주식회사 대연건설 섬유고화판을 이용한 폐기물 포장 매립공법
CN112942617A (zh) * 2021-02-03 2021-06-11 阳江市第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隔音墙结构及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20B1 (ko) * 2003-06-17 2005-04-14 주식회사 대연건설 섬유고화판을 이용한 폐기물 포장 매립공법
CN112942617A (zh) * 2021-02-03 2021-06-11 阳江市第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隔音墙结构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4528B1 (ko) 200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4185B2 (en) Light-weight, fire-resistant composition and assembly
DE1471296A1 (de) Verfahren zur Impraegnierung von Schaumkunststoffen
JPH04244840A (ja) 軽量建築材厚板
CN102173717B (zh) 一种高强轻质环保保温防火板的生产方法
KR20150063663A (ko) 건축용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15142Y1 (ko) 건축용 복합보드
KR101218944B1 (ko) 스티로폼알갱이가 혼합된 난연성 건축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성 건축판재
TWI257968B (en) Composite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271175Y1 (ko) 발포된 진주암과 질석을 이용한 불연 내, 외장제 패널
KR100524528B1 (ko) 방화패널
CN103758276A (zh) 结合微粒基质的墙板材料
KR10069307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RU2125029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волокнистого тепло- и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110039695A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101370579B1 (ko) 내화구조용 초경량방화방음탈취패널
KR101249451B1 (ko) 팽창 진주암과 메쉬를 구비한 공업용 내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5198352A (zh) 一种ncs-石膏一体化自保温轻质墙体的制备方法
AU2005200282B2 (en) A Material for Building or Other Purposes
KR20060053658A (ko) 불연성 방화 구조체
CN107572947A (zh) 一种用于复合板的芯材及其制备方法
KR100799612B1 (ko) 난연성 발포유리입자를 이용한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2601A (ko) 고주파 및 적외선으로 가열, 경화시켜 불연 내, 외장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JP2005120646A (ja) 複合耐火建材
KR20170112439A (ko) 화이버 보드 불연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H0525912A (ja) 防火・断熱・遮音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