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430A -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 Google Patents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430A
KR20040057430A KR1020020084174A KR20020084174A KR20040057430A KR 20040057430 A KR20040057430 A KR 20040057430A KR 1020020084174 A KR1020020084174 A KR 1020020084174A KR 20020084174 A KR20020084174 A KR 20020084174A KR 20040057430 A KR20040057430 A KR 20040057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il
soap
hair
essenti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신
Original Assignee
박홍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신 filed Critical 박홍신
Priority to KR102002008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7430A/ko
Publication of KR2004005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허브조성물 5 내지 10 중량%, 비누칩 85 내지 90 중량% 및 글리세린 2.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하는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는 비누 본연의 세척기능 이외에 천연의 허브를 함유함으로써 두피 및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습작용을 하며, 비듬과 가려움증 제거, 탈모방지, 발모촉진, 모발강화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Soap containing herb composition}
본 발명은 허브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브를 함유하여 두피 및 모발건강에 유용한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에 관한 것이다.
허브(herb)는 Health(건강), Eating(식용), Refresh(신선한), Beautiful(아름다운)의 약자이며, 라틴어로는 헤르바(herba)라고 하여 "푸른풀, 초록식물" 이라는 뜻이 있다. 우리말로는 "향초"나, "향약초"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허브는 꽃과 종자, 줄기, 잎, 뿌리 등이 약, 요리, 향료, 살균, 살충 등에 사용되는 인간에게 유용한 모든 초본식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잎이나 줄기가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거나 향과 향미로 이용되는 식물로서, 주로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며 줄기, 잎, 꽃봉오리 등 부드러운 부분을 이용하고 사람들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향기가 있는 식물의 총칭을 말한다. 허브는 원래 사람에게 이로운 식물의 통칭이지만, 주로 향기나는 식물을 일컫는다.
허브는 약 2,600 여종에 달하며, 용도로서 약용, 미용, 차, 요리, 향료, 방향제, 살충제, 염료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향기가 좋아 요즘은 관상용으로도 많이 키운다.
지금까지 이러한 허브를 비누에 적용한 사례는 없었으며,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의 허브를 비누에 적용한 결과 특히 두피 및 모방건강에 유용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의 허브를 함유하여 특히 두피 및 모발건강에 유용한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는 허브조성물 5 내지 10 중량%, 비누칩 85 내지 90 중량% 및 글리세린 2.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에서 유효성분인 허브조성물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허브에 의한 비듬제거, 탈모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너무 높으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조성물은 알로에 베라 겔, 레몬 엣센스, 오렌지 엣센스, 아몬드 오일, 호호바 오일, 비타민 E 오일, 로즈마리 엣센셜 오일, 라벤다 엣센셜 오일, 레몬 엣센셀 오일, 시너우드 엣센셜 오일, 로즈우드 엣센셜 오일, 오렌지 플라워 워터, 일랑일랑 엣센셜 오일, 웜우드 파우더, 버베인 파우더, 캐모마일 플라워 파우더, 로즈마리 파우더, 세인트 존스워트 파우더, 로즈힙 파우더, 헨나 파우더, 세이지 파우더, 넷틀 파우더 및 벅스론 파우더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허브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알로에 베라 겔(Aloe Vera Gel Oragnic, 학명 Aloe spp)은 알로에 잎의 액즙(겔)로서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알로에우르신과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을 함유하여 궤양에 효과적이며, 건성피부와 지성피부를 중성화시키고 피부보습 효과가 있다. 또한 화상과 찰과상에 점액(겔)을 바르면 효과적이며, 피부에 수분을 재공급하고, 비타민효소와 미네랄을 함유하여 세포재생을 촉진한다. 아울러 두피 및 모근의 세포액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며, 살균작용에 의해 비듬균 및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건성 비듬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레몬 엣센스(Lemon Extract)는 레몬산, 사과산, 비타민C, 플라노보이드, 칼륨염, 칼슘염, 미네랄을 함유하며, 피부를 맑게 하는 수렴작용과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데 유효하다.
오렌지 엣센스(Orange Extract)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레몬에 3배 이상이고 칼륨, 칼슘, 인, 철분을 다량 함유하며, 바이오 플라노보이드 성분에 의해 피부의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한다.
아몬드 오일(Almond Oil, 학명 Prunus dulcis)은 비타민 C와 E, 미네랄,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출산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성들의 일시적인 탈모현상을 완하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호호바 오일(Jojoba Oil)은 보타니칼 이름이 Simmondsia chinensis로서 이 오일은 사실 액체로 된 자연왁스의 일종이다. 산화방지를 위한 화학품을 넣지 않아도 되어서 식물성 화장품에 사용되며, 풍부한 영양으로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해주며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고 두피 피지의 균형적인 분비에 일조한다.
비타민 E 오일(Vitamin E Oil, tocopherols)은 혈관 내에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산소를 혈관 내에 보존함으로써 근육의 내구력을 증대시킨다. 피부 흡수력이 좋고 피부를 촉촉하게 가꾸어 주며, 근육개선, 피부개선, 노화방지에 유용하다.
로즈마리 엣센셜 오일(Rosemary Essential Oil)은 향균, 살균, 소독, 진통, 항염, 항알레르기, 혈액순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비듬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라벤다 엣센셜 오일(Lavender Essential Oil)은 진정작용, 이뇨작용, 세포활성화 작용을 하며, 모든 피부문제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오일 중 하나이다. 세포재생 효과가 있고 피지형성에 균형을 잡아주어 화상, 습진, 타박상, 여드름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호호바 오일과 함께 두피 마사지에 사용되면 탈모증에도 도움을 준다.
레몬 엣센셜 오일(Lemon Essential Oil)은 시트랄, 리모넨, 피넨, 켈라니올, 카프르산, 라우스산 등을 주요성분으로 한다.
시너우드 엣센셜 오일(Cedarwood Essential Oil)은 방부, 항균, 최음, 수렴, 이뇨, 거담, 점액 용행에 효과적이며, 아틀란톤(atlantone, 케톤의 일종), 카료필렌(caryophyllene), 세드롤(cedrol) 등을 함유한다. 림프배설, 지방의 파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점막에 뛰어난 작용을 하여 코감기, 기침, 기관지염에 효과적이다. 진정, 수렴, 방부, 가려움증 해소작용을 하며, 비듬, 여드름, 지성피부, 지루성 두피에 아주 좋은 오일이다.
로즈우드 엣센셜 오일(Rosewood Essential Oil)은 면역력과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피부의 수분과 피지분비의 밸런스를 조절하여 마사지에 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오일이다.
오렌지 플라워 워터(Orange Flower Water)는 당질과 구연산, 비타민 C, 카로틴, 비타민 E를 함유하며, 미량의 향기성분이 있어 특유의 향이 있다.
일랑일랑 엣센셜 오일(Ylangylang Essential Oil)은 진정, 릴랙스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웜우드 파우더(Wormwood Powder, 학명 Artemisia absinthium)는 특히 구충과 해독의 효과가 뛰어나고, 그 때문에 벌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강장, 소화촉진 작용이 있어서 약용하며 잎은 차로 달여 마시면 우울증, 황달 등에 좋다고 하며 꽃도 건조시켜 잎과 동일하게 이용한다.
예부터 구충 및 방충제로 쓰여 왔는데 지금도 주머니에 넣어서 방충제로 쓰며 "모스팩" 이라 불리 우는 방충 낭의 뺄 수 없는 재료의 하나다.
버베인 파우더(Vervaine Powder, 학명 Verbena officinalis)는 버베날린(verbenalin)이라는 배당체를 함유하여 소염, 지혈, 진정작용을 한다.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마편초라고 하며, 피부염증, 부스럼에는 즙액을 바른다. 유럽에서는 발한, 이뇨, 거담제로 사용된다.
캐모마일 플라워 파우더(Chamomile Flower Powder, 학명 Matricaria recutiita)는 진통, 진정, 염색작용을 하며, 머리의 염색이나 린스로 이용되고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가꾸어 준다.
로즈마리 파우더(Rosemary Powder, 학명 Rosemarinus officinalis)는 윤기 있는 머릿결, 염색, 모근의 노화방지, 양모에 효과적이며, 피부의 노화방지, 머리의 염색, 피부의 탄력유지, 통증완화 등 미용에 주용한 재료로 이용된다.
세인트 존스워트 파우더(St. John's Wort Powder, 학명 Hypericum perforatum)는 세포재생, 향균, 창상에 유효한 허브로서, 히페리신, 정유, 플라빈, 히퍼포린, 탄닌과 기타 수지를 함유한다.
로즈힙 파우더(Rose Hip Powder, 학명 Rosa chanina)는 개장미의 열매로 지혈, 혈행개선, 모근 활성화, 이뇨작용, 강장작용을 한다. 비타민 A, B, C, E, K, P, 니콘틴산, 아미드, 유기산, 탄닌 등을 함유하며, 특히 레몬의 60배, 오렌지의 20배 이상의 비타민 C를 함유한다.
세이지 파우더(Sage Powder, 학명 Salvia officinalis)는 꽃과 잎을 달여서 로션이나 샴푸로 만들거나 습포제로 만들어 상처에 바르거나 피부 장애의 개선에 사용된다. 욕제로 사용하면 피로회복과 비만해소에도 효과적인다.
헨나 파우더(Henna Powder, 학명 Sawsonia inermis)는 염색, 모근활성화 작용을 한다.
넷틀 파우더(Nettle Powder, Urtica dioiac)는 탈모방지, 수렴, 발모, 비듬제거에 효과적이고, 개미산, 히스타민, 아세틸산, 구르코키논, 클로로필, 비타민 A, C 그리고 규소, 철, 칼륨과 같은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한다. 지혈재, 지칠의 세정제로 이용되며, 혈액활성작용을 하고 발모제로 효과가 상당하여 린스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비듬제거에도 효과적이다.
벅스론 파우더(Buckthorn Bk Powder, 학명 Rhamnus frangula)는 한방에서 해열, 이뇨, 소종의 효능이 있어 이뇨제, 완하제로 사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설사와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는 비누 본연의 세척기능 이외에 상술한 허브를 함유하여 비듬제거, 보습작용, 탈모방지, 발모촉진, 모발강화에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예방에 효과적이고, 딱딱한 두피를 부드럽게 풀어주고 비듬과 피지량의 증가를 억제하며, 특히 지루성 모발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모피 깊숙히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깨끗이 딥클렌징하고 보습성분이 보호막을 형성하여 건강하고 강한 모발과 두피로 만들어준다. 또한 손상된 모낭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근과 모세혈관의 기능을 회복시켜 튼튼하고 건강한 두피로 만든다. 또한 트리트먼트효과와 모발보호효과가 있으며, 철분부족을 해결하고 항균과 염증제거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는 국소독성시험 결과, 안점막과 피부에 모두 무자극성으로 인체에 안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
말린허브와 액상허브를 표 2와 같이 조성하고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원료를 혼합 및 분쇄하고 압축 성형하여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허브 7.9
비누칩(Soap Chip) 87
글리세린 5
염료 GreenYellow형광 0.00010.000030.00001
EDTA(착색보존료) 0.0002
허브조성 함량(중량%)
알로에 베라 겔 6.66
레몬 엣센스 1.06
오렌지 엣센스 1.06
아몬드 오일 6.00
호호바 오일 12.0
비타민 E 오일 6.66
로즈마리 엣센셜 오일 2.67
라벤다 엣센셜 오일 2.67
레몬 엣센셜 오일 2.00
시너우드 엣센셜 오일 2.00
로즈우드 엣센셜 오일 1.00
오레지 플라워 워터 2.44
일랑일랑 엣센셜 오일 0.33
웜우드 파우더 1.00
버베인 파우더 0.66
케모마일 플라워 파우더 1.00
로즈마리 파우더 7.66
세인트 존스워트 파우더 5.33
로즈힙 파우더 7.66
헨나 파우더 2.67
세이지 파우더 2.67
넷틀 파우더 8.00
벅스론 파우더 16.82
제조한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의 성분시험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시험항목 결과치(중량%) 시험방법
수분 10.4 KS M 2702: 1995
순비누분 85.8 KS M 2702: 1995
유리알카리 검출안됨 KS M 2702: 1995
석유에테르가용분 1.6 KS M 2702: 1995
시험예 1: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의 두피 및 모발에 대한 사용평가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를 한달동안 사용하게 한 후 다음의 표 4와 같은 각 항목별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양호(3점), 보통(2점), 나쁨(1점), 매우 나쁨(0점)으로 구분하고 평균한 값으로 표시하였다.
항목 결과
사용감 4.3
세척감 4.4
비듬 제거 4.1
가려움증 제거 4.2
탈모방지 4.0
발모촉진 3.8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는 사용감, 세척감, 비듬과 가려움증 제거, 탈모방지, 발모촉진의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2: 국소독성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에 대한 국소독성시험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독성학 교실에 의뢰하였다.
1. 시험재료 및 방법
(1) 시험물질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시료를 투여전 주사용 멸균증류수에 용해하여 제모된 피부와 안점막에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동량의 멸균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2)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실험동물은 5-6주령의 New Zealand White 수컷 토끼로서 snuffles, 설사,ear mite rkadua 등의 유무를 확인한 후 (주)한림실험동물연구센터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은 입수후 최소 1주일간 동물실에서 순화시키면서 일반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실은 온도 22±3℃, 상대습도 50±10%, 환기회수 12-13회/hr, 12시간 명암주기, 조도 150-280 Lux 조건하에 유지하였으며, 순화기간 및 시험기간 중에 토끼는 3단 사육상자대에 배열된 스테인레스스틸 사육케이지(42×50×31 cm)에 1마리씩 수용하였다. 토끼의 순화기간 및 시험기간 중에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를 섭취시켰으며 음수는 멸균된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임상증상 측정
순화기간을 포함하여 시험물질 처치 후 시험기간동안 매일 임상증상 및 사망여부를 관찰·확인하였다.
(4) 안점막자극시험
1주일간의 순화사육기간을 거쳐 선발된 건강한 토끼를 시험개시 24시간 전에 그 양안을 검사하여 각막의 손상여부를 검사한 후 이상이 관찰되지 않은 9마리의 동물을 선발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시료는 주사용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각각의 왼쪽 안구의 결막낭에 조심스럽게 점안한 후 제 1군의 3마리에 대해서는 점적 후 약 30초 경과시 무균 생리 식염수로 1분간 세안하여 시험물질을 제거하였다. 오른쪽안구는 비처치 대조로 하였다. 또 제 2군의 6마리는 점적 후 세척하지 않고 관찰하였으며 오른쪽 눈은 비처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적용 후 1, 2, 3, 4 및 7일째에 관찰을 실시하였고 평가는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 1999-61호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1999. 12. 22)"에 준해 실시하여 이에 따른 평점을 산출한 후 그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5) 피부자극시험
시험물질의 적용 24시간 전에 동물용 전기 clipper로 토끼의 등부위를 상처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제모하고,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게 면도를 실시하여 처치구획과 대조구획으로 나누고 각각을 비찰과부위와 찰과피부로 나누어 모두 4부분을 설정하였다. 찰과피부는 면도날을 이용하여 출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표피만을 찰과하였다. 검체를 처치하기 위해 surgical tape인 Microfoam(제조회사 3M)의 폭을 0.5 cm로 하며 2.5 cm ×2.5 cm 크기의 지지체(mold)를 만들고 그 중앙에 가아제(2.5 cm ×2.5 cm, 3겹)를 고정시켰다. 시료의 조제는 소독제를 멸균증류수에 희석하여 검체로 하였으며 검체를 첩포용 밴드가아제에 0.5 ml를 취하여 토끼등 피부의 처치구획에 접착하였다. 시험물질을 적용한 후 피부와 밀접해 있는 시험물질을 유지하고 증발을 막기 위해서 토끼의 투여부위는 가아제와 비자극성 테이프로 싸서 안전하게 하였다. 검체는 24시간동안 1회 적용하였으며, 대조구획에는 주사용 멸균증류수만을 가하고 동시에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종료시 잔류물질은 생리식염수를 탈지면에 적시어 잘 닦아내었다. 시험물질 제거 후 약 60분에 각 시험물질을 Draize 기법에 따라 홍반과 부종의 정도를 기록하였다(Draizeet al., 1959; Marzulli and Maibach, 1975). 피부반응의 평가는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 1999-61호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1999. 12. 22)"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이에따라 시험물질 투여후 24, 72시간 및 7일째의 평점을 산출하여 그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판정은 일차자극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P.I.I.)에 기초하여 시험물질의 자극도를 구분하였다.
2. 결과
(1) 일반 임상증상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시료를 시험물질로 하여 투여한 모든 군에서 시험물질로부터 기인된 일반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기간동안 치사한 동물은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2) 안점막자극시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시료를 안구에 투약한 후 3시간, 1, 2, 3, 4 및 7일에 각막손상, 홍채의 충혈이나 빛에 대한 반응과 안검점막, 안구결막 등의 혈관상태, 결막의 부종 및 배출물의 유무 등을 관찰한 결과, 표 5에서 보는 같이 세척군과 비세척군 모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M.O.I.(Mean ocular irritation index), I.O.I.(Individual ocular irritation index) 및 A.O.I.(Acute ocular irritation index) 평점이 모두 4 점으로 무자극(non-irritancy) 물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점막 반응평가
경과시간 번호 각막혼탁 홍채반응 결막 합계 M.O.I1)
정도 범위 발적 부종 배출물
1시간 1 0 0 0 1 0 1 2 4
2 0 0 0 1 0 1 2
3 0 0 0 1 0 1 2
4 0 0 0 1 0 1 2
5 0 0 0 1 0 1 2
6 0 0 0 1 0 1 2
7 0 0 0 1 0 1 2
8 0 0 0 1 0 1 2
9 0 0 0 1 0 1 2
24시간 1 0 0 0 1 0 1 2 4
2 0 0 0 1 0 1 2
3 0 0 0 1 0 1 2
4 0 0 0 1 0 1 2
5 0 0 0 1 0 1 2
6 0 0 0 1 0 1 2
7 0 0 0 1 0 1 2
8 0 0 0 1 0 1 2
9 0 0 0 1 0 1 2
48시간 1 0 0 0 1 0 1 2 4
2 0 0 0 1 0 1 2
3 0 0 0 1 0 1 2
4 0 0 0 1 0 1 2
5 0 0 0 1 0 1 2
6 0 0 0 1 0 1 2
7 0 0 0 1 0 1 2
8 0 0 0 1 0 1 2
9 0 0 0 1 0 1 2
72시간 1 0 0 0 1 0 1 2 4
2 0 0 0 1 0 1 2
3 0 0 0 1 0 1 2
4 0 0 0 1 0 1 2
5 0 0 0 1 0 1 2
6 0 0 0 1 0 1 2
7 0 0 0 1 0 1 2
8 0 0 0 1 0 1 2
9 0 0 0 1 0 1 2
[주] 0은 정상이거나 이상없음, 숫자가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함1): 각 동물에 나타난 자극점수의 총계를 동물수로 나눈 값
(3) 피부자극시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시료에 대한 피부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토끼의 노출된 찰과/비찰과 피부에 투여하였으나,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피부반응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피부반응평가
대조부위 처리부위
홍반 및 가피형성 부종 홍반 및 가피형성 부종
동물번호 비찰과 찰과 비찰과 찰과 비찰과 찰과 비찰과 찰과
24 72 24 72 24 72 24 72 24 72 24 72 24 72 24 72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6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평균 0 0 0 0 0 0 0 0
평균의 합 0 0 0
P.I.I 0 0
[주] 0은 비자극성, 숫자가 증가할수록 자극이 심함P.I.I= total/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는 비누 본연의 세척기능 이외에 천연의 허브를 함유하여 비듬제거, 보습작용, 탈모방지, 발모촉진, 모발강화에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예방에 효과적이고, 딱딱한 두피를 부드럽게 풀어주고 비듬과 피지량의 증가를 억제하며, 특히 지루성 모발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모피 깊숙히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깨끗이 딥클렌징하고 보습성분이 보호막을 형성하여 건강하고 강한 모발과 두피로 만들어준다. 또한 손상된 모낭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근과 모세혈관의 기능을 회복시켜 튼튼하고 건강한 두피로 만든다. 또한 트리트먼트효과와 모발보호효과가 있으며, 철분부족을 해결하고 항균과 염증제거 작용을 한다.

Claims (2)

  1. 허브조성물 5 내지 10 중량%, 비누칩 85 내지 90 중량% 및 글리세린 2.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하는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조성물이 알로에 베라 겔, 레몬 엣센스, 오렌지 엣센스, 아몬드 오일, 호호바 오일, 비타민 E 오일, 로즈마리 엣센셜 오일, 라벤다 엣센셜 오일, 레몬 엣센셀 오일, 시너우드 엣센셜 오일, 로즈우드 엣센셜 오일, 오렌지 플라워 워터, 일랑일랑 엣센셜 오일, 웜우드 파우더, 버베인 파우더, 캐모마일 플라워 파우더, 로즈마리 파우더, 세인트 존스워트 파우더, 로즈힙 파우더, 헨나 파우더, 세이지 파우더, 넷틀 파우더 및 벅스론 파우더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KR1020020084174A 2002-12-26 2002-12-26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KR20040057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74A KR20040057430A (ko) 2002-12-26 2002-12-26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74A KR20040057430A (ko) 2002-12-26 2002-12-26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30A true KR20040057430A (ko) 2004-07-02

Family

ID=3735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74A KR20040057430A (ko) 2002-12-26 2002-12-26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4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7081A1 (en) * 2005-06-24 2006-12-28 Ratnendu Bikash Tripathi A hair tonic of plant origin for the prevention of hair loss and/or for the growth of new hair on the bald
KR100664400B1 (ko) * 2005-07-01 2007-01-04 동아제약주식회사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0725650B1 (ko) * 2005-06-13 2007-06-08 김동일 헤나 및 알로에를 함유한 모발 염색 또는 탈색용 조성물
ES2526940A1 (es) * 2013-07-15 2015-01-16 María Del Carmen LÓPEZ GÓMEZ Jabón desodorant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650B1 (ko) * 2005-06-13 2007-06-08 김동일 헤나 및 알로에를 함유한 모발 염색 또는 탈색용 조성물
WO2006137081A1 (en) * 2005-06-24 2006-12-28 Ratnendu Bikash Tripathi A hair tonic of plant origin for the prevention of hair loss and/or for the growth of new hair on the bald
KR100664400B1 (ko) * 2005-07-01 2007-01-04 동아제약주식회사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ES2526940A1 (es) * 2013-07-15 2015-01-16 María Del Carmen LÓPEZ GÓMEZ Jabón desodoran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urjai et al. Plants used in cosmetics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2020013997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Adlakha et al. Value-added products of Aloe species: Panacea to several maladies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946817A (zh) 天然草本女士私处专用皮肤黏膜消毒剂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973523A (zh) 一种马齿苋抗敏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040057430A (ko) 허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KR20190061277A (ko) 탈모 방지 및 모발을 굵게 할 수 있는 샴푸 조성물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20180050798A (ko) 생강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무독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102538107B1 (ko)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RU2811227C1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рук
KR102381425B1 (ko) 백장미를 이용한 모발 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세정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