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548B1 -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548B1
KR100429548B1 KR10-2002-0022099A KR20020022099A KR100429548B1 KR 100429548 B1 KR100429548 B1 KR 100429548B1 KR 20020022099 A KR20020022099 A KR 20020022099A KR 100429548 B1 KR100429548 B1 KR 10042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cs
message
incoming
sip serv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3428A (ko
Inventor
이상연
김성
한정표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5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54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명은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3GPP IMT-2000 패킷망에서 네트워크에 의한 세션설정 요구와 연계된 SIP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현방안 및 절차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종래 데이터 착신서비스는 SMS를 통해 단말에 페이징하고 지정된 데이터가 있는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착신단말에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으나, 3GPP에서는 이러한 기술에 진일보된 기술로서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페이징하고 세션을 설정한 후에는 외부 Push 관리 서버로부터 단말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WCDMA망과 결합되어 데이터 전달에 유연성을 더해 줄 수 있는 SIP는 종래 H.323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절차에 비해 간단한 호처리를 통해 기존 기능을 수행하고, SDP를 통한 전달 미디어 정보를 명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SIP과 WCDMA(IMT-2000)망과의 네트워크 착신을 위한 세션 설정 절차의 연동을 통해 Push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Terminating Service System of 3GPP IMT-2000 Packet Network and System}
본 발명은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3GPP IMT-2000 패킷망에서 네트워크에 의한 세션설정 요구와 연계된 SIP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현방안 및 절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 서비스중 음성서비스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망에서 착신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음성 가입자간에 서로 통화가 되는 방식이고 데이터 서비스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든가 상대방에게 메일을 보낸다든가 하는 발신 위주의 방식이었다.
그러나, 점차 가치있는 정보를 수시로 받아 보고자 하는 욕구가 커짐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에서도 착신 기반의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데이터 착신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를 이용해 착신 단말에 페이징(paging)하고 지정된 데이터가 있는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단말에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기존 이동통신환경에서 착신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포럼에서 규정된 WAP 1.2 Push 기능을 이용하였다.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Push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PPG(Push Proxy Gateway)에서 SMS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보내고 착신 단말은 세션을 설정한 후에 착신 데이터가 있는 PPG나 착신 메시지가 존재하는 서버로 직접 연결하여 착신 메시지를 가져온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Push 기능이 아닌 Pull 기능이라 할 수 있고, 착신 단말이 직접 착신 데이터를 가져오므로 발신 과금 밖에 할 수 없으며, 또한 WAP 1.2 Push에서는 착신 데이터 자체가 무선접속을 통하여 착신 단말에 웹페이지의 텍스트 부분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언어인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을 사용하므로 WAP 특성상 단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만을 전달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제어시스템(TCS)으로 착신과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정보를 관리하여 접속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과 3GPP TS 23.060 착신을 위한 세션처리기능을 연동함으로서 SIP 기반의 인프라 환경하에서 착신을 제공할 수 있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정한 의미의 Push 기능으로 착신 단말에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발신 과금 및 착신 과금이 가능하며,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기반의 메시지도 전달할 수 있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신에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 정보를 관리하는 착신제어시스템(TCS)과;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며 착신 단말을 구별할 수 있는 사용자 ID를 가지고 착신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착신제어시스템에 전달하는 PI와; SIP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제어시스템으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무선망 보조시스템(RNS)을 통해 착신 단말에 서비스하는 SIP서버와; 상기SIP서버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착신 단말을 포함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I에서 착신제어시스템(TCS)으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1단계와, WCDMA IMT-2000망 노드에서 상기 TCS가 착신 인보크(Invoke) 메시지에 따라 3GPP TS 23.060에 있는 망 요청 PDP context 활성화 절차(Network Requested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에 따른 세션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착신 단말의 SIP을 통한 응용계층의 등록과정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와, 세션 설정 완료에 대한 통지(Notification)에 따라 착신메시지가 전달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에서 착신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착신서비스 방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제어시스템(TCS)의 프로토콜 스택(stack)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착신제어시스템(TCS)과 타 장비간의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착신 단말 20 : RNS(Radio Network Subsystem)
30 : SIP서버 32 : HLR(Home Location Register)
34 :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36 :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38 : GGSN(Gateway GSN) 40 : TCS
50 : PI(Push Initiator) 60 : 인터넷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SIP에 대해 설명하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를 통해 페이징하고 세션을 설정한 후에 외부 Push 관리 서버가 착신 단말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WCDMA(Wideband CDMA)망과 결합되어 데이터 전달에 유연성을 더해 줄 수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매우 단순화된 텍스트 기반의 응용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종래 H.323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절차에 비해 간단한호처리를 통해 기능들을 수행한다.
또한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통한 미디어 정보를 명시하고 해당 단말의 역량(capability)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원격회의, 인스턴트 메시징, Push 서비스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SIP와 WCDMA(IMT-2000)망의 네트워크 착신을 위한 세션 설정 절차의 연동을 통해 Push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에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 정보를 관리하는 착신제어시스템(40,이하 'TCS'라 한다)과;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며 착신 단말(10)을 구별하는 사용자 ID를 가지고 착신 메시지를 인터넷(60)을 통해 상기 TCS(40)에 전달하는 PI(50,Push Initiator)와; 상기 TCS(40)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SIP를 이용하여 무선망 보조시스템(20,RNS)을 통해 착신 단말(10)에 서비스하는 SIP서버(30)와; 상기 SIP서버(30)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착신 단말(10)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세션 설정과 연계된 SIP를 이용한 착신서비스는 TCS(40)를 구비하고 상기 TCS(40)를 통해 호 제어, 착신 메시지 관리, 세션 관리, 착신 가입자 관리를 하게 함으로 구현된다.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PI(50 또는 Content Provider)는 착신 단말(10)을 구별할 수 있는 사용자 ID를 가지고 Push 정보 즉, 착신 메시지를 인터넷(60)을 통해 상기 TCS(40)로 전달한다(제1단계(S1)).
이때 착신 메시지는 PAP(Push Access Protocol)나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한다.
상기 PAP는 PI(50)에서 PPG(본원발명의 TCS)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셀룰러폰과 페이지 같은 협대역 장치에 연속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메시지는 예를 들어 뉴스, 주가, 날씨, 교통상황, 이-메일 도착과 같은 이벤트 통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Push 기능은 사용자들이 정보에 대한 요청이 없이도 정보를 얻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TCS(40)는 WCDMA IMT-2000망 노드에서 착신 인보크(Invoke) 메시지에 따라 3GPP TS 23.060에 있는 망 요청 PDP context 활성화 절차(Network Requested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에 따른 세션설정 절차를 수행한다(제2단계(S2)).
상기 세션설정 절차가 완료된 후에 착신 단말(10)의 SIP을 통한 응용계층의 등록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제3단계(S3)).
즉,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Register 메시지를 통해 등록을 하고, TCS(40)가 SIP서버(30)에 Register 메시지를 통해 등록을 한다.
세션 설정 완료에 대한 통지(Notification)에 따라 착신 메시지가 PDA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착신 단말(10)에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제4단계(S4)).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달하는 방법은 SIP을 이용하는 방법과 SMS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착신 메시지 타입에 따라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와, 전송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고,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는 Invite 메시지를 포함하여 절차가 이루어진다.
도 1에서 HLR(32,Home Location Register)은 3GPP 망 요청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는 제2단계(S2)에서 착신 단말(10)의 이동(mobility)성을 관리하는 SGSN(36,Serving GPRS Support Node)의 주소를 찾아 응답하거나 착신 단말(10)의 위치를 관리하는 IP 주소의 요청에 대해 주소를 찾아 응답을 보낸다.
3GPP 망 요청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는 제2단계(S2)에서 GGSN(38,Gateway GSN)은 TCS(40)로부터 착신 단말(10)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이동성을 관리하는 SGSN(36) 주소를 찾도록 HLR(34)에 조회를 의뢰하고 해당 SGSN(36)으로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보낸다.
상기 SGSN(36)은 이 정보에 따라 착신 단말(10)과 GGSN(38) 사이에 요청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수행한다.
SMSC(34,SMS Center)는 착신 메시지 타입이 텍스트이고 텍스트 크기가 80바이트를 넘지 않을 때, TCS(4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아 해당 HLR(32)로 착신 단말(10)의 위치를 관리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을 받아 SGSN(36)으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TCS(40)는 착신 메시지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션의 설정 유무에 따라 착신 세션을 설정하고, 그 절차는 3GPP TS 23.060의 PDP context 활성화(PDP context Activation) 절차 및 망 요구 PDP context활성화(Network Requested PDP context Activation) 절차로 이루어진다.
TCS(40)는 상기한 세션 설정 절차 과정에서 세션 정보에 대한 감시를 통해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
또한 TCS(40)는 SIP을 이용한 Push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SIP을 통한 일련의 착신 절차를 수행하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한다.
또한 TCS(40)는 3GPP 규격에 따른 HLR(32)과 연동하고, SGSN(36)과 연동하여 착신 제어 절차를 처리하며, PI(50)와 연동하여 Push 메시지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SMSC(34)와 연동하여 텍스트(text) 기반의 단문 메시지를 처리한다.
또한 TCS(40)는 인터넷상에서 고유한 사용자 ID 및 착신 단말 정보와 mapping되고, 착신 메시지 유형에 따른 가입자 정보 DB와 연동하여, 가입되지 않은 착신 단말(10)에 대한 착신 메시지이면 이를 필터링한다.
또한 TCS(40)는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PI(50)에 대해 인증하고, 착신 단말(10)과 Push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해 인증한다.
또한 TCS(40)는 착신 단말(10)의 성능 및 역량(Capability)에 따라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고 PI(50) 및 기타 장치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TCS(40)는 멀티미디어(동영상(스트리밍(streaming) 포함), 정지화상, 텍스트, 음성) 정보를 처리하고 전달한다.
상술한 구성의 착신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절차를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면, 도 2는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착신 단말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어 있으며, SIP 서버(30)에 착신 단말(10)과 TCS(40)가 등록이 된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즉, 상기 제2단계(S2)와 3단계(S3)가 완료된 경우의 흐름도이다.
201과 202 절차에 의해 SIP서버(30)에 착신 단말(10)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단계(S1)로 PI(50)에서 PAP를 이용해 TCS(40)에 Push 메시지(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면(203), TCS(40)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대해 PI(50)에 응답을 하고(204) 착신 데이터를 저장한다(205).
상기 PI(50)에서 인터넷(60)을 통해 TCS(40)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때 PAP 프로토콜 대신에 SMTP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4단계(S4)로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하고(206),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207).
착신 단말(10)은 착신 메시지 결과를 SIP서버(30)에 전달하고(208), SIP서버(30)는 다시 그 결과를 TCS(40)에 전달한다(209).
착신 메시지 결과가 OK이면 TCS(40)는 저장되었던 착신 데이터를 삭제하고(210), 착신 메시지의 전달에 대한 성공/실패 결과를 PI(50)에 통지하며(211), PI(50)는 그 통지에 대한 응답을 TCS(40)에 전달한다(212).
이와 같은 절차로 PI(50)에서 제공하는 착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10)에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도 3은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이고 착신 단말(10)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어 있으며, SIP 서버(30)에착신 단말(10)과 TCS(40)가 등록이 된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즉, 상기 제2단계(S2)와 3단계(S3)가 완료된 경우의 흐름도이다.
301과 302 절차에 의해 SIP서버(30)에 착신 단말(10)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단계(S1)로 PI(50)에서 PAP를 이용해 TCS(40)에 Push 메시지(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면(303), TCS(40)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대해 PI(50)에 응답을 하고(304) 착신 데이터를 저장한다(305).
상기 PI(50)에서 인터넷(60)을 통해 TCS(40)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때 PAP 프로토콜 대신에 SMTP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4단계(S4)로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멀티미디어인 경우, SIP서버(30)로 착신 단말(10)의 역량(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Invite 메시지를 보내고(306), SIP서버(30)는 이 초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307).
다시 착신 단말(10)은 초청 메시지 결과에 대해 SIP서버(30)에 응답하고(308), SIP서버(30)는 그 결과를 TCS(40)에 전달한다(309).
TCS(40)는 그 응답에 대한 인지(Ack.)를 SIP서버(30)에 보내고(310), SIP서버(30)는 그 인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311).
이와 같이 하여 초청 메시지에 대한 처리가 끝나면 TCS(4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312).
이때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중 스트리밍(Streaming) 메시지인 경우에 착신 단말(10)과 TCS(40) 사이에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설정을 통해 스트리밍 메시지의 실시간 전달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달이 완료되면, TCS(40)는 Bye 메시지를 SIP서버(30)에 보내고(313) SIP서버(30)는 Bye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314).
다시 착신 단말(10)은 착신 메시지(멀티미디어 메시지) 결과를 SIP서버(30)에 전달하고(315), SIP서버(30)는 다시 그 결과를 TCS(40)에 전달한다(316).
TCS(40)는 저장되었던 착신 데이터를 삭제하고(317), 착신 메시지의 전달에 대한 성공/실패 결과를 PI(50)에 통지하며(318), PI(50)는 그 통지에 대한 응답을 TCS(40)에 전달한다(319).
이와 같은 절차로 PI(50)에서 제공하는 착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10)에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도 4는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착신 단말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어 있으며, SIP서버(30)에 TCS(40)는 등록되어 있으나 착신 단말(10)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즉, 상기 2단계(S2)가 완료된 경우의 흐름도이다.
제1단계(S1)로 PI(50)에서 PAP를 이용해 TCS(40)에 Push 메시지(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면(401), TCS(40)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대해 PI(50)에 응답을 하고(402) 착신 데이터를 저장한다(403).
상기 PI(50)에서 인터넷(60)을 통해 TCS(40)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때 PAP 프로토콜 대신에 SMTP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제4단계(S4)를 수행하기 위해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하나(404), 현재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지 않고 제3단계(S3)로 404 Not found 메시지를 TCS(40)로 전달한다(405).
TCS(40)는 가입자(Subscriber) 메시지를 SIP서버(30)에 전달하고(406) SIP서버(30)는 승인(Accepted) 메시지를 TCS(40)에 전달하며(407) TCS(40)는 착신 단말(10)의 등록(Register)을 기다린다.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 메시지를 보내고(408) SIP서버(30)가 등록에 대한 OK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여(409) 착신 단말(10)이 SIP 서버)30)에 등록되면, SIP서버(30)는 이를 - 등록되었다는 메시지를 - TCS(40)에 통지하고(410) TCS(40)는 OK 메시지를 SIP서버(30)에 전달한다(411).
상기와 같은 404-411 절차로 착신 단말(10)이 SIP 서버(30)에 등록되는 제3단계(S3)를 완료하게 된다.
제4단계(S4)로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하고(412),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한다(413).
착신 단말(10)은 착신 메시지 결과를 SIP서버(30)에 전달하고(414), SIP서버는 다시 그 결과를 TCS(40)에 전달한다(415).
TCS(40)는 저장되었던 착신 데이터를 삭제하고(416), 착신 메시지의 전달에대한 성공/실패 결과를 PI(50)에 통지하며(417), PI(50)는 그 통지에 대한 응답을 TCS(40)에 전달한다(418).
이와 같은 절차로 PI(50)에서 제공하는 착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10)에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 아니고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 제4단계(S4)에서 상기 TCS(40)는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처리하는 절차(도 3의 306-311)를 거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는 절차를 거친다(도 3의 312-319).
또한, 상기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중 스트리밍(Streaming) 메시지인 경우에 착신 단말(10)과 TCS(40) 사이에 RTP/RTSP 설정을 통해 스트리밍 메시지의 실시간 전달이 가능하다.
도 5는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착신 단말(10)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지 않았으며, SIP 서버(30)에 TCS(40)는 등록되었으나 착신 단말(10)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GGSN(36)이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담당할 때 메시지 흐름도이다.
제1단계(S1)로 PI(50)에서 PAP를 이용해 TCS(40)에 Push 메시지(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면(501), TCS(40)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대해 PI(50)에 응답을 하고(502) 착신 데이터를 저장한다(503).
상기 PI(50)에서 인터넷(60)을 통해 TCS(40)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때 PAP프로토콜 대신에 SMTP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제4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하나(504), 현재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지 않고 404 Not found 메시지를 TCS(40)로 전달한다(505).
TCS(40)는 가입자(Subscriber) 메시지를 SIP서버(30)에 전달하고(506) SIP서버(30)는 승인(Accepted) 메시지를 TCS(40)에 전달하며(507) TCS(40)는 착신 단말(10)의 등록(Register)을 기다린다.
TCS(40)는 GGSN(38)으로 착신 단말(10)에게 필요한 정보 즉, PDP context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PDP(Packet Data Protocol) 타입, PDP 어드레스, APN(Access Point Name))와 착신 단말(10)의 이동성 정보를 찾기 위한 정보(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통지하고(508), GGSN(38)은 HLR(32)을 조회하여 착신 단말(10)의 이동(mobility)성을 관리하는 SGSN(36) 주소를 찾아 해당 SGSN(36)으로 PDP context에 필요한 정보를 보내게 되면(509), 상기 SGSN(36)은 착신 단말(10)로 PDP context 활성화(Request PDP context activation)를 요청한다(510).
이에 의해 GGSN(38)과 착신 단말(10) 사이에 PDP context 활성화 절차가 수행되어(511) 제2단계(S2)가 완료된다.
이후 착신 단말(10)은 자동적으로 등록(register) 메시지를 SIP서버(30)로보내며(512), SIP서버(30)는 TCS(40)에 등록되었다는 것을 통지하고 TCS(40)는 OK 메시지를 SIP서버(30)에 전달한다(513).
이와 같이 절차로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는 제3단계(S3)를 완료하게 된다.
제4단계(S4)로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한다(514).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고, 다시 착신 단말(10)은 착신 메시지 결과를 SIP서버(30)에 전달한다(515),
SIP서버(30)는 다시 그 결과를 TCS(40)에 전달한다(516).
TCS(40)는 저장되었던 착신 데이터를 삭제하고, 착신 메시지의 전달에 대한 성공/실패 결과를 PI(50)에 통지하며, PI(50)는 그 통지에 대한 응답을 TCS(40)에 전달한다(517).
이와 같은 절차로 3GPP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고,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어 PI(50)에서 제공하는 착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10)에 전달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 아니고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 제4단계(S4)에서 상기 TCS(40)는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처리하는 절차(도 3의 306-311)를 거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는 절차를 거친다(도 3의 312-319).
또한 상기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중 스트리밍(Streaming) 메시지인 경우에 착신 단말(10)과 TCS(40) 사이에 RTP/RTSP 설정을 통해 스트리밍 메시지의 실시간 전달이 가능하다.
도 6은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착신 단말(10)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지 않았으며, SIP 서버(30)에 TCS(40)는 등록되었으나 착신 단말(10)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TCS(40)가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담당할 때 메시지 흐름도이다.
제1단계(S1)로 PI(50)에서 PAP를 이용해 TCS(40)에 Push 메시지(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면(601), TCS(40)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대해 PI(50)에 응답을 하고(602) 착신 데이터를 저장한다(603).
상기 PI(50)에서 인터넷(60)을 통해 TCS(40)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때 PAP 프로토콜 대신에 SMTP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제4단계(S4)를 수행하기 위해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하나(604), 현재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지 않고 404 Not found 메시지를 TCS(40)로 전달한다(605).
TCS(40)는 가입자(Subscriber) 메시지를 SIP서버(30)에 전달하고(606) SIP서버(30)는 승인(Accepted) 메시지를 TCS(40)에 전달하며(607) TCS(40)는 착신 단말(10)의 등록(Register)을 기다린다.
TCS(40)는 직접 HLR(32)로 착신 단말의 이동성 정보를 찾기 위한 정보(IMSI)를 보내 조회를 하고 그 조회를 통해 착신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SGSN(36) 주소를 찾아(608), 해당 SGSN(36)으로 PDP context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PDP 타입, PDP 어드레스, APN와, 착신 단말의 이동성 정보를 찾기 위한 정보(IMSI))를 통지하고(609), 상기 SGSN(36)은 착신 단말(10)로 PDP context 활성화(Request PDP context activation)를 요청한다(610).
이에 의해 GGSN(38)과 착신 단말(10) 사이에 PDP context 활성화 절차가 수행되어(611) 제2단계(S2)가 완료된다.
이후 착신 단말(10)은 자동적으로 등록(register) 메시지를 SIP서버(30)로 보내며(612), SIP서버(30)는 TCS(40)에 등록되었다는 것을 통지하고 TCS(40)는 OK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한다(613).
이와 같이 절차로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는 제3단계(S3)를 완료하게 된다.
제4단계(S4)로 상기 TCS(40)는 착신 메시지 타입을 보고 텍스트인 경우, SIP서버(30)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SIP서버(30)로 전달한다(614).
SIP서버(30)는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고, 다시 착신 단말(10)은 착신 메시지 결과를 SIP서버(30)에 전달한다(615),
SIP서버(30)는 다시 그 결과를 TCS(40)에 전달한다(616).
TCS(40)는 저장되었던 착신 데이터를 삭제하고, 착신 메시지의 전달에 대한성공/실패 결과를 PI(50)에 통지하며, PI(50)는 그 통지에 대한 응답을 TCS(40)에 전달한다(617).
이와 같은 절차로 3GPP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고, 착신 단말(10)이 SIP서버(30)에 등록되어 PI(50)에서 제공하는 착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10)에 전달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 아니고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 제4단계(S4)에서 상기 TCS(40)는 SIP서버(30)로 초청(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처리하는 절차(도 3의 306-311)를 거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전달하는 절차를 거친다(도 3의 312-319).
또한 상기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중 스트리밍(Streaming) 메시지인 경우에 착신 단말(10)과 TCS(40) 사이에 RTP/RTSP 설정을 통해 스트리밍 메시지의 실시간 전달이 가능하다.
도 7은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텍스트 크기가 80바이트를 넘지 않을 때 착신 단말(10)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메시지 흐름도이다.
제1단계로 PI(50)에서 PAP를 이용해 TCS(40)에 Push 메시지(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면(701), TCS(40)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대해 PI(50)에 응답을 하며(702), 착신 데이터를 저장하고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베어러 네트워크(bearer network)를 선택한다(703).
상기 PI(50)에서 인터넷(60)을 통해 TCS(40)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때 PAP프로토콜 대신에 SMTP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TCS(40)는 텍스트 크기가 80바이트를 넘지 않았나를 확인하고 SMSC(34)로 단문 메시지(SM)를 전송한다(704).
SMSC(34)는 해당 HLR(32)로 착신 단말(10)의 위치를 관리하는 IP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을 받아 SGSN/GGSN(36/38)으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한다(705).
이때 SGSN/GGSN(36/38)은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10)에 보내고 그 결과를 착신 단말로부터 받아(706) 인지되었음을 SMSC(34)에 전달하며(707), SMSC(34)는 이를 TCS(40)에 전달한다(708).
TCS(40)는 저장되었던 착신 데이터를 삭제하고(709), 착신 메시지의 전달에 대한 성공/실패 결과를 PI(50)에 통지하며(710), PI(50)는 그 통지에 대한 응답을 TCS(50)에 전달한다(711).
이와 같은 절차로 PI(50)에서 제공하는 착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10)에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IP(Internet Protocol) 계층(layer)은 TCS(40)와 PI(50), SMSC(34), HLR(32) 사이에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이다.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TCP/IP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 상위 프로토콜 중의 하나로 STD 6, RFC 768에 정의되어 있는 인터넷 표준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서, UDP 계층은 TCS(40)와 SGSN(36), SIP서버(30), PI(50) 사이에 데이터를이용자 데이터그램 단위로 송신하며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하여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트랜스포트(Transport) 계층이다.
TCP 계층은 상기 UDP 계층과 같은 트랜스포트 계층으로 TCS(40)와 PI(50) 사이에 전달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다.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는 세션에 표현되어야 할 세션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토콜이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은 세션 설치 프로토콜로서 IETF의 WG(Working Group) RFC 2543 SIP의 확장 보안을 표준화한 프로토콜로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이다.
SDP/SIP 계층은 통신 세션을 구성한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고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토콜로서 RTP/RTSP 계층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계층이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규약이고,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전자우편을 보내고 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HTTP/SMTP 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형태를 변환하는 표현 계층이다.
SMPP(Simple Message Peer to peer Protocol)는 단문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상기 SMPP 계층은 메시지 결과를 상대편에 전달하는 통지(Notification) 계층과 함께 구성된다.
PAP 계층은 PI(50)와 TCS(40) 사이에 Push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이다.
최상위 계층인 PPG 응용 계층은 통신 상대, 서비스품질(QoS), 사용자 인증과 비밀을 고려하고, 데이터 구문의 제약을 정하는 계층이다.
상기와 같은 TCS 프로토콜 스택에서 TCS(4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비 사이에 메시지가 주어지면, 일측에서 한 계층씩 아래로 각 층을 통과하여 데이터가 흐르게 되고, 타측에서 메시지를 받아 한 계층씩 위로 통과하여 전달된다.
도 9a 내지 도 9e는 TCS(40)와 타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이다.
이하에서는 도 8에 설명된 계층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약하고 새로운 계층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도 9a는 SGSN(36)과 TCS(40) 사이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L1 계층은 물리 계층이고, L2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이다.
그 상부 계층으로는 IP 계층, UDP 계층이 스택되고, 그 상부의 GTP-C 계층은 GTP(GPRS Tunneling Protocol)중 GTP 제어평면신호화(control plane signaling) 절차에 관련된 계층으로서, 사용자 평면 데이터 전송(user plane data transfer)(GTP-U) 절차와 같이 GTP를 구성한다.
도 9b는 HLR(32)과 TCS(40) 사이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는 시그널링 베어러(Signaling Bearer) 계층과, 신호 연결을 제어하는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rotocol) 계층과, SS7 신호망에 있는 두 어플리케이션이 상호간에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의미가 있는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정형화된 형식과 절차를 정의한 TCAP(Transaction ControlApplication Part) 계층과, 이동 전화망에 있는 시스템들이 호 처리를 위해 상호간에 주고 받아야 할 정보를 TCAP 규격이 권고하는 절차에 따라 정의된 MAP(Mobile Application Part) 계층으로 스택된다.
도 9c는 SIP서버(30)와 TCS(40) 사이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L1 계층, L2 계층, IP 계층, UDP 계층, SIP 계층 순으로 스택된다.
도 9d는 SMSC(34)와 TCS(40) 사이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L1 계층, L2 계층, IP 계층, TCP 계층, SMPP 계층 순으로 스택된다.
도 9e는 TCS(40)와 PI(50) 사이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L1 계층, L2 계층, IP 계층, TCP/UDP 계층, PAP, HTTP, SMTP 계층 순으로 스택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SIP와 3GPP TS 23.060 착신을 위한 세션처리 기능을 연동함으로써 WCDMA(IMT-2000)망과 SIP 기반의 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발명에 의해 SMS를 통하지 않고 IMT-2000 인프라를 이용해 세션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한 착신 과금이 가능하며 SIP 프로토콜 특성을 이용한 유연성 있는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 제어 시스템으로 착신과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정보를 관리하여 SIP 및 3GPP TS 23.060 착신을 위한 세션처리기능과 연동함으로서 SIP 기반의 인프라 환경하에서 착신을 제공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진정한 의미의 Push 기능으로 착신 단말에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발신 과금 및착신 과금이 가능하며,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및 멀티 미디어 기반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Claims (21)

  1. 착신에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 정보를 관리하는 착신제어시스템(TCS)과;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며 착신 단말을 구별하는 사용자 ID를 가지고 착신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TCS에 전달하는 PI와;
    상기 TCS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SIP를 이용하여 무선망 보조시스템(RNS)을 통해 착신 단말에 서비스하는 SIP서버와;
    상기 SIP서버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착신 단말을;
    포함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2. 착신에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 정보를 관리하는 착신제어시스템(TCS)과;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며 착신 단말을 구별하는 사용자 ID를 가지고 착신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TCS에 전달하는 PI와;
    상기 TCS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SIP를 이용하여 무선망 보조시스템을 통해 착신 단말에 서비스하는 SIP서버와;
    상기 SIP서버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이동(mobility)성을 관리하는 SGSN의 주소를 찾아 응답하는 HLR과;
    상기 TCS로부터 착신 단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이동성을 관리하는 SGSN 주소를 찾도록 HLR에 조회를 의뢰하고 해당 SGSN으로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보내는 GGSN과;
    상기 GGSN에서 보내온 정보에 따라 착신 단말과 GGSN 사이에 요청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는 SGSN을;
    포함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GGSN에서 TCS로부터 받은 착신 단말에게 필요한 정보는 PDP 타입, PDP 어드레스, APN의 PDP context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와, 단말의 이동성 정보를 찾기 위한 정보(IM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SGSN과 TCS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은,
    하부에서 상부로, 물리 계층인 L1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인 L2 계층과,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IP 계층과, 데이터를 이용자 데이터그램 단위로 송신하며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하는 UDP 계층과, GTP(GPRS Tunneling Protocol)중 GTP 제어평면신호화(control plane signaling) 절차에 관련된 GTP-C 계층 순으로 스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HLR과 TCS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은,
    하부에서 상부로,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는 시그널링 베어러 계층과, 신호 연결을 제어하는 SCCP 계층과, 의미가 있는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정형화된 형식과 절차를 정의한 TCAP 계층과, 이동 전화망에 있는 시스템들이 호 처리를 위해 상호간에 주고 받아야 할 정보를 상기 TCAP 규격에 권고하는 절차에 따라 정의된 MAP 계층 순으로 스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SIP서버와 TCS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은,
    하부에서 상부로, 물리 계층인 L1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인 L2 계층과,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IP 계층과, 데이터를 이용자 데이터그램 단위로 송신하며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하는 UDP 계층과, 세션 설치 프로토콜로 응용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SIP 계층 순으로 스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TCS는 Push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SIP을 통한 일련의 착신 절차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8. 착신에 관련된 호처리 및 착신 정보를 관리하는 착신제어시스템(TCS)과;
    착신 메시지를 제공하며 착신 단말을 구별하는 사용자 ID를 가지고 착신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TCS에 전달하는 PI와;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텍스트 크기가 80바이트를 넘지 않은 경우 TCS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받아 착신 단말의 위치를 관리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HLR로 보내고 응답을 받는 SMSC와;
    상기 SMSC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받아 착신 단말에 SMS를 통해 최종적으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SGSN/GGSN과;
    상기 SGSN/GGSN으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착신 단말을;
    포함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SMSC와 TCS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은,
    하부에서 상부로, 물리 계층인 L1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인 L2 계층과,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IP 계층과, 두 시스템간 전달을 제어하는 TCP 계층과, 단문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사용되는 SMPP 계층 순으로 스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에서 TCS로 PAP, SMTP, HTTP 프로토콜중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해 착신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와 TCS사이의프로토콜 스택은,
    하부에서 상부로, 물리 계층인 L1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인 L2 계층과,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IP 계층과, 두 시스템간 전달을 제어하는 TCP 계층 및 이용자 데이터그램 단위로 송신하는 UDP 계층과, PAP, HTTP, SMTP 계층 순으로 스택됨을 특징으로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12. 착신제어시스템(TCS)과, PI와, SIP서버와, 착신 단말로 구성되되,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착신 단말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어 있으며, SIP서버에 착신 단말과 TCS가 등록되어 있는 착신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PI에서 TCS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TCS가 SIP 서버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SIP서버가 SIP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 아니고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에,
    상기 TCS에서 PI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TCS가 SIP서버로착신 단말의 역량(Capability) 정보를 요구하는 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응답을 받은 단계를 거친 후에 SIP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SIP서버에 착신 단말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TCS가 SIP서버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한 상태에서,
    상기 SIP서버가 TCS에 404 Not found 메시지를 통해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TCS가 SIP서버에 Subscriber 메시지를 보내 착신 단말의 등록을 기다리는 단계와,
    착신 단말로부터 등록 메시지가 오면 SIP서버가 TCS로 등록되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TCS가 SIP서버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
    상기 TCS가 SIP 서버에 착신 단말이 등록되었다는 메시지를 받은 상태에서,
    TCS가 SIP서버로 착신 단말의 역량(Capability) 정보를 요구하는 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응답을 받은 단계를 거친 후에 SIP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Invite 메시지에 착신 메시지 타입이 스트리밍(streaming) 메시지인 경우에 RTP /RTSP 설정을 통해 스트리밍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7. 착신제어시스템(TCS)과, PI와, SIP서버와, 착신 단말과, SGSN과, HLR과, GGSN으로 구성되되,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착신 단말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SIP서버에 TCS는 등록되어 있으나 착신 단말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착신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PI에서 TCS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TCS가 SIP 서버로 Invite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SIP서버가 TCS에 404 Not found 메시지를 통해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TCS가 SIP서버에 Subscriber 메시지를 보내 착신 단말의 등록을 기다리는 단계와,
    상기 TCS가 GGSN으로 착신 단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GGSN이 HLR 조회를 통해 착신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SGSN 주소를 찾아 해당 SGSN으로 PDP context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SGSN이 착신 단말로 요청 PDP context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이 등록 메시지를 SIP 서버를 통해 TCS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TCS가 SIP 서버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SIP서버가 SIP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에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TCS가 착신 단말의 등록을 기다리는 상태에서,
    상기 TCS가 직접 HLR로 단말의 이동성 정보를 찾기 위한 정보를 보내 HLR 조회를 통해 착신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SGSN 주소를 찾아 해당 SGSN으로 PDP context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를 보냄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타입인 경우,
    상기 TCS가 착신 단말의 등록 메시지를 SIP 서버를 통해 전달받은 상태에서,
    TCS가 SIP서버로 착신 단말의 역량(Capability) 정보를 요구하는 Invite 메시지를 보내어 응답을 받은 단계를 거친 후에 SIP 서버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Invite 메시지에 착신 메시지 타입이 스트리밍(streaming) 메시지인 경우에 RTP/RTSP 설정을 통해 스트리밍 메시지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21. 착신제어시스템(TCS)과, PI와, SMSC와, SGSN/GGSN과 착신 단말로 구성되되, 착신 메시지가 텍스트 타입이고 텍스트 크기가 80바이트를 넘지 않으며 착신 단말에 3GPP TS 23.060에 있는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라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착신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PI에서 TCS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TCS가 텍스트 크기가 80바이트를 넘지 않았나 확인하여 SMSC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SMSC가 해당 HLR로 착신 단말의 위치를 관리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을 받아 SGSN/GGSN으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SGSN/GGSN이 SMS를 통해 착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KR10-2002-0022099A 2002-04-23 2002-04-23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2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099A KR100429548B1 (ko) 2002-04-23 2002-04-23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099A KR100429548B1 (ko) 2002-04-23 2002-04-23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428A KR20030083428A (ko) 2003-10-30
KR100429548B1 true KR100429548B1 (ko) 2004-04-29

Family

ID=3238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099A KR100429548B1 (ko) 2002-04-23 2002-04-23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824A (ko) * 2002-05-22 2003-12-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1690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세션 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62026B1 (ko) * 2002-12-10 2004-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록시 서버 장치 및폴리시 제어 방법
KR100604530B1 (ko) 2004-12-10 2006-07-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ip에 대한 데이타 착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656401B1 (ko) 2004-12-27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lan-gprs 연동 망에서 sip를 이용한 등록되지않은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KR101507369B1 (ko) * 2013-10-31 2015-03-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버 시스템,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076A (ko) * 1999-02-12 2000-09-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WO2000064211A1 (en) * 1999-04-19 2000-10-26 Nokia Mobile Phones Ltd. Use of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in a packet-switched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10054331A (ko) * 1999-12-06 2001-07-02 이계철 차세대이동통신(IMT-2000)에서이동인터넷프로토콜(Mobile IP)을 이용한 패킷데이터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8064B1 (ko) * 2001-03-29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t-2000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ip 패킷 기반핵심망 접속을 위한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KR100398835B1 (ko) * 2001-09-04 2003-09-19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076A (ko) * 1999-02-12 2000-09-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WO2000064211A1 (en) * 1999-04-19 2000-10-26 Nokia Mobile Phones Ltd. Use of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in a packet-switched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10054331A (ko) * 1999-12-06 2001-07-02 이계철 차세대이동통신(IMT-2000)에서이동인터넷프로토콜(Mobile IP)을 이용한 패킷데이터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8064B1 (ko) * 2001-03-29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t-2000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ip 패킷 기반핵심망 접속을 위한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KR100398835B1 (ko) * 2001-09-04 2003-09-19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428A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8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communication
KR100701637B1 (ko)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통신들
US20060230154A1 (en) Method and entities for performing a push se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103002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in networks having split control planes and user planes
US7613147B2 (en) Packet-based conversational service for a multimedia se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88654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네트워크에서단말의 성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40103157A1 (en) Store-and-forward server and method for storing and forwarding for instant messaging service implemented in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IMS)
KR20070077419A (ko) IMS 도메인을 통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VoIP단말의 호 요청을 CSI 단말이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1849286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routing or redirecting video traffic in communications system
CN106850399A (zh) 一种基于WebRTC技术即时消息的通信方法
EP1380182B1 (en) One-to-one communication in a system having different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logical entities
KR20060086200A (ko) 이동 통신 단말기 호 셋업 방법
US7436817B2 (en) Call clearing for legacy mobile circuit switched domain wireless systems
CN1998215A (zh) 用于交换基于ip业务的数据的连接的建立
KR100429548B1 (ko)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88258B1 (ko) Wcdma망과 cdma2000 1xev-do망 사이의화상전화 연동 방법
WO2006109202A1 (en) Method and entities for performing a push se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708363B1 (ko)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38552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KR100493734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방법
Yamamoto et al. WIDESTAR II Satellite Core Network System
KR101213457B1 (ko) 올-아이피 망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20100019265A (ko) 이기종 화상통신망에서 연동하는 화상채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4594A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파일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