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782A - 수상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782A
KR20040061782A KR1020020088079A KR20020088079A KR20040061782A KR 20040061782 A KR20040061782 A KR 20040061782A KR 1020020088079 A KR1020020088079 A KR 1020020088079A KR 20020088079 A KR20020088079 A KR 20020088079A KR 20040061782 A KR20040061782 A KR 2004006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water structure
vertical members
pai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2008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782A/ko
Publication of KR2004006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는 발판을 그 하부에는 부구체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다각형 구조체로 구성하여서, 양어장 전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주는 수상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다각형 구조체(1)의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에 있어서,상기 다각형 구조체(1)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며 각기 양측에 조립홈부(11)를 가지는 간격유지부재(10)들과,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 양측의 조립홈부(11)에 각각 끼워져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상구조물{Floating structure for breeding fishes}
본 발명은 수면 위에 시설되는 수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고기를 양육하는 양어장의 테두리를 구획하기에 적합한 수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어장에 사용되는 수상구조물은 소정의 위치마다 하부에 놓여지는 부구체들과, 상기 부구체들의 상부 양측에 배치된 원통형의 파이프들과, 상기 원통형의 파이프들의 상부에 놓여지는 발판들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양어장에 사용되는 수상구조물은 구성부품들을 조립하는 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들 간에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여서 파도가 칠 때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당하지 못하고 쉽게 파손되어서 유지 관리에 따른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양어장에 사용되는 수상구조물과 관련하여 2001. 11. 22일자 특허출원 제73125호로 "수상구조물"을 출원한 사실이 있다. 이 수상구조물은 소정의 위치마다 하부에 놓여지는 부구체들과, 상기 부구체들의 상부에 묶여지며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 판재들과, 상기 합성수지 판재들을 연결하는 합성수지 판재연결구들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수상구조물은 합성수지 판재들이 합성수지 판재연결구들을 통해서연결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전체적인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판재연결구들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합성수지판재들 자체가 발판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발판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출원 수상구조물은 발판의 역할을 하는 합성수지 판재만으로 모든 하중이나 충격력을 감당하게 되는 점과, 평평한 합성수지 판재의 하부에 부구체들이 불안정하게 고정 설치되는 점을 개선시켜야 할 사항으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부에는 발판을 그 하부에는 부구체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다각형 구조체로 구성하여서, 양어장 전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주는 수상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간격유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수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8은 도7의 "A"부 확대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형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간격유지부재 11: 양측의 조립홈부 12, 13: 수평부
14, 15: 돌출부 20: 한쌍의 수직부재 21: 합성수지 단판
22: 합성수지 중공판 30: 코너형 연결부재 31: 끼움홈부
40: 직선형 연결부재 41: 끼움홈부
본 발명도 전체적으로 다각형 구조체(1)의 형상으로 조립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에 있어 상기 다각형 구조체(1)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며 각기 양측에 조립홈부(11)를 가지는 간격유지부재(10)들과,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 양측의 조립홈부(11)에 각각 끼워져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은 도1 내지 도3의 도시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간격유지부재(10)들 양측의 조립홈부(11)를 통하여 끼워져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다각형 구조체(1)를 조립 구성함으로써,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2)은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과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며, 하부에 설치되는 부구체(3)들은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과 한쌍의 수직부재(20)들 사이에 걸쳐져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재(10),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조립되는 하나의 다각형 구조체(1)는 도1 및 도2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4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며 각각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의 조립홈부(11)를 가져서, 그 양측의 조립홈부에 각각 끼워지는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이 폭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감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도4의 도시와 같이 각각 4각체의 형상으로서 그 상,하부에 수평부(12)(13)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단차지게 절곡된 돌출부(14)(15)들로서 내부 양측에 조립홈부(11)가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양측의 조립홈부(11)에는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을 끼워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그 상부 돌출부(14)들 사이의 상부 수평부(12)에는발판(2)을 끼워맞춰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 돌출부(15)들 사이의 하부 수평부(13)에는 부구체(3)의 상부를 맞대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철판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서 된 코팅철판(A)으로 만들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면서도, 민물 또는 바닷물과 상시적인 접촉에 의하여 쉽게 부식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의 상,하 돌출부(14)(15)들에는 일정위치마다 통공(16)을 각각 형성하여 두고, 그 각각의 통공(1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7)로서 양측의 조립홈부(11)에 끼워지는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을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도5의 도시와 같이 판상체로서 수평부 (12)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돌출부(14)를 가지는 상부 단위체(10a)의 하부에, 그 상부 단위체(1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수평부(13)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돌출부(15)를 가지는 하부 단위체(20b)를 마주하도록 배치하여서 양측에 조립홈부(11)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러한 간격유지부재(10)들은 상부 및 하부 단위체(10a)(10b)들로서 양측에 형성되는 조립홈부(11)를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의 높이에 맞출 수 있게 하여 준다.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각각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길게 형성하여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 양측의 조립홈부(11)에 각각 끼워서 서로 평행하게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과 함께 양어장을 구획하여 주는 다각형 구조체(1)로 조립되어서,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2)과 하부에 설치되는 부구체(3)를 지탱하여 주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도3의 도시와 같이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합성수지 단판(21)으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도6의 도시와 같이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단면내에 중공부(22a)들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22)으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도7 및 도8의 도시와 같이 다각형 구조체(1)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2방향, 3방향, 4방향의 교차지점에 그 수직부재들의 끝단부가 직각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31)를 가지는 코너형 연결부재(30)와, 그 수직부재들의 끝단부가 일직선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 (41)를 가지는 직선형 연결부재(40)로서 연결 고정시켜서 된다. 이때, 상기 코너형 및 직선형 연결부재(30)(40)의 일정위치마다 통공(32)(42)을 형성하여 두고, 그 각각의 통공(32)(42)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고정볼트(33)(43)로서 수직부재(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코너형 및 직선형 연결부재(30)(40)는 상기 간격유지부재(10)와 동일한 코팅철판(A)로 만들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를 견고하게 연결시켜 주면서도, 민물 또는 바닷물과 상시적인 접촉에 의하여 쉽게 부식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코너형 및 직선형 연결부재(30)(40)들은 도9 및 도10의 도시와 같이 각각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부 및 하부 단위체(30a, 40a)(30b, 40b)들을 상하로 마주하도록 배치하여서 끼움홈부(31)(41)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러한 코너형 및 직선형 연결부재(30)(40)들은 상부 및 하부 단위체(30a, 40a)(30b, 40b)들로서 각각의 끼움홈부(31)(41)를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의 높이에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도11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간격유지부재(10),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조립되는 하나의 다각형 구조체(1)는 육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육각형 이상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은 간격유지부재들과 한쌍의 수직부재들로서 다각형 구조체를 구성하여서, 발판과 부구체를 보다 견실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양어장을 구획하여 주는 수상구조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전체적으로 다각형 구조체(1)의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구조체(1)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며 각기 양측에 조립홈부 (11)를 가지는 간격유지부재(10)들과,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 양측의 조립홈부 (11)에 각각 끼워져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0)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각각 4각체의 형상으로서 그 상,하부에 수평부(12)(13)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단차지게 절곡된 돌출부 (14)(15)들로서 내부 양측에 조립홈부(11)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철판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서 된 코팅철판(A)으로 만들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0)들은 판상체로서 수평부(12)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돌출부(14)를 가지는 상부 단위체(10a)의 하부에, 그 상부 단위체(1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수평부(13)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돌출부(15)를 가지는 하부 단위체(20b)를 마주하도록배치하여서 양측에 조립홈부(11)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합성수지 단판(21)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단면내에 중공부(22a)들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2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들은 다각형 구조체(1)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2방향, 3방향, 4방향의 교차지점에 그 수직부재들의 끝단부가 직각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31)를 가지는 코너형 연결부재(30)와, 그 수직부재들의 끝단부가 일직선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41)를 가지는 직선형 연결부재(40)로서 연결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 및 직선형 연결부재(30)(40)는 상기 간격유지부재(10)와 동일한 코팅철판(A)로 만들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 및 직선형 연결부재(30)(40)들은 각각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부 및 하부 단위체(30a, 40a)(30b, 40b)들을 상하로 마주하도록 배치하여서 끼움홈부(31)(41)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
KR1020020088079A 2002-12-31 2002-12-31 수상구조물 KR20040061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079A KR20040061782A (ko) 2002-12-31 2002-12-31 수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079A KR20040061782A (ko) 2002-12-31 2002-12-31 수상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782A true KR20040061782A (ko) 2004-07-07

Family

ID=3735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079A KR20040061782A (ko) 2002-12-31 2002-12-31 수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657A (zh) * 2014-04-14 2014-07-02 江苏中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刀鲚自然繁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657A (zh) * 2014-04-14 2014-07-02 江苏中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刀鲚自然繁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499B1 (en) Wood floor assembly
KR200442005Y1 (ko) 합성목재 데크의 연결구조
JP4922576B2 (ja) 浮体構造物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JP2002081196A5 (ko)
KR20040061782A (ko) 수상구조물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US9505468B2 (en) Floating platform
CN207596276U (zh) 电梯井分段式框架
KR102157417B1 (ko) 난간시스템
KR102200125B1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CN107740511B (zh) 一种模块墙系统
KR20040057272A (ko) 수상구조물
JP2020145943A (ja) キャットタワー
JP6979689B2 (ja) キャットタワー
EP0214108A1 (en) Lattice covering structure
KR20210062474A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JP2000120054A (ja) 組立式浮き桟橋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金具
CN215167643U (zh) 一种装配式地脚线安装结构
CN215629106U (zh) 一种榫卯结构的滨水栈道拼接模块
KR200424777Y1 (ko) 연결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좌판
JP6458178B1 (ja) フロートユニット、フロートおよび浮体構造物
CN213974385U (zh) 一种水上漂浮式光伏发电浮体支架平台
JP5559854B2 (ja) 柱脚部構造及び柱脚部と横架材との連結装置
KR101832156B1 (ko) 조립식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