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652A -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652A
KR20040063652A KR1020030001146A KR20030001146A KR20040063652A KR 20040063652 A KR20040063652 A KR 20040063652A KR 1020030001146 A KR1020030001146 A KR 1020030001146A KR 20030001146 A KR20030001146 A KR 20030001146A KR 20040063652 A KR20040063652 A KR 2004006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isplay device
flat
image display
buri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3652A/ko
Publication of KR2004006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2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매립형으로 수납할 수 있는 매립 공간을 벽체에 형성하고, 기기의 일단을 경첩으로 상기 매립 공간 일단에 고정하며, 기기의 타단은 상기 매립 공간의 타단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 의해서 설치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필요 시 상기 경첩을 축으로 하여 도어를 개폐하듯이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FLAT PANEL VIDEO DISPLAY DEVICE USING BUILT-IN TYPE HANGER}
본 발명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 기반의 텔레비젼은 상당한 볼륨을 갖는 케이스타입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 비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방바닥이나 거실 바닥 및 사무실 바닥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박스타입의 텔레비젼은 텔레비젼이 가지는 크기(체적)만큼의 공간이 있어야만 비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텔레비젼이 비치된 곳은 공간으로서의 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실정이다.
상기 CRT 기반의 텔레비젼은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브라운관과 이 브라운관에 장착되는 전자총, 각종 전장 부품 등이 기기의 후방으로 상당히 돌출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텔레비젼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기호가 대형화면을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텔레비젼의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텔레비젼이 차지하는 면적은 날로 커져가는 실정이어서 더욱더 공간의 활용도는 저하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텔레비젼의 화면을 브라운관 타입에서 벗어나 LCD나 PDP와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면의 평면 영상 구현이 가능한 타입으로 전환되면서 텔레비젼의 두께가 상당히 얇아져 소형은 물론 대형의 화면일 경우에도 박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박형타입의 텔레비젼은 박스타입의 기존 CRT 기반 텔레비젼과는 달리 혼자서 직립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별도의 거치대나 턴테이블 등과 같은 거치 기구물을 필요로 하게된다.
전용 거치대나 턴테이블 등의 거치 기구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형이지만 거치대나 턴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박스타입의 텔레비젼과 동일한 설치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는 그 장점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달아 벽걸이 형으로 설치하는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즉, LCD나 PDP타입의 평판형 텔레비젼 수상기를 벽에 걸어서 설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PDP TV 벽걸이 장치나 LCD TV 벽걸이 장치가 제안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높이면서도 텔레비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PDP TV를 벽체에 걸어서 설치한 경우에는, PDP TV를 벽체에 걸어서 설치하기 위하여 벽체에 고정을 위한 브라켓을 장착하고 이 고정 브라켓에 PDP TV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PDP TV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 등의 기구물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PDT TV의 시청 각도를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벽체에 PDP TV를 걸어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유지 보수 작업 시의 어려움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즉, PDP TV의 수리 등을 위해서는 PDP TV의 후면 케이스를 열고 그 내부를 노출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벽에 매달려 있는 대형 TV를 떼어내서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므로 큰 중량의 대형 TV를 벽체 걸이장치에서 분리하여 취급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수리 후에는 대형의 PDP TV를 작업자가 다시 들어 올려서 벽체 걸이장치에 매달아야 하는 작업도 필요하게 되므로 고장 수리를 위한 작업자 1인이 대형의 PDP TV를 벽체에서 떼어내고 또 수리 후에는 다시 매달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2인 이상의 작업자가 동원되어야 하는 것이 통례이며, 혹은 수리 작업자가 주변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대형의 PDP TV를 벽체에서 떼어내고 이를 다시 바닥에 내려놓고, 수리 후에는 다시 들어올려서 벽체 걸이 장치에 매달아 설치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벽체에 매달아서 설치하는 PDP TV 등과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는 비록 박형이라고 하더라도 벽체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상태에 놓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만큼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은 물론, 벽체에 매달린 대형의 PDP TV의 케이스 상단부나 그 후면의 벽체 걸이장치와의 틈새 사이로 먼지나 각종 이물질 등이 쌓이게 되어 실내 위생을 해치게 되는 것은 물론, 벽체에서 돌출되어 나온 만큼 벽체 주변의 인테리어 환경과의 부조화 발생의 우려도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히 근래에는 사용자들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하나의 가구로서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대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 매립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벽체에 매립된 상태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달린 상태로 한쪽을 축으로 하여 문을 여닫듯이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립하고 기기의 일측에 경첩 구조를 구비하여 기기를 경첩을 축으로 문을 여닫듯이 자유롭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기기를 벽체에서 떼어내거나 다시 매달아 설치할 필요없이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에 매달린 상태로 그 후면의 판넬 등을 손쉽게 제거하고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문을 여닫듯이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함으로써, 기기가 벽체에서 돌출되지 않고 매립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종전과 같은 기기 상단이나 벽체 걸이장치와의 틈새 사이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쌓이게 되는데 따른 위생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벽체와 나란한 동일 평면 상에서 설치됨에 따른 실내 주변 환경과의 충분한 어울림과 미려하고 단정한 설치 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 의해서 설치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와 프론트 캐비넷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벽체 12: 매립 공간
13: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14: 프론트 캐비넷
14a: 탄성훅크 14b: 윈도우
15: 경첩 16: 결합 브라켓
17: 볼트구멍 18: 고정 브라켓
19: 볼트구멍 20: 지지봉
21: 볼트 22: 경첩 브라켓
23: 훅크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는, 기기의 매립 수용을 위하여 벽체에 형성된 매립공간과, 상기 매립 공간의 일측에서 기기의 일단에 결합된 경첩과, 상기 매립공간의 타측에서기기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경첩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매립공간에 수용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향하는 기기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결합 브라켓을 구비하여 기기의 일측은 경첩에 지지되고 그 타측은 상기 브라켓 및 볼트를 이용해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다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향하는 기기의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결합 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 및 결합 브라켓의 볼트 구멍을 이용하여 기기를 임시로 가고정시키고 그 고정 위치를 안정되게 설정해 주기 위한 행거용 지지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서, 상기 기기를 벽체에 매립 상태로 수용하였을 때 기기의 가장자리와 매립 공간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기의 사방 가장자리를 덮어서 가려주기 위한 프론트 캐비넷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서, 상기 기기를 벽체에 매립 상태로 수용하였을 때 기기의 가장자리와 매립공간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기의 사방 가장자리를 덮어서 가려주기 위한 프론트 캐비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의 중앙부는 상기 기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윈도우(Window)를 이루며, 상기 프론트 캐비넷 가장자리에는 탄성 훅크를 형성하고 이에 대향하는 매립 공간 가장자리 변부에 훅크홈을 형성하여 프론트 캐비넷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서, 상기 매립공간에 수용되어 일단이 경첩에 의해 지지되고 그 타단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타입으로 매립공간에서 개폐가능한 상기 기기는 PDP T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 의해서 설치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와 프론트 캐비넷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벽체(11)에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를 수용할 수 있는 매립 공간(12)을 형성하고, 이 매립 공간(12)에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를 설치하였다.
여기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는 PDP TV를 예로 들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기(13)를 매립 공간(12) 내에 설치하였을 때 기기(13)의 사방 가장자리 부분과 매립 공간(12)의 변부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틈새 사이로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여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론트 캐비넷(14)을 구비하였다.
프론트 캐비넷(14)은 전체적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의 사방 가장자리를 덮어주는 커버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을 위해서 그 좌우측 가장자리에 탄성 훅크(14a)를 형성하였고, 가운데 부분에는 개방된 윈도우(14b)를 형성하여 기기(13)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이 상기 윈도우(14b)를 통해서 노출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프론트 캐비넷(14)에 형성되는 탄성훅크(14a)는 캐비넷 상,하,좌,우 모두에 적절한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캐비넷과 일체로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형성하면 제작하기도 쉽고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도 쉽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기기를 미닫이 타입의 도어를 열듯이 열어 놓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개폐 가능하며 벽체에 매립된 상태로 수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잘 보여준다.
즉, 기기(13)의 개폐를 위하여 기기(13)의 일측(도면에서는 좌측단)에 경첩(15)을 설치하였고, 기기(13)의 타측(도면에서는 우측단)에는 결합 브라켓(16)을 설치하였다. 상기 결합 브라켓(16)에는 소정 간격마다 볼트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매립 공간(12)의 타측(도면에서는 우측단)에는 고정 브라켓(18)을 설치하였고, 상기 고정 브라켓(18)에도 상기 결합 브라켓(16)의 볼트 구멍(17)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다수의 볼트 구멍(19)을 형성하였으며, 기기의 가고정을 위한 지지봉(20)이 상기 볼트 구멍(19) 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지봉(20)이 삽입된 볼트 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볼트 구멍들은 서로일치된 상태에서 볼트(21)를 체결함으로써 기기(13)가 매립 공간(12) 내에 완벽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봉(20)은 임의의 위치의 볼트 구멍으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대형의 무거운 기기(13)를 임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상기 경첩과 브라켓을 이용한 기기의 고정 구조 및 프론트 캐비넷의 고정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보여준다.
기기(13)는 벽체(11)에 형성된 매립 공간(12) 속에 정확하게 수용된다. 기기(13)의 일측은 경첩(15)을 이용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를 위하여 벽체(11)에 경첩 브라켓(22)을 설치하고 이 경첩 브라켓(22)을 이용해서 경첩(15)을 적당한 높이로 고정시키고 있다. 기기(13)의 타측에는 앞서 설명한 결합 브라켓(16)이 고정되어 있고, 이 것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브라켓(18)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18)과 결합 브라켓(16)의 볼트 구멍들은 서로 1:1 대응하여 매칭되어 있으며, 도3에서는 지지봉(23)이 볼트 구멍들 중의 어느 한 쌍에 삽입되어 기기를 가고정시킨 구조를 보여준다. 나머지 볼트 구멍들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21)를 체결하여 기기(13)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프론트 캐비넷(14)은 그 중앙 부분이 개방된 윈도우(14b)를 이루고 있으며, 양측 가장자리에 탄성 훅크(14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탄성 훅크(14a)가 삽입되어 고정될 훅크홈(23)이 매립 공간(12)의 가장자리 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에 의한 기기의 고정과 회전 개폐 동작에 대해서 상기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기(13)가 매립 공간(12) 속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일측이 경첩(15)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타측은 브라켓(16,18) 및 체결용 볼트(21)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유회전은 일어나지 않으며, 견고하게 매립 공간(12) 속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프론트 캐비넷(14)이 기기의 사방 가장자리 부분을 잘 덮어주기 때문에 외부로 그 틈새가 노출되지도 않고, 기기(1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프론트 캐비넷(14)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14b)를 통해서 보여지게 되므로 프론트 캐비넷(14)이 영상 시청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또한 프론트 캐비넷(14)은 탄성 훅크(14a) 및 훅크홈(23)의 결합에 의해서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는 벽체에 매립된 상태이고 벽체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서 윈도우 타입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기기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하여 기기 후면을 개방해 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프론트 캐비넷(14)을 떼어내고 기기(13)를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켜 열어보면 된다.
즉, 프론트 캐비넷(14)의 탄성 훅크(14a)를 가볍게 강제적으로 훅크홈(23)에서 이탈시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캐비넷(14)을 벽체에서 떼어낸다. 그리고 결합 브라켓(16) 및 고정 브라켓(18)의 볼트 구멍(17,19)에 체결된 볼트(21)를 풀어준다. 이와 같이 볼트(21)를 풀어 놓더라도 지지봉(20)이 있기 때문에 기기(13)는 아직까지 가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것은 일반적으로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특히 PDP TV의 경우 대형이고 그 중량 또한 적지않기 때문에 볼트(21)를 풀었을 때 기기가 고정 상태의 해제에 따라 한꺼번에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다음에는 기기(13)의 지지봉(19)에 의해서 가고정된 쪽을 살짝 들어올리면서 앞으로 당기게 되면 지지봉(19)에서 결합 브라켓(16)의 볼트 구멍(17)이 빠져나오면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첩(15)을 축으로 기기(13)가 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그러므로 기기(13)의 후면이 완전히 노출되고 수리 작업 등의 필요한 작업을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가 벽체에 그대로 매달린 상태에서 수행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기기(13)가 경첩(15)을 매개로 하여 매립 공간(12)에서 개폐 가능하고 또 기기(13)가 벽체(1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한쪽이 매달린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 1인이 간단하게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대형의 무거운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작업을 마친 후에는 기기(13)의 결합 브라켓(16) 쪽을 매립 공간(12)쪽으로 가볍게 밀어주면 경첩(15)을 축으로 하여 기기(13)가 회전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 때 지지봉(20)을 이용해서 결합 브라켓(16)과 고정 브라켓(18)을 임시로 고정시켜 놓는다. 이와 같이 하면 주 체결수단인 볼트(21)를 체결할 때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볼트(21)를 볼트 구멍(17,19)에 맞추어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앞서 기술하였듯이 프론트 캐비넷(14)을 탄성 훅크(14a)와훅크홈(23)을 이용해서 결합하여 기기 전면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덮어주면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3)는 매립 공간(12) 속에 수용된 원래의 고정 상태로 복구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PDP TV 등과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한쪽을 경첩을 이용해서 벽체의 매립 공간 속에 매달고 다른 한쪽은 브라켓을 이용해서 체결하는 구조를 이용해서 기기를 매립형으로 설치하고, 또 필요시에는 도어를 여닫듯이 개폐하여 벽체에 기기가 매달린 상태로 수리 등의 작업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도2 및 도3에서는 경첩(15)을 회전 지지수단으로 설명하였으나, 기기의 회전 지지수단은 경첩(15)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를 응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캐비넷(14)을 탄성 훅크를 이용해서 고정시키고 있지만 나사 체결 방식이나, 혹은 벨크로 화스너처럼 붙였다 떼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다를 구조를 응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매립형으로 설치하고 기기의 일단에 회전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그 타단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시 기기를 회전 개폐 타입으로 벽에 매달린 상태로 열고 닫아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구조의 변형과 응용,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하여 자명한 수준에 해당할 것이고,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하는 응용이나 변형 등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는 PDP TV 등과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별도의 설치 공간을 과도하게 점유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벽체와 같은 평면상에서 영상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므로 평면 영상 디스플레이의 평면 감각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주변의 실내 인테리어 환경과도 잘 어울릴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는 PDP TV 등과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하되 그 기기가 벽에 매달린 상태로 문을 여닫듯이 자유롭게 개폐되는 타입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대형의 무거운 기기를 수리 등을 위하여 일일이 벽에서 떼어내거나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함 및, 대형의 무거운 기기 취급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6)

  1.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매립 수용을 위하여 벽체에 형성된 매립공간과, 상기 매립 공간의 일측에서 기기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 지지수단과, 상기 매립공간의 타측에서 기기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회전 지지수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매립공간에 수용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향하는 기기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결합 브라켓을 구비하여 기기의 일측은 경첩에 지지되고 그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 결합 브라켓 및 볼트를 이용해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다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향하는 기기의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결합 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 및 결합 브라켓의 볼트 구멍을 이용하여 기기를 임시로 가고정 시키기 위한 지지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를 벽체에 매립 상태로 수용하였을 때 기기의 가장자리와 매립 공간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기의 사방 가장자리를 덮어서 가려주기 위한 프론트 캐비넷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를 벽체에 매립 상태로 수용하였을 때 기기의 가장자리와 매립 공간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기의 사방 가장자리를 덮어서 가려주기 위한 프론트 캐비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의 중앙부는 상기 기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윈도우(Window)를 이루며, 상기 프론트 캐비넷 가장자리에는 탄성 훅크를 형성하고 이에 대향하는 매립 공간 가장자리 변부에 훅크홈을 형성하여 프론트 캐비넷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공간에 수용되어 일단이 회전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그 타단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타입으로 매립공간에서 개폐 가능한 상기 기기는 PDP 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KR1020030001146A 2003-01-08 2003-01-08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KR20040063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46A KR20040063652A (ko) 2003-01-08 2003-01-08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46A KR20040063652A (ko) 2003-01-08 2003-01-08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52A true KR20040063652A (ko) 2004-07-14

Family

ID=3743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146A KR20040063652A (ko) 2003-01-08 2003-01-08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365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26B1 (ko) * 2004-12-24 200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WO2008085671A1 (en) * 2007-01-04 2008-07-17 N-Lighten Technologies Modular in wall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1018829B1 (ko) * 2008-07-11 2011-03-04 (주)미러비전 슬림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도어
KR101020077B1 (ko) * 2009-07-07 2011-03-09 툴디자인 (주) 회동식 영상-음향 장치 설치 시스템
KR101594692B1 (ko) 2014-09-23 2016-02-17 대구도시철도공사 열차용 차상 모니터 거치대
KR102125717B1 (ko) 2019-03-08 2020-06-23 (주)건우시스템 디스플레이 기기용 팝업형 벽체 거치장치
KR20220159208A (ko) * 2021-05-25 2022-12-0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
US11814887B2 (en) 2019-12-20 2023-11-14 Innovations By Fisher, Llc Concealable hing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26B1 (ko) * 2004-12-24 200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WO2008085671A1 (en) * 2007-01-04 2008-07-17 N-Lighten Technologies Modular in wall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1018829B1 (ko) * 2008-07-11 2011-03-04 (주)미러비전 슬림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도어
KR101020077B1 (ko) * 2009-07-07 2011-03-09 툴디자인 (주) 회동식 영상-음향 장치 설치 시스템
KR101594692B1 (ko) 2014-09-23 2016-02-17 대구도시철도공사 열차용 차상 모니터 거치대
KR102125717B1 (ko) 2019-03-08 2020-06-23 (주)건우시스템 디스플레이 기기용 팝업형 벽체 거치장치
US11814887B2 (en) 2019-12-20 2023-11-14 Innovations By Fisher, Llc Concealable hinge
KR20220159208A (ko) * 2021-05-25 2022-12-0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US20170224108A1 (en) Television mounting device
US8717751B2 (en) Protective enclosure
US20030000153A1 (en) Media wall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US7628367B2 (en) Mount interface for suspended ceiling
US94084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wall mounting flat panel monitor and storing associated audio/video components
US11415264B2 (en) Bracket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equipment in between a monitor and a supporting structure
US11089698B2 (en) Rapid access display housing
CA2040171A1 (en) Support structure for television monitor
KR20040063652A (ko)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체 매립형 벽걸이 장치
TW201921218A (zh) 運算裝置裝配外殼
CN103907075A (zh) 安装装置
WO2017177485A1 (zh) 一种壁挂装置及显示设备
KR100778217B1 (ko) 영상표시장치의 월 마운트 겸용 스탠드.
KR20140135407A (ko) 다용도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0549309B1 (ko)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변 벽걸이 장치
US10638083B1 (en) Rapid access display housing
KR10105908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걸이 장치
KR20200133552A (ko) 탈부착 가능한 lcd패널 거치대
US20080165294A1 (en) Modular in wall display system and method
JPH10207402A (ja) 多画面pdp取付構造
KR20030430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KR102380631B1 (ko) 벽밀착형 스탠드 및 플로우 스탠드 공용화 tv 거치대
US20210332942A1 (en) Displa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