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203A -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203A
KR20040055203A KR1020020081829A KR20020081829A KR20040055203A KR 20040055203 A KR20040055203 A KR 20040055203A KR 1020020081829 A KR1020020081829 A KR 1020020081829A KR 20020081829 A KR20020081829 A KR 20020081829A KR 20040055203 A KR20040055203 A KR 2004005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detection signal
signal
traffic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란숙
하국희
김찬모
강경구
Original Assignee
(주)벡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벡텔시스 filed Critical (주)벡텔시스
Priority to KR102002008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5203A/ko
Publication of KR2004005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2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일부에 일련의 무선모뎀들을 개별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신호 연결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측 무선모뎀들과 1:N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신호연결 메카니즘을 종래의 "유선연결 메카니즘"에서, "무선연결 메카니즘"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존 1:N 신호연결 시스템에 귀속되어 있던 유선의 배치 필요성을 완전히 배제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1:N 통신환경이 유선 통신환경에서, 무선통신 환경으로 개선되는 경우, 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유선 통신환경 하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컨대,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유선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문제"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정보를 검지 하여 관리하는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일부에 일련의 무선모뎀들을 개별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신호 연결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측 무선모뎀들과 1:N 무선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신호연결 메카니즘을 종래의 "유선연결 메카니즘"에서, "무선연결 메카니즘"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선 통신환경 하에서 발생되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차량의 보급속도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컨대, 교통혼잡 문제, 교통사고 증가문제, 대기오염 증가문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복잡한 교통문제의 발생 빈도 또한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의 경우, 예컨대, 신호 검지기술, 신호 제어기술, 신호 통신기술 등과 같은 첨단 정보처리 기술이 하나로 접목된 일련의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발·보급하고, 이를 통해, 각 도로상에서 일어나는 차량의 통행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통제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앞의 여러 가지 복잡한 교통문제의 발생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례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크게, 교통정보 검지장치(10), 검지신호 중개단말(20), 중앙 교통관리 서버(3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은 차량(2)이 운행중인 도로(1)가의 고정물, 예컨대, 전봇대, 가로등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컨대,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와 같은 무선파를 각 차량(2)으로 출력한 후, 각 차량(2)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예컨대, 차량(2)의 유무, 차량(2)의 통행속도, 차량의 점유율, 차량(2)간 차두 거리 등과 같은 일련의 교통정보를 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검지신호 중개단말(20)들은 앞의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과 일대일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의 작동 상황을 진단·관리함과 아울러, 교통정보 검지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를 실시간 취합한 후, 취합·완료된 교통정보를 통신망(40)을 매개로 하여, 외부의 원격지 서버, 예컨대, 중앙 교통관리 서버(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중앙 교통관리 서버(30)는 앞의 검지신호 중개단말(20)들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검지신호 중개단말(20)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데이터, 예컨대, 검지장치 진단정보, 차량 교통정보 등을 실시간 수신한 후, 이를 분석·관리함과 아울러, 분석·완료된 정보를 외부의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 예컨대, 교통정보 검지장치(10), 검지신호 중개단말(20), 중앙 교통관리 서버(30) 등의 긴밀한 연계체제 하에서, 각 도로(1)상에서 일어나는 차량(2)의 통행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통제될 수 있게 되며, 예측하지 못한 여러 가지 복잡한 교통문제는 그 발생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검지신호 중개단말(10)들은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20)와 일대일로 신호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4대의 교통정보 검지장치(10)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4대의 검지신호 중개단말(20)들이 반드시 필요로 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운영주체(기관,업체)측에서는 검지신호 중개단말(20)들의 추가 설치에 비례하여, 막대한 구입·운영·보수비용이 지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도 2에는 이러한 각 검지신호 중개단말(20)들의 일대일 설치에 따른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101)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신호 중개단말(50)은 자신의 멀티포트(51)를 매개로 하여,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10)과 유선(11)으로 1:N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예컨대, 4대의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은 앞의 경우와 달리, 단지, 1대의 검지신호 중개단말(50)이 배치된 상황 하에서도, 정상적인 운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운영주체 측에서는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복수 설치에 따른 막대한 부가 비용이 절약되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101)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은 검지신호 중개단말(50)과 고가의 유선(11)을 매개로 하여, 1:N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100) 운영주체 측에서는 비록,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복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하더라도, 유선(11)의 추가 설치에 따른 막대한 구입비용이 지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유선(11)을 지하에 매설·설치하거나, 지상에서 연결·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지하에 기 매설되어 있던 다른 구조물들(수도관, 가스관‥‥)에 대한 배려", "지상에 기 설치되어 있던 다른 구조물들(전기선, 전화선, 표지판,‥‥)에 대한 배려", "교차로를 가로지를 수 있는 최단거리 산출" 등과 같은 복잡한 조건들을 일일이 검토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유선(11)연결 체제 하에서, 운영주체 측에서는 단지, 구입비용의 지출 문제뿐만 아니라, 유선(11)의 설치 자체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까지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추후,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거나, 교통정보 검지장치(10)를 새로운 교통정보 검지장치로 교체하여야 하거나 하는 다양한 상황이 야기되는 경우, 앞서 언급한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등은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10)들과 검지신호 중개단말(50)을 연결하는 유선(11)들은 지상, 지하에 상존하는 여러 폐해 요소, 예컨대, 악천후, 해충 등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예컨대, 단선 등과 같은 고장을 자주 일으킬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운영주체 측에서는 단지, 비용지출, 설치상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자칫 잘못하면, 유선(11)을 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101)자체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운영주체 측에서, 잦은 유선 유지·보수작업을 벌이면,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 해당 운영주체 측에서는 유지·보수작업에 따른 막대한 추가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일부에 일련의 무선모뎀들을 개별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신호 연결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측 무선모뎀들과 1:N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을 단독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신호연결 메카니즘을 종래의 "유선연결 메카니즘"에서, "무선연결 메카니즘"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존 1:N 신호연결 시스템에 귀속되어 있던 유선의 배치 필요성을 완전히 배제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신호연결 메카니즘을 종래의 "유선연결 메카니즘"에서, "무선연결 메카니즘"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선의 추가·배치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컨대,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유선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문제" 등의 자연스런 해결을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 기술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지신호 중개단말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별 아이디가 부여된 상태로, 임의의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가의 고정물에 설치되어, 차량의 흐름과 관련한 교통정보를 검지하는 다수의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앞의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일련의 1:N 무선 통신 관계를 형성하며, 이 교통정보 검지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를 일괄·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교통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과, 앞의 검지신호 중개단말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검지신호 중개단말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교통정보를 총괄적으로 분석·관리하는 중앙 교통관리 서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각각에는 검지신호 중개단말과의 1:N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모뎀들이 개별 설치되며,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는 무선모뎀들과 1:N 무선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이 단독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유의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00) 체제 하에서, 교통정보 검지장치(60)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는 검지신호 중개단말(70)을 거쳐 중앙 교통관리 서버(30)로 전달되는 프로세스를 형성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교통정보 검지장치(60)는 일정 사이즈의 함체(도시안됨)에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2)이 운행중인 도로(1)가의 고정물, 예컨대, 전봇대, 가로등 등에 설치된다.
이때, 검지신호 중개단말(70)은 교통정보 검지장치(60)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교통정보 검지장치(60)의 작동 상황을 진단·관리함과 아울러, 교통정보 검지장치(60)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를 실시간 취합한 후, 취합·완료된 교통정보를 중앙 교통관리 서버(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중앙 교통관리 서버(30)는 앞의 검지신호 중개단말(50)과 통신망,예컨대, xDSL망(x Digital Subscriber Line network), TCP/IP 망, PSTN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을 매개로,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검지신호 중개단말(50)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데이터, 예컨대, 검지장치 진단정보, 차량 교통정보 등을 실시간 수신한 후, 이를 분석·관리함과 아울러, 분석·완료된 정보를 외부의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60)들은 개별적으로 별개의 아이디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하나의 검지신호 중개단말(70)을 공유하여, 이 검지신호 중개단말(70)과 무선망(41)을 매개로 1:N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 경우,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의 각각에는 검지신호 중개단말(70)과의 1:N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모뎀들(61)이 개별 설치되며, 검지신호 중개단말(70)의 일부에는 무선모뎀들(61)과 1:N 무선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80)이 단독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1:N 신호연결 체제 하에서,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은 검지신호 중개단말과 고가의 유선을 매개로 하여, 1:N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유선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문제" 등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의 일부에 일련의 무선모뎀들(61)을 개별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과 신호 연결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70)의 일부에 각교통정보 검지장치(60)측 무선모뎀들(61)과 1:N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80)을 단독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70) 사이의 신호연결 메카니즘을 종래의 "유선연결 메카니즘"에서, "무선연결 메카니즘"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기존 1:N 신호연결 시스템에 귀속되어 있던 유선의 배치 필요성은 완전히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 유선의 추가·배치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컨대,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유선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문제" 등은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 고유의 감지신호 중개단말(50)은 크게, 앞의 통합 무선모뎀(80)과, 이 통합 무선모뎀(80)과 교신하는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은 연결포트(71)을 매개로 하여, 해당 통합 무선모뎀(80)과 1:1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 하에서,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에 설치된 무선모뎀들(61)을 통해 출력되는 검지장치측 교통정보들은 통합 무선모뎀(80), 연결포트(71)을 경유하여,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로 실시간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은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를 일괄·취합함과 아울러,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의 개별 작동 상황을 진단하여, 일련의 검지장치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취합/생성 완료된 교통정보 및 검지장치 진단정보를 통신모듈(74)을 매개로 하여, 외부, 예컨대, 중앙교통관리 서버(30) 측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통신모듈(74)은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통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정보를 중앙 교통관리 서버(30)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은 앞의 연결포트(71), 통신모듈(74) 이외에도, 정보 분류모듈(73), 교통정보 저장모듈(75), 진단정보 저장모듈(76), 설정정보 저장모듈(77)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 경우, 정보 분류모듈(73)은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의 제어 하에, 일련의 정보분류 실행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정보분류 실행루틴을 활용하여,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로부터 무선 전송된 교통정보를 해당 교통정보 검지장치(60)에 부여된 아이디 별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교통정보 저장모듈(75)은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의 제어 하에,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로부터 무선 전송된 교통정보, 예컨대, "각 차량(2)의 평균 통행량 정보, 각 차량(2)의 평균 속도 정보, 각 차량(2)간 차두 거리 정보‥‥" 등을 실시간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교통정보 저장모듈(75)의 기능 수행에 따라, 검지신호 중개단말(70)은 예컨대, 신호전송 오류에 의해 중앙 교통관리 서버(30)측으로 전송되던 데이터가 유실되었다 하더라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해당 정보를 원래 형태대로 복원·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진단정보 저장모듈(76)은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의 제어 하에,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의 작동 상황을 담은 진단정보, 예컨대,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설치각도,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신호 전송속도,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차량검지 범위,‥‥" 등을 실시간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설정정보 저장모듈(77)은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의 제어 하에, 일련의 관리자 설정정보, 예컨대, "각 차량의 평균 통행량 산출 기준정보, 각 차량의 평균 속도 산출 기준정보, 각 차량간 차두 거리 산출 기준정보, 교통정보 검지장치측의 주파수 변환 설정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신호 중개단말(70)에 설치된 통합 무선모뎀(80)은 크게, 무선신호 처리유닛(81), 베이스밴드 유닛(88:Baseband unit), 인터페이스 유닛(89)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선신호 처리유닛(81)은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의 무선모뎀(61)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교통정보 제어모듈(72)이 처리하기 용이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무선전송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유닛(88)은 무선신호 처리유닛(81)으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일련의 수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수신 정보를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일련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신호 처리유닛(8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인터페이스 유닛(89)은 상술한 연결포트(71)와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이 상황에서, 베이스밴드 유닛(88) 및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한 정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앞의 무선신호 처리유닛(81)은 안테나 부(82), 신호 수신부(84), 신호 송신부(85), 주파수 합성기(86), 발진기(87)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 경우, 신호 수신부(84) 및 신호 송신부(85)는 튜플랙서(83:Duplexer)를 매개로 하여, 안테나 부(82)를 공유한다.
여기서, 신호 수신부(84)는 안테나 부(82)에 의해 수신된 무선모뎀(61)측 무선 신호, 예컨대,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베이스밴드 유닛(88)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호 송신부(85)는 반송 신호(Carrier signal)를 변조함과 아울러, 베이스밴드 유닛(88) 측으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활용하여, 일련의 송신 신호, 예컨대, RF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RF 신호를 변조 완료된 반송 신호에 실어, 무선모뎀(61)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주파수 합성기(86) 및 발진기(87)는 베이스밴드 유닛(88)과의 교신 하에, 일련의 반송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반송 신호를 앞의 신호 수신부(84) 및 신호 송신부(85)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유의 검지신호 중개단말(70)과 1:N 무선 통신관계를 형성하는 교통정보 검지장치(60)는 앞서 언급한 무선모뎀(61) 이외에도,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 검지신호 조절블록(64), 검지신호 처리블록(65) 등을 구비한다.
이때,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은 안테나(62), 예컨대, 각추형 안테나를 매개로 하여, 도로(1) 상에서 운행중인 각 차량(2)으로 일련의 무선파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위 무선파에 대한 대응으로, 각 차량(2)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안테나(62)를 매개로 실시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검지신호 조절블록(64)은 앞의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검지신호 처리블록(65)이 처리하기 용이한 신호로 변환·필터링하고, 변환·필터링 완료된 신호를 검지신호 처리블록(65)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검지신호 처리블록(65)으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제어신호를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이 처리하기 용이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제어신호를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검지신호 처리블록(65)은 앞의 검지신호 조절블록(64)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검지신호 조절블록(64)으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변환·필터링 신호를 미리 정해진 처리 루틴에 따라 연산한 후, 이를 통해, 예컨대, 차량의 유무, 차량의 통행속도, 차량의 점유율, 차량간 차두 거리 등과 같은일련의 교통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생성·완료된 교통정보를 무선모뎀(61)을 매개로 하여, 검지신호 중개단말(70)측으로 무선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의 실질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임의의 도로(1) 상에 각 차량(2)이 주행중인 상황에서, 검지신호 송/수신 블록(63), 검지신호 조절블록(64) 등을 거쳐 "도로(1)의 특정 위치를 지나가는 특정 차량(2)의 모션(Motion)"이 반영된 조절신호가 출력되면, 검지신호 처리블록(65)은 "해당 조절신호 내에서 정보처리에 유효한 주요 주파수를 분리하는 절차", "유효 주파수를 논리적으로 연산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유무, 차량의 통행속도, 차량의 점유율, 차량간 차두 거리 등과 같은 일련의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절차" 등을 진행한다.
위 과정을 통해, 일련의 교통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검지신호 처리블록(65)은 그 즉시, 해당 교통정보를 무선모뎀(61)을 매개로 하여,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통합 무선모뎀(80)측으로 무선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물론, 이러한 절차는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60)들에서,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로부터 출력되는 모든 교통정보들은 무선 통신환경 하에서, 검지신호 중개단말(70) 측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운영하는 운영주체 측에서는 유선 통신환경 하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컨대,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유선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문제"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상황에서,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60)측 무선모뎀들(61)과 1:N 무선 연결되는 무선모뎀(80)들은 무선모뎀(61)들로부터 무선 출력된 교통정보들을 수취한 후, 상술한 무선신호 처리유닛(81), 베이스밴드 유닛(88) 등을 활용하여, 해당 교통정보들을 복호화한 후, 복호화 완료된 교통정보들을 인터페이스 유닛(89), 연결포트(71)를 매개로 하여,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위 절차를 통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60)측 교통정보들이 안정적으로 확보 완료되면, 교통정보 중개 제어모듈(72)은 그 즉시, 정보 분류모듈(73)을 활용하여, 교통정보 검지장치들(60)로부터 무선 전송된 교통정보를 해당 교통정보 검지장치(60)에 부여된 아이디 별로 분류한 후, 분류 완료된 교통정보를 통신모듈(74)을 매개로 하여, 중앙 교통관리 서버(30)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결국, 위의 절차가 모두 마무리되면. 도로(1)상에서 일어나는 차량(2)의 통행정보는 중앙 교통관리 서버(30)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통제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예측하지 못한 여러 가지 복잡한 교통문제는 그 발생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일부에 일련의 무선모뎀들을 개별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신호 연결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측 무선모뎀들과1:N 무선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신호연결 메카니즘을 종래의 "유선연결 메카니즘"에서, "무선연결 메카니즘"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존 1:N 신호연결 시스템에 귀속되어 있던 유선의 배치 필요성을 완전히 배제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각 교통정보 검지장치들 및 검지신호 중개단말 사이의 1:N 통신환경이 유선 통신환경에서, 무선통신 환경으로 개선되는 경우, 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유선 통신환경 하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컨대, "유선의 구입비용 지출문제", "유선 설치상의 문제", "유선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문제"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개별 아이디가 부여된 상태로, 임의의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가의 고정물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흐름과 관련한 교통정보를 검지하는 다수의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상기 교통정보 검지장치들과 일련의 1:N 무선 통신 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교통정보 검지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 교통정보를 일괄·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상기 교통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검지신호 중개단말과;
    상기 검지신호 중개단말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검지신호 중개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교통정보를 총괄적으로 분석·관리하는 중앙 교통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정보 검지장치들의 각각에는 상기 검지신호 중개단말과의 1:N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모뎀들이 개별 설치되며, 상기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는 상기 무선모뎀들과 1:N 무선 연결되는 통합 무선모뎀이 단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는 상기 통합 무선모뎀과 교신하기 위한 연결포트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신호 중개단말의 일부에는 상기 교통정보 검지장치들로부터 무선 전송된 교통정보를 해당 교통정보 검지장치에 부여된 아이디 별로 분류하는 정보 분류모듈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020081829A 2002-12-20 2002-12-20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20040055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29A KR20040055203A (ko) 2002-12-20 2002-12-20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29A KR20040055203A (ko) 2002-12-20 2002-12-20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203A true KR20040055203A (ko) 2004-06-26

Family

ID=3734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829A KR20040055203A (ko) 2002-12-20 2002-12-20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52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36B1 (ko) * 2004-07-26 2007-04-05 이나루티앤티(주) 무선 멀티 패킷 통신 방식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장치
KR100718117B1 (ko) * 2004-07-22 2007-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파식별을 이용한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전파식별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842286B1 (ko) * 2006-12-08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량 웹서버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4642B1 (ko) * 2008-10-13 2010-10-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행량에 따른 출구 안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17B1 (ko) * 2004-07-22 2007-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파식별을 이용한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전파식별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703236B1 (ko) * 2004-07-26 2007-04-05 이나루티앤티(주) 무선 멀티 패킷 통신 방식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장치
KR100842286B1 (ko) * 2006-12-08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량 웹서버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4642B1 (ko) * 2008-10-13 2010-10-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행량에 따른 출구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318A (en) Automated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traffic information in real-time system and method for same
US7956767B2 (en) Automatic meter reading communication
KR100962043B1 (ko) 유에스엔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 제어 시스템
US7739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llution information over an integrated wireless network
US20070213088A1 (en) Networked fire station management
CN103281364B (zh) 一种用于电力设施的防盗、监控及运行参数监测、管理的物联网系统平台
CN105321320B (zh) 一种基于vpn构架的4g lte网络在线预警系统及方法
RU2455763C2 (ru) Способ связи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считывания показаний счетчиков
KR20040055203A (ko)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CN100468480C (zh) 交通动态和静态管理及智能监控警示指挥系统
CN112737099B (zh) 边缘网关和综合能源系统
CN203126895U (zh) 一种基于lte技术的中央集中型列控系统
CN205334712U (zh) 230m无线采集器
KR20020036797A (ko) 교통정보 검지 장치 및 시스템
CN111216764B (zh) 一种模块化多功能应答器
EP23258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eople and/or vehicles in urban environments
CN211651676U (zh) 轨道交通站用环境监控系统
CN209118499U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交通管理系统
CN2720732Y (zh) 宽带调制器、解调器和智能小区系统
CN207993230U (zh) 一种基于中压载波技术的用电信息采集系统
CN110839223A (zh) 一种5g微基站监测系统
CN1396567A (zh) 交通流量无线监测系统
CN2812162Y (zh) 交通动态和静态管理及智能监控警示指挥系统
CN218187661U (zh) 基于5g通讯模块的消防管水压监控装置
Parineh et al. Implementation of ZigBee-based WSN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CATS compatible intelligent traffic cont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