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266A -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266A
KR20040056266A KR1020020082845A KR20020082845A KR20040056266A KR 20040056266 A KR20040056266 A KR 20040056266A KR 1020020082845 A KR1020020082845 A KR 1020020082845A KR 20020082845 A KR20020082845 A KR 20020082845A KR 20040056266 A KR20040056266 A KR 2004005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asting
dam
edge
tw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105B1 (ko
Inventor
이철규
정한남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1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Accessories therefor for supplying molten metal
    • B22D11/06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8Accessories therefor for cooling the cast product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mould surfaces
    • B22D11/0682Accessories therefor for cooling the cast product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mould surfaces by cooling the cast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장착되는 주조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의 주조롤과, 그 좌우양측면에 설치되는 에지댐 및 주조롤과 에지댐사이에 형성되는 롤섬프로 용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을 갖추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주조롤을 회전시켜 주편을 주조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의 내부면과 대응접촉하는 상기 주조롤 양측면 테두리에 환고리형 댐접촉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댐접촉부의 접촉표면전체에 상기 에지댐간의 유효접촉면적을 줄여 예열된 에지댐으로부터 냉각된 주조롤측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시킬수 있도록 원형단면상의 요홈을 복수개 함물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지댐과 면접하는 롤 측면부에 에칭공정에 의해서 함물형성되는 요철을 형성하여 주조초기 용강이 롤섬프(roll sump)로 공급되기 전 예열된 에지댐에서 냉각된 롤측으로 열전달을 최대한 억제하여 주조초기에 스컬이 에지댐에 형성되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A CASTING ROLL OF TWIN ROLL STRIP CASTER}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장착되는 주조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에지댐과 면접하는 롤 측면부에 에칭공정에 의해서 함물형성되는 요철을 형성하여 주조초기 용강이 롤섬프(roll sump)로 공급되기 전 예열된 에지댐에서 냉각된 롤측으로 열전달을 최대한 억제하여 주조초기에 스컬이 에지댐에 형성되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롤식 박판주조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한쌍의 주조롤(1)과 그 좌우양단에 장착되는 에지댐(2)사이로 턴디쉬(5)에 부착된 침지노즐(3)을 통해서 용강을 공급하여 상기 롤(1)과 에지댐(2)에 의해 둘러싸인 롤섬프(4)를 형성함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주조롤(1)사이로 용강을 통과시켜 직접 주편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박판주조기(100)에서 양호한 주편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사항중의 하나는 주편에지 형상이 건전하여야 한다.
상기 에지댐(2)은 쌍롤(1)의 양 측면부를 밀봉하여 롤섬프(4)를 형성하는 주요한 설비로서 상기 에지댐(2)에 문제가 발생하여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용강이 에지쪽으로 누출되게 되며, 이때 누출된 용강이 회전하는 롤(1)과 접촉하여 응고되어 붙은 상태에서 계속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에지댐(2)에 의한 밀봉이 더욱 어려워지게된다.
그리고, 누출된 용강이 롤에 응고되어 붙은 정도가 경우는 지속적으로 롤(1)과 에지댐(2)사이에 약간의 갭(gap)을 형성하여 주편에지에 핀을 지속적으로 만들게 되며, 심한 경우는 주조작업를 중단하는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게 되며, 주편에지에 핀이 형성된 경우에도 주편의 권취가 불가능해지는 등의 주조공정에 많은 장애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상기 롤(1)과 에지댐(2)사이를 완벽하게 밀봉하기 위한 에지댐 로딩 방식 및 에지댐의 재질향상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며 현재 상업용 공장에서 240톤 이상의 주조작업을 완벽한 밀봉상태애서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적어도 에지댐의 기밀 유지측면에서는 거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에지댐(2)이 주편품질과 관련된 또 하나의 측면은 용강이 접하는 에지댐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스컬에 관련된 것인데, 상기 에지댐(2)에 스컬이 발생, 성장하여 주편에 혼입될 경우에는 롤 폭방향으로 과도한 국부적인 롤 반발력(RSF, Roll Separating Force)을 가져와 순간적으로 롤갭이 뒤로 밀리게 되고, 이는 주조방향으로의 주편두께 변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혼입된 스컬의 크기가 큰 경우는 롤(1)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상기 에지댐(2)이 롤(1) 반대쪽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에지댐(2)과 롤(1)사이에 틈새를 발생시켜 이를 통하여 용강이 누출되어 주조 불안정을 야기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에지댐(2)에서 스컬이 발생하는 현상은 근본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용강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에지댐(2)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용강과 에지댐사이의 온도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온도차가 큰 경우는 상기 에지댐(2)에 용강의 응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피할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에지댐(2)의 온도는 주조가 장시간 지속되어 용강으로부터의 열이 에지댐(2)에 충분히 도달하게 되면 열평형에 도달해 스컬의 발생현상이 많이 줄어들게 되는 경향을 보이게 되지만, 주조초기에는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스컬발생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지댐(2)에서의 스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에지댐(2)의 온도를 가능한한 높은 온도로 사전에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 오고 있다.
즉, 상기 에지댐(2)은 충분한 열원 공급을 통해 용강과 접촉시에도 스컬이 형성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를 목표로 하여 예열하고 있으나 주조가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롤(1)과 접촉을 하게 되면서 예열효과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에지댐(2)의 예열하는 작업은 예열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에지댐(2)을 롤(1)로부터 일정거리 띄어놓은 상태에서 예열을 하여 높은 예열온도를 확보하고 있으나 주조가 시작할 시간이 되면 반드시 용강이 쌍롤 사이로 주입되기 전 에지댐이 롤과 접촉하여 밀봉하여야 하며, 고온으로 예열된 에지댐(2)이 수냉되는 냉각 주조롤(1)과 접촉함으로 인해서 에지댐(2) 표면부의 온도가 급속하게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상기 에지댐(2)의 예열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먼저 에지댐(2) 예열을 목표로 하는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킬 정도의 강력한 예열수단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에지댐(2)후면부에 전기발열체(미도시)를 넣고 전류를 통해 발열체를 발열시키고, 그 열을 에지댐 표면까지 전달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에지댐(2)의 표면부를 직접 기존의 가스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에지댐 표면부의 온도를 한층 높은 온도로 예열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통해 상기 에지댐(2)의 예열이 원하는 목표온도 이상으로 확보되었다 하더라도 예열된 에지댐(2)은 결국 실제 주조상태에서는 롤과 접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열을 빼앗기게 되는 현상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에서 주조직전 에지댐과 롤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채용되는 주조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예열된 에지댐(2)의 표면 온도가 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도로 하강하는 것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주조롤(1)의 양측면 테두리에 일정 면적의 환고리형 댐접촉부(9)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댐접촉부(9)만이 에지댐(2)과 접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환고리형 댐접촉부를 롤양측면에 형성하여 에지댐(2)과 롤(1)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단 접촉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에지댐 표면의 온도 강하 현상으로 인한 주조초기의 스컬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지댐과 접하는 롤 양측면의 댐접촉부에 요홈을 형성하여 에지댐과 롤측면간의 유효접촉면적을 대폭 저감시킴으로서 에지댐에서 롤쪽으로의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주조초기 에지댐에서 발생되는 스컬의 양과 빈도를 대폭 저감시키고, 스컬 발생량이 큰 주조초기의 조업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에서 주조직전 에지댐과 롤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채용되는 주조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에 형성되는 요홈을 도시한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에 형성되는 요홈을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 주조롤 2 ...... 에지댐
3 ...... 침지노즐 4 ...... 롤섬프
9,19 ... 댐접촉부 11 ..... 요홈
12 ..... 라운드부 100 .... 쌍롤식 박판주조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한쌍의 주조롤과, 그 좌우양측면에 설치되는 에지댐 및 상기 주조롤과 에지댐사이에 형성되는 롤섬프로 용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을 갖추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주조롤을 회전시켜 주편을 주조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의 내부면과 대응접촉하는 상기 주조롤 양측면 테두리에 환고리형 댐접촉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댐접촉부의 접촉표면전체에 상기 에지댐간의 유효접촉면적을 줄여 예열된 에지댐으로부터 냉각된 주조롤측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시킬수 있도록 원형단면상의 요홈을 복수개 함물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냉각롤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에 형성되는 요홈을 도시한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에 형성되는 요홈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주조롤(10)은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온도이상의 고온을 예열된 에지댐과 냉각수에 의해서 롤몸체 및 표면이 냉각된 주조롤(1)을 서로 밀착시켜 롤섬프(4)를 형성하여 주편으로 주조하는 주조초기에 상기 예열된 에지댐(2)으로부터 상기 냉각된 주조롤(1)측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상기 에지댐(2)과 주조롤(1)간의 온도차에 의한 스컬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주조롤(1)과 에지댐(2)간의 유효접촉면적을 감소시킨 것이다.
즉, 상기 에지댐(2)의 내부면과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주조롤 양측면 테두리에는 각각 댐접촉부(19)가 각각 환고리형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댐접촉부(19)의 상부면인 접촉표면전체에는 상기 에지댐(2)간의 유효접촉면적을 줄여 예열된 에지댐(2)으로부터 냉각된 주조롤(1)측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원형단면상의 요홈(11)을 에칭공정에 의해서 복수개 함물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요홈(11)을 상기 댐접촉부(19)에 형성하여 열전달을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이유는 상기 에지댐(2)과 상기 롤(1)의 댐접촉부(19)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열전달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하기와 같은 식 1으로 표시되게 된다.
<식 1>
Q = htc x (T1-T2) x A
htc = 에지댐 표면과 롤의 댐접촉부간의 열전달계수 (W/m2K)
T1= 에지댐 표면층 온도 (K)
T2= 롤 측면부 온도 (K)
A = 에지댐과 롤과의 접촉면적 (m2)
상기 에지댐(2)에서 주조롤(1)측으로의 열전달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식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전달계수(htc)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온도차(T1-T2)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면적(A)를 감소시켜야 한다.
각 항목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htc 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상기 에지댐(2)이 롤에 접촉하는 접촉힘(로딩힘)이며, 이는 상기 에지댐(2)의 밀봉을 위해 단순히 에지댐(2)을 롤측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반드시 일정힘 이상의 외력을 측방으로 가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각 설비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밀봉을 달성할수 있는 적정한 접촉힘을 부여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지댐(2)으로부터 롤(1)측으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용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지댐(2)과 롤(1)측면간의 표면온도차인 T1-T2을 살펴보면 에지댐(2)은 별도의 예열수단에 의해서 일정온도이상 예열한 온도에 해당하므로 높은 표면온도를 가지며, 상기 주조롤(1)의 측면부의 온도는 롤 재질이 구리와 같이 열전도도가 좋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에지댐(2)과 접촉하기 전인 주조전에는 몸체내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된 상태의 냉각온도에 해당되어 낮은 표면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표면온도차 T1-T2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각된 롤의 측면부만 국부적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표면온도차를 줄일 수도 있지만, 이는 구리재질로 이루어진 롤의 손상 및 변형을 초래하기 때문에 롤을 보호하는 설비보호측면에서 일정온도 이상으로 롤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에지댐(2)과 롤(1)간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것에 착안하였으며, 이때, 일방적으로 에지댐(2)과 롤(1)간의 접촉면적자체를 줄이는 것은에지댐(2)과 롤(1)간의 기밀유지에 바람직하지 않는 결과를 가져올수도 있으므로 접촉면적자체는 그대로 유지하고 대응하는 댐접촉부(19)에 일정크기의 내경(D) 및 일정크기의 깊이(H)를 갖는 요홈(11)을 에칭공정에 의해서 규칙적 또는 무작위로 형성하여 주조시 실질적으로 상기 에지댐(2)과 롤(1)이 서로 접촉하는 유효접촉면적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서 예열된 에지댐(2)으로부터 냉각된 롤(1)측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에지댐부근에서의 스컬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주조롤(1)의 양측면에 환고리형으로 형성된 댐접촉부(19)에 요홈(11)을 형성하는 에칭공정을 통하여 원형단면상의 요홈(11)을 형성하는 것이 유효 접촉면적을 작게 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요홈(11)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경(D)크기는 원형을 기준으로 100~20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경크기가 작으면 실질적으로 에지댐(2)과 롤의 댐접촉부(19)간의 유효접촉면적이 작아져 열전달량을 작게 하는 효과가 적고, 내경크기가 크게 되면 주조중 용강침투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요홈(11)의 구멍면적율은 가능한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를 형성하기 위한 에칭공정의 한계등으로 인해 상기 댐접촉부(19)의 상부면전체표면면적에 대하여 30 내지 60%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요홈(11)의 구멍면적율이 작으면 상대적으로 유효접촉면적이 댐접촉부(19)의 표면면적과 유사해져 열전달량을 작게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구멍면적율이 너무 크게 되면 에지댐(2)과 롤간의 마찰시 국부적으로 힘을 받는 경우 상기 요홈(11)의 입구가 국부적으로 손상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표 1과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요홈(11)의 구멍면적율은 상기 댐접촉부(19)의 상부면 전체표면면적에 대하여 30 내지 6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홈(11)의 깊이(H)는 수 ㎛ 크기로 형성하여도 열전달이 상당히 지연되게 되나 주조시 마찰에 따라 에지댐(2)의 마모분이 상기 요홈(11)내에 혼입되어 열전달을 지연하는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50 내지 200㎛ 로 함물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요홈(11)의 입구모서리에는 정지된 에지댐(2)과 회전하는 롤(1)의 댐접촉부(19)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2차 에칭공정에 의해 라운드부(1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요홈(11)의 내경(D)을 100 내지 200 ㎛ , 깊이(H)를 50 내지200 ㎛ 로 함물형성하는 1차 에칭은 대상 주조롤 양측면의 댐접촉부(19)의 표면상에 감광액을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원하는 딤플패턴을 가진 필름을 표면 전체에 마스킹한 후 자외선 감광작업을 하고 감광액이 선택적으로 경화되면 에칭액을 적정시간 동안 분사하여 주조롤의 댐접촉부를 선택적으로 부식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홈(11)의 입구모서리에 라운드부(12)를 형성하는 2차 에칭은 에칭액이 부식대상인 금속면과 접촉하여 화학작용을 할 때 모서리 부위에서 더 많은 부식이 일어난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1차 에칭이 완료된 후 주조롤의 댐접촉부(19)에 잔존하고 있는 경화된 감광액을 모두 없애고 난 뒤 짧은 시간동안 에칭액을 댐접촉부(19)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
롤직경이 1250mm, 롤폭이 1300 mm인 대형 쌍롤식 박판주조기(100)를 이용하여 3.4 mm 두께의 주편을 주조하고, 이때 롤섬프(4)의 높이는 450 mm, 주조강종은 STS 304강종이다. 이러한 주조조건에서 상기 롤(1)양측 댐접촉부(19)에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입구에 라운드부(12)를 형성한 본 발명의 주조롤(10)과 요홈(11)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주조롤(1)을 이용하여 주조작업을 수행하여 얻어진 실험결과를 표 1,2 및 3에 나타내었다.
롤 양측면의 댐접촉부에서의 요홈형성유무와 초기조주시 에지댐에서의 스컬 혼입양상의 상관관계
에지댐 마모 초기주조시 스컬혼입정도
종래 요홈이 없는 경우 정상 상당히 많음
본발명 요홈의 구멍면적율 30 % 정상 보통
요홈의 구멍면적율 40 % 정상 작음
요홈의 구멍면적율 50 % 작음
요홈의 구멍면적율 60 % 상당히 큼 아주 작음
요홈의 구멍면적율 70 % 상당히 큼(주조 불가) 아주 작음
요홈 직경:200 ㎛, 요홈깊이:50㎛ , 라운드부:없음
롤 양측면의 댐접촉부에서의 요홈형성유무와 초기조주시 에지댐에서의 스컬 혼입양상의 상관관계
에지댐 마모 초기주조시 스컬혼입정도
종래 요홈이 없는 경우 정상 상당히 많음
본발명 요홈의 구멍면적율 30 % 정상 보통
요홈의 구멍면적율 40 % 정상 작음
요홈의 구멍면적율 50 % 정상 작음
요홈의 구멍면적율 60 % 정상 아주 작음
요홈의 구멍면적율 70 % 약간 큼 아주 작음
요홈 직경:200㎛, 요홈 깊이:50㎛, 라운드부:있음
롤 양측면의 댐접촉부에서의 요홈형성유무와 초기조주시 에지댐에서의 스컬 혼입양상의 상관관계
에지댐 마모 초기 스컬혼입정도
종래 요홈이 없는 경우 정상 상당히 많음
본 발명 요홈깊이 10㎛ 정상 많음
요홈깊이 30㎛ 정상 보통
요홈깊이 50㎛ 정상 작음
요홈깊이 60㎛ 정상 아주 작음
요홈깊이 100㎛ 정상 아주 작음
요홈깊이 200㎛ 정상 아주 작음
요홈직경:200㎛, 요홈 구멍면적율:60%, 라운드부:있음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강이 저장되는 롤섬프를 형성하도록 에지댐의 내부면과 접하는 한쌍의 주조롤 댐접촉부의 상부표면전체에 에칭공정에 의해서 요홈을 형성하여 에지댐과 롤의 댐접촉부사이에 형성되는 유효접촉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주조전 예열된 에지댐으로부터 냉각된 냉각롤측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시켜 주조 초기에 에지댐주변에서의 스컬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품질의 주편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한쌍의 주조롤과, 그 좌우양측면에 설치되는 에지댐 및 상기 주조롤과 에지댐사이에 형성되는 롤섬프로 용강을 공급하는 침지노즐을 갖추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주조롤을 회전시켜 주편을 주조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있어서,
    상기 에지댐의 내부면과 대응접촉하는 상기 주조롤 양측면 테두리에 환고리형 댐접촉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댐접촉부의 접촉표면전체에 상기 에지댐간의 유효접촉면적을 줄여 예열된 에지댐으로부터 냉각된 주조롤측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시킬수 있도록 원형단면상의 요홈을 복수개 함물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구멍면적율은 상기 댐접촉부의 상부면 전체표면면적에 대하여 30 내지 60%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깊이는 50 내지 200㎛ 로 함물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입구모서리에는 정지된 에지댐과 회전하는 롤의 댐접촉부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라운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KR10-2002-0082845A 2002-12-23 2002-12-23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KR100494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845A KR100494105B1 (ko) 2002-12-23 2002-12-23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845A KR100494105B1 (ko) 2002-12-23 2002-12-23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266A true KR20040056266A (ko) 2004-06-30
KR100494105B1 KR100494105B1 (ko) 2005-06-10

Family

ID=3734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845A KR100494105B1 (ko) 2002-12-23 2002-12-23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1B1 (ko) * 2005-12-23 2007-04-09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드가이드 구조를 갖는 주조롤
KR20160018996A (ko) * 2014-08-08 2016-02-18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121B1 (ko) * 2008-06-10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1B1 (ko) * 2005-12-23 2007-04-09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드가이드 구조를 갖는 주조롤
KR20160018996A (ko) * 2014-08-08 2016-02-18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105B1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486B1 (ko) 두께가 얇은 연속 주조 주편 및 그 제조방법
KR100494105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KR101443788B1 (ko) 주조용 주형
KR100518330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KR101316346B1 (ko) 쌍롤식 박판주조장치
KR10118658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
JP2000190054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冷却ドラム予熱方法および装置
KR101536464B1 (ko) 리더 스트립
KR100406375B1 (ko) 쌍롤식 박판주조법에서의 주편 제조방법
KR100333069B1 (ko) 쌍롤식박판주조장치에서의주편균일냉각방법
KR200296394Y1 (ko) 쌍롤식연속박판주조설비의에지댐밀봉장치
KR100406376B1 (ko) 쌍롤식 박판주조법에서의 균일한 주편의 제조방법
KR100661819B1 (ko) 냉각능이 우수한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KR100711793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주물편
KR100356176B1 (ko) 쌍롤형 박판주조기용 냉각롤
KR101977494B1 (ko) 에지 벌징 방지 장치
JPH02299748A (ja) 双ロール式急冷薄帯製造用ロール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530083B1 (ko) 쌍롤식 박판제조장치에 의한 박판제조방법
JPH0470106B2 (ko)
JPH04237542A (ja) 金属薄帯の連続鋳造方法
KR20060074636A (ko) 쌍롤형 박판 주조기용 주조롤
KR20050065059A (ko) 박판주조 공정에서 주편 단부의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장치
JPH0222116Y2 (ko)
KR100584753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니켈 편석 불균일 최소화장치
JPH04452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