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7Y1 - 접이식 엑스형 이젤 - Google Patents

접이식 엑스형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7Y1
KR200400617Y1 KR20-2005-0023161U KR20050023161U KR200400617Y1 KR 200400617 Y1 KR200400617 Y1 KR 200400617Y1 KR 20050023161 U KR20050023161 U KR 20050023161U KR 200400617 Y1 KR200400617 Y1 KR 200400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ain frame
clip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천섭
Original Assignee
송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천섭 filed Critical 송천섭
Priority to KR20-2005-0023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판상측억류틀과 화판받침틀이 전면의 상하에 설치되는 중앙메인프레임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을 고정시켜 배면받침다리를 전후로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중앙메인프레임의 중앙부 양측에는 힌지금구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각 힌지금구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설치된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개 및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할 때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가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되므로 부피를 현저히 줄여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엑스자형으로 전개되는 상측지지프레임 및 전면받침다리를 중앙메인프리임에 설치하는 구조를 간단히 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엑스형 이젤{A X-Type Easel}
본 고안은 화판을 받쳐 지지해 주는 이젤에 있어서 배면받침다리가 후방에 설치된 중앙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각각 설치하여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판상측억류틀과 화판받침틀이 전면의 상하에 설치되는 중앙메인프레임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을 고정시켜 배면받침다리를 전후로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중앙메인프레임의 중앙부 양측에는 힌지금구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각 힌지금구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젤은 실내/외에서 그림을 화판을 받쳐 지지해주는 것이다.
종래의 이젤은 화판을 화판받침틀의 위에 단순히 얹어 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화판을 견실하게 지지해 줄 수 없어 바람이나 외부의 미약한 충격(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낙하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은 실용신안 등록 제329206호와 등록 제348225호 및 등록 제366249호의 "이젤"을 제안하였다.
실용신안 등록 제329206호의 이젤은, 가이드T홈이 전면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메인프레임의 배면 상/하측에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측지지바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하측지지바가 고정클립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측지지바와 하측지지바의 양측 단부에는 측면다리(측면보조프레임)가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게) 고정되어 있으며, 메인프레임의 배면에서 상측지지바의 하측에는 배면다리가 고정클립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메인프레임의 가이드T홈에는 하측받침틀을 삽입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면서 T볼트와 너트핸들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348225호와 등록 제366249호의 이젤은, 가이드T홈이 전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프레임을 고정형으로 된 메인프레임과 작동형으로 된 확장프레임으로 분할하여 확장프레임을 메인프레임의 전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메인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의 전면에는 하측받침틀과 상측억류틀이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너트핸들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메인프레임의 배면 상측과 하측에는 중앙지지바와 한 쌍의 측면지지바로 분할하여 중앙지지바의 양측에 측면지지바를 경첩에 의해 각각 장착하여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측지지바의 하측에서 확장프레임의 배면에는 배면다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젤에서 중앙프레임(또는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화판의 상측을 억류시키는 종래의 상측고정틀은, 수직판의 하단에는 상향 곡면으로 되는 수평억류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중앙프레임(또는 메인프레임)의 가이드T홈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T볼트를 삽입 장전시키며, 수직판의 구멍을 통해 노출되는 T볼트의 볼트부에 너트핸들을 나사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서, 너트핸들을 풀어 상측고정틀을 상하로 이동시켜 하측받침틀에 안치된 화판의 상단에 수평억류판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너트핸들을 조여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종래의 이젤들은 중앙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보조프레임이 고정형으로 되거나, 중앙메인프레임과 측면보조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상/하측지지바의 중간을 절단하여 힌지에 의해 절첩/전개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측면보조프레임을 절첩시키더라도 이젤의 부피가 커서 운반하기가 용이치 못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보관도 용이치 못하며, 상/하측지지바의 중간을 힌지에 의해 절첩/전개시키도록 된 것은 작업성이 까다로워 용이하게 절첩하거나 전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화판상측억류틀과 화판받침틀이 전면의 상하에 설치되는 중앙메인프레임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을 고정시켜 배면받침다리를 전후로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중앙메인프레임의 중앙부 양측에는 힌지금구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각 힌지금구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앙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설치된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개 및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할 때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가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됨으로서 부피를 현저히 줄여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엑스자형으로 전개되는 상측지지프레임 및 전면받침다리를 중앙메인프리임에 설치하는 구조를 간단히 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중앙메인프레임(2)의 전면에는 화판상측억류틀(10)을 T볼트와 너트핸들(11)에 의해 가이드T홈(3)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고,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측에 설치되는 각 전면받침다리(4)에는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을 가이드T홈(5)을 따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 설치하되 양측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에는 화판받침틀(12)을 착탈시키며,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14)에 의해 배면받침다리(7)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전후로 절첩/전개시키며, 상단클립(14)의 하측에서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에 고정된 지지클립(18)에는 만곡가이드편(15)을 축(19)으로 설치하되 만곡가이드편(15)의 만곡가이드공(16)에는 너트핸들(17)을 끼워 배면다리(7)의 측면 상측부에 나사 결합시킨 것에 있어서,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 측면 중간부에는 힌지금구(20)를 각각 고정 설치한 것과;
각 힌지금구(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의 하단과 상단을 축(26)으로 각각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2)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엑스형 이젤(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을 전개시킨 상태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의 절첩상태를 보인 정면 및 배면 사시도와 정면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길이를 다소 짧게 형성한 중앙메인프레임(2)의 전면에는 화판상측억류틀(10)을 T볼트와 너트핸들(11)에 의해 가이드T홈(3)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였다.
상기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14)에 의해 배면받침다리(7)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전후로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단클립(14)의 하측에서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에 지지클립(18)을 장착하고, 그 지지클립(18)에는 만곡가이드편(15)을 축(19)으로 설치하였으며, 만곡가이드편(15)의만곡가이드공(16)에는 너트핸들(17)을 끼워 배면다리(7)의 측면 상측에 나사 결합시켰다.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 측면 중간부에는 힌지금구(20)를 각각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 힌지금구(20)는, 장착판(21)을 전후로 이격 형성하고, 이들 장착판(21)의 내측과 외측에는 내측지지판(23)과 외측지지판(22)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외측지지판(22)은 상측과 하측을 절단 제거하여 상단면(24)과 하단면(25)이 장착판(21)의 상/하측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힌지금구(20)는 내측지지판(23)을 통상의 볼트스크루에 의해 중앙메인프레임(20)의 측면 중앙부에 고정시켰다.
각 힌지금구(20)를 형성하는 내측지지판(23)과 외측지지판(22)의 내부에서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의 하단과 상단을 축(26)으로 각각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2)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각 힌지금구(20)에 설치되는 전면받침다리(4)의 전면에는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을 가이드T홈(5)을 따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 설치하였고, 양측의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에는 화판받침틀(12)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중앙메임프레임(2)과 상측지지프레임(6)의 각 상단과 하단 및 전면받침다리(4)의 상단에는 캡(8)을 씌워 고정시켰고, 전면받침다리(4)의 하단에는 받침캡(9)을 씌워 주었다.
이하, 사용상태(절첩 및 전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을 전개(사용)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가 중앙메인프리임(2)의 측면에 나란하게 절첩되고, 배면받침다리(7)가 중앙메인프리임(2)의 배면에 절첩된 상태에서 전개시킨다.
절첩된 양측의 전면받침다리(4)를 외측으로 전개시키면, 축(26)을 기준으로 전개되는(펼쳐지는) 전면받침다리(4)는 상단부가 외측지지판(22)의 하단면(25)에 걸리면서 전개가 정지된다.
양측의 전면받침다리(4)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너트핸들(17)을 약간 풀어 주고, 배면받침다리(7)를 후방으로 젖혀주면 후방받침다리(7)는 상단클립(14)에서 축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전개되며, 이때에 만곡가이드편(15)은 축(19)을 기준으로 적절하게 회전하면서 후방받침다리(7)가 원활하게 전개되도록 하며, 후방받침다리(7)를 적절하게 전개시킨 상태에서 너트핸들(17)을 완전히 조여 준다.
너트핸들(17)을 완전히 조여주면 전면 양측의 전면받침다리(4)와 후방의 배면받침다리(7)가 삼각대를 형성하여 완전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워진 상태에서 각 상측지지프레임(6)을 각각 외측으로 젖혀주게 되면 상측지지프레임(6)의 하단부가 외측지지판(22)의 상단면(24)에 걸치면서 전개가 정지된다.
전개된 전면받침다리(4)에서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을 적정한 높이로 조정하고, 적정한 높이로 조정된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에 화판받침틀(12)을 장착키며, 화판받침틀(12)에 화판을 안치시킨다.
화판받침틀(12)에 화판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화판상측억류틀(10)의 너트핸들(11)을 풀어 화판상측억류틀(10)에 의해 화판의 상단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너트핸들(11)을 조여 줌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의 전개를 완료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전개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1)을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너트핸들(11)을 풀어 화판상측억류틀(10)에 의해 화판억류상태를 해제시키고, 억류상태가 해제된 화판을 화판받침틀(12)에서 제거하며, 화판이 제거된 화판받침틀(12)을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에서 분리한다.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를 접어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 측면에 접착시키고, 너트핸들(17)을 약간 풀어 준 상태에서 배면받침다리(7)를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풀어놓은 너트핸들(17)을 다시 조여 줌으로서 절첩을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은, 화판상측억류틀과 화판받침틀이 전면의 상하에 설치되는 중앙메인프레임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을 고정시켜 배면받침다리를 전후로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중앙메인프레임의 중앙부 양측에는 힌지금구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각 힌지금구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중앙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설치된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개 및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할 때에는 상측지지프레임과 전면받침다리가 중앙메인프리임과 나란하게 절첩되므로 부피를 현저히 줄여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엑스자형으로 전개되는 상측지지프레임 및 전면받침다리를 중앙메인프리임에 설치하는 구조를 간단히 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전개시킨 상태를 보인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접은 상태를 보인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엑스형 이젤을 전개시킨 상태의 부분 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접이식 엑스형 이젤 2: 중앙메인프레임 3.5: 가이드T홈
4: 전면받침다리 6: 상측지지프레임 7: 배면받침다리
10: 화판상측억류틀 11.17: 너트핸들 12: 화판받침틀
13: 화판받침판장착클립 14: 상단클립 15: 만곡가이드편
18: 지지클립 20: 힌지금구 21: 장착판

Claims (2)

  1. 중앙메인프레임(2)의 전면에는 화판상측억류틀(10)을 T볼트와 너트핸들(11)에 의해 가이드T홈(3)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고,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측에 설치되는 각 전면받침다리(4)에는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을 가이드T홈(5)을 따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 설치하되 양측 화판받침틀장착클립(13)에는 화판받침틀(12)을 착탈시키며,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클립(14)에 의해 배면받침다리(7)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전후로 절첩/전개시키며, 상단클립(14)의 하측에서 중앙메인프레임(2)의 배면에 고정된 지지클립(18)에는 만곡가이드편(15)을 축(19)으로 설치하되 만곡가이드편(15)의 만곡가이드공(16)에는 너트핸들(17)을 끼워 배면다리(7)의 측면 상측부에 나사 결합시킨 것에 있어서,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 측면 중간부에는 힌지금구(20)를 각각 고정 설치한 것과;
    각 힌지금구(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의 하단과 상단을 축(26)으로 각각 굴대 설치하여, 상기 상측지지프레임(6)과 전면받침다리(4)를 엑스자형으로 전개시키거나 중앙메인프리임(2)과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엑스형 이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메인프레임(2)의 양 측면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금구(20)는,
    한 쌍의 장착판(21)을 전후로 이격 형성하고, 이들 장착판(21)의 내측과 외측에는 내측지지판(23)과 외측지지판(22)을 일체로 형성하며, 외측지지판(22)은 상측과 하측을 절단 제거하여 상단면(24)과 하단면(25)이 장착판(21)의 상/하측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엑스형 이젤.
KR20-2005-0023161U 2005-08-10 2005-08-10 접이식 엑스형 이젤 KR200400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61U KR200400617Y1 (ko) 2005-08-10 2005-08-10 접이식 엑스형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61U KR200400617Y1 (ko) 2005-08-10 2005-08-10 접이식 엑스형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7Y1 true KR200400617Y1 (ko) 2005-11-08

Family

ID=4370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161U KR200400617Y1 (ko) 2005-08-10 2005-08-10 접이식 엑스형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148B2 (en) Artist's easel attachable to a door
USD693162S1 (en) Elevation stand
US7832701B2 (en) Easy open portable easel
US9351573B2 (en) Easel
KR200400617Y1 (ko) 접이식 엑스형 이젤
KR200348225Y1 (ko) 절첩 가능한 이젤
KR200400618Y1 (ko) 절첩 전개형 후방다리가 구비된 이젤
KR200422799Y1 (ko) 절첩형 휴대용 화판 이젤
KR200434705Y1 (ko) 절첩이 용이한 화판 이젤
KR200329206Y1 (ko) 이젤
KR200366249Y1 (ko) 절첩 전개형 이젤
US8181925B1 (en) Ladder mounting paint can holding assembly
KR20090120727A (ko) 개량 화판지지용 이젤
KR200350479Y1 (ko)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KR100819926B1 (ko) 이젤 스탠드
KR101561230B1 (ko) 전개 방향, 각도의 자유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주를 갖는 이젤
KR200275831Y1 (ko) 낚싯대 받침대
KR200390986Y1 (ko) 디스플레이용 사다리꼴 이젤 스탠드
CN219685486U (zh) 具有锁定功能的折叠工作台
WO2005091920A3 (en) Modular storage system, components therefor, storage method & kit
JPH081550A (ja) 引き出し自在の補助脚付作業台
CN218914807U (zh) 一种三脚架灯
CN2936796Y (zh) 一种多功能画架
CN215925748U (zh) Oel发光交通指示牌
CN202623784U (zh) 新型可升降式画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