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366A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366A
KR20040056366A KR1020030013181A KR20030013181A KR20040056366A KR 20040056366 A KR20040056366 A KR 20040056366A KR 1020030013181 A KR1020030013181 A KR 1020030013181A KR 20030013181 A KR20030013181 A KR 20030013181A KR 20040056366 A KR20040056366 A KR 2004005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storage container
coupl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649,799 priority Critical patent/US7025221B2/en
Priority to JP2003359829A priority patent/JP2004203486A/ja
Priority to CNB2003101036233A priority patent/CN1268522C/zh
Priority to DE60308630T priority patent/DE60308630T2/de
Priority to EP03257219A priority patent/EP1433710B1/en
Publication of KR2004005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커버를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록킹장치가 복수의 록킹위치를 갖도록 마련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록킹장치는 커버의 일측면에 마련된 결합부재와, 본체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홀이 형성된 회동부재를 구비한다. 복수의 끼움홀은 회동부재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서 결합부재가 최하단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최소크기로 되고, 최상단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최대크기로 되며, 중간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중간 크기로 되게 된다.

Description

저장용기{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도구나 식품 등과 같은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커버를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록킹장치를 다단 구조로 구성하여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와 같은 조리기는 육류나 생선과 같은 조리물을 그릴방식으로 조리하기 위한 꽂이대나 토스트를 만들기 위한 토스트 키트(Kit)와 같은 보조 조리기구들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보조 조리기구들은 통상적으로 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저장용기에 보관되어 사용된다.
보조 조리기구들이나 식품 등과 같은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물품을 보관하도록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서 본체의 저장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본체에 록킹시키거나 또는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커버가 본체에 결합되어 물품이 본체의 내부에 보관되게 되며, 상기 록킹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서 보관된 물품들을 꺼내거나 다른 새로운 물품들을 본체에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록킹장치는 커버가 본체에 일정한 결합위치에서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서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결합될 때 저장용기는 일정한 내용적만을 갖게 되기 때문에, 물품들의 크기 또는 물품들의 양에 대응하여 저장용기의 내용적을 변화시킬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보관되는 물품의 크기가 작거나 물품들의 양이 적어서 저장용기의 내부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는 경우에도 저장용기가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되므로 저장용기의 크기를 줄여서 보관할 수 없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보관해야 할 물품의 크기가 크거나 물품들이 많은 경우에는 하나의 저장용기에 모두 보관할 수 없게 되어서 복수의 저장용기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를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록킹장치가 복수의 록킹위치를 갖도록 마련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체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최소용적 위치에서 록킹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중간용적 위치에서 록킹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최대용적 위치에서 록킹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장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본체 20: 커버
30: 록킹장치 40: 회동부재
41,43,49: 힌지홀 42a,44: 힌지축
45,46,47: 끼움홀 50: 결합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록킹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각 록킹장치는 복수의 록킹위치를 가져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록킹위치에 따라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수용공간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록킹장치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 마련된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홀이 형성된 회동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복수의 끼움홀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서 록킹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에는 각각 제 1 힌지홀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 1 힌지홀과 대응하는 제 2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이 마련되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 사이에 상기 브라켓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끼움홀은 상기 회동부재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끼움홀들 중 최하단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최소 크기로 되고, 상기 끼움홀들 중 최상단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최대 크기로 되며, 상기 끼움홀들 중 중간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중간 크기로 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끼움홀들에 신축성있게 끼워져서 록킹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제 1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각 회동부재의 상단에는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한 제 2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어서 저장된 내용물의 무게에 따라 저장용기를 간편하게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에는 각각 힌지홀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그 양단에 상기 제 1 힌지홀과 대응하는 힌지축이 돌출되어 있는 브라켓이 마련되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 사이에 상기 브라켓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이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체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대략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서 본체(10)와 함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11)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를 본체(10)에 결합되도록 하거나 본체(10)와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록킹장치(30)를 구비한다. 커버(20)의 상부에는 록킹장치(30)에 의해 본체(10)에 결합된 커버(20)를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손잡이(21)가 마련되어서, 수용공간(11)에 저장된 물품의 무게가 가벼울 때 상기 제 1 손잡이(21)를 들어서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록킹장치(30)는 본체(10)와 커버(20)의 양 측면에 걸쳐서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록킹장치(3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와 커버(20)의 일 측면에 설치된 하나의 록킹장치(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록킹장치(30)는 본체(10)의 일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40)와, 상기 회동부재(40)와 대응하여 커버(20)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결합부재(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50)는 커버(20)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대략 수평하게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40)는 본체(10)와 별도로 만들어져서 본체(10)에 힌지 결합되게 된다.
회동부재(40)의 하단의 양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힌지홀(41)들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제 2 힌지홀(4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4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힌지홀(41)들 사이의 개방된 중간부분에 상기 브라켓(42)이 끼워져서 제 1 및 제 2 힌지홀(41)(43)들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홀(41)(43)을 통해 하나의 힌지축(44)을 빠지지 않도록 끼워 넣게 되면 회동부재(40)는 상기 브라켓(42)과 힌지축(44)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40)가 힌지축(4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힌지축(44)은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홀(41)(43)들에 헐겁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힌지축(44)은 제 1 및 제 2 힌지홀(41)(43)들에 끼워져서 회동부재(40)와 브라켓(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40)에는 상기 커버(20)에 마련된 결합부재(50)가 끼워져서 록킹되도록 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끼움홀(45)(46)(47)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부재에 3개의 끼움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끼움홀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저장용기의 수용공간을 더욱 넓은 범위에서 가변시키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50)가 각각의 끼움홀에 끼워져서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동부재(4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결합부재(50)가 각 끼움홀(45)(46)(47)들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질 때 그 끼움홀은 약간 벌어지면서 결합부재(50)를 수용하게 됨으로써 결합부재(50)가 회동부재(40)에 안정적으로 록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록킹상태에서 회동부재(40)가 하향으로 회동되도록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결합부재(50)가 그 끼움홀로부터 빠지게 되는 것이다.
결합부재(50)가 각 끼움홀(45)(46)(47)에 후킹방식으로 록킹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50)의 선단은 약간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각 끼움홀의 입구의 상단에는 약간 하향으로 돌출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각 회동부재(40)의 상단에는 수평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제 2 손잡이(48)가 마련되어서,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물품이 저장되는 경우에 두 손으로 이 제 2 손잡이(48)들을 들어서 저장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킹장치(30)는 회동부재(40)가 본체(10)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끼움홀(45)(46)(47)들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부재(50)가 결합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본체(10)에 결합되어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수용공간이 가변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최소용적 위치에서 록킹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4는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중간용적 위치에서 록킹된 것을 보인 것이며, 도 5는 커버가 록킹장치에 의해 본체에 최대용적 위치에서 록킹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장치(30)의 회동부재(40)를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록킹장치(30)의 결합부재(5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끼움홀(45)(46)(47)들 중에서 최하단에 형성된 제 1 끼움홀(45)에 끼워지도록 하게 되면 저장용기의 수용공간(11)이 상대적으로 최소로 되는 상태로 커버(20)가 본체(10)를 덮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보관될 물품의 크기가 작거나 물품들의 수가 적은 경우에 저장용기의 크기를 최소로 줄인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부재(40)의 상단을 하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결합부재(50)가 제 1 끼움홀(45)로부터 빠지게 되면서 회동부재(40)가 하향으로 회동되어 커버(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게 되어서 보관된 물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보관될 물품의 크기나 양이 중간정도로 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40)를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상향으로 회동시켜서 결합부재(50)가 제 2 끼움홀(46)에 끼워지게 하면 수용공간(11)이 상대적으로 중간정도의 용적을 가진 상태에서 커버(20)가 본체(10)에 결합되어서 상대적으로 적당한 크기의 물품이나 적당한 수의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른 물품을 더 넣기 위해서는 저장용기의 수용공간(11)을 더욱 크게 증대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40)의 최상단에 형성된 제 3 끼움홀(47)에 커버(20)의 결합부재(50)가 끼워지도록 하면 본체(10)와 커버(20)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용기의 수용공간(11)이 상대적으로 최대 용적을 갖도록 가변되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진 물품이나 더 많은 수의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브라켓(42)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한 힌지축(42a)이 브라켓(42)과 일체로 형성되며, 회동부재(40)의 하부의 양측단에는 상기 힌지축(42a)에 대응하는 힌지홀(49)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회동부재(40)의 하부의 양측단이 약간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각 힌지축(41a)을 각각의 힌지홀(49)에 끼우게 되면 회동부재(40)가 브라켓(4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저장용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가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본체에 록킹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보관될 물품의 크기와 수에 따라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록킹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각 록킹장치는 복수의 록킹위치를 가져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록킹위치에 따라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록킹장치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 마련된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홀이 형성된 회동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복수의 끼움홀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에는 각각 제 1 힌지홀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 1 힌지홀과 대응하는 제 2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이 마련되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 사이에 상기 브라켓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움홀은 상기 회동부재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끼움홀들 중 최하단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최소 크기로 되고, 상기 끼움홀들 중 최상단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최대 크기로 되며, 상기 끼움홀들 중 중간의 끼움홀에 결합되면 상기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중간 크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끼움홀들에 신축성 있게 끼워져서 록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제 1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동부재의 상단에는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한 제 2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에는 각각 힌지홀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그 양단에 상기 제 1 힌지홀과 대응하는 힌지축이 돌출되어 있는 브라켓이 마련되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의 양측단 사이에 상기 브라켓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힌지축이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030013181A 2002-12-23 2003-03-03 저장용기 KR20040056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49,799 US7025221B2 (en) 2002-12-23 2003-08-28 Storage container
JP2003359829A JP2004203486A (ja) 2002-12-23 2003-10-20 貯蔵容器
CNB2003101036233A CN1268522C (zh) 2002-12-23 2003-11-06 存贮容器
DE60308630T DE60308630T2 (de) 2002-12-23 2003-11-15 Lagerbehälter
EP03257219A EP1433710B1 (en) 2002-12-23 2003-11-15 Sto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713 2002-12-23
KR20020082713 2002-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366A true KR20040056366A (ko) 2004-06-30

Family

ID=3734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181A KR20040056366A (ko) 2002-12-23 2003-03-03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6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83U (ko) 2016-08-10 2018-02-21 정세빈 포장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83U (ko) 2016-08-10 2018-02-21 정세빈 포장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03486A (ja) 貯蔵容器
US20080067095A1 (en) Tool case
US20060249412A1 (en) Rotary tool case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CN104227685B (zh) 工具盒
JP4883470B2 (ja) 物品搬送コンテナ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KR20040056366A (ko) 저장용기
EP3138664B1 (en) Tool organiser
US20060144841A1 (en) Multi-purpose cooler
US9074807B2 (en) Reclosable compartment for refrigerator
KR200167921Y1 (ko) 수납장 겸용 쌀통
KR101554327B1 (ko) 다단식 밀폐용기
KR20050031322A (ko) 냉장고용 보관용기
KR100412943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JPH08243014A (ja) 断熱調理容器
KR200413630Y1 (ko) 온장고
KR200340591Y1 (ko) 가구용 수납함
KR100373088B1 (ko) 저장용기
KR20230102799A (ko) Led 캠핑 카트
KR20170036220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0416700B1 (ko) 김치저장고의 접철식 도어구조
KR200159269Y1 (ko) 이.미용 가방
KR200164794Y1 (ko) 냉장고용 도아의 가변선반
KR200177732Y1 (ko) 물건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