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835B1 -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835B1
KR100398835B1 KR10-2001-0054041A KR20010054041A KR100398835B1 KR 100398835 B1 KR100398835 B1 KR 100398835B1 KR 20010054041 A KR20010054041 A KR 20010054041A KR 100398835 B1 KR100398835 B1 KR 10039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gsn
call
multimedia
sg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634A (ko
Inventor
안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1-005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8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2 단말기(101, 201)가 각각 제 1, 2 SGSN(102, 202)으로 이동성을 각각 등록하는 제 100 단계(S100); 제 1 SGSN(102) 및 제 1 GGSN(103)이 제 1 단말기(101) 및 제 1 GGSN(103)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200 단계(S200); 제 1 단말기(101)가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제 1 GGSN(103)으로 전송하는 제 300 단계(S300); 제 1 GGSN(103)이 해당 제 2 GGSN(203)으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00 단계(S400); 제 2 GGSN(203)이 해당 제 2 SGSN(202)으로 제 2 단말기(201)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제 500 단계(S500); 제 2 SGSN(202) 및 제 2 GGSN(203)이 제 2 단말기(201) 및 제 2 GGSN(203)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600 단계(S600); 제 2 GGSN(203)이 제 2 단말기(201)로 멀티미디어 호 착신을 통보하는 제 700 단계(S700); 및 제 1, 2 단말기(101, 201)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제 800 단계(S8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IMT-2000 망 내 별도의 회선 망 요소 구축 없이 멀티미디어 호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ALL BETWEEN MOBILE SUBSCRIBER AND MOBILE SUBSCRIB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이하 IMT라 칭함.)-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 음성, 영상, 데이터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호의 이동 가입자 간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기술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터 망을 제공하는 각종 이동통신 망에서도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주지하다시피, 3GPP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인 IMT-2000 서비스를 위해 무선 망으로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이하 "UMTS"라 칭함.) 기술을 권고하고 있으며, 데이터 핵심 망에 대해서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이하 "GPRS"라 칭함.) 기술을 권고하고 있다. 이 때, GPRS는 2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 기반 무선 망과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UMTS 기반 무선 망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가 각종 데이터 망에 접속하거나 가입자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인 GPRS 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을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망으로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과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재까지 3GPP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능은 GPRS 망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능이며, 이는 데이터 단말의 이동성에 대한 정보가 GPRS 망에 존재할 때에만 가능하였다. 만약 데이터 단말 간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호 접속하기 위해서는 착신측 데이터 단말은 항상 고정적인 IP(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 주소(Address)를 가져야만 데이터 망을 통해 착신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3GPP에서는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의 연결은 광대역 회선 망을 통해 제공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패킷 데이터 망을 통한 데이터 단말기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에 대한 사항은 별도의 망 요소를 추가하는 새로운 망 구조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용화에는 수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차세대 IMT-2000 망 내 GPRS 망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이 제공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고비용이 요구되는 별도의 회선 망 구축이 필수적인데 이는 수년 간의 기간이 요구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됨으로써 현재의 시점에서는 멀티미디어 호의 서비스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MT-2000 망에 설치될 GPRS 망에 새로운 망 요소의 추가와 변경 없이 멀티미디어 호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주기 위한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은, 제 1 단말기가 속한 망의 망 요소인 제 1SGSN 및 제 1 GGSN과, 제 2 단말기가 속한 망의 망 요소인 제 2 SGSN 및 제 2 GGSN과, 홈위치 등록기를 구비한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단말기가 자신이 속한 망의 제 1, 2 SGSN으로 패킷 어태치 동작을 통해 이동성을 각각 등록하는 제 100 단계;
상기 제 1 SGSN 및 제 1 GGSN이 상기 제 1 단말기의 PDP 콘텍스트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1 GGSN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200 단계;
상기 제 1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GGSN으로 전송하는 제 300 단계;
상기 제 1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 2 GGSN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00 단계;
상기 제 2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통해 해당 제 2 SGSN으로 제 2 단말기로의 전송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00 단계;
상기 제 2 SGSN 및 제 2 GGSN이 상기 제 2 단말기 및 상기 제 2 GGSN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600 단계;
상기 제 2 GGSN이 상기 제 2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 700 단계; 및
상기 제 1, 2 단말기가 상호 호처리 절차를 수행한 후 음성 패킷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제 800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세대 IMT-2000 망의 구성을 나타낸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중 제 100 단계(S100)의 세부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2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중 제 200 단계(S200)의 세부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5는 도 2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중 제 400 단계(S400)의 세부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6은 도 2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중 제 500 단계(S500)의 세부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7은 도 2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중 제 600 단계(S600)의 세부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8은 도 2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착신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 1 단말기 102 : 제 1 SGSN
103 : 제 1 GGSN 201 : 제 2 단말기
202 : 제 2 SGSN 203 : 제 2 GGSN
300 : 홈위치 등록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세대 IMT-2000 망의 구성을 나타낸 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세대 IMT-2000 망은 제 1 단말기(101)가 속해 있는 망의 GPRS 망 요소인 제 1 SGSN(102) 및 제 1 GGSN(103)과, 제 2 단말기(201)가 속해 있는 망의 GPRS 망 요소인 제 2 SGSN(202) 및 제 2 GGSN(203)과, 홈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or)(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각 단말기(101, 201) 및 상기 제 1, 2 SGSN(102) 사이에 장착된 노드 B(기지국) 및 RNS(Radio Network Subsystem)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2 SGSN(102, 202)은 각 단말기(101, 201)의 이동성과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각종 연결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와 연동하여 위치 등록 및 데이터 단말의 망접속 허가를 인증하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으며, 각 단말기(101, 201)가 요구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GGSN(103, 203)을 선택하여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전송 패킷들을 GTP(GPRS Tunneling Protocol; 이하 "GTP"라 칭함.)를 이용하여 스위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2 GGSN(103, 203)은 각 단말기(101, 201)를 외부 데이터망에 접속시켜 주는 관문 기능을 수행하며,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패킷 데이터 망으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GTP 터널을 통해 해당 SGSN(102, 202)을 거쳐 각 단말기(101, 20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는 상기 제 1, 2 단말기(101, 201)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IMT-2000 망 내 데이터 핵심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대해 도 2,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2 단말기(101, 201)는 자신이 속한 망의 제 1, 2 SGSN(102, 202)으로 패킷(Packet) 어태치(Attach) 동작을 통해 이동성을 각각 등록한다(S100).
이하, 상술한 제 100 단계(S1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1 단말기(101)는 도 8의 (a)와 같이 자신의 이동성을 등록하기 위해 P(Packet)-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정보를 자신이 속한 망의 제 1 SGSN(102)으로 전송한다(S101). 그러면, 상기 제 1 SGSN(102)은 상기 제 1 단말기(101)의 어태치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에 등록한 후,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기(101)로 어태치 절차의 완료를 통보한다(S102). 또한, 상기 제 2 단말기(201)는 도 8의 (b)와 같이 자신의 이동성을 등록하기 위해 P-TMSI 정보를 자신이 속한 망의 제 2 SGSN(202)으로 전송한다(S103). 그러면,상기 제 2 SGSN(202)은 상기 제 2 단말기(201)의 어태치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에 등록한 후,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로 어태치 절차의 완료를 통보한다(S104).
상술한 제 100 단계(S100) 이후, 상기 제 1 SGSN(102) 및 제 1 GGSN(103)은 상기 제 1 단말기(100)의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Context)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101) 및 상기 제 1 GGSN(103)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한다(S200).
이하, 상술한 제 200 단계(S2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1 SGSN(102)은 상기 제 1 단말기(101)가 도 8의 (c)와 같이 PDP 콘텍스트를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기 제 1 GGSN(103)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생성한다(S201). 이 때, 상기 제 1 GGSN(103)은 상기 제 1 단말기(101)가 유효한 PDP 어드레스(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101)로 유효한 PD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S202).
상기 제 200 단계(S200) 이후, 상기 제 1 단말기(101)는 도 8의 (d)와 같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GGSN(103)으로 전송한다(S300). 여기서, 상기 제 1 단말기(101)가 상기 제 1 GGSN(103)으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인 상기 제 2 단말기(201)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이하 "NAI"라 칭함.)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GGSN(103)은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 2 GGSN(203)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한다(S400).
이하, 상술한 제 400 단계(S4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1 GGSN(103)은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1). 이 때, 상기 제 401 단계(S401)에서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가지고 있으면(YES), 상기 제 1 GGSN(103)은 도 8의 (g)와 같이 그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PDP 콘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기(201)가 속한 해당 제 2 GGSN(203)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한다(S402). 반면에, 상기 제 401 단계(S401)에서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NO), 상기 제 1 GGSN(103)은 도 8의 (e)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의 NAI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 즉 상기 제 2 GGSN(203)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고(S403), 이후 도 8의 (f)와 같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받은 후, 도 8의 (g)와 같이 해당 제 2 GGSN(203)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한다(S404).
상술한 제 400 단계(S400) 이후, 상기 제 2 GGSN(203)은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통해 해당 제 2 SGSN(202)으로 제 2 단말기(201)로의 전송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500).
이하, 상술한 제 500 단계(S5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2 GGSN(203)은 도 8의 (h)와 같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S501). 그러면,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는 도 8의 (i)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제 2 SGSN(202)으로 통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란 상기 제 2 단말기(201)가 속한 SGSN의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GGSN(203)은 도 8의 (j)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SGSN(202)으로 제 2 단말기(201)로의 전송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502).
상술한 제 500 단계(S500) 이후, 상기 제 2 SGSN(202) 및 제 2 GGSN(203)은 상기 제 2 단말기(201) 및 상기 제 2 GGSN(203)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한다(S600).
이하, 상술한 제 600 단계(S6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2 SGSN(202)은 도 8의 (k)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와의 PDP 콘텍스트를 활성화시킨다(S601). 그런후, 상기 제 2 SGSN(202)은 도 8의 (k)와 같이 상기 제 2 GGSN(203)과 PDP 콘텍스트 생성을 완료하여 상기 제 2 단말기(201) 및 상기 제 2 GGSN(203)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한다(S602). 이 때, 상기 제 2 GGSN(203)은 상기 제 2 단말기(201)가 유효한 PDP 어드레스(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도 8의 (k)와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로 유효한 PD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S603).
상술한 제 600 단계(S600) 이후, 상기 제 2 GGSN(203)은 도 8의 (l)과 같이 상기 제 2 단말기(201)로 멀티미디어 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S700).
그러면, 상기 제 1, 2 단말기(101, 201)는 도 8의 (m)과 같이 상호 호처리 절차를 수행한 후, 도 8의 (n)과 같이 음성 패킷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여 멀티미디어 호에 대한 발/착신 동작을 수행한다(S800).
한편, 상술한 동작 과정에서 상기 제 1, 2 단말기(101, 201)에서 상기 제 1, 2 GGSN(103, 203)까지의 논리적 연결 설정은 GPRS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멀티미디어 호의 착신 기능을 위한 각 망 요소들간의 연결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의하면, IMT-2000 망 내 별도의 회선 망 요소의 구축 없이 멀티미디어 호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고비용이 요구되는 별도의 회선 망을 구축하지 않도록 해주어 경제적이며, 데이터 망에서 음성을 수용하게 됨으로 4세대 All IP 망으로의 연계성 및 진화에도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뿐만 아니라 3세대에서 권고하고 있는 사항을 대부분 만족하고 있어서 이미 개발된 시스템에 기능 추가만으로 적용 가능하여 시스템 구현상의 편리성을 제공해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제 1 단말기가 속한 망의 망 요소인 제 1 SGSN 및 제 1 GGSN과, 제 2 단말기가 속한 망의 망 요소인 제 2 SGSN 및 제 2 GGSN과, 홈위치 등록기를 구비한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단말기가 자신이 속한 망의 제 1, 2 SGSN으로 패킷 어태치 동작을 통해 이동성을 각각 등록하는 제 100 단계;
    상기 제 1 SGSN 및 제 1 GGSN이 상기 제 1 단말기의 PDP 콘텍스트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1 GGSN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200 단계;
    상기 제 1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GGSN으로 전송하는 제 300 단계;
    상기 제 1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 2 GGSN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00 단계;
    상기 제 2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통해 해당 제 2 SGSN으로 제 2 단말기로의 전송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00 단계;
    상기 제 2 SGSN 및 제 2 GGSN이 상기 제 2 단말기 및 상기 제 2 GGSN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600 단계;
    상기 제 2 GGSN이 상기 제 2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 700 단계; 및
    상기 제 1, 2 단말기가 상호 호처리 절차를 수행한 후 음성 패킷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제 800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2 GGSN까지의 논리적 연결 설정은 GPRS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멀티미디어 호의 착신 기능을 위한 각 망 요소들간의 연결은 SIP 또는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0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가 자신의 이동성을 등록하기 위해 P-TMSI 정보를 자신이 속한 망의 제 1 SGSN으로 전송하는 제 101 단계;
    상기 제 1 SGSN이 상기 제 1 단말기의 어태치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등록한 후 상기 제 1 단말기로 어태치 절차의 완료를 통보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가 자신의 이동성을 등록하기 위해 P-TMSI 정보를 자신이 속한 망의 제 2 SGSN으로 전송하는 제 103 단계; 및
    상기 제 2 SGSN이 상기 제 2 단말기의 어태치 정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등록한 후 상기 제 2 단말기로 어태치 절차의 완료를 통보하는 제 10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0 단계는, 상기 제 1 SGSN이 상기 제 1 단말기이 PDP 콘텍스트를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기 제 1 GGSN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생성하는 제 201 단계; 및
    상기 제 1 GGSN이 상기 제 1 단말기가 유효한 PDP 어드레스(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로 유효한 PD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제 20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0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제 1 GGSN으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인 상기 제 2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NAI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0 단계는, 상기 제 1 GGSN이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01 단계; 및
    상기 제 401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가지고 있으면, 상기 제 1 GGSN이 그 제 2 단말기에 대한 PDP 콘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기가 속한 해당 제 2 GGSN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0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1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PDP 콘텍스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 즉 상기 제 2 GGSN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제 403 단계; 및
    상기 제 1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받은 후 그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 2 GGSN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프로토콜 초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04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00 단계는, 상기 제 2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제 501 단계; 및
    상기 제 2 GGSN이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받은 후, 그 라우팅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 SGSN으로 제 2 단말기로의 전송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0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00 단계는, 상기 제 2 SGSN이 상기 제 2 단말기와 PDP 콘텍스트를 활성화시키는 제 601 단계;
    상기 제 2 SGSN이 상기 제 2 GGSN과 PDP 콘텍스트 생성을 완료하여 상기 제 2 단말기 및 상기 제 2 GGSN 간 논리적 경로를 연결하는 제 602 단계; 및
    상기 제 2 GGSN이 상기 제 2 단말기가 유효한 PDP 어드레스(IP 어드레스)를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로 유효한 PD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제 60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 방법.
KR10-2001-0054041A 2001-09-04 2001-09-04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KR10039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041A KR100398835B1 (ko) 2001-09-04 2001-09-04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041A KR100398835B1 (ko) 2001-09-04 2001-09-04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634A KR20030020634A (ko) 2003-03-10
KR100398835B1 true KR100398835B1 (ko) 2003-09-19

Family

ID=2772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041A KR100398835B1 (ko) 2001-09-04 2001-09-04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48B1 (ko) * 2002-04-23 2004-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172A (ja) * 1998-12-07 2000-07-18 Lucent Technol Inc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ル―ト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104929A (en) * 1997-06-20 2000-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ata packet radio service with enhanced mobility management
EP1071296A1 (en) * 1999-07-22 2001-01-24 Alcatel Method to multi-cast data packets to mobile stations, and related gateway, service and routing nodes
KR20010054331A (ko) * 1999-12-06 2001-07-02 이계철 차세대이동통신(IMT-2000)에서이동인터넷프로토콜(Mobile IP)을 이용한 패킷데이터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6256498B1 (en) * 1997-07-15 2001-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tion dependent WWW service i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929A (en) * 1997-06-20 2000-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ata packet radio service with enhanced mobility management
US6256498B1 (en) * 1997-07-15 2001-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tion dependent WWW service i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JP2000201172A (ja) * 1998-12-07 2000-07-18 Lucent Technol Inc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ル―ト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071296A1 (en) * 1999-07-22 2001-01-24 Alcatel Method to multi-cast data packets to mobile stations, and related gateway, service and routing nodes
KR20010054331A (ko) * 1999-12-06 2001-07-02 이계철 차세대이동통신(IMT-2000)에서이동인터넷프로토콜(Mobile IP)을 이용한 패킷데이터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48B1 (ko) * 2002-04-23 2004-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634A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3499T3 (es) Interoperabilidad de una red inteligente y de una red de datos en paquetes.
JP4991050B2 (ja) H.323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ミング中の移動局に移動停止呼を与えるための方式及び方法
US66147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mobile server and peer-to-peer services with dynamic DNS update
EP1301056B1 (en) A system for providing subscriber featur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RU234548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адресации вызова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двойного режима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системы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EP1123626B1 (en) Ip roaming number gateway
US7408942B1 (en) Element for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30013489A1 (en) Providing ip-base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to mobile devices
US20080159310A1 (en) Packet Control Apparatus, Authentication Ser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96027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88537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にマルチポイント接続性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WO2008055773A1 (en) Method, network el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optimized selection of an agent entity as well as modules of the network element
KR10069711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베어러 인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403516B2 (en) Enabling packet switched calls to a wireless telephone user
US6876634B1 (en) Archite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the same
US9391890B2 (en) Network-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IP with a wireless terminal
US7127235B2 (en) Multiple protocol database
KR100428736B1 (ko) 이동통신망 및 그의 운용방법
KR100398835B1 (ko)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 가입자 간 멀티미디어 호 발/착신방법
JP3847574B2 (ja)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を用いてゲートウェイ移動交換局で呼制御を維持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418479B1 (ko) 동기와 비동기 이동 통신망 간의 데이터 서비스 로밍을위한 차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928352B1 (ko) 듀얼 모드 이동국을 향한 접속의 유연한 핸들링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5023799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10039865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개인 컴퓨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0095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아이피 어드레스 및 임시 매핑테이블자동 구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