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899A - Osd 정보를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Osd 정보를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899A
KR20040066899A KR10-2004-7009118A KR20047009118A KR20040066899A KR 20040066899 A KR20040066899 A KR 20040066899A KR 20047009118 A KR20047009118 A KR 20047009118A KR 20040066899 A KR20040066899 A KR 2004006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macroblocks
digitally encoded
display devi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070B1 (ko
Inventor
린슈
슐츠마크알랜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6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명령을 장치로부터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된 복수의 화상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들로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200) 및 장치(100)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방법은,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하는 단계(216 또는 220); 및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화상이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표시가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220)될 수 있도록,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로 대체함으로써 복수의 화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단계(218)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장치 내에 포함된 저장 매체로부터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생 단계 및 상기 수정 단계는 판독 단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발생 단계는 판독 단계에 앞서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OSD 정보를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SD information to a remote display device}
디지털 텔레비전들(DTV) 및 고-선명 텔레비전들(HDTV : high-definition televisions)은 오늘날 가전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텔레비전들의 많은 구매자들은 이전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을 시청하거나 또는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들을 기록할 목적으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 digital video disc) 레코더들 또는 DVD 플레이어들과 같은 디지털 비디오 재생 또는 기록 시스템들을 구매할 수도 있다. 특히, DTV(또는 HDTV)와 재생 또는 기록 시스템의 조합은 홈 씨어터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통합 부분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레코더가 플레이되는 디스크들 상에 저장되는 디지털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MPEG 복호화기를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재생 또는 기록 시스템이 종래의 (비-DTV 또는 비-HDTV) 텔레비전에 접속된다면,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는 종래의 텔레비전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의 MPEG 복호화기에 의해 복호화될 것이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DTV들은 그들 자신의 MPEG 복호화기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이 DTV에 접속된다면, 시스템은 시스템 저장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전송되어 DTV의 복호화기에 의해 원격으로 복호화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들을 원격 DTV 복호화기로 복호화한다는 중요한 단점이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구성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 on screen display)를 제공하기는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DVD 레코더들 및 종래의 텔레비전들은 OSD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상보 회로(complementary circuitry)를 포함한다. OSD는 특정 디지털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오버레이에 의해 프로그램 이미지들 상에 있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DVD 레코더가 고속 순방향 트릭 모드를 정규 재생 속도의 세 배(3X)로 수행한다면, OSD는 트릭 모드가 실행될 때, 이러한 정보를 종래의 텔레비전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OSD 신호 발생이 상술된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DTV 구성에 의해 지체되는 여러 이유들이 있다. 첫째, DTV의 복호화기가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으로부터 원격 위치되어, DTV가 일반적으로, 이들 시스템들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DTV에서 OSD 신호들을 재생하기가 어렵다. 또한, 재생 또는 레코더 디바이스에서 OSD 신호를 발생하고, DTV로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 OSD 신호를 통합하는 것은 이러한 비트스트림이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과 DTV간의 대역폭 제한을초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비용들 또는 복잡성을 증가시키지 않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원격에 있을 수 있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표시하는 OSD들을 발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재생 및 기록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비디오 재생 및 기록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독창적 구성들(inventive arrangements)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독창적 구성들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
도 3a는 슬라이스가 독창적 구성들에 따른 복수의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의 슬라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슬라이스가 독창적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의 다른 슬라이스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수정된 화상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로, 복호화기를 구비한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하는 단계; 및 화상이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표시가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로 대체함으로써 복수의 화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성에서, 상기 방법은, 장치 내에 포함된 저장 매체로부터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생 단계 및 상기 수정 단계는 판독 단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발생 단계는 판독 단계에 앞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수정 단계는 판독 단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이벤트에 응답하여, 발생 단계 다음에, 저장 디바이스 내의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저장하고, 표시를 액세스하여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가 뒤따른다. 어느 실시예에서나, 표시의 적어도 일부는 인트라 매크로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판독 단계에 앞서 발생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구성에서, 표시는 수정 단계 동안 액세스되기 위해 테이블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실시예에서나, 화상은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일 수 있다.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은, 각 슬라이스가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를 포함하는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되는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의 부분은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미리 결정된 수일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를 포함하는 인트라 매크로블록들 중 하나에 의해 대체되며, 그 화상 매크로블록의 대응하는 슬라이스의 종단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 명령의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수정된 화상들을 포함하여, 복수의 화상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는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복수의 화상들을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 사용자 명령, 또는 상기 장치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하기 위한 발생기; 화상이 복호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표시가 복호화 및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 내의 상기 복수의 화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상기 사용자 명령 또는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요구하는 이벤트에 응답하여 수정하기 위해, 상기 발생기에 결합된 처리기; 및 수정된 화상을 갖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신호 출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된 및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증들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그러한 예증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독창적 구성들을 구현하는 시스템(100)은 도 1을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으로 실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에 예시된 특정 시스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임의의 디지털 비디오 재생 또는 레코더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디지털 부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가 광 미디어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과 같은 시스템(100)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임의의 특정 형태의 저장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 또는 그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100)은 저장 매체(11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기(110)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 검색 엔진(116), 부호화기/복호화기(코덱; 1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 및 테이블 또는 메모리(124)를 포함한다. 코덱(118)은, 저장 매체(112)로부터 판독되고 발생기(122)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들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가 제어기(112), 검색 엔진(116) 및 코덱(11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14)가 테이블(124)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의해 수행된 종래의 동작들을 위해 메모리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루틴들은 독창적 구성들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114)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 코덱(118) 및 테이블(124) 모두 또는 부분들은 본 발명의 고려 내에서 발생기(122)를 형성하도록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동작에서, 제어기(110)는 저장 매체(112)로부터 복수의 화상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비디오 신호는 검색 엔진(116)에 전송될 수 있다. 검색 엔진(116)은 OSD 신호를 삽입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는 적절한 화상을 비디오 신호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일단 적절한 화상이 찾아지면, 검색 엔진(116)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신호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4) 및 코덱(118)은,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표현하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을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는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가 저장 매체(112)로부터 판독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코덱(118)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명령들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발생된 표시는 필요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14)가 액세스할 수 있는 테이블(124)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일단 마이크로프로세서(114)가 사용자 명령 또는 사용자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테이블(124)로부터 액세스하고, 선택된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코덱(118)이 미리 발생된 표시로 대체하도록 명령한다.
어떤 구성에서든, 수정된 화상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에 전송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 내에 포함된 복호화기에 의해 복호화되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수정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 상에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수정된 화상의 표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2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발생될 수 있는 한 방식을 설명하는 흐름도(200)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210)에서, 복수의 화상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한 구성에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소스 내에 포함된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일 수 있다. 그 외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비디오 신호 소스에 관하여 별도의 엔티티(separate entity)이어서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원격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복호화되도록 그 자신의 복호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2)에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다. 결정 블록(214)에서, 사용자 명령을 나타내는 미리 발생된 표시가 그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흐름도(200)는 단계(220)에서 계속된다. 단계(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발생은 표시 "작동중(on the fly)"을 발생하는 것으로 참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 발생된 표시가 사용된다면, 단계(2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을 나타내는 미리 발생된 표시는 예를 들어, 테이블로부터 페치(fetch)될 수 있다. 단계(218)에서, 비디오 신호 내의 복수의 화상들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은 미리 발생되었는지 작동중 발생되었는지 간에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로 대체함으로써 수정된다. 따라서, 표시가 작동중에 발생된다면, 발생 단계(단계 220) 및 수정 단계(단계 218)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가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표시가 미리 발생되었다면, 수정 단계(단계 218)는 신호가 판독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지만, 발생 단계(단계216)는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가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222)에서, 수정된 화상(사용자 명령을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함)은 수정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의 복호화기에 의해 복호화되어, 화상이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결정 블록(224)에서, 표시의 디스플레이가 계속된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는 처리는 단계(212)에서 계속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흐름도(200)는 단계(226)에서 중단한다. 따라서, 흐름도(200)에서 논의된 독창적 구성들에 따라,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개시되었는지 또는 사용자가 개시했는지, 판독기/플레이어에 의해 발생된 임의의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디스플레이들을 볼 수 있다.
발생 단계들(단계들 220 및 216) 및 수정 단계(단계 218)로 다시 돌아가면, 한 구성에서, 미리 발생되었거나 작동중에 발생되었든지, 표시의 적어도 일부는 매크로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매크로블록들은 인트라(I) 매크로블록들일 수 있다. 이들 I 매크로블록들은 대체될 화상의 부분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을 나타낼 목적으로 표시가 화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것을 이해한다. 다른 구성에서, 단계(218)에서 수정될 화상은 양방향 예측 가능한 (B) 화상이다. 단계(218)에 따라 B 화상들을 수정하는 것은 비디오 신호 내의 어떠한 화상들도 B 화상들로부터 전형적으로 예측되지 않음에 따라, 수정된 화상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수 있는 임의의 아티팩트들의 효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은 I 및 예측 가능한 (P) 화상들과 같은 다른 화상들이 독창적 구성들에 따라 수정될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의 논의는 표시가 화상 내에 삽입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화상이 어떻게 수정될 수 있는지의 예를 예시한다. 하기에 설명될 바와 같이, 이러한 논의는 I, P 및 B 화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는 B 화상이 어떻게 수정될 수 있는지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비디오 신호 내의 B 화상들은 MPEG 기반 화상들이 될 수 있고, 그와 같이 복수의 슬라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각 슬라이스는 복수의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들 매크로블록들은 화상 매크로블록들로서 참조될 것이다. 특히, 표시를 포함하는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되는 B 화상 부분은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미리 결정된 수일 수있다. 표시를 포함하는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되는 B 화상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은 임의 형태의 매크로블록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도 3a 및 도 3b는 B 화상들이 어떻게 수정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3a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많은 화상들 내에서 널리 행해지는 표준인, 화상 매크로블록들(120)을 포함하는 B 화상 내의 슬라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다를 적절한 화상 표준들이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포맷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한다. 이들 화상 매크로블록들은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로서 참조될 수 있다. 한 구성에서, 표시를 포함하는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될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미리 결정된 수는 대체될 최종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이 슬라이스 내에 포함된 최종 화상 매크로블록인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예로서, 표시를 포함하는 매크로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는 도 3a에 도시된 슬라이스의 최종 20개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스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101 내지 120)은 표시를 포함하는 매크로블록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예는 표시가 작동중 발생되었거나 또는 미리 발생되었는지 간에 적용한다.
그 외에도, B 화상 내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대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스 내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 즉 대체되지 않을 적어도 최종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까지, 표시의 매크로블록들이 배치되는 슬라이스 내의 위치를 결정할 목적으로 복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계속하면,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적어도 일부(1 내지 100)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복호화단계는 표시의 매크로블록들이 배치되는 슬라이스 내의 위치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구성에서, 이러한 위치는 미리 결정된 디폴트 위치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이러한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논의에 따른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어떤 다른 화상 매크로블록도 슬라이스의 끝에 위치된 표시 매크로블록으로부터 예측되지 않음에 따라, 표시 매크로블록들이 슬라이스의 끝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매크로블록들이 슬라이스 내의 임의의 위치에 삽입될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특정 방법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한다. 도 3b는 슬라이스 내의 최종 매크로블록이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이도록 다수의 표시 매크로블록들이 슬라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 대체 단계가 동일하지만, 도 3a의 수정 단계와 도 3b의 수정 단계 사이의 여러 개의 가벼운 차이들이 있다. 본 예에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50 내지 70)은 표시를 포함하는 매크로블록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슬라이스 내의 최종 매크로블록이 표시 매크로블록이 아님에 따라, 최종 표시 매크로블록(매크로블록 70)에 인접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매크로블록 71)은 필요하다면, 후속 화상 매크로블록 을 예측하여 문제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 처리는 특정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이 I 매크로블록들인지의 여부에 달려 있을 수 있다.
계속해서 예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슬라이스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1 내지 71)의 적어도 일부가 복호화될 수 있다. 한 구성에서, 복호화될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부분은 각 화상 매크로블록 내에 존재하는 모션 벡터들이 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처리와 유사하게, 이러한 복호화 단계는 표시 매크로블록들이 놓여질 수 있는 슬라이스 내의 원하는 위치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복호화 단계는 또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어느 것이 I 매크로블록들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70) 또는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71)이 I 매크로블록들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50 내지 70)은 표시의 매크로블록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적절한 후속 예측들을 보장하기 위하여 임의의 나머지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예를 위하여,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70 및 71)이 I 매크로블록들이 아니라면, 최종 표시 매크로블록(매크로블록 71)에 인접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은 수정될 수 있다. 한 구성에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71)은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71)의 모션 벡터가 초기에 예측된 값이 아닌 실제 값으로 재설정되도록 재부호화될 수 있다. 따라서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71)으로부터의 후속 예측들은 표시 매크로블록들과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대체에 의해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이 도 3a 및 도 3b에 대해 논의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한다. 실제로, B 화상들은 화상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명령을 나타내는 표시로 대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화상으로 디스플레이될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임의 수의 화상들 내의 임의의 적절한 수의 슬라이스들의 임의의 적절한 수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은 원하는 표시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 화상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처리들은 P 화상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I 화상들에 대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수정하는 단계(도 3b에 관해 논의)는 일반적으로 I 화상 내의 모든 원래 화상 매크로블록들이 I 매크로블록들임에 따라, 통상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또한, 모조(dummy) B 및 모조 P 화상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화상들은 특히, 트릭 모드(trick mode)와 같은 사용자 명령 동안 비디오 신호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전술한 설명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항들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7)

  1. 사용자 명령, 또는 재생 또는 레코더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를 발생하여,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는 복수의 디지털 부호화된 화상들과 함께,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들을 갖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 또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화상이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표시가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화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생 단계 및 상기 수정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 동안 수행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의 적어도 일부는 MPEG 부호화된 인트라 매크로블록들로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은 상기 수정되는 화상의 부분을 대체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복수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이며, 각 슬라이스는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의 부분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미리 결정된 수인, 발생 및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 중 하나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상 매크로블록의 대응하는 슬라이스의 끝에 위치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생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 전에 수행되고 상기 수정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 동안 수행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의 적어도 일부는 MPEG 부호화된 인트라 매크로블록들로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은 상기 화상의 부분을 대체하고,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는 상기 수정 단계 동안 액세스되도록 테이블 내에 저장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복수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이며, 각 슬라이스는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의 부분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미리 결정된 수인, 발생 및 전송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 중 하나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상 매크로블록의 대응하는 슬라이스의 끝에 위치되는, 발생 및 전송 방법.
  12. 복수의 화상들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을 발생하여, 상기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복호화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복호화기를 구비한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들을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
    사용자 명령, 또는 상기 장치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발생하기 위한 발생기;
    상기 화상이 복호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표시가 복호화 및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 내의 상기 복수의 화상들 중 적어도 한 화상을, 상기 사용자 명령 또는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요구하는 이벤트에 응답하여 수정하기 위해, 상기 발생기에 결합된 처리기; 및
    상기 수정된 화상을 갖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신호 출력을 포함하는 발생 및 전송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의 적어도 일부는 MPEG 부호화된 인트라 매크로블록들로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은 상기 수정되는화상의 부분을 대체하는, 발생 및 전송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복수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이며, 각 슬라이스는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을 포함하는, 발생 및 전송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양방향 예측 가능한 화상의 부분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의 미리 결정된 수인, 발생 및 전송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 중 하나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복수의 화상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상 매크로블록의 대응하는 슬라이스의 끝에 위치되는, 발생 및 전송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부호화된 표시의 적어도 일부는 MPEG 부호화된 인트라 매크로블록들로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 매크로블록들은 상기 수정되는 화상의 부분을 대체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테이블 내에 저장되고, 상기 처리기는 수정 동안 상기 테이블에 액세스하도록 또한 프로그램되는, 발생 및 전송 장치.
KR1020047009118A 2001-12-14 2002-12-09 신호 발생 및 전송 방법 및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발생 및 전송 장치 KR100954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20,790 2001-12-14
US10/020,790 US7260307B2 (en) 2001-12-14 2001-12-14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for digital televisions
PCT/US2002/039469 WO2003053051A1 (en) 2001-12-14 2002-12-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sd information to a remot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899A true KR20040066899A (ko) 2004-07-27
KR100954070B1 KR100954070B1 (ko) 2010-04-23

Family

ID=2180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118A KR100954070B1 (ko) 2001-12-14 2002-12-09 신호 발생 및 전송 방법 및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발생 및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60307B2 (ko)
EP (1) EP1454485B1 (ko)
JP (1) JP4880197B2 (ko)
KR (1) KR100954070B1 (ko)
CN (1) CN1314264C (ko)
AU (1) AU2002359661A1 (ko)
ES (1) ES2385325T3 (ko)
MX (1) MXPA04005739A (ko)
MY (1) MY138119A (ko)
WO (1) WO2003053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347B2 (en) * 2005-03-21 2016-01-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mpression for low bit rate and low latency video communications
JP4604080B2 (ja) * 2007-12-03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8472779B2 (en) * 2008-06-17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Concurrently displaying multiple trick streams for video
FR2940688B1 (fr) * 2008-12-30 2011-02-25 Sagem Comm Systeme comprenant un serveur et un terminal munis d'interfaces graphiques communiquant via un protocole de partage d'images
US8490114B1 (en) * 2010-06-15 2013-07-16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rich internet content
CN106250009B (zh) * 2015-08-31 2019-11-2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显示设备及图像获取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8273B2 (ja) * 1995-07-20 2005-09-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073037B2 (ja) 1995-09-15 2008-04-09 トムソン コンシユーマ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テレビ受像機
US6034738A (en) * 1996-02-14 2000-03-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On-screen display timing
US5936667A (en) * 1997-05-13 1999-08-1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updating stored content of a remote transmitter for an entertainment system
US6788710B1 (en) * 1998-03-19 2004-09-07 Thomson Licensing S.A. Auxiliary data insertion in a transport datastream
EP0980185B8 (en) 1998-08-12 2015-12-16 Thomson Licensing Auxiliary data insertion in a transport datastream
US7336712B1 (en) * 1998-09-02 2008-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signal transmission
EP1014712A1 (en) * 1998-12-21 2000-06-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SD data for OSD display in a video signal having an encoded format
JP3376314B2 (ja) * 1999-05-12 2003-02-1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映像情報媒体、デジタル映像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映像情報処理方法
US6609253B1 (en) * 1999-12-30 2003-08-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VCR control
JP2001326906A (ja) * 2000-05-17 2001-11-22 Nec Corp 画像圧縮管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圧縮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59661A1 (en) 2003-06-30
JP4880197B2 (ja) 2012-02-22
EP1454485B1 (en) 2012-04-25
JP2005513879A (ja) 2005-05-12
US7260307B2 (en) 2007-08-21
CN1314264C (zh) 2007-05-02
ES2385325T3 (es) 2012-07-23
MY138119A (en) 2009-04-30
WO2003053051A1 (en) 2003-06-26
US20030113093A1 (en) 2003-06-19
EP1454485A1 (en) 2004-09-08
CN1620807A (zh) 2005-05-25
KR100954070B1 (ko) 2010-04-23
MXPA04005739A (es) 2004-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784B1 (ko) 트릭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1704A (ko) 비-순차 더미 양방향 예측 화상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트릭 모드
KR100954070B1 (ko) 신호 발생 및 전송 방법 및 부호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발생 및 전송 장치
JP4388812B2 (ja) トリックモードを実行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4294481B2 (ja) ダミーの予測ピクチャを使用したコマ落としトリックモード
JP4370166B2 (ja) トリックモードを実行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50074225A1 (en) Fast motion trick mode using non-progressive dummy predictive pictures
JP4925561B2 (ja) トリックモードを実行するためのフレームのサーチ
US8705947B2 (en) Trick mode on bidirectional predictive frames
US7596301B2 (en) Reverse trick mode using intra pictures
US7106945B2 (en) Trick mode using dummy bidirectional predictive pi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