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338A -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338A
KR20040066338A KR1020030003370A KR20030003370A KR20040066338A KR 20040066338 A KR20040066338 A KR 20040066338A KR 1020030003370 A KR1020030003370 A KR 1020030003370A KR 20030003370 A KR20030003370 A KR 20030003370A KR 20040066338 A KR20040066338 A KR 2004006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particles
wat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웅
곽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338A/ko
Publication of KR2004006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3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25B15/004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 B25B15/005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with cross- or star-shap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9/00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제, 분말세제 및 분말 표백제 제품 등에 함유되어 보다 향취의 지속력 및 균일한 향취 발산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저렴한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함침된 향 입자에 관한 것으로, 수용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흡수체 20 내지 70 중량부에 액상 향 30 내지 80 중량부가 함침된 향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GRANULATED PERFU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 입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제, 분말세제 및 분말 표백제 제품 등에 함유되어 보다 향취의 지속력 및 균일한 향취 발산효과 제공할 수 있는 저렴한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함침된 향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오감중의 하나인 후각의 속성으로 제품에서 느끼는 향취에 따라 그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만족도를 높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항목이다. 생활용품 중에 하나인 분말세제 및 표백제의 경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세제에 향을 함유시키는 방법은 액상의 형태 또는 분말의 형태로 투입하여 함유시킨다. 종래의 분말세제는 대부분 액상의 형태로 향이 투입되어 제조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향을 액상으로 투입하여 제조하는 분말세제의 공정은 향을 세제 입자를 제조하면서 투입하거나 제조된 세제입자에 분무 형태로 투입하는 두 가지의 경우로 나뉜다. 이 방법들은 현재의 분말세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며, 관련된 기술은 일본공개특허공보 86-69900, 86-69898, 및 93-5080 등에 잘 기재되어 있다.
분말세제를 제조할 때 향을 세제입자제조 과정 중에 투입하는 방법은 향이 세제입자 안에 내재하게 되어 처방상으로 투입된 향의 함량에 비하여 향취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슬러상에서 중화 후 분무 건조하여 제조하지 않는 직접 중화 방식인 건식중화공정으로 분말세제를 제조할 경우 미 중화된 산 형태의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향이 변성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제품을 같은 공정에서 제조하는 공장의 경우 각 제품별로 향이 다른 것을 사용하는 데도 불구하고 서로 향이 섞이어 설계된 향취에 악영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제조된 세제입자에 분무 형태로 향을 투입하는 방법은 액상 성분에 의하여 분말제품의 분체 물성에 영향을 주어 덩어리가 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세제의 분체물성을 농조(sticky)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특별한 교반이 없을 경우 일정하게 향이 섞이지 않아 규격별로 향취가 불균일한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공성의 물질에 향 입자를 함침시켜 제조된 향 입자를 적용한 기술이 미국특허 제4,339,356호, 제5,094,761호, 제6,245,732호 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에 적용된 다공성 물질은 실리카,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이며, 널리 알려진 물질은 실리카와 제올라이트이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향 입자를 많이 함침시킬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다공성 실리카는 향의 함침율이 약 70 % 정도로 함침 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세제를 제조할 때 원료로 투입되는 빌더들에 비하여 매우 가격이 비싸서 원재료 측면에서 비경제적이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실리카와 대비할 때 함침율이 약 30 % 정도로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생활용품에 손실없이 손쉽게 함유시킬 수 있으며, 향의 지속성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담지된 향 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하고 함침 능력이 우수한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담지된 향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하고 함침 능력이 우수한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담지된 향 입자를 함유하는 생활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수용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흡수체 20 내지 70 중량부;
b) 상기 다공성 흡수체에 함침되는 액상 향 30 내지 80 중량부
를 포함하는 향 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향 입자의 표면에 실리콘 또는 수용성 고분자 0.01 내지 100 중량부가 코팅된 향 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다성분계 흡수체에 액상 향이 담지된 향 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수용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수성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를 분문건조하여 다공성 흡수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을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향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향 입자의 제조방법은
d) 상기 액상 향이 함침된 다공성 흡수체의 표면을 액상 실리콘 또는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으로 표면코팅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담지된 향 입자를 0.001 내지 70 중량% 포함하는 방향제, 분말세제 및 분말 표백제 제품 등의 생활용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용성 무기물의 저렴한 다공성의 흡수체에 액상 향을 함침시킨 향 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분말세제 등의 생활용품에 적용한 결과 향의 균일성과 변질이 없으며, 향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향취의 지속 효과가 증대된 생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공성 실리카를 액상 향의 흡수체로 사용하는 대신에 수용성 무기물을 물에 분산시킨 수성 슬러리로 제조하고, 이를 분무건조하여 얻는 분말을 액상 향의 흡수체로 사용한다.
이러한 수용성의 무기물은 흡수체의 매체로 작용하며, 탄산염(예를 들면, 탄산나트륨(Na2CO3), 탄산칼륨(K2CO3), 또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규산염(예를 들면, 층상 결정(Layered Crystalline)의 -Na2SiO3또는 -Na2SiO3), 인산염(예를 들면,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트리폴리포스포릭에시드, 테트라폴리포스포릭에시드 또는 이들의 염), 포스폰산염(예를 들면, 디에티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포네이트, 1-하이드록시에틸렌-1, 1-디포스포네이드),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일반적인 세제에서 알칼리 빌더로 사용되는 탄산나트륨(Na2CO3), 탄산칼륨(K2CO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황산나트륨, 및 규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무기물로 탄산계 무기물, 황산나트륨 및 규산나트륨을 포함하여 흡수체로 제조할 경우에는 이들의 혼합 중량비는 1:0.9:0.9 내지 1:0.05:0.05인 것이 향을 많이 함침할 수 다공성의 흡수체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탄산염을 사용하면 탄산나트륨(Na2CO3)과 탄산칼륨(K2CO3)을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20 내지 70 중량부(혼합물일 경우 A/B > 3, A는 탄산나트륨, B는 탄산칼륨이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15 중량부 이내, 황산나트륨은 15 중량부 이내, 규산나트륨은 15 중량부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탄산칼륨, 중도, 망초, 규산소다의 함량이 많아지면, 슬러리의 물성이 나빠져 분무건조시 분무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제조된 흡수체의 입자가 너무 단단해져 액상의 흡수를 저해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다공성 흡수체는 수용성 무기물 이외에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용성 무기물과 0:1 내지 2:8의 중량 혼합비로 슬러리를 제조할 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하면 향의 균일성과 변질을 막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직쇄형알킬벤젠술폰산염(R1-CH2-Ar-SO3Na, 여기에서, R1은 탄소수 9 내지 15의 알킬, Ar은 벤젠), 지방산염(R2-CH2-COONa, 여기에서 R2는 탄소수 11 내지 16의 알킬), 알칸술폰산염(R3=CH-SO2Na, 여기에서 R3은 탄소수 11 내지 18의 알킬), 알파올레핀술폰산염(R4-CH=CH-CH2-SO3Na, 여기에서 R4은 탄소수 12 내지 18의 알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알킬벤젠술폰산염을 사용할 경우 향 입자 100 중량부 내에 10 중량부 이내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방산의 경우는 향 입자 100 중량부 내에 12 중량부 이내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파올레핀술폰산염의 경우 향 입자 100 중량부 내에 8 중량부 이내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총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5 중량부 이내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향 및 D-리모넨과 같은 액상성분의 함침 정도가 매우 떨어지는 현상을 발생시켜 일정량 이상의 액상 성분은 함침시킬 수 없게 만든다.
또한 상기 흡수체의 매체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향 입자 100 중량부 내에 최대 5 중량부 이내로 추가로 함유시킬 수도 있다.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고분자 물질이 함유된 슬러리를 분무건조하여 만든 흡수체는 입자내에 보다 많은 공극을 가져 액상성분의 함유도를 보다 증대시킨다. 하지만,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생되는 공극의 양이 증가되지 않는다. 그 이상 사용시 비율적이며, 고가의 원료를 사용함에 의해 원가적인 저해요인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수용성 무기물을 물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 슬러리를 향류건조기에서 수분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흡수체 분체로 분무건조하여 제조한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도 슬러리를 제조할 때 투입한다.
흡수체를 제조하기 위한 향류건조기의 조건은 노즐과 오토마이즈(Atomize)의 형태로 슬러리가 0.1 내지 50 kg/sec의 분무속도로 분무하고, 열풍의 온도와 속도는 100 내지 500 ℃, 및 0.01 내지 15 m/sec이다.
본 발명에 얻은 흡수체의 겉보기 밀도는 0.4 내지 0.70 g/cm3이며, 다공성실리카와 비교하여 향의 함침되는 정도를 비교한 결과 흡수체는 실리카와 동등한 수준의 양을 함침시킬 수 있었다. 함침되는 정도는 향의 점도에 밀접한 관계를 같지만, 대체적으로 물과 같이 25 ℃에서 1 cps정도의 점도를 갖는 향의 경우 30 내지 80 중량부이다.
제조된 흡수체에 향을 함침시키는 방법은 상기 다공성 흡수체 20 내지 70 중량부를 고속회전 조립기(하이스피드믹서, 레디게믹서, 수기믹서), 또는 무중력혼합기(허버브믹서)에 투입하고, 여기에 향료 성분 30 내지 80 중량부를 분사하여 분말형태의 향 입자를 제조한다. 교반 속도는 20 내지 50 rpm, 혼합시간은 10 분 내지 4 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시의 믹서 온도는 35 ℃ 이내가 바람직하다.믹서 온도가 35 ℃를 초과할 경우 향의 함침보다는 휘발이 많게되어 향의 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 입자는 향의 지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액상 실리콘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H-(O-CH2-CH2)i-OH, 여기에서 i는 정수이고 전체 분자량은 200∼30000), 폴리비닐알콜((H-(CH2-CH-OH)jH, 여기에서 j는 정수이고 전체 분자량은 500∼100,000), 폴리비닐피놀리돈(C6H9NO)nn, 여기에서 n은 정수이고 전체 분자량이 10,000∼500,000) 등의 수용성 고분자 1 종 또는 1 종 이상의 혼합물 수용액을 향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부 추가로 믹서에 투입하여 향 입자를 코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성 고분자가 코팅된 향 입자는 생활용품에 함유되어 보다 긴 향 지속시간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저렴한 다공성 흡수체를 이용하여 향 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방향제, 분말세제 및 분말 표백제 제품 등에 함유시켜 보다 향취의 지속력 및 균일한 향취 발산효과를 통하여 한층 더 제품의 감성 품질을 극대화된 생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향 입자의 함유량은 0.001 내지 70 중량%이며, 0.001 중량% 미만이면 향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70 중량%를 초과하면 제품 물성이 변화되거나, 초과량 만큼의 향 효과를 나타내지 않아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분말 향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들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 분(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다성분계다공성흡수체 LAS 5 5 5 -
소다회 38 5 5 -
망초 10 10 10 -
규산나트륨 15 15 15 -
폴리아크릴산나트륨 2 5 5 -
실리콘 - - 20 -
다공성 실리카 - - - 40
액상 향료 30 60 40 60
합계 100 100 100 100
상기 표 1에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바스프사 제조 Sokalan CP-5를 사용하였고, 실리콘은 다우코닝사 제조 DC-346을 사용하였고, 향료는 하세가와사 제조SEL-12374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 내지 3
하기 표 2의 실시예 4 내지 6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분말형의 향 입자를 분말세제에 적용한 예이다. 비교예 2는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에 향이 함침된 향 입자를 세제에 적용한 예이고, 비교예 3은 세제 입자 제조시에 향을 함유시켜 적용한 예이다. 적용된 향은 같은 것이며 함량 또한 같다.
구 분(중량부)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비교예 3
LAS 25 25 25 25 25
소다회 20 20 20 20 20
망초 39 39.5 39.25 39.5 39.7
제올라이트 15 15 15 15 15
실시예 1의 향 입자 1 - - - -
실시예 2의 향 입자 - 0.5 - - -
실시예 3의 향 입자 - - 0.75 - -
비교예 1의 향 입자 - - - 0.5 -
향 료 - - - - 0.3
합 계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분말형태의 향 입자를 함유한 분말세제와 상기 비교예 2 내지 3의 분말세제를 제조직 후의 제품과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의 제품(일정기간 일정조건에서 보관)들의 향취와 강도, 및 만족도의 차이와 변화를 비교하였다.
향의 강도 평가는 20 명의 후각적으로 뛰어난 감각을 갖는 평가자(패널)들로 하여금 제품의 향에 대한 강도를 감각적으로 갖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값에 대하여 패널들간의 강도의 값의 크기가 95 % 신뢰수준에서 유의차가 없을 때까지 반복하여 훈련시켜 본 평가에 활용하였다. 향의 강도의 척도는 아래와 같은 5점 Line 척도를 사용하였고, Line의 길이는 15 cm이다.
1점 5점
--ㅣ--------------------------------------------------------------ㅣ--
향취 약함 향취 강함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대비 실시예들의 향취의 강도가 높았다. 또한 실시예 중에서 실리콘으로 코팅한 실시예 6의 경우는 다소 향이 내부로 함침 되어 제품 초기의 향취의 강도는 다른 실시예에 대비하여 약하였다.
향의 만족도는 강도와 다르게 사람들의 선호의 부분에 대한 것으로 본 평가의 신뢰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세제 사용인구 비례를 통한 200 명의 대단위 패널을 이용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매우 불만 2) 불만족 3) 보통 4) 만족 5) 매우 만족
대체적으로 실시예가 비교예와 대비할 때 만족도가 높았다.
향취의 지속력 평가를 위하여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 내지 3의 제품을 온도 40 ℃, 상대습도 80 %로 유지되고 있는 항온 항습기에서 1 주일 동안 저장 한 후, 향에 대한 만족도와 강도를 상기 제품 제조직 후와 같은 방법으로 제품간 및 초기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1 주일의 결과는 통상 시중에서 2 개월에 해당하는 가혹 조건이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실시예의 것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6이 우수하였다. 이 결과로 본 발명의 다성분계 다공성 흡수체에 향을 담지한 향 입자를 사용한 분말세제는 종래의 고가의 다공성 실리카에 향을 함침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품질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직접 공정에 투입한 비교예 3과 비교하여도 향에 대한 강도 및 만족도가 장기간 보관하여도 우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중량부)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비교예 3
제품초기 향 강도 4.7 4.9 4.1 3.8 3.4
향 만족도 4.0 3.8 3.6 3.6 3.1
2 개월 저장 후 향 강도 3.8 3.9 4.0 3.7 2.9
향 만족도 3.7 3.7 3.9 3.6 2.4
본 발명의 액상 향이 수용성 무기물의 다공성 흡수체에 함침된 분말 형태의 향 입자는 세제 등의 생활용품에 함유시킬 경우 초기 설계한 만큼의 향 강도를 나타내므로, 직접 투입하여 산성의 계면활성제의 중화 반응이나 에어 리프트(Air lift) 사용에 의해 손실되어 향이 강도가 투여된 것에 비하여 낮은 종래의 공정과 비교하여 향의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향의 지속력이 향상되어 오랫동안 제품을 보관하여도 향취의 유지력이 향상되고 감성적인 만족도가 높은 생활용품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3)

  1. a) 수용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흡수체 20 내지 70 중량부;
    b) 상기 다공성 흡수체에 함침되는 액상 향 30 내지 80 중량부
    를 포함하는 향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 입자의 표면에 실리콘 또는 수용성 고분자 0.01 내지 100 중량부가 추가로 코팅된 향 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흡수체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수용성 무기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0:1 내지 2:8의 중량 혼합비로 추가로 포함하는 향 입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흡수체가 향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최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향 입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무기물이 탄산염, 규산염, 인산염, 포스폰산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향 입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무기물은 탄산계 무기물, 황산나트륨, 및 규산나트륨을 포함하며, 이들의 혼합 중량비가 1:0.9:0.9 내지 1:0.05:0.05인 향 입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H-(O-CH2-CH2)i-OH, 여기에서 i는 정수이고 전체 분자량은 200∼30000), 폴리비닐알콜((H-(CH2-CH-OH)jH, 여기에서 j는 정수이고 전체 분자량은 500∼100,000), 폴리비닐피놀리돈(C6H9NO)nn, 여기에서 n은 정수이고 전체 분자량이 10,000∼500,00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향 입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직쇄형알킬벤젠술폰산염(R1-CH2-Ar-SO3Na, 여기에서, R1은 탄소수 9 내지 15의 알킬, Ar은 벤젠), 지방산염(R2-CH2-COONa, 여기에서 R2는 탄소수 11 내지 16의 알킬), 알칸술폰산염(R3=CH-SO2Na, 여기에서 R3은 탄소수 11 내지 18의 알킬), 알파올레핀술폰산염(R4-CH=CH-CH2-SO3Na, 여기에서 R4은 탄소수 12 내지 18의 알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향 입자.
  9.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이 담지된 향 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수용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수성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를 분문건조하여 다공성 흡수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공성 흡수체에 액상 향을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향 입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d) 상기 액상 향이 함침된 다공성 흡수체의 표면을 액상 실리콘 또는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으로 향입자와 고분자 물질의 중량비 1:0.01 내지 1:1으로 표면코팅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향 입자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수용성 무기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0:1 내지 2:8의 중량 혼합비로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향 입자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향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최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향 입자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향 입자를 0.001 내지 70 중량% 포함하는 방향제, 분말세제, 또는 분말 표백제.
KR1020030003370A 2003-01-17 2003-01-17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66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70A KR20040066338A (ko) 2003-01-17 2003-01-17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70A KR20040066338A (ko) 2003-01-17 2003-01-17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38A true KR20040066338A (ko) 2004-07-27

Family

ID=3735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370A KR20040066338A (ko) 2003-01-17 2003-01-17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3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40B1 (ko) * 2005-12-29 2012-05-15 애경산업(주) 세탁 및 세정용 첨가제 조성물
CN112592557A (zh) * 2020-12-29 2021-04-02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持久性香味abs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40B1 (ko) * 2005-12-29 2012-05-15 애경산업(주) 세탁 및 세정용 첨가제 조성물
CN112592557A (zh) * 2020-12-29 2021-04-02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持久性香味abs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9356A (en) Heavily perfumed particles
HU191173B (en) Process for preparing perfumed detergents
CA1124158A (en) High bulk density particulate heavy duty laundry detergent
KR101004272B1 (ko)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갖는, 코팅된 소듐 퍼카르보네이트과립
KR20030075192A (ko) 첨가제가 로딩된 캡슐화된 다공성 캐리어를 갖는 전달시스템
EP0816484B1 (en) Perfume delivery system
US3248330A (en) Process for preparing a stable, freeflowing dishwashing composition
JPH0641595B2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ポリオキシ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汚れ落とし促進ポリマ−の安定化法
CA2429556C (en) Fragrance compositions
JPS6181500A (ja) 塩化マグネシウムを有する改良された合成界面活性剤ケ−ク
US4552777A (en) Carpet tre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siloxane to reduce caking
FR2524902A1 (fr) Composition detergente adoucissante pour le linge, particules destinees a la fabrication de ces composition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s compositions
US4310431A (en) Free flowing builder beads and detergents
US4720399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particulate built nonionic synthetic organic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polyacetal carboxylate and carbonate and bicarbonate builders
US4276326A (en) Free flowing builder beads and detergents
KR20040066338A (ko) 향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A2015490A1 (en) Agglomerated peroxyacid bleach granul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A1278234C (en) Particulate built nonionic detergent composition
US4414129A (en) Free-flowing builder beads and detergents
EP0084200B1 (en) Perfumed particles, a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and detergent compositions incorporating the particles
US4330424A (en) Free flowing builder beads and detergents
US5958865A (en) Single pass process for making an increased surfactant loaded detergent using an agglomerator
JP3773703B2 (ja) 容器入り粉末洗剤
CA1141619A (en) High bulk density carbonate-zeolite built heavy duty nonionic laundry detergent
CA1243248A (en) Particulate built nonionic synthetic deterge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