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059A -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059A
KR20040064059A KR1020030001320A KR20030001320A KR20040064059A KR 20040064059 A KR20040064059 A KR 20040064059A KR 1020030001320 A KR1020030001320 A KR 1020030001320A KR 20030001320 A KR20030001320 A KR 20030001320A KR 20040064059 A KR20040064059 A KR 2004006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asynchronous
call
synchronous
gatek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734B1 (ko
Inventor
최일규
김성
이상연
조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7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T-2000의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며 동기망과의 ISUP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를 포함하는 비동기망과,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를 포함하는 동기망에서, 동기망의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발신단말에 대한 동기망내의 통화로를 설정하고, 동기망과 비동기망의 착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며, 프로토콜 변환부를 통하여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접속하는 동기망에서 비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방법과, 비동기망의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발신단말과 프로토콜 변환부와의 통화로를 설정하고, 프로토콜 변환부와 안내서버가 접속하여 가입자 입력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가입자 입력정보에 따른 착신단말과의 호 설정을 수행하고,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접속하는 접속단계로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ideo Telephony Inter-operation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IMT-2000의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이 발달하면서 휴대전화의 편리성과 단말기 가격이 하락하면서 휴대전화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등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은 유럽을 중심으로 비동기 서비스환경과 북미를 중심으로 하는 동기 서비스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이동통신 기술 표준으로 IMT-2000 서비스를 북미 , 유럽 중심으로 각각 발전시키고 있다.
동기식(Synchronous) IMT-2000 서비스는 CDMA2000 1x, CDMA2000 1x EV-DO로 서비스 형태가 발전하고 있고, 비동기식(Asynchronous) IMT-2000서비스는WCDMA UMTS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한 IMT-2000 서비스는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패킷 네트워크를 가지는 것으로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이동단말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서 향후 보편화 될 수 있는 화상전화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이동통신망 즉,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화상전화 서비스의 연동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MT-2000의 서로 다른 망간의 화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전화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키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망으로부터 비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비동기망(WCDMA) 110:이동단말
120:RAN 130:MSC
140:회선망 150:HLR
160:CGS 200:동기망(CDMA2000 1xEV-DO)
211:이동단말 212:AN
213:PDSN 214:DCN
220:IVR 230:HA
240:MGC 250:GK
251:제어부 252:망접속부
253:가입자 데이터베이스 260:SG
270:IM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시스템은, 비동기망과 동기망과의 접속을 제어하며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비동기 관문제어기 및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비동기 망 및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비동기 관문제어기 및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기 망 및 비동기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화상전화 연결에 따른 안내방송 제공 및 착신번호 전달을 수행하는 안내서버와,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와,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이동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은,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며 동기망과의 ISUP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를 포함하는 비동기망과,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를 포함하는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에 있어서, 동기망의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동기망내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동기망 통화로 설정단계, 상기 동기망과 비동기망의 착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비동기망 통화로 설정단계,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접속하는 접속단계로 구성되는 동기망에서 비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은,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며 동기망과의 ISUP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를 포함하는 비동기망과,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화상전화 연결에 따른 안내방송 제공 및 착신번호 전달을 수행하는 안내서버와,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를 포함하는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에 있어서, 비동기망의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상기 발신단말과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와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통화로 설정단계,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와 안내서버가 접속하여 가입자 입력정보를 수집하는 접속 및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가입자입력정보에 따른 착신단말과의 호 설정을 수행하는 착신단말 호 설정단계, 상기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접속하는 접속단계로 구성되는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전화 연동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전화 연동서비스는 비동기 IMT200망(WCDMA, 이하 '비동기망'으로 칭함)과 동기 IMT-2000망(CDMA2000 1x EV-DO, 이하'동기망'으로 칭함)간의 화상전화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한 것으로,
비동기망(100)은, 이동단말(11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이하 'RAN'이라 칭함)(120)과, 상기 RAN(120)과 접속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30)를 포함하고, MSC(130)에는 회선망(140)이 접속된다. 상기 회선망(140)에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150)와, 비동기관문제어기(이하 'CGS'라 칭함)(160)가 접속된다.
한편 동기망(200)은, 이동단말(211)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이하 'AN'이라 칭함)(212)과, 상기 AN(212)과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이하 'PDSN'이라 칭함)(213)와, 상기 PDSN(213)에 접속되는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이하 'DCN' 이라 칭함)(214)를 구비한다.
상기 DCN(214)에는 안내방송 제공 및 착신번호 전달을 위한 안내서버(이하 'IVR'이라 칭함)(220)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성관리기(이하 'HA'라칭함)(230)와, 미디어관문제어기(이하 'MGC'라 칭함)(250)와, 게이트키퍼(이하 'GK'라 칭함)(250)와, 상기 CGS(160)와 접속되는 시그널링제어기(이하 'SG'라 칭함)(260)와, 포로토콜을 변환하며 상기 CGS(160)와 접속되는 프로토콜 변환부(이하 'IMG'라 칭함)(270)가 접속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키퍼(GK)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키퍼(GK)(250)는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251)와, DCN(214)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252)와, 화상전화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전화 연동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망으로부터 비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동기망의 H.323 이동단말(211)에서 비동기망의 H.324M 이동단말(110)로 화상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전화 발신을 하고자 하는 이동단말(211)은 먼저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211)은 GK(250)로 등록요청(RRQ)을 수행한다(S11). 이에 따라 GK(250)는 상기 등록요청(RRQ)에 따른 등록확인 메시지(RCF)를 이동단말(211)로 전송(S12)하고 등록이 완료된다.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이동단말(211)은 화상전화 통화를 위하여 발신을 수행한다(S21). 이를 위해 이동단말(211)은 ARQ(Admission Request) 메시지를GK(250)로 전송한다. 상기 발신메시지는 AN(212), PDSN(213) 및 DCN(214)을 통하여 GK(25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GK(250)는 상기 발신단말(211)로부터의 발신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승인하는 ACF(Admission Confirm)메시지를 발신단말(211)로 전달한다(S22).
이동단말(211)은 호설정 (H.225 call signaling setup) 메시지를 GK(250)로 전송함으로써 호설정(setup)을 수행하고(S31), GK(250)는 호설정 (H.225 call signaling setup) 메시지를 IMG(270)로 전송하여 호설정을 수행하고, IMG(270)는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sigtran)를 SG(260)로 전송하여 호설정을 수행한다(S32).
상기 SG(260)는 비동기망의 ISUP 신호처리요소인 CGS(160)으로 IAM 메시지를 전송한다(S33). 이에 따라 CGS(160)는 착신단말인 이동단말(110)로 호연결시도를 수행한다(S34),
이동단말(110)은 상기 호연결시도에 대한 응답을 CGS(160)로 전송한다(S41). 그리고 CGS(160)는 메시지(ANM)를 동기망의 SG(260)로 전송하고, SG(260)는 상기 비동기망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른 메시지(sigtran)를 IMG(27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동기망의 IMG(270)와 착신단말인 비동기망의 이동단말(110)간의 통화로가 형성된다(S50). 그리고 IMG(270)는 이동단말(110)과 무선구간 오류복구(error recovery)에 대한 레벨 협상을 수행한다(S60).
상기 IMG(270)는 발신단말인 동기망의 이동단말(211)과 접속을 위하여 접속메시지(H.225 call signaling)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단말(211)과 접속을수행한다(S70).
이동단말(211)과 접속이 완료되면 IMG(270)는 동기망의 이동단말(211)과 비동기망의 이동단말(110)간의 호설정을 위한 신호처리(H.245 signaling)를 수행한다(S80).
이에 따라 발신단말인 동기망의 이동단말(2110과 착신단말인 비동기망의 이동단말(110)간 통화로가 형성되고 화상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S90). 이때 IMG(270)는 HA(230)를 통하여 GK(250)와 연결되며, GK(250)는 PDSN(213)을 통하여 이동단말(211)과 연결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4b는 비동기망(100)의 H.324M 이동단말(110)에서 동기망(200)의 H.323 이동단말(211)로 화상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이다.
이동단말(110)은 동기망의 이동단말(211)과의 화상전화 통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대표번호를 발신한다(S111). MSC(130)는 단계 S111에서 발신된 대표번호를 CGS(160)로 전송하고, CGS(160)는 ISUP 신호처리를 위한 메시지(IAM)를 동기망의 SG(260)로 전송한다(S112). 상기 동기망의 SG(260)는 수신된 메지지(IAM)를 신호(sigtran)에 실어 IMG(270)로 전송한다(S113). 상기 IMG(270)는 단계 S113에 대한 응답을 SG(260)로 전달하고(S114), SG(260)는 비동기망의 CGS(160)로 ANM 메시지를 전송한다(S115).
이에 따라 발신단말인 비동기망의 이동단말(110)과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동기망의 IMG(270)간의 통화로가 형성된다(S120). 그리고 이동단말(110)과 IMG(270)는 통신속도 등에 대한 협의(H.223 level ngo.)를 수행한다(S130).
단계 S130 수행 후 이동단말(110)은 IMG(270)로 동기망의 이동단말(211) 즉, H.323 화상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신호처리(H.245 signaling)를 수행한다(S141).
상기 동기망의 IMG(270)는 ARQ(Admission Request) 메시지를 GK(250)로 전송한다(S142). 이에 따라 GK(250)는 ARQ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승인하는 ACF(Admission Confirm)메시지를 IMG(270)로 전송한다(S143).
IMG(270)는 상기 승인메시지(ACF)를 수신한 후 설정메시지를 GK(250)를 통하여 MGC(240)로 전송함으로써 IVR(220) 접속을 요청한다(S144). 이에 따라 MGC(240)는 IVR(220)로 연결요청을 하고(S145), IVR(220)은 응답메시지를 MGC(240)로 전송한다(S146).
MGC(240)는 IVR(220)의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후 접속메시지(H.225 call signaling)를 GK(250)를 통하여 IMG(270)로 전송한다(S147). 이에 따라 비동기망의 H.324M 화상단말인 이동단말(110)과 동기망의 IVR(220)간의 통화로가 형성된다(S148).
그리고 GK(250)는 MGC(240)를 통하여 IVR(220)로 착신번호 수집을 위한 안내메시지를 요청한다(S151). IVR(220)은 단계 S151에서의 요청에 따라 착신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시지를 발신단말인 이동단말(110)로 전송한다(S152).
이동단말(110)은 화상통화를 원하는 착신단말의 번호, 즉 착신번호를IVR(220)로 송출한다(S161). IVR(220)은 이동단말(110)로부터 송출되는 착신번호를 수집하고 그 착신번호를 GK(250)로 전달한다(S162). 그리고 IMG(270)와 IVR(220)간의 통화로를 해제한다(S170). 이때 IMG(270)와 IVR(220)간의 통화로만 해제되고, 이동단말(110)과 IMG(270)간의 통화로는 활성화된 상태이다.
상기 GK(250)는 단계 S162에서 전달받은 착신번호를 GK(250)에 마련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착신단말인 이동단말(211)로 설정메시지를 전송하여 호 연결을 시도한다(S181).
이동단말(211)은 상기 설정메시지를 수신하고 호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ARQ)를 GK(250)로 전송한다(S182). GK(250)는 상기 요청메시지(ARQ)를 수신하고 그에 다른 승인메시지(ACF)를 이동단말(211)로 전송한다(S183). 그리고 GK(250)는 호 접속을 알리는 접속메시지를 이동단말(211)로 전송한다(S184).
이에 따라서 발신단말인 H.324M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비동기망의 이동단말(110)과 착신단말인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동기망의 이동단말(211)간의 통화로가 형성되고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19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IMT-2000의 비동기망과 동기망 사이의 화상전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비동기망과 데이터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동기망간의 연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망과 동기망과의 접속을 제어하며 상기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 및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 및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 및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동기 망 및 비동기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상기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화상전화 연결에 따른 안내방송 제공 및 착신번호 전달을 수행하는 안내서버와,
    상기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와,
    상기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이동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키퍼는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와, 화상전화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시스템.
  3.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며 동기망과의 ISUP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를 포함하는 비동기망과,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를 포함하는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에 있어서,
    동기망의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동기망내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동기망 통화로 설정단계,
    상기 동기망과 비동기망의 착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비동기망 통화로 설정단계,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접속하는 접속단계로 구성되는 동기망에서 비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망 통화로 설정단계는,
    상기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게이트키퍼가 이를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승인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과 게이트키퍼간의 호 설정을 수행하는 제1 설정단계와, 상기 게이트키퍼와 프로토콜 변환부간의 호 설정을 수행하는 제 2 설정단계와,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로부터 착신단말의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시그널링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은 미리 설정된 주소 혹은 멀티캐스트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 키퍼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단계에서 게이트 키퍼는 가입자 정보에 따른 착신단말의 주소를 포함하는 승인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발신단말은 상기 승인메시지를 수신하고 H.225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제 1 설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망 통화로 설정단계는, 상기 시그널링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접속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비동기관문제어기와 비동기망의 착신단말간 호 연결을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비동기관문제어기는 상기 착신단말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에 따른 응답을 상기 시그널링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제어기는 상기 비동기관문제어기로부터의 응답에 따른 메시지를 프로토콜 변환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계는, 상기 착신단말과 형성된 통화로에 대하여 상기 프로토콜변환부와 착신단말간의 무선구간 레벨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구간 레벨 협상 후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로부터 발신단말로 H.225 프로토콜을 통하여 접속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로부터 착신단말로 H.245 프로토콜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9. 비동기망의 회선망에 접속되며 동기망과의 ISUP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비동기 관문제어기를 포함하는 비동기망과,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상기 비동기 관문제어기와 접속되어 상기 비동기 망과 동기망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제어기와, 화상전화 연결에 따른 안내방송 제공 및 착신번호 전달을 수행하는 안내서버와, 화상전화 서버인 게이트 키퍼를 포함하는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에 있어서,
    비동기망의 발신단말이 화상전화 발신을 수행하면 상기 발신단말과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와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통화로 설정단계,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와 안내서버가 접속하여 가입자 입력정보를 수집하는 접속 및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가입자 입력정보에 따른 착신단말과의 호 설정을 수행하는 착신단말 호 설정단계,
    상기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접속하는 접속단계로 구성되는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화상전화 발신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로 설정단계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화상발신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과 프로토콜 변환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과 프로토콜 변환부간의 통신속도 협의 후 착신단말 호출을 위한 H.245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및 수집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가 게이트키퍼로부터 정보를 얻어 미디어 관문제어기를 통해 안내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과 안내서버간의 통화를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키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안내서버가 상기 발신단말로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가입자 입력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 호 설정단계는,
    상기 수집된 가입자 입력정보를 안내서버로부터 게이트키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과 게이트키퍼간의 호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입력정보를 게이트키퍼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 후 프로토콜 변환부와 안내서버간의 통화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방법.
KR10-2003-0001320A 2003-01-09 2003-01-09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49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320A KR100493734B1 (ko) 2003-01-09 2003-01-09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320A KR100493734B1 (ko) 2003-01-09 2003-01-09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059A true KR20040064059A (ko) 2004-07-16
KR100493734B1 KR100493734B1 (ko) 2005-06-10

Family

ID=3735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320A KR100493734B1 (ko) 2003-01-09 2003-01-09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27B1 (ko) * 2008-03-13 2009-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자동 천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27B1 (ko) * 2008-03-13 2009-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자동 천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734B1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3626B1 (en) Ip roaming number gateway
US20020126656A1 (en) Method of providing packet voice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architecture therefor
CA2437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epting telecommunications
KR1007168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호 셋업 방법
US74505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US7436817B2 (en) Call clearing for legacy mobile circuit switched domain wireless systems
KR100478258B1 (ko) 패킷 이동 화상전화 서비스의 과금 방법
KR100488258B1 (ko) Wcdma망과 cdma2000 1xev-do망 사이의화상전화 연동 방법
KR100401262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3734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429548B1 (ko)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69040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in packet switched local area networks
JP2007251612A (ja) Ip電話交換機およびip電話交換機間ローミング方法
KR100550077B1 (ko) 광대역 이동통신망과 초고속 인터넷망과의 영상통화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100402787B1 (ko)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KR100367484B1 (ko)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KR10039865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개인 컴퓨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368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26077B1 (ko) 이기종 망에서의 화상전화 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3174B1 (ko) 이기종 망에서의 화상전화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0817A (ko) VoIP망과 WCDMA망 사이의 연동 방법
KR101102696B1 (ko) 화상 전화 서비스의 불완료 호 개선 방법
KR100538552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KR101172821B1 (ko) 화상 전화 서비스의 불완료 호 개선 방법
KR20080065053A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