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883A -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883A
KR20040054883A KR1020020081208A KR20020081208A KR20040054883A KR 20040054883 A KR20040054883 A KR 20040054883A KR 1020020081208 A KR1020020081208 A KR 1020020081208A KR 20020081208 A KR20020081208 A KR 20020081208A KR 20040054883 A KR20040054883 A KR 2004005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pepper
separating
skin
placen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043B1 (ko
Inventor
박재복
구경형
김종훈
권기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0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시스템은 건고추를 조파쇄하여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로 분리하는 고추 조파쇄부와, 상기 고추 조파쇄부에서 이송된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를 입도크기에 의하여 선별함으로써 일정 크기 이하의 태좌 및 종자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와,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를 통과한 일정 크기 이상의 고추과피를 세절함으로서 고추과피와 태좌를 분리하는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와, 그리고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로부터 이송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진동에 의하여 입도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2차적으로 고추과피를 분리하고, 3차로 고추 과피/태좌 혼합물을 분리하는 진동 분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SEPARATING SYSTEM FOR RED PEPPER PERICARP AND PLACENTA AND METHOD OF ADJUSTING CAPSAICINOIDS CONTENT}
본 발명은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원료를 일련의 분리공정을 거치면서 신미성분이 서로 다른 태좌, 종자, 과피로 분리하고, 이들을 적절하게 혼합함으로써 고춧가루의 신미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는 우리 식생활에 많이 사용되는 조미 채소류로서 양념조미료, 김치, 고추장 등의 전통식품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고추품종은 40여가지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고추품종들은 물성 및 화학적 성분에 있어서 서로 차이를 보이며, 특히 신미성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고추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피, 종자, 태좌, 꼭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추를 수확한 후 건조를 하여 건고추가 되면 이들의 평균 수분함량은 14∼16%이며 개체당 평균 중량은 3.5g이다. 그리고, 이들 건고추 시료의 부위별 평균 중량비는 과피가 63.8%, 종자가 26.2%, 태좌가 2.5%, 종자가 7.5%이며, 이중 가장 작은 중량비를 갖는 태좌에 고추의 신미성분이 집중됨으로서 고추과피보다 평균적으로 2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건고추 시료에서 고추 태좌 부분을 분리하면 고추의 신미성분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추로부터 태좌를 분리하여 고추의 신미성분을 조절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일 예가 1999년 12월2일 "고춧가루 제조공정의 신미성분 조절방법 및 자동측정장치"라는 명칭으로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345038호에 개시된다.
상기한 특허에 있어서는, 고추로부터 태좌를 분리하기 위하여, 건고추를 열풍건조하고, 고추과피와 종자를 분리하는 단계와, 고추과피를 충격식 분쇄기로 조파쇄하는 단계와, 조파쇄 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다시 조파쇄하고, 진동체로 과피와태좌를 입도별로 분리하여, 이들을 혼합하여 원하는 신미농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진행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고추 과피태좌 분리방법은 태좌입도가 과피입도와 동일하거나 작을 경우 태좌가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추 태좌 분리방법은 고추원료의 신미성분을 1/2이상 감소하는 것이 어려우며 미세한 입도로 분쇄된 고춧가루의 경우 김치나 양념 조미료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추원료를 일련의 분리공정을 통하여 신미성분이 서로 다른 태좌, 종자, 과피로 분리하고,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고춧가루의 신미성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고추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추의 과피/태좌 분리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 은 도2 에 도시된 고추 조파쇄부 및 태좌/종자 분리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4 는 도3 의 측면도이다.
도5 는 도2 에 도시된 과피/태좌 세절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6 은 도5 에 도시된 "A-A선"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과피태좌 분리 공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고추를 조파쇄하여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로 분리하는 고추 조파쇄부와; 상기 고추 조파쇄부에서 이송된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를 입도크기에 의하여 선별함으로써 일정 크기 이하의 태좌 및 종자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와;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를 통과한 일정 크기 이상의 고추과피를 세절함으로서 고추과피와 태좌를 분리하는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와; 그리고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로부터 이송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진동에 의하여 입도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2차적으로고추과피를 분리하고, 3차로 고추 과피/태좌 혼합물을 분리하는 진동 분리부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은 건고추를 조파쇄하는 고추 조파쇄부(10)와, 상기 고추 조파쇄부(10)에서 이송된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를 선별함으로써 태좌 및 종자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와,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를 통과한 고추과피를 세절함으로서 고추과피와 태좌를 분리하는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와, 그리고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로부터 이송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진동에 의하여 고추과피 및 과피/태좌 혼합물로 분리하는 진동 분리부(16)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추 과피태좌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추 조파쇄부(10)는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된 고추원료를 1차적으로 조파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고추원료를 열풍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을 11∼13%로 조절한 후 고추 조파쇄부(10)의 호퍼(21)에 투입한다. 상기 호퍼(21)에 투입된 고추를 조파쇄하는 제1 조파쇄부(22)는 하우징의 본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23)를 갖고 있으며, 이들 블레이드(23)의 회전운동으로 고추가 과피와 태좌, 종자로 분리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조파쇄부(22)에서 분리된 과피와, 태좌, 종자는 제2 조파쇄부(24)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들 파쇄부의 본체 하우징은 연통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2 조파쇄부(24)는 그 내부에 회전축(36)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6)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5)의 일측에는 테이퍼(Taper;25a)가 형성됨으로써 절단날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6)의 일단에는 상부 풀리(38)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풀리(38)는 모터 조립체(40)에 장착된 하부풀리(42)에 밸트(44)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40)가 구동하는 경우, 회전력이 상기 하부풀리(42)로부터 밸트(44)를 통하여 상부 풀리(38)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6)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5)가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과피, 태좌, 종자가 다수개의 블레이드(25)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및 충격에 의하여 2차적으로 조파쇄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조파쇄부(22,24)를 통과하는 동안 고추의 종자는 도1 과 같은 상태에서 약 60%이상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조파쇄부(24)로부터 조파쇄 된 고추과피, 태좌, 종자를 공급관(32)을 통하여 고추태좌/종자 분리부(12)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25)들은 나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는 도3 및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케이스(26)와, 상기 케이스(26)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46)과, 상기 회전축(46)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다수개의 이송날개(34)와, 상기 케이스(26)의 하부에 제공되어 그 상부를 통과하는 태좌 및 종자를 입도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28)과, 상기 스크린(28)을 통과한 태좌 및 종자를 하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구(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6)의 일단부에는 제1 풀리(48)가 장착되며, 상기 제1 풀리(48)는 모터 조립체(50)에 연결된 제2 풀리(52)와 벨트(5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50)가 구동하는 경우, 회전력이 상기 제2 풀리(52), 밸트(54), 제1 풀리(48)를 통하여 회전축(46)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다수개의 이송날개(34)가 고추의 과피, 태좌, 종자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과피, 태좌, 종자는 스크린(28)의 상부를 통과하게 되며, 스크린(28)의 눈크기, 바람직하게는 3메쉬(Mesh)보다 작은 크기의 입도를 갖는 태좌, 종자는 상기 스크린(28)을 통과하여 제1 배출구(30)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배출구(30)를 통하여 배출된 태좌와 종자를 수집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신미성분이 높은 고추태좌와 종자를 1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스크린(28)의 눈크기를 3매쉬로 한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 내지 4 메쉬 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26)의 타측단부까지 이송된 과피, 태좌, 종자는 배출관(56;도2)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제1 원료이송부재(18)를 통하여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로 공급된다.
상기 제1 원료이송부재(18)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가 원통상의 관내부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는, 도5 및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료이송부재(18;도2)의 제1 상부 배출관(57)을 통하여 공급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세절하게 된다.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는 원통형상의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구동축(60)과, 상기 구동축(60)의 외주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세절 블레이드(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세절 블레이드(62)는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테이퍼(Taper;64)가 형성됨으로써 절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의 내부로 공급된 고추과피 및 태좌는 회전하는 상기 다수개의 세절 블레이드(62)에 의하여 일정 크기로 세절된다.
따라서,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에서 분리되지 않았던 태좌가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를 거치면서 다수의 세절 블레이드(62)에 접촉하여 절단 및 충격으로 인하여 고추과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세절된 고추과피 및 태좌는 제1 하부 배출관(58)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1 원료이송부재(18)와 유사한 구성의 제2 원료 이송부재(20;도2)를 통하여 진동 분리부(16)로 공급된다.
상기한 진동 분리부(16)는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통상의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는 진동 케이스(70)와,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대적으로 가변운 고추과피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72)와,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타측에 장착되어 고추과피와 태좌의 혼합성분이 배출되는 제3 배출구(74)를 포함한다.
이러한 진동 분리부(16)에 있어서, 상기 제2 원료이송부재(20)의 제2 상부 배출관(59)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절된 고추과피 및 태좌는 진동 케이스(70)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케이스(70)는 그 내부에 스크린(도시안됨)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은 진동방식에 의하여 일정 주파수로 진동된다.
또한, 상기 제2 배출구(72)는 일측은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내부로 인입되어 스크린의 상부공간에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배출구(74)는 상기 제2 배출구(7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3 배출구(74)의 일측은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내부로 인입되어 스크린의 하부공간에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외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케이스(70)의 내부로 공급된 고추과피와 태좌는 입도크기에 따라 선별되어,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성분은 상기 제2 배출구(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스크린을 통과한 성분은 제3 배출구(74)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의 눈크기는 6메쉬(Mesh)임으로, 6메쉬보다 큰 입도를 갖는 성분(고추태좌 보다는 고추과피가 더 많음)은 제2 배출구(72)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수집가능하다.
그리고, 6메쉬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과피 및 태좌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여 제3 배출구(74)로 배출됨으로써 수집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스크린의 눈크기를 6매쉬로 한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 내지 7 메쉬 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7 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에 의하여 고추원료를 처리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고추 과피태좌 분리 방법은 고추를 조파쇄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제1 단계(S100)에서 조파쇄된 고추과피로부터 태좌와 종자를 일차적으로 분리하는 제2 단계(S200)와, 상기 제2 단계(S200)에서 고추과피에 부착되어 있는 태좌를 세절하여 분리하는 제3 단계(S300)와, 상기 제3 단계(S300)에서 세절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입도크기에 따라 고추과피와, 고추과피/태좌 혼합물로 최종적으로 분리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100)에 있어서는, 고추원료를 열풍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고추원료의 수분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1∼13% 범위 이내인 경우 태좌 분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열풍건조된 고추원료는 제1 조파쇄부(22;도3) 및 제2 조파쇄부(24;도3)를 통과하면서 다수의 블레이드(25;도3)의 회전운동으로 파쇄되고 충격으로 인하여 조파쇄되면서 과피와 태좌, 종자로 분리된다.
상기 제2 단계(S200)에서는, 제1 단계(S100)에서 조파쇄 된 고추과피, 태좌,종자의 일부를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에 의하여 입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 과정에서 약 60%의 종자가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도2)로 공급된 고추과피, 태좌, 종자는 다수의 이송날개(34;도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스크린(28;도3)의 상부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스크린(28;도3)의 눈크기, 바람직하게는 3메쉬(Mesh)보다 작은 크기의 입도를 갖는 과피, 태좌, 종자는 상기 스크린(28;도3)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제2 단계(S200)에서는 신미성분이 높은 고추태좌와 종자를 1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2 단계(S200)에서 분리되지 않은 고추과피와 태좌를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도2)에 의하여 세절작용에 의하여 서로 분리하게 된다.
즉,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14;도2)로 공급된 고추과피 및 태좌는 회전하는 다수개의 세절 블레이드(62;도5)에 접촉함으로서 회전과 충격에 의하여 일정 크기로 세절된다.
따라서,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12;도2)에서 분리되지 않았던 태좌가 상기 고추 과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400)에서는 제3 단계(S300)에서 세절작용에 의하여 분리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진동 분리부(16;도2)를 이용하여 입도에 따라 선별하게 된다.
즉, 제3 단계(S300)에서 세절된 고추과피 및 태좌는 진동 케이스(70;도2)의내부로 공급되어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이 진동하면, 일정 입도이상의 크기를 갖는 성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2 배출구(72;도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 입도 이하의 크기를 갖는 성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여 제3 배출구(74;도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의 눈크기는 6메쉬(Mesh)임으로, 6메쉬보다 큰 입도를 갖는 성분(고추태좌 보다는 고추과피가 더 많음)은 제2 배출구(72;도2)를 통하여 배출되고, 6메쉬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성분은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여 제3 배출구(74;도2)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고추 과피태좌 분리방법을 통하여 고추원료의 신미성분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배출구(30)에서는 태좌 및 종자를 일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제2 배출구(72)에서는 고추과피를 얻을 수 있고, 제3 배출구(74)에서는 고추과피/태좌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얻어진 각각의 성분들을 서로 적절하게 혼합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신미성분을 갖는 고추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즉, 신미성분이 강한 태좌 및 종자를 고추과피에 다량 혼합하는 경우에는 신미성분이 높은 고추가루를 생산할 수 있고, 소량 혼합하는 경우에는 신미성분이 낮은 고춧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30)를 통하여 얻어진 태좌종자 혼합물은 신미성분과 종자 혼입율이 높으나 배출량이 적으며, 제2 배출구(72)를 통하여 얻어진 고추과피는 신미성분이 낮고 입도가 조파쇄된 상태로 분쇄공정으로 이송하여야 한다. 또한, 제2 배출구(72)를 통하여 얻어진 고추 과피/태좌 혼합물은 신미성분이 높고 입도가 작기 때문에 별도로 수집하였다가 신미성분 조절이 필요한 고추과피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한 고추 과피태좌 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에 의하여 고추시료의 신미성분 분리율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의 단계별 신미성분 분리율 분석
품종 수분(%) 분리 단계 시료무게(g) 비율(%) capsaicinoids(mg/100g)
cap dhc total
다복 1 11.1 원형 20.6 19.9 40.5
1단계 134.3 7.4 210.1 164.0 374.3
2단계 1102.7 60.7 6.4 4.2 10.6
3단계 578.6 31.9 28.0 21.1 49.1
1815.6 100
다복 2 11.2 원형 20.6 19.9 40.5
1단계 89.7 4.9 143.9 111.2 255.1
2단계 1414.9 77.1 7.8 5.9 13.7
3단계 329.8 18.0 40.5 28.3 68.8
1834.4 100
거성 1 12.1 원형 43.2 36.9 80.1
1단계 81.8 4.3 234.1 169.4 403.5
2단계 1325.4 70.0 5.7 4.1 9.8
3단계 487.5 25.7 38.2 27.4 65.7
1894.7 100
거성 2 12.3 원형 43.2 36.9 80.1
1단계 101.7 5.5 260.5 194.2 454.7
2단계 1221.4 66.2 9.5 5.7 15.1
3단계 521.5 28.3 29.3 22.2 51.5
1844.6 100
상기 실험에 사용한 고추시료는 2002년산 충북 음성산 거성, 다복 2종류였다. 실험 1회에 사용한 고추시료는 2000g이였으며 실험횟수는 2회로 하였다.
본 실험에서 시료공급량은 2.5 kg/min였으며 고추시료의 수분이 높아 건조온도 60℃의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30분간 건조하여 초기수분 15.1∼16.6%을 11.1∼12.3%로 조절하였다. 고추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의 1, 2, 3단계에서 분리된 시료의 무게와 신미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개의 고추시료 다복과 거성의 초기 수분함량은 각각 15.1, 16.6%이며 신미성분은 40.5, 80.1 mg/100g 이다. 시료별 신미분리 실험은 2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고추시료 다복의 경우 과피수분은 11.1∼11.2% 일 때 2 단계의 고추과피 분리율을 60.7∼77.1% 였으며 신미성분은 10.6∼13.7 mg/100g 로서 원형상태 시료보다 신미성분이 3.0∼3.8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추시료 거성의 경우 과피수분은 12.1∼12.3% 일 때 2단계의 고추과피 분리율은 66.2∼70.0% 였으며 신미성분은 9.8∼15.1 mg/100g로서 원형 시료보다 신미성분이 5.3∼8.1 배 감소하는 경향를 보여 앞서 다복품종보다 매우 높은 신미분리율을 보였다.
또한, 1단계로 배출되는 고추태좌 및 종자 혼합물의 분리율은 4.3∼7.4%였으며 신미성분은 원형시료보다 평균 6.3∼10.5배 높은 255.1∼454.7 mg/100g였다. 고추과피와 태좌 혼합물이 배출되는 3단계의 분리율은 18.0∼31.9%였으며 신미성분은 원형시료와 비슷한 조금 높은 49.1∼75.3 mg/100g로 나타났다. 이상의 고추과피 태좌 분리시스템 최종 시작품의 성능실험을 종합하여 볼 때, 이러한 장치를 현행 고춧가루 공장에 활용할 경우 신미성분이 규격화된 고춧가루제품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고추원료가 고추 조파쇄부,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 고추 과피/태좌 분리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거치면서 각 단계로부터 신미성분이 서로 다른 과피, 태좌, 종자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둘째, 고추 과피태좌 분리시스템에 의하여 분리되어 수집된 과피, 태좌, 종자를 서로 적절하게 혼합함으로써 신미성분을 규격화하여, 목표로 하는 신미성분을 갖는 고춧가루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셋째,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에 의하여 고추원료의 신미성분을 1/2이상 감소할 수 있고, 또한 입도별로 선별할 수 있음으로 김치나 양념 조미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9)

  1. 건고추를 조파쇄하여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로 분리하는 고추 조파쇄부와;
    상기 고추 조파쇄부에서 이송된 고추과피, 태좌 및 종자를 입도크기에 의하여 선별함으로써 일정 크기 이하의 태좌 및 종자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와;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를 통과한 일정 크기 이상의 고추과피를 세절함으로서 고추과피와 태좌를 분리하는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와; 그리고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로부터 이송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진동에 의하여 입도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2차적으로 고추과피를 분리하고, 3차로 고추 과피/태좌 혼합물을 분리하는 진동 분리부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 조파쇄부는 열풍건조에 의하여 수분함유량을 조절한 고추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고추를 1차적으로 조파쇄하는 제1 조파쇄부와, 상기 제1 조파쇄부를 통과한 고추원료를 2차적으로 조파쇄하는 제2 조파쇄부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파쇄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되며 그 일측에 테이퍼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는 경우 다수개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고추원료가조파쇄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 태좌/종자 분리부는 원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다수개의 이송날개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제공되어 낙하하는 태좌 및 종자를 입도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태좌 및 종자를 하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 과피/태좌 세절부는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그 일측에 테이퍼가 형성된 다수개의 세절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분리부는 그 내부에 스크린이 장착된 진동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진동 케이스의 스크린 상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고추과피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와, 일단은 상기 진동 케이스의 상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고추과피 및 태좌 혼합물을 배출하는 제3 배출구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 시스템.
  7. 고추원료를 조파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조파쇄 된 고추과피로부터 태좌와 종자를 입도크기에 따라 제1 스크린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분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통과한 고추과피를 세절함으로써 고추과피로부터 태좌를 분리하는 제3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세절된 고추과피와 태좌를 입도크기에 따라 제2 스크린보다 큰 입도를 갖는 고추과피를 2차적으로 배출하여 수집하고, 스크린을 통과한 태좌 및 고추과피를 3차적으로 배출하여 수집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고추원료를 열풍건조에 의하여 일정한 수분함량을 갖도록 조절하고, 이러한 고추원료를 1차 및 2차에 걸쳐 조파쇄하는 고추 과피태좌 분리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및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스크린의 눈크기는 2내지 4메쉬이고, 상기 제2 스크린의 눈크기는 5내지 7메쉬인 고추 과피태좌 분리방법.
KR10-2002-0081208A 2002-12-18 2002-12-18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KR10050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208A KR100501043B1 (ko) 2002-12-18 2002-12-18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208A KR100501043B1 (ko) 2002-12-18 2002-12-18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883A true KR20040054883A (ko) 2004-06-26
KR100501043B1 KR100501043B1 (ko) 2005-07-18

Family

ID=3734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208A KR100501043B1 (ko) 2002-12-18 2002-12-18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927A (ko) * 2020-03-02 2021-09-10 진수곤 건고추 분말 제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927A (ko) * 2020-03-02 2021-09-10 진수곤 건고추 분말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043B1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4728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comminuted proteinaceous material
CA1125724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oats
US4301719A (en) Separating citrus peel into albedo and flavedo components
KR100501043B1 (ko) 고춧가루 신미성분 조절을 위한 고추의 과피태좌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AU2004231552B2 (en) Process of forming corn flaking grits of improved quality with minimization of production of corn doubles
RU2604799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ысокопротеиновой фракции подсолнечного шрота
US5912038A (en) Air classification of water-bearing fruit and vegetable ingredients for peel and seed removal and size discrimination
KR100931550B1 (ko) 탈피 대두 및 전지 대두분의 제조방법
JP3304238B2 (ja) 有皮穀類の微細化方法
Oluwole et 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act bambara groundnut sheller
Ashes et al. A simple device for dehulling seeds and grain
US4225625A (en) Separating citrus peel into albedo and flavedo components
Smychagin et al.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food-grade soybean meal
RU2239332C2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гречневой муки
AU2017417951B2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vegetable dough
Sumina et 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barley Talgan, prepared according to traditional and innovative technologies
KR200284158Y1 (ko) 고추씨 분리기
RU20437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ка с мякотью
RU2027511C1 (ru)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зародыша от зерна кукурузы
Smychagin et al.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food-grade soybean meal
KR20020035638A (ko) 고추씨 분리기
EA044755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асщепления бобовых
Nkurikiye et al. Physical Properties and Milling Processes of Chickpea and Cowpea
Singh et al.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pulley shaft speed on grinding characteristics of wheat (Triticum aestivum)
PL183276B1 (pl) Urządzenie do usuwania pestek ze śliwek, moreli, brzoskwiń lub podobnych owocó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