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734A -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 Google Patents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734A
KR20040063734A KR1020030001464A KR20030001464A KR20040063734A KR 20040063734 A KR20040063734 A KR 20040063734A KR 1020030001464 A KR1020030001464 A KR 1020030001464A KR 20030001464 A KR20030001464 A KR 20030001464A KR 20040063734 A KR20040063734 A KR 2004006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e
hole
air pass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모
Original Assignee
강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모 filed Critical 강병모
Priority to KR102003000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3734A/ko
Publication of KR2004006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7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보행하거나 서 있더라도 지압부가 과도하게 압박되지 않으며, 지압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신발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악취와 무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공기 순환식 지압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내부에 공기통로(12)와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에어포켓(21) 상면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가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며, 착용자가 발을 디디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해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를 공기통로(12)를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발바닥이 압박되어 지압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발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Air circulation type finger press shoes}
본 발명은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보행하거나 서 있더라도 지압부가 과도하게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압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신발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악취와 무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압용 신발은 깔창이나 중창에 발바닥의 경혈에 맞추어 다수개의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이를 착용하면, 상기 지압돌기와 접촉되는 발바닥의 경혈부위에 체중이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지압효과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압용 신발은 장시간 착용하면, 지압돌기와 접촉되는 부분에만 체중이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쉽게 피로해짐은 물론, 지나친 통증이 발생되어 오히려 역효과를 유발하며, 이를 착용하기를 꺼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지압돌기를 튜브 등으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액체나 공기 등의 유체를 채워 넣어 완충기능을 갖는 지압신발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지압신발 역시 상기 튜브에 완충기능이 있다고는 하나 전체 발바닥 중 상기 튜브와 접촉되는 부분만이 지속적으로 압박되므로, 장시간 착용하면, 피로감이 쌓이게 되어 착용을 꺼려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일상생활을 하다보면 보행하는 경우보다 장시간 제자리에 서 있는 경우가 빈발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튜브와 접촉되는 부분만이 지속적으로 압박되어 이 부분의 통증이 유발되어 지압효과를 달성하기보다는 통증에 의한 불쾌감이 더 커지게 되어 제품의 사용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상기 튜브의 완충력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통증의발생은 방지될 수 있으나 자가 운전자와 같이, 짧은 거리만을 보행하는 경우에는 지압효과가 너무 미약해져 현실적으로 지압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신발 착용시 신발 내부에 공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발에서 배출되는 땀 등에 의해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무좀이나 습진 등의 질환이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발냄새 제거는 물론, 무좀이나 습진 등의 질환을 예방하는 신발이 개발되어 넓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 배출식 신발은 대부분이 보행시 체중에 의해 신발 밑창이 눌려짐에 따라 이 신발 밑창에 형성된 소정 공간의 공기실이 압축되면서 공기를 순환시키게 되므로, 공기실의 압축정도가 매우 작아 공기의 배출이 미약할 뿐만 아니라, 신발 일측에 설치된 공기 배출용 체크밸브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혀 그나마도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빈발하여 공기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보행하거나 서 있더라도 지압부가 과도하게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압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신발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악취와 무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공기 순환식 지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신발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착용자가 발을 디딜 때의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착용자가 발을 들 때의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신발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신발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식 조절밸브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식 조절밸브의 다른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 밑창 12 : 공기통로
20 : 패드 21 : 에어포켓
22 : 공기유입구 30 : 조절밸브
31 : 하우징 32 : 통공
35 : 차단부재 36 : 구멍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10)에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개구됨과 더불어 신발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통로(12)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에어포켓(21) 상면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가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며, 착용자가 발을 디디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해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를 공기통로(12)를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발바닥이 압박되어 지압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발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는데,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통공(32)에 교차되도록 하우징(31)에 슬라이드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밸브(30)는 그 내부에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통공(32)과 이 통공(32)에 교차되는 방향의 슬라이드공(33)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슬라이드공(33)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밸브(30)는 그 내부에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형성되고 이 통공(32)의 외측 단부에는 축관부(34)가 형성된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나선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31)의 축관부(3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차단벽(37)이 구비되고 이 차단벽(37) 둘레에는 구멍(36)이 관통 형성된 차단부재(35)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밸브(30)는 그 내부에 장공 형태의 통공(32)과 이 통공(32)에 교차되는 방향의 슬라이드공(33)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슬라이드공(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된 차단부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르면,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10)에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개구됨과 더불어 신발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통로(12)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에어포켓(21) 일측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가 관통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구(22)와 대응되는 위치의 에어포켓(21)의 내부에는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23)가 에어포켓(21)의 내벽면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는데,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통공(32)에 교차되도록 하우징(31)에 슬라이드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특징에 따르면,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10)에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개구됨과 더불어 신발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통로(12)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일면에는 상기 공기통로(12)를 신발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20) 저면에는 공기유입구(22)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이 공기유입구(22)를 개폐하는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9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는데,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통공(32)에 교차되도록 하우징(31)에 슬라이드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의 제1실시예는 신발의 밑창(10)에 체크밸브(39)를 구비한 공기통로(12)가 형성된 통상의 공기 순환식 신발 내부에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를 구비한 것으로, 이 에어포켓(21)의 상단부에는 공기유입구(22)가 관통 형성되어, 착용자가 발을 디디면 상기공기유입구(22)가 발바닥에 의해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가 공기통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착용자의 발바닥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해 압박되어 지압되도록 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개방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어 이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공기통로(12)는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에 형성된 것으로, 신발 내부로 개구된 다수개의 분기통로(11)가 메인통로(13)에 연결되어 신발 후방의 배출단(12a)을 통해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통로(12)에는 일방향으로만 공기를 통하도록 된 체크밸브(39)가 구비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를 배출단(12a)을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공기통로(12)에 넓은 면적의 공간부(14)를 형성하면,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신발 밑창(10)이 눌려질 때 이 공기통로(12) 및 공간부(14)가 함께 압축되면서 종래의 공기실과 동일한 펌핑 기능도 겸하게 된다.
상기 패드(2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간격으로 돔 형상의 에어포켓(21)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앰보싱되는데, 그 내부공간은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고, 그 상면에는 신발 내부로 통하는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발을 디디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해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가 공기통로(12)를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발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에어포켓(21)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이나 고무, 실린콘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탄지되어 에어포켓(21)의 탄성 복원력을 보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22)에는 에어포켓(21)의 내벽면에 연접 설치된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착용자가 발을 디딜 때 공기유입구(22)를 더욱 기밀되게 밀폐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상기 패드(20)의 상면에는 고급 원단의 스킨재가 열융착이나 접착 등에 의해 일체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20)의 저면은 신발의 밑창(10) 또는 중창에 일체로 접착되어 공기가 패드(20)의 둘레부로 새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밸브(30)는 공기통로(12)에 설치되어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은 슬라이드식과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은 회전식이 있다. 먼저, 도 1의 슬라이드식 조절밸브는 신발 밑창(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통공(32)과 이 통공(32)에 교차되는 방향의 슬라이드공(33)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슬라이드공(33)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구멍(36)이 형성된 차단부재(3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차단부재(35)를 일측으로 슬라이드시켜 구멍(36)과 통공(32)의 연통면적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를 증감할 수 있어 에어포켓(21)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차단부재(35)에 별도의 구멍(36)을 형성하지 않고도 이 차단부재(35)를 전후진시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35)에 의해 통공(32)의 개폐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은 회전식 조절밸브는 도 1의 공기통로(12) 배출단(12a)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후단부에 나선 결합되는 캡 형상의 차단부재(3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도 1의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되되, 이 통공(32)의 외측 단부에는 내경이 축소되는 축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35)의 중앙부에는 하우징(31)의 축관부(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차단벽(37)이 형성되고 이 차단벽(37) 둘레부에는 구멍(36)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식 조절밸브는 차단부재(35)를 회전시켜 하우징(31)에 밀착되게 할수록 하우징(31)의 축관부(34)와 차단부재(35)의 차단벽(37)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공기의 배출속도가 줄어들고, 하우징(31)과 차단부재(35)를 이격시킬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공기의 배출 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은 회전식 조절밸브는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호 형상의 통공(32)과, 이 통공(32)에 교차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공(33)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통공(32)과 대응되는 위치의 슬라이드공(33)에는 외부로 개구된 개방부(3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공(33)에는 대략 반원형의 차단부재(3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통공(32)을 소정각도 차단하게 되며, 이 차단부재(35)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공(33)의 개방부(33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3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회전식 조절밸브(30)는 상기 차단부재(35)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호 형상의 통공(32)이 차단부재(35)에 의해 차단되는 정도가 조절되어 이 통공(3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의 제1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신발 내부에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간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착용자가 발을 디디면, 도 2에서와 같이 에어포켓(21)이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려짐과 더불어, 그 상면의 공기유입구(22)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해 밀폐되므로, 이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는 공기통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에어포켓(21)이 체중에 의해 눌려지는 속도는 공기의 배출속도와 비례되는데, 이와 같이 에어포켓(21)이 완전히 눌려지기까지는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해 발바닥의 경혈부분이 집중적으로 압박되어 지압 작용된다.
이어서, 착용자가 발을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착용자의 발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되고, 상기 에어포켓(21)이 자체의 탄성력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이 에어포켓(21)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22)를 통해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압신발은 착용자가 발을 디딜 때마다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체중에 의해 눌려지면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에어포켓(21)이 완전히 눌려지기 전까지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해 발바닥의 경혈부위가 압박되어 지압 작용되며, 신발 착용자가 보행하지 않고 제자리에 서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포켓(21)이 이미 눌려진 상태이므로, 착용자의 체중이 발바닥 전체에 고르게 분산 작용되어, 종래와 같이, 지압부위에만 착용자의 체중이 집중 작용되어 조금만 오래 서 있더라도 발바닥에 피로와 통증이 느껴져 착용을 꺼려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압신발은 보행 중에도 도 1의 공기통로(12) 배출단(12a)에 구비된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하기만 하면, 에어포켓(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속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 지압의 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보행자는 조절밸브(30)를 상대적으로 닫아서 짧은 거리를 보행하는 중에도 발바닥 지압효과를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원거리 보행자의 경우에는 조절밸브(30)를 상대적으로 더 열어서 에어포켓(21)의 공기를 쉽게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장시간 보행하더라도 에어포켓(21)과 접촉되는 부위의 압박 정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압신발은 신발 내부의 공기를 다수개의 에어포켓(21)에 의해 흡입하여 착용자가 발을 디딜 때 공기통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상기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도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려져 종래의 공기실 역할을 하게 되므로, 신발 밑창 공기실의 압축정도에 의해서만 신발 내부의 공기를순환시키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현저히 탁월한 공기 순환 능력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4에서와 같이, 에어포켓(21)의 일측에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구(22)와 대응되는 위치의 에어포켓(21)의 내부에는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23)가 에어포켓(21)의 내벽면에 연접되게 설치된 것만 전술한 제1실시예에 다르며, 나머지 신발 밑창(10), 조절밸브(30) 등의 구성 요소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3)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자체 탄성을 갖는 플랙시블 소재의 작은 편으로 형성하여 상기 공기유입공(22)의 일측에 개별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패드(20)의 하측에 베이스패드(24)를 별도로 배치하되, 이 베이스패드(24)에 상기 개폐부재(23)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이 개폐부재(23)가 상기 공기유입구(22)의 내벽면에 연접 배치되어 공기유입구(2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제2실시예는 착용자가 보행시 발을 디디면 개폐부재(23)에 의해 공기유입구(22)가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로 유입되었던 공기가 공기통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에어포켓(21)이 자체의 탄성력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볼록해지면서 이 에어포켓(21)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재(23)가 공기유입구(22)로부터 이격되어 이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5에서와 같이, 에어포켓(21)에는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지 않고, 패드(20) 중앙부를 따라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와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며, 이 공기유입구(22)에는 패드(20)의 저면에 그 일측단이 부착된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23)가 접해져 설치된 것만 전술한 제1실시예에 다르며, 나머지 신발 밑창(10), 조절밸브(30) 등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3)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자체 탄성을 갖는 플랙시블 소재의 작은 편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22)의 일측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공기유입구(22)에 밀착되도록 탄지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는 착용자가 보행시 발을 디디면 개폐부재(23)에 의해 공기유입구(22)가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로 유입되었던 공기가 공기통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에어포켓(21)이 자체의 탄성력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볼록해지면서 이 에어포켓(21)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재(23)가 공기유입구(22)로부터 이격되어 이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 내부로 흡입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보행하거나 서 있더라도 지압부가 과도하게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조절밸브(30)의 공기 배출속도를 조절하기만 하면, 단거리 보행시에도 지압강도를 세게 하여 지압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장거리 보행시에는 지압강도를 약하게 하여 지압부분이 과도하게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압신발은 발을 디딜때마다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는 물론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압축되면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종래의 공기통로만 압축되던 공기순환 신발에 비해 신발 내부의 공기 순환능력이 현저히 향상되고 이에 따른 악취와 무좀 등의 예방효과가 탁월하다.

Claims (9)

  1.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10)에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개구됨과 더불어 신발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통로(12)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에어포켓(21) 상면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가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며, 착용자가 발을 디디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해 밀폐되어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를 공기통로(12)를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발바닥이 압박되어 지압되며, 착용자가 발을 들면 상기 공기유입구(22)가 발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는데,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통공(32)에 교차되도록 하우징(31)에 슬라이드 또는 회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30)는 그 내부에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통공(32)과 이 통공(32)에 교차되는 방향의 슬라이드공(33)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슬라이드공(33)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30)는 그 내부에 신발 밑창(10)의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형성되고 이 통공(32)의 외측 단부에는 축관부(34)가 형성된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나선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31)의 축관부(3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차단벽(37)이 구비되고 이 차단벽(37) 둘레에는 구멍(36)이 관통 형성된 차단부재(35)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30)는 그 내부에 장공 형태의 통공(32)과 이 통공(32)에 교차되는 방향의 슬라이드공(33)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슬라이드공(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된 차단부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6.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10)에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개구됨과 더불어 신발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통로(12)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에어포켓(21) 일측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에어포켓(2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가 관통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구(22)와 대응되는 위치의 에어포켓(21)의 내부에는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23)가 에어포켓(21)의 내벽면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는데,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통공(32)에 교차되도록 하우징(31)에 슬라이드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8.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10)에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개구됨과 더불어 신발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통로(12)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9)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내부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상기 공기통로(12)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에어포켓(21)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패드(20)가 구비되며, 이 패드(20)의 일면에는 상기 공기통로(12)를 신발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20) 저면에는 공기유입구(22)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이 공기유입구(22)를 개폐하는 플랙시블 소재의 개폐부재(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12)의 배출단(12a)에는 이 공기통로(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0)가 더 구비되는데, 이 조절밸브(30)는 상기 공기통로(12)와 연통되는 통공(32)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통공(32)에 교차되도록 하우징(31)에 슬라이드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차단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밸브(3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공기통로(12)를 통한 에어포켓(21) 내부의 공기 배출속도가 증감되어 이 에어포켓(21)의 공기압에 의한 발바닥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KR1020030001464A 2003-01-07 2003-01-07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KR20040063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64A KR20040063734A (ko) 2003-01-07 2003-01-07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64A KR20040063734A (ko) 2003-01-07 2003-01-07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734A true KR20040063734A (ko) 2004-07-14

Family

ID=3735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464A KR20040063734A (ko) 2003-01-07 2003-01-07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3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521B1 (ko) * 2007-09-07 2009-07-07 박수현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0474565Y1 (ko) * 2014-03-07 2014-09-29 배기동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521B1 (ko) * 2007-09-07 2009-07-07 박수현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0474565Y1 (ko) * 2014-03-07 2014-09-29 배기동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403B2 (en) Sole construction having an air pumping device
US5678328A (en) Heel and sole structure with opposite cavities
JPH0919305A (ja) 靴の内部から空気を取り込みそのかかとの部分から外部に排気することのできるモールド成形靴底
US20050198858A1 (en) Ventilated shoe with independent fresh air inflow path and foul air outflow path
US5894683A (en) Shock absorbing heel block for shoes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40063734A (ko)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KR0180294B1 (ko) 공기순환식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040063733A (ko) 공기 순환식 지압신발
CN103082562A (zh) 一种按摩排气鞋
KR200326251Y1 (ko)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깔창
KR200259486Y1 (ko) 기능성 신발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248630Y1 (ko) 통풍신발
KR200191566Y1 (ko) 신발창
KR200265480Y1 (ko)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CN212036283U (zh) 一种具有透气功能的女鞋鞋底
KR200193913Y1 (ko) 환기 및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GB2329320A (en) Shoe with an air bulb
CN209846270U (zh) 一种用于自调解干爽度的中底鞋垫
KR20080000348U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