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511B1 -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511B1
KR100453511B1 KR10-2002-0084225A KR20020084225A KR100453511B1 KR 100453511 B1 KR100453511 B1 KR 100453511B1 KR 20020084225 A KR20020084225 A KR 20020084225A KR 100453511 B1 KR100453511 B1 KR 10045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unit
generato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477A (ko
Inventor
최용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5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8Holders; Supports for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다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 안테나를 통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변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부에서 상기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선택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센서부에서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압전 특성을 가지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상기 센서부로 신호의 송수신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환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설치시 제약이 해소되고, 상기 센서부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Sensing system using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본 발명은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센서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설치시 제약이 없고,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표면탄성 공진기로 인해 전력 소모 및 비용이 감소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가 가변되는 센서부(2)와, 상기 센서부(2)와 일체형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2)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판단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에 의해 판단된 온도 또는 압력 등이 외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6)와, 상기 센서부(2) 및 제어부(4)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는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가 가변되는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센서부(2)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의 크기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대한 테이블이 미리 저장되어 상기 센서부(2)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크기와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대한 관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8)는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의 동작 전원을 각각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이 다를 경우 상기 센서부(2) 및 제어부(4)의 동작 전원에 부합하도록 전원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8a)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가 일체형 또는 유선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상기 센서부(2)를 설치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고, 상기 센서부(2)와 제어부(4)로 모두 전원이 공급되므로 소모되는 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 인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센서부와 제어부간의 신호 송수신이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센서부와 제어부의 설치시 발생되는 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센서부에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구성이 간소화되며 전력 소모 및 비용이 감소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서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 센서부 30 : 메인부
31 : 신호 발생부 32 : 신호 감지부
40 : 신호 선택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센서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다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 안테나를 통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변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부에서 상기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선택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다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로 안테나(40a)를 통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수신된 변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메인부(30)와, 상기 메인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부(30)에서 상기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선택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하는 신호 선택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부(30)는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40a)를 통해 상기 기준 신호가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31)와, 상기 센서부(20)에서 송신되는 변환 신호와 상기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0), 신호 발생부(31), 신호 감지부(32) 및 신호 선택부(40)를 도 3 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신호 발생부(31)는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31a)와, 상기 신호 생성부(31a)에서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제 1 위상 검출부(31b)와,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31b)에서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전압 생성부(31c)와, 상기 전압 생성부(31c)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부(31d)와, 상기 제 1 필터부(31d)를 필터링된 전압 신호가 출력되는 전압 출력부(31e)와, 상기 전압 출력부(31e)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를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31f)와, 상기 전압 분배부(31f)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가 상기 안테나(40a)를 통해 송신되도록 증폭하는 증폭부(31g)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수신 안테나(20a)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신호 발생부(31)의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생성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22)와,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의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입력 및 출력 정합부(21, 23)와, 상기 출력 정합부(23)를 통과한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는 절연부(24)와, 상기 절연부(24)를 통과한 변환 신호가 송신 안테나(20b)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송신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송신정합부(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는 압전 특성에 의해 상기 신호 발생부(10)에서 송신된 기준 신호가 기계적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기계적 신호가 다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므로 별도의 전원이 사용하지 않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는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특정한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공진 주파수는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이 변화하게 되면 시프트되어 상기 공진 주파수가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는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따라 각각 다른 공진 주파수가 생성되고, 상기 변환된 공진 주파수가 상기 송신 안테나(20b)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호 감지부(32)는 상기 센서부(20)에서 송신되는 변환 신호를 잡음 제거 및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부(32a)와, 상기 저잡음 증폭부(32a)를 통과한 변환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전압 분배부(31f)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의 위상과의 위상차를 산출하는 제 2 위상 검출부(32b)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에서 산출된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전압 생성부(32c)와, 상기 제 2 전압 생성부(32c)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부(32d)와, 상기 제 2 필터부(32d)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32e)와, 상기 전압 검출부(32e)에 의해 검출된 전압 신호에 따라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32f)로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는 상기 신호 발생부(31)의 전압 분배부(31f)에서 분배된 전압이 전달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31)에서 송신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게 되고, 상기 검출된 위상과 상기 저잡음 증폭부(32a)를 통과한 변환 신호의 위상의 위상차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압 분배부(31f)는 상기 전압 출력부(31e)에서 출력된 전압을 동일한 비율로 분배하여 일부는 상기 증폭부(31g)로 전달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로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2f)는 상기 전압 검출부(32e)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이 테이블로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에 따라 표 또는 그래프 등을 통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그 이외에, 상기 신호 선택부(40)는 상기 신호 발생부(31)와 신호 감지부(32)가 상기 안테나(40a)를 통하여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41) 및 상기 스위치부(4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4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신호 발생부(31)의 전압 분배부(31f)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전압 출력부(31e)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분배하는 가변 전압 분배부(31h)로 대체하고,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31h)의 전압 신호 분배 비율을 설정하는 분배 설정부(31i)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저잡음증폭부(32a)를 통과한 상기 변환 신호의 레벨과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31h)에서 분배되어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로 전달되는 전압 신호의 레벨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압 출력부(31e)에서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N 이라 할 경우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로 전달되는 전압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저잡음 증폭부(32a)를 통과한 신호의 레벨과 동일하도록 a/N 으로 설정하게 되면 상기 증폭부(31g)로 전달되는 전압의 레벨은 (N-a)/N 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31h)에서 제 2 위상 검출부(32b)로 전달되는 전압의 레벨과 저잡음 증폭부(32a)를 통과한 신호의 레벨을 동일하게 하는 것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에서 보다 정확한 위상차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의 동작은 먼저, 상기 신호 생성부(31a)에서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31b)에서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이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31c)에서 생성된다.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31c)에서 생성된 전압은 제 1 필터부(31d)에서 필터링되어 전압 출력부(31e)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전압 출력부(31e)를 통해 출력된 전압은 상기 전압 분배부(31f) 또는 가변 전압 분배부(31h)에 의해 분배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 분배부(31f) 또는 가변 전압 분배부(31h)에서 분배된 전압은 각각 상기 증폭부(31g)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로 전달되고, 상기 증폭부(31g)에서 전달된 전압은 증폭 후 안테나(40a)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신호 선택부(40)에 의해 상기 증폭부(31g)에서 증폭된 신호가 상기 신호 감지부(32)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안테나(40a)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 신호는 상기 센서부(20)의 수신 안테나(20a)에 의해 수신 후 입력 정합부(21)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표면탄성파 공진기(22)로 입력된다.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는 입력된 신호가 기계적 신호로 변환되어 그에 따른 일정한 공진 주파수가 생성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기계적 신호가 다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정합부(23), 절연부(24) 및 송신 정합부(25)를 통과하여 송신 안테나(20b)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이때,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22)에서 생성된 공진 주파수는 외부의 압력 또는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시프트되고, 그에 따라 변환된 공진 주파수에 따른 변환 신호가 상기 송신 안테나(20b)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한다.
상기 송신 안테나(20b)를 통해 송신된 변환 신호는 상기 안테나(40a)를 통해 저잡음 증폭부(32a)로 전달되어 잡음 제거 및 증폭되며, 상기 센서부(20)에서 송신된 신호가 상기 신호 발생부(31)로 전달되는 것이 상기 신호 선택부(40)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저잡음 증폭부(32a)를 통과한 신호는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32b)에서 위상이 검출되는 동시에 상기 전압 분배부(31f) 또는 가변 전압 분배부(31h)에서 분배되어 전달된 전압 신호의 위상과 위상차가 산출된다.
상기 산출된 위상차는 상기 제 2 전압 생성부(32c)로 입력되고, 상기 제 2 전압 생성부(32c)에서 상기 산출된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생성된 전압 신호는 제 2 필터부(32d)에 의해 필터링 후 상기 전압 검출부(32e)에 의해 그 크기가 검출된다.
상기 전압 검출부(32e)에 의해 검출된 전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2f)를 통해 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전압 검출부(32e)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에 대한 테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2f)에 미리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f)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검출된 전압 신호를 통해 상기 센서부(20)가 설치된 곳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20)와 신호 발생부(31) 및 신호 감지부(32)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20)의 설치시 제약이 해소되며, 상기 센서부(20)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센서부(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비용이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다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 안테나를 통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변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부에서 상기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선택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센서부에서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압전 특성을 가지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하여 상기 센서부로 신호의 송수신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환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설치시 제약이 해소되고, 상기 센서부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화에 다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 안테나를 통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송신된 기준 신호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변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부에서 상기 기준 신호 및 변환 신호가 선택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는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준 신호가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되는 변환 신호와 상기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제 1 위상 검출부와,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부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가 출력되는 전압 출력부와,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를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도록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제 1 위상 검출부와, 상기 제 1 위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상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 1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부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가 출력되는 전압 출력부와,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를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하는 가변 전압 분배부와,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수 있도록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의 전압 신호 분배 비율을 설정하는 분배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수신 신호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동시에 온도 또는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되어 그에 따른 변환 신호가 생성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와, 상기 표면탄성파 공진기의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 정합부와, 상기 출력 정합부를 통해 출력되는 변환 신호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를 통과한 변환 신호가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송신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송신 정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되는 변환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 제거 및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 또는 가변 전압 분배부에서 분배된 전압 신호의 위상과 상기 저잡음 증폭부를 통과한 변환신호의 위상에 대한위상차를 산출하는 제 2 위상 검출부와, 상기 제 2 위상 검출부에서 산출된 위상차에 대한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 2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부와, 상기 제 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전압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에 따른 온도 또는 압력 등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신호 발생부 및 신호 감지부에서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KR10-2002-0084225A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KR10045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25A KR100453511B1 (ko)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25A KR100453511B1 (ko)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77A KR20040057477A (ko) 2004-07-02
KR100453511B1 true KR100453511B1 (ko) 2004-10-20

Family

ID=3735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225A KR100453511B1 (ko) 2002-12-26 2002-12-26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88U (ko) 2015-10-19 201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터미널 및 접지 구조, 및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20B1 (ko) * 2005-02-28 2007-10-02 주식회사 엠디티 압전발전 및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한 표면탄성파 기반의 무전원 및 무선 센싱 시스템
KR100693222B1 (ko) * 2006-04-28 2007-03-12 주식회사 엠디티 압력 감지용 saw 트랜스폰더
US8718466B2 (en) 2012-07-12 2014-05-0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wave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ith active carrier hopping
KR101655869B1 (ko) 2015-05-29 2016-09-23 주식회사 에이엠티솔루션 표면탄성파를 이용한 온도센서 및 온도 측정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실시간 패시브 온도측정 시스템
KR101964868B1 (ko) 2017-04-28 2019-04-05 (주)에이엠티솔루션 돌기 체결형 saw 온도센서
KR101964865B1 (ko) 2017-04-28 2019-04-05 (주)에이엠티솔루션 곡면 체결형 saw 온도센서
KR101964869B1 (ko) 2017-04-28 2019-04-05 (주)에이엠티솔루션 Saw 온도센서에 의한 측정 온도 수신 시스템
KR101964871B1 (ko) 2017-04-28 2019-04-05 (주)에이엠티솔루션 Saw 온도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패시브 온도측정 방법
KR101964874B1 (ko) 2017-04-28 2019-04-05 (주)에이엠티솔루션 표면탄성파를 이용한 온도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88U (ko) 2015-10-19 201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터미널 및 접지 구조, 및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77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511B1 (ko)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US7298214B2 (en) Amplifying circuit with variable supply voltage
KR930702823A (ko) Tdma 무선 주파수 송신기용 전력 제어 회로
KR20170129397A (ko) Saw소자를 이용한 무선 온도 측정 장치
KR100453512B1 (ko)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KR20040057479A (ko) 표면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AU2001293685A1 (en) Hearing aid with a radio frequency receiver
CN1998157B (zh) 高频发射机中的功率调节
JP2002040068A (ja) 相互変調歪測定装置
KR200222669Y1 (ko) 시간 지연 장치
KR20110067612A (ko) 공진 전력 발생 장치
JP2009065376A (ja) アンテナ装置
JP2003014572A (ja) 圧力センサ及び圧力センサシステム
KR100598681B1 (ko) 임피던스 정합장치의 고주파 감지센서
JP2006131195A (ja) タイヤ情報検出装置
JP4378845B2 (ja) Tv受信システム
KR100582216B1 (ko) 다기능 전력선통신(plc) 모듈
KR950004746B1 (ko) 고주파 송신기
KR200231766Y1 (ko) 디지털 복합형 변환기
KR20060085624A (ko) 주파수 호핑 애플리케이션 및 방법에서의 증폭기 전력 제어
KR20050069641A (ko) 전자식 전력량계를 구현한 다기능 전력선통신(plc) 모듈
KR101043172B1 (ko) 데이터 전송용 무선 모뎀장치
KR100344216B1 (ko) 무선통신기기에서의 주파수 체배기 공유장치
JPH11312935A (ja) Fm放送機の位相調整回路及びfm放送機の位相調整方法
JP2000022645A (ja) 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