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479A -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479A
KR20040057479A KR1020020084227A KR20020084227A KR20040057479A KR 20040057479 A KR20040057479 A KR 20040057479A KR 1020020084227 A KR1020020084227 A KR 1020020084227A KR 20020084227 A KR20020084227 A KR 20020084227A KR 20040057479 A KR20040057479 A KR 20040057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voltage
generato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7479A/ko
Publication of KR2004005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8Holders; Supports for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47Notch filters, e.g. notch BAW or thin film resonator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할 경우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된 변환 신호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전달되는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기준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외부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따른 변환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력 소모가 감소되는 동시에 상기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시켜 보다 정확한 위상차를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와 신호 감지부에서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신호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Sensing system using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본 발명은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외부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하는 경우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생성되는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생성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해소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서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가 가변되는 센서부(2)와, 상기 센서부(2)와 일체형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2)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판단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에 의해 판단된 온도 또는 압력 등이 외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6)와, 상기 센서부(2) 및 제어부(4)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는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가 가변되는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센서부(2)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의 크기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대한 테이블이 미리 저장되어 상기 센서부(2)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와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대한 관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8)는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의 동작 전원을 각각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이 다를 경우 상기 센서부(2) 및 제어부(4)의 동작 전원에 부합하도록 전원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8a)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서 장치는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가 일체형 또는 유선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상기 센서부(2)를 설치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고,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가 동작하기 위하여 모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에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될 경우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변환 신호간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서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
도 4 는 도 3 의 노치 필터의 주파수 통과 특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신호 발생부 20: 센서부
30: 신호 감지부 40: 주파수 변환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변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변환 신호와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감지부로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변환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변환 신호와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 및 신호 감지부에서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안테나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신호 감지부로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안테나와 신호 감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상기 신호 감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치(notch)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10)와, 상기 신호 발생부(10)에서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에서 송신된 변환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기준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변환 신호와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30)와, 상기 신호 발생부(10)에서 상기 신호 감지부(30)로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 발생부(10)는 설정된 주파수의 기준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11)와, 상기 신호 생성부(11)에서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제 1 위상 검출부(12)와,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12)에서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전압 생성부(13)와,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13)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부(14)와, 상기 제 1 필터부(14)를 통과한 전압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전압 출력부(15)와, 상기 전압 출력부(15)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가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되도록 하는 전압 분배부(16)와, 상기 전압 분배부(16)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가 제 1 안테나(10a)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도록 증폭하는 증폭부(17)와, 상기 전압 분배부(16)의 전압 신호 분배 비율을 설정하는 분배 설정부(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제 1 안테나(10a)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20a)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하면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생성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22)와,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로 입출력 되는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1 및 제 2 정합부(21, 23)와, 상기 제 2 정합부(23)를 통과한 변환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는 절연부(24)와, 상기 절연부(24)를 통과한 변환 신호가 송신 안테나(20b)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도록 송신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3 정합부(2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 감지부(30)는 상기 센서부(20)에서 송신된 변환 신호가 제 2 안테나(30a)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변환 신호를 잡음 제거 및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부(31)와, 상기 저잡음 증폭부(31)를 통과한 변환 신호와 상기 신호 발생부(10)에서 전달된 기준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는 제 2 위상 검출부(32)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에서 산출된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가 생성되는 제 2 전압 생성부(33)와, 상기 제 2 전압 생성부(33)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부(34)와, 상기 제 2 필터부(34)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35)와, 상기 전압 검출부(35)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6)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6)에는 상기 검출된 전압 신호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대한 테이블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 상기 전압 신호에 따라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표 또는 그래프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파수 변환부(40)는 상기 전압 분배부(16)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 분배부(16)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신호 감지부(40)로 수신되는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신호 감지부(10)에서 생성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에서 상기 기준 신호와 변환 신호의 위상차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 발생부(10)와 신호 감지부(30)는 일반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발생부(10)와 신호 감지부(30)의 제 1 안테나(10a)와 제 2 안테나(30a)를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발생부(10)와 신호 감지부(30)가 공용 안테나(51)를 사용하고, 상기 신호 감지부(30) 측에 상기 신호 발생부(10)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신호 감지부(30)측으로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 감지부(30)의 저잡음 증폭부(31) 전단에 노치(Notch) 필터(52)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노치 필터(5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Tx) 신호는 차단하며, 수신측 (Rx) 신호는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발생부(10)와 신호 감지부(30)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노치 필터(52)가 사용될 경우 상기 주파수 변환부(40)는 상기 노치 필터(52)의 Q 값에 따라 제작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40)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이라 하고, 상기 신호 감지부(30)에서 수신되는 변환 신호의 주파수를라 하며, 상기 기준 신호와 변환 신호의 주파수차를 f 라 할때 상기 주파수 변환부(40)는 수학식 1 을 만족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는 상기 도 4 에 도시된 노치점(61)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레벨인까지의 주파수차를 의미하며, 상기 최소 레벨은 대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필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동작은 먼저, 상기 신호 생성부(11)에서 설정된 주파수의 기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12)에서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이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 신호가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13)에서 생성된다.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13)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는 상기 제 1 필터부(14)를 거쳐 상기 전압 출력부(15)에서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전압 신호는 상기 분배 설정부(18)에서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전압 분배부(16)에서 분배된 후 상기 분배된 신호의 일부가 상기 증폭부(17)에서 증폭되어 외부로 송신된다.
상기 송신된 신호는 상기 센서부(10)에 수신되어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에서 공진 주파수가 생성되고,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는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하면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변환 신호가 외부로 송신된다.
상기 송신된 변환 신호는 상기 제 2 안테나(30a)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저잡음 증폭부(31)에서 잡음 제거 및 증폭된다.
상기 저잡음 증폭부(31)를 통과한 변환 신호는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에 입력되고,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는 상기 전압 분배부(16)에서 분배된 신호의 위상과 상기 변환 신호의 위상간에 위상차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전압 분배부(16)에서 분배된 신호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40)에 의해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어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로 입력되어 상기 변환 신호의 위상차가 보다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에서 위상차가 산출되면, 상기 제 2 전압 생성부(33)에서 상기 산출된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전압 신호는 상기 제 2 필터부(34)에서 필터링된다.
상기 제 2 필터부(34)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는 상기 전압 검출부(35)에서 그 크기가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전압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20)에서 감지된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디스플레이부(36)를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6)에는 상기 검출된 전압 신호의 크기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데이터가 미리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6)에서 표 또는 그래프 등을 통해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은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할 경우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된 변환 신호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전달되는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기준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외부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따른 변환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력 소모가 감소되는 동시에 상기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시켜 보다 정확한 위상차를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와 신호 감지부에서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신호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변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변환 신호와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감지부로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제 1 위상 검출부와,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을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부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부와,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된 전압신호를 설정된 비율로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의 전압 신호 분배 비율을 설정하는 분배 설정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하는 증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상기 수신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와, 상기 생성된 변환 신호가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된 변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수신된 변환 신호를 잡음 제거 및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를 통과한 변환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전달된 분배 신호의 위상과 위상차를 산출하는 제 2 위상 검출부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에서 산출된 위상차에 따른 전압이 생성되는 제 2 전압 생성부와, 상기제 2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부와,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전압 분배부에서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로 전달되는 분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6.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된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변환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변환 신호와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 및 신호 감지부에서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안테나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신호 감지부로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변환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안테나와 신호 감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기준 신호가 상기 신호 감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치(notch)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노치 필터의 Q 값에 따라 제작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이라 하고,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수신되는 변환 신호의 주파수를라 하며, 상기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의 주파수차를 f 라 할때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단, 상기는 노치점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레벨인 기준점까지의 주파수차를 의미한다.
KR1020020084227A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KR20040057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27A KR20040057479A (ko)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27A KR20040057479A (ko)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79A true KR20040057479A (ko) 2004-07-02

Family

ID=3735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227A KR20040057479A (ko)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4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17A1 (ko) * 2016-05-17 2017-11-23 한빛이디에스(주) Saw소자를 이용한 무선 온도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17A1 (ko) * 2016-05-17 2017-11-23 한빛이디에스(주) Saw소자를 이용한 무선 온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0940A (en) Assembly for signal transfer between a transmitter location and a receiver location
KR101844806B1 (ko) Saw소자를 이용한 무선 온도 측정 장치
AU2007271493B2 (en)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JPH0650557B2 (ja) フィールド計器の通信方式
US20090052713A1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RU2005121914A (ru) Полевой передатчик с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м режимом самотестирования
US6708570B2 (en) Flow rate measurement method, ultrasonic flow rate meter, flow velocity measurement method, temperature or pressure measurement method, ultrasonic thermometer and ultrasonic pressure gage
KR100453511B1 (ko)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CN101334303B (zh) 双线式现场装置
US20040145799A1 (en) Controlling optical receiver transimpedance amplifier and receive diode operational settings
KR20040057479A (ko)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JP2009302736A (ja) アンテナ接続検知回路
KR100453512B1 (ko)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KR100728682B1 (ko) 안테나 성능 감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동작방법
JP2009065376A (ja) アンテナ装置
US8717104B1 (en) Vector voltage samplers for RF interface control of power amplifier
JP2003014572A (ja) 圧力センサ及び圧力センサシステム
US20120257473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ystem an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ystem
KR20130070442A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0582216B1 (ko) 다기능 전력선통신(plc) 모듈
KR100598681B1 (ko) 임피던스 정합장치의 고주파 감지센서
JP2928970B2 (ja) 2線式通信装置
JP2001103440A (ja) 配線ケーブル長検出機能付き放送波用ブースタ
KR101668874B1 (ko)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송신기의 주파수 편차 보상 방법
KR980010455A (ko) 위상 보상 회로를 이용한 초음파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