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832A -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832A
KR20040062832A KR1020030000364A KR20030000364A KR20040062832A KR 20040062832 A KR20040062832 A KR 20040062832A KR 1020030000364 A KR1020030000364 A KR 1020030000364A KR 20030000364 A KR20030000364 A KR 20030000364A KR 20040062832 A KR20040062832 A KR 2004006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hedra
obesity
express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옥
황은주
윤수진
정보미
임창용
이혜정
심인섭
함대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Priority to KR102003000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2832A/ko
Publication of KR2004006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8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Zo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현미의이인,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단백질, 세포 등의 발현 조절이 가능하여 궁극적으로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다. 한편, 약제학적 조성물은, 동결건조한 분말, 약침액, 음료, 식품보조 첨가제, 방향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MEDICAL TREATMENTS AND PREVENTION OF OBESITY INCLUDING HERBAL MEDICINE EXTRACTS}
본 발명은, 급속히 증가되는 비만 인구의 비만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이며,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단백질, 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한약추출액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인간의 활동이 쉽고 편리하게 되였으며, 노동의 대부분은 기계화, 자동화되었으며 신체활동이 점점 줄어들고 편협화되어 신체의 불활동성, 불균형 현상이 초래되면서 신체가 점차 약해져 가고 있다. 또한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영양의 과잉 섭취가 늘고 인스턴트화 되어가고 있다. 이런 복합적인 원인은 비만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조차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정의하고 있는 비만은 그 자체만으로도 용모손상(Disfigurement), 불편감(Discomfort), 비능률(Disability)을 비롯하여 질병(Disease), 죽음(Death) 등 소위 5D현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비만은 단순히 외모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된 여러 성인병의 주요한 원인인자로써 작용한다. 즉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뇌혈관계질환, 관절염, 담낭질환, 유방암 및 대장암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인자로 의학적으로는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정상인에 비해 비만인의 성인병 발생 위험도는 당뇨병은 10배, 고혈압은 4배나 높고 사망률 또한 정상체중의 25%를 초과한 경우 39%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서구지역에서는 전체인구의 40∼50%가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판정되어 질병치료에 대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지고 있다. 더욱이 근래 우리나라의 비만은 발생빈도의 증가는 물론 소아비만의 발생율이 현저히 증가되어 그 심각성은 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따라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들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비만치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시도되고있지만 비만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검증되지 않은 치료제 혹은 치료법의 남용으로 인한 폐해가 문제되고 있다. 비만의 특성상 유전적 요인, 질환적 요인 및 환자의 건강상태, 의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또한 신체의 건강을 유지 혹은 증진시키면서 비만을 치료하는 획기적인 방법은 아직 부족한 형편이었다.
최근에는 한의계에서도 비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환자의 체질과 상태에 따라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건강을 증진하여 자연스럽게 비만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부합하여 기존의 침, 부항 요법을 포함한 새로운 비만 치료법의 개발과 확립 및 부작용이 적고 인체의 대사균형을 조절하여 비만을 자연스레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한약재의 개발 및 상품화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특히,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나 단백질, 세포 등을 제어, 조절하여 비만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업스트림(upstream)의 방법들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단백질, 세포 등을 제어, 조절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 체중인은 물론이고 비만인의 체질과 상태에 따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건강을 증진하여 자연스럽게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부합한,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한약 추출물을 사용하여 약물요법, 혈자리의 약침 요법에 이용함은 물론이고 건강식품 보조제 및 각종 식음료의 기능성 첨가제로써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지방세포에서의 지단백질 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지방세포에서의 렙틴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지방세포에서의 레지스틴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체중변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단위 체중 당 조직의 무게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단위 체중 당 체지방 무게표.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복부지방 조직세포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뇌조직 시상하부에서의 렙틴 리셉터 유전자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갈색지방조직에서의 열생성 단백질 유전자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 사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지방세포의 지단백질 분해효소 발현을 증가시키는, 지단백질 분해효소 발현 증가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이인, 마황,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렙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렙틴 유전자 발현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미의이인, 의이인, 마황,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레지스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레지스틴 유전자 발현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복부지방 조직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복부지방 조직세포 크기 감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식이섭취 조절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식이섭취 조절 유전자 발현 감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갈색지방조직에서의 열생성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열생성 단백질 유전자 발현 감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한약 추출물은, 동결건조한 분말, 약침액, 음료, 식품보조 첨가제, 방향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현재까지 검증한 한약재중에 마황>숙지황>의이인 순서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마황은 그 독성 때문에 식이보조제나 약물로의 이용에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다른 한약재인 숙지황, 의이인도 한방치료약으로 이미 사용은 하고 있지만 한약조제시 다른 약재와 같이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한가지 약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비만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한약 추출액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이러한 한약 추출액은 기존의 양약 형태의 지방 흡수 저해제, 식욕 억제제 등의 체중감량 보조약제의 오남용을 통한 중독성과 기타 부작용이 적다.
숙지황, 의이인, 마황 추출액의 활용은 인체 내에서의 독성 및 인체 부작용의 피해를 최소한 줄이면서 비만의 예방과 비만의 치료에 최대한의 약물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여러 형태(한약액, 환약, 약침 등)의 치료약 개발 활용과 적정 복용량(주사량)을 선정하여 비만치료에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숙지황, 마황, 의이인 한약 추출액을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 및 보조제로써의 기능성식품(드링크제, 사탕류와 껌류의 기능성 보조 첨가제, 건강보조 기호식품(茶)류, 아로마제품 첨가제, 생식 및 선식 첨가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지방조직세포를 배양하여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효소, 전달물질 및 그 수용체들의 유전자 발현에 한약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숙지황, 의이인, 마황 추출액이 비만에 효과적인 한약재로 탐색하였다.
또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지방식이 공급으로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서 조직학적, 분자생물학적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확실한 실험동물의 체중감소와 체지방 감소 효과를 관찰하였다.
1. In vtro 실험방법
1) 세포배양
비만세포 3T3-L1은 서울대학교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액은 DMEM에 1% penicillin-streptomycin, 10% fetal bovine serum을 섞어서 사용하여 5% CO2 배양기에서 일정기간 배양하였다. 완전한 비만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서 배양액에 인슐린(Sigma Co.), dexamethasone(Sigma Co.) 그리고 isobutylmethylxanthine(Sigma Co.)을 섞어서 이틀간 배양하고 그리고 인슐린만을 포함하는 DMEM 배양액으로 바꾸어 12일간 배양하였으며 이틀마다 현미의이인, 의이인, 숙지황, 마황, 창출을 100 ㎍/㎖농도로 각각 3T3-L1 세포에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2) 한약액 추출
한약재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원에서 구입하였으며 구입한 약재 60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3ℓ를 넣은 후 냉각관을 부착하여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여 식힌 후 거어즈로 여과하여 한약액을 농축기로 농축한다.
농축 한약액이 300∼500 ㎖ 정도되면 에탄올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은 통에서 한약액을 급속 냉각시켜 -80 에 하루 보관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약재가 완전히 마를 때까지 건조시킨다.
3) 총 RNA분리
인삼 사포닌과 한약 추출액을 12일 동안 처리한 후 3T3-L1 비만세포에 1mlTrizol을 가하여 세포를 파쇄하고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첨가하여 12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가하여 -20℃에서 1시간 방치후 다시 12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한 RNA는 희석하여 분광광도계로 260nm에서 농도를 측정하였다.
4) 역전사중합연쇄반응(RT-PCR;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리한 RNA에 reverse transcriptase를 넣어 cDNA를 합성하였다. 총RNA용액과 RT primer, reverse-transcriptase, 10mM dNTP를 첨가하여 37℃ 에서 1시간 반응시켜 cDNA를 얻었다. Reverse-Transcription반응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생성된 cDNA에 upstream과 downstream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하여 대량으로 증폭시켰다.
PCR은 PCR 자동화기계에서 template로 cDNA, Taq polymerase, dNTP, primer, 10x buffer 및 d-H2O를 첨가하여 총 반응액을 20㎕로 하여 반응시킨 후 1%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세포내 표준물질로는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GAPDH) 유전자 cDNA를 PCR하여 l렙틴, 레지스틴, 지단백질 분해효소 유전자 발현정도를 보정하였다. 각 유전자의 primer는 Genome Primer center program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5) 전기영동
증폭된 DNA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 1% agarose gel에 RT-PCR 시료를 로딩(loading)하여 50mV로 전기영동한 후 Et-Br용액으로 10분간 염색하고 3차 증류수로 10분간 탈색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2. In vivo 실험방법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In vitro 선행실험을 통하여 비만지방세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지는 한약재는 숙지황, 의이인, 마황을 선택하였다.
동물은 생후 3주령된 Sprague-Dawley(SD)종 수컷 흰쥐를 바이오제노믹스로부터 구입하였다. 사육실(실내온도 22±2℃, 상대습도 55±5%, 12시간 명(light), 12시간 암(dark))에서 일반사료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난괴법으로 정상군(Normal), 실험 대조군(Control), 숙지황군(Sookgi), 의이인군(Unyin), 마황군(Mahwang)의 5군으로 각각 나누고, 정상군을 제외한 나머지 4군은 표1과 같은 구성의 3주간 40% beef tallow 고지방식이(Dyets Inc., Bethlehem, PA, USA)로 비만을 유도하였다.
실험동물의 평균 체중이 300g이상 되었을 때 체중100g당 50㎎의 한약 추출액을, 대조군에는 1차 증류수를 매일 일정시간에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섭식하였으며 식이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였고 체중은 이틀에 한번씩 측정하였으며 8주간 사육하였다.
표1에서 Normal은 정상식이(Normal diet)를 의미한다(AIN-76A purified rodent diet with 65% cornstarch #111753CCL) (Dyets Inc., Bethlehem, PA, USA). 또한, High fat diet는 고지방식이를 의미한다(40% beef tallow modified AIN-76A purified rodent diet #101556) (Dyets Inc., Bethlehem, PA, USA).
2) 시료수집
실험 종료일에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키고 엔토발(한림제약)로 마취한 후 복대정맥에서 채혈한 후 단두하여 뇌조직을 척출하여 시상하부 부위를 RNA later(Ambion Inc., USA)용액에 담아서 냉장보관 후 즉시 RNA를 분리하여 렙틴리셉터, 뉴로펩타이드 와이 mRN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복막하지방, 부고환지방, 갈색지방조직, 가자미근육을 적출하여 정확히 무게를 측정하고 액체질소에 넣어 얼린 후 분석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혈액은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분석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간, 심장, 신장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3) 지방세포 크기 측정
지방세포의 평균 크기 측정을 위해 적출한 복막하 지방조직 50∼100㎎을 취하여 세절한 후 10mM collagenase(Sigma Co., USA)용액을 가하여 37℃ 인큐베이터(shacking incubator)에서 균질화시킨 일정량을 취하여 Diff-Quik solution Ⅱ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3. In vitro 실험결과
1)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지방세포에서의 지단백질 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지방세포의 지표 유전자인 지단백질 분해효소의 발현 차이를 RT-PC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00㎍/㎖ 현미의이인, 의이인, 숙지황, 마황, 창출을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배양한 결과 약물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에 비해 지단백질 분해효소 발현이 증가되었다. 특히 의이인, 숙지황, 마황 그리고 창출군 처리군에서 더 많은 증가를 보였다.
2)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지방세포에서의 렙틴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분화된 3T3-L1 지방세포가 완전히 분화되면서 체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 mRNA 발현은 증가되었다.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에서의 렙틴 mRNA 발현 정도는 처리 약물의 정도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 100㎍/㎖ 의이인, 마황, 그리고 창출 처리군은 지방세포에서 유의적으로 렙틴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현미의이인, 숙지황 처리군도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다른 약물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이지는 않았다.
3)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지방세포에서의 레지스틴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지스틴 mRNA는 미분화 지방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되면서 발현되었다. 인삼사포닌을 처리한 세포는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해볼 때 레지스틴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현미의이인, 의이인, 숙지황, 마황, 창출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레지스틴 발현이 인삼사포닌을 처리한 세포보다 낮게 나타났다.
4)소결
이상의In vitro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숙지황, 의이인, 마황이 지방세포로부터 비만지표가 되는 지단백질 분해효소, 대표적인 비만지표인 렙틴, 레지스틴 유전자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In vivo 실험결과
1)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체중변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8주간 고지방식이(40% beef tallow)로 사육한 실험동물의 체중증가 변화는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는 정상식이 공급군에 비해 전 실험기간 동안 지속적인 체중증가를 나타내었고 정상식이 공급군은 실험기간 3주째부터는 실험군과 달리 완만한 체중변화를 보여 고지방 실험군과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 공급 실험군에서 실험 4주째 약물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체중감소를 보였으며 마황> 숙지황> 의이인 순으로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험군간에는 마황군이 숙지황과 의이인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인 체중감소를 보였으나 숙지황과 의이인 처리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2)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단위 체중 당조직의 무게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체중당 심장, 간장 및 신장 무게는 실험대조군에 비해 한약 물추출 투여군에서 각조직의 감소를 보였다. 심장무게는 정상군 식이 공급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공급실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실험 대조군에 비해 약물 투여군에서 심장무게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간장 무게는 정상식이 공급군에 비해 실험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의이인과 마황 투여군에서는 실험대조군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숙지황 투여군에 비해 의이인과 마황 투여군에서 각각 감소를 나타내었다. 신장무게는 정상군 식이 공급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공급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실험대조군에 비해 약물투여군에서는 숙지황 공급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3)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단위 체중 당 체지방 무게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험식이 8주 공급 후 실험동물의 지방세포무게는 부고환 지방 조직량과 복막하 지방 조직량은 정상 식이 공급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실험 대조군에 비해 약물 투여군에서 지방 조직량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약물 투여군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갈색 지방 조직량은 정상 식이 공급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공급군에서 숙지황 투여군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실험 대조군에 비해 의이인과 마황 투여군에서는다른 지방 조직량과는 달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4)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고지방식이 공급 흰쥐에서의 복부지방 조직세포 사진이다. 도 7a는 정상군의 복부지방 조직세포 사진(200배 확대, 이하 동일)이다. 도 7b는 실험 대조군(Control)의 복부지방 조직세포 사진이다. 도 7c 내지 7e는 각각 숙지황군(Sookgi)(50㎎/2㎖ DW/100g BW, 이하 동일), 의이인군(Unyin), 마황군(Mahwang)의 복부지방 조직세포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고지방 실험식이를 8주 공급한 후 실험동물의 지방세포크기를 측정한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실험식이 공급군에서 지방세포 크기가 유의적으로 컸으며 약물 투여군은 실험대조군에 비해 지방세포 크기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약물 투여군에서는 정상군이나 실험 대조군에 비해 지방세포의 모양이 조금 변형되어진 것을 관찰되어 늘어난 지방세포가 약물의 영향으로 크기가 감소되어짐을 관찰할 수 있어서 숙지황, 마황, 의이인이 특히 체지방 세포의 크기 및 지방세포수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뇌조직 시상하부에서의 렙틴 리셉터 유전자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추신경계의 시상하부에서 식이조절의 충추적인 역할을하는 렙틴리셉터, 뉴로펩타이드 와이 mRNA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약물 처리군에서 감소하여 숙지황, 마황, 의이인이 식이 섭취 조절 유전자에 영향을 미쳐 식이 섭취를 감소시키므로 체중의 증가를 억제하고 체지방 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약제학적 조성물을 처리할 때, 갈색지방조직에서의 열생성 단백질 유전자 발현에 대한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방조직 분석시 갈색 지방조직에서 UCP1(Uncoupling protein 1, 열생성 단백질)mRNA 발현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약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감소량은 마황>숙지황>의이인 순이다. 이러한 결과는 약물투여로 인한 지방세포에 영향을 끼쳐 혈중 렙틴양의 감소를 초래하여 그 영향을 받는 UCP1 발현이 감소되어짐을 알수있다.
5. 소결
이상, 지방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한약 추출액이 지방세포에 작용하여 비만인자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검색하여 선택한 숙지황, 마황, 의이인을 고지방식이 공급 비만흰쥐에서의 실험을 통해 체중증가 억제, 조직별 지방 함량 감소, 중추신경계 시상하부에서의 식이조절 유전자(렙틴 리셉터, 뉴로펩타이드 와이) 발현에 유의적 영향이 관찰되므로, 숙지황, 마황, 의이인 한약물추출액이 정상 체중인(Lean), 선천성 비만인(Obesity) 및 후천적 비만인(Post-obesity)의 비만 예방과 비만의 치료에 효과, 특히 체중감량과 체지방량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숙지황, 의이인,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약물의 개념에서부터 건강 기능성 식품 보조제까지 폭넓은 개발과 그 활용 효과를 기대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숙지황, 의이인, 마황 한약 추출액 그 자체나, 기능성 음료 및 드링크류, 추출액 동결건조 분말, 타블렛(환약), 사탕류, 스낵류와 껌류의 기능성 식품보조 첨가제, 선식첨가제, 건강보조 기호식품류(다(茶)류 등), 아로마제품 첨가제, 약침액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실험동물을 쥐로 하였으나, 다른 동물, 예를 들면 개나 원숭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통증 동물모델도 쥐, 마우스 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일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재화 방법으로 추출물 제조만을 언급하였으나, 통상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약학적 제재, 예를 들면 주사제, 액제, 시럽제, 정제, 캡슐제, 약침액 등으로 제재화하여 비만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투여시 경구, 복강, 피하 투여 등의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임상적 투여용량은 환자의 연령, 증상, 투여제형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정한 상태에서 바람직한 투여량을 결정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단백질, 세포 단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므로 비만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정상 체중인은 물론이고 비만인의 체질과 상태에 따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건강을 증진하여 자연스럽게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부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효과는, 한약 추출물을 사용하여 약물요법, 혈자리의 약침 요법에 이용함은 물론이고 건강식품 보조제 및 각종 식음료의 기능성 첨가제로써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8)

  1. 숙지황, 의이인, 마황,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지방세포의 지단백질 분해효소 발현을 증가시키는, 지단백질 분해효소 발현 증가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의이인, 마황,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렙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렙틴 유전자 발현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3. 현미의이인, 의이인, 마황, 창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레지스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레지스틴 유전자 발현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복부지방 조직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복부지방 조직세포 크기 감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식이섭취 조절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식이섭취 조절 유전자 발현 감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숙지황, 의이인, 마황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갈색지방조직에서의 열생성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열생성 단백질 유전자 발현 감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동결건조한 분말, 약침액, 음료, 식품보조 첨가제, 방향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30000364A 2003-01-03 2003-01-0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KR20040062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364A KR20040062832A (ko) 2003-01-03 2003-01-0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364A KR20040062832A (ko) 2003-01-03 2003-01-0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832A true KR20040062832A (ko) 2004-07-09

Family

ID=3735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364A KR20040062832A (ko) 2003-01-03 2003-01-0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283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71A2 (ko) * 2009-11-12 2011-05-19 주식회사 자연인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KR101253029B1 (ko) * 2010-11-12 2013-04-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mpk 활성화제
KR20140031614A (ko) 2012-09-05 2014-03-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Grim1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753694B2 (en) 2009-03-31 2014-06-17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KR20160005531A (ko) 2014-07-07 2016-01-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dh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 매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86301A1 (ko) * 2020-10-23 2022-04-2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황열 바이러스를 코딩하는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타겟 조직의 크기 또는 부피 축소용 백신 조성물 또는 키트
KR20240029715A (ko) 2022-08-26 2024-03-06 박문석 마황, 죽엽 및 황금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비만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3694B2 (en) 2009-03-31 2014-06-17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US9649351B2 (en) 2009-03-31 2017-05-16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WO2011059171A2 (ko) * 2009-11-12 2011-05-19 주식회사 자연인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WO2011059171A3 (ko) * 2009-11-12 2011-07-14 주식회사 자연인 식욕감퇴 방향제 조성물
KR101253029B1 (ko) * 2010-11-12 2013-04-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mpk 활성화제
KR20140031614A (ko) 2012-09-05 2014-03-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Grim1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5531A (ko) 2014-07-07 2016-01-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dh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 매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86301A1 (ko) * 2020-10-23 2022-04-2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황열 바이러스를 코딩하는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타겟 조직의 크기 또는 부피 축소용 백신 조성물 또는 키트
KR20240029715A (ko) 2022-08-26 2024-03-06 박문석 마황, 죽엽 및 황금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비만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n et al. Wild ginseng prevents the onset of high-fat diet induced hyperglycemia and obesity in ICR mice
CN104220084A (zh) 包含土茯苓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肥胖、高脂血症或脂肪肝的预防或治疗用药剂学组合物
KR20140147948A (ko) 항비만효과를 갖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5072674A1 (ko)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201637A1 (zh) 一种治疗神经根型颈椎病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WO2017181857A1 (zh) 一种降脂保肝组合物及其用途
CN102740871A (zh) 包含荔枝核提取物的脂肪肝或肥胖的预防或治疗用组合物
KR20040062832A (ko)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및,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단백질, 세포 발현 조절용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US2023039035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alvia miltiorrhiz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CA3022247C (en)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disease
KR101193540B1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616705A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atty liver containingamomum vilosum
CN110693873B (zh) 冬凌草活性成分组合物的制备及应用
EP1986746A2 (en) Herb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limacteric symptoms and use thereof
KR20040003888A (ko) 혈당 강하용 생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제재
CN111956751A (zh) 一种治疗高尿酸血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70114444A (ko)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603628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weight and reducing body fat and pharmaceutical product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90111726A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7838827B (zh) 一种治疗慢性心力衰竭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2582756B1 (ko)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CN108815291B (zh) 一种降低体脂率的组合物及其制剂
Savant et al. Gymnema: A herbal medicine for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EP4082553A1 (en) Composition for inducing browning, containing milk exos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