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510A - 림포카인 제조 및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림포카인 제조 및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510A
KR20040052510A KR10-2003-7016247A KR20037016247A KR20040052510A KR 20040052510 A KR20040052510 A KR 20040052510A KR 20037016247 A KR20037016247 A KR 20037016247A KR 20040052510 A KR20040052510 A KR 2004005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g
tumor
administration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일렌 엠. 젠트네르
미로슬라브 바우디스
마리아 주레크
울프람 삼로우스키
Original Assignee
마크로메드 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로메드 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마크로메드 인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5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13IL-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에서는 IL-2 또는 다른 림포카인 및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보유하는 생분해성 중합성 담체를 포함하는 치료 조성물 및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 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이의 용도를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종양내/종양주위에 투여되면 IL-2 함유 저장소를 형성한다. 상기 IL-2 함유 저장소는 수용불가능 부작용 없이, 국소적ㆍ전신적으로 기능하는 세포독성 T 림프구의 생산을 자극할 만큼 충분한 IL-2를 연속적으로 지속 방출한다.

Description

림포카인 제조 및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 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이의 용도{FORMULATIONS OF LYMPHOK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LOCAL OR BOTH LOCAL AND SYSTEMIC CONTROL OF PROLIFERATIVE CELL DISORDERS}
최근, 면역계의 생태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면서 면역 반응의 중요한 조절물질, 다시 말하면 사이토킨 또는 림프구에 의해 생산된 림포카인이 동정되었다(Rosenberg, Steven A. "The Immunotherapy and Gene Therapy of Cancer." J. Clin. Oncology 10:180-199(1992)). 사이토킨은 다른 세포의 증식 및/또는 분화 기능을 촉진하는 면역계 세포에 의해 주로 분비되는 소형 단백질이다. 사이토킨의 실례는 인터루킨, 인터페론, 조혈 콜로니 촉진 인자(CSF), 친염증성 인자(예, 종양 괴사 인자(TNF))이다. 사이토킨 및 관련된 염증조절물질의 투여는 다양한 유형의 신생물 환자에서 실재적인 종양 반응을 유도한다(Sama, Gregory et al., "A Pilot Study of Intralymphatic Interleukin-2. Ⅱ. Clinical and Biological Effects", J. Biol. Response Modifiers, 9:81-86(1990)). 하지만, 사이토킨 투여의 현재 양식은 이들 작용제의 치료 가치를 제한하는 독성과 빈번히 연관한다.
식물 레시틴, 항원 또는 다른 자극에 노출이후 항원이나 유사분열물질 자극된 T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정상 말초혈 림프구에 의해 생산된 림포카인인 인터루킨-2(IL-2)는 Morgan, D. A., et al., Science(1976), 193:1007-1008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IL-2는 3가지 주요 유형의 림프구: T 세포, B 세포, NK 세포에 작용하여 이들을 증식시키고 이들의 분화 기능을 증폭시킨다. IL-2는 NK 세포를 자극하여 천연 숙주 방어를, T 세포와 B 세포를 자극하여 항원-특이적 획득 면역을 강화시킨다. 초기에, IL-2는 사람 말초혈 림프구(PBL) 또는 다른 IL-2 생산 세포를 배양하여 생산하였다(미국 특허 4,401,756). 재조합 DNA 기술은 IL-2 생산에서 PBL 및 다른 세포주의 대안을 제공하였다. Taniguchi, T. et al., Nature(1983), 302:305-310과 Devos, R., Nucleic Acids Research(1983), 11:4307-4323에서는 사람 IL-2 유전자의 클로닝 및 미생물에서 이의 발현을 보고하였다.
미국 특허 4,518,584에서는 야생형이나 천연 분자의 125번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시스테인이 중성 아미노산, 예를 들면 세린이나 알라닌으로 치환되는 돌연변이된 IL-2 단백질을 개시하고 청구한다. 미국 특허 4,530,787과 4,569,790에서는 IL-2의 정제된 형태를 비롯하여 재조합 천연 IL-2와 이의 뮤테인을 정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청구한다. 미국 특허 4,604,377에서는 미생물에서 생산되고 산화된 재조합 IL-2로 구성되고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용액에서 재구성에 적합한 IL-2 조성물을 개시한다.
보조 T-세포라고 하는 림프구의 하위군은 종양 항원에 반응하여, 소량의 IL-2를 분비한다. 분비된 IL-2는 종양 항원 자극 부위에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전신 종양 세포 파괴를 매개하는 세포독성 T-세포와 자연 킬러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IL-2의 정맥내, 림프내, 병소내 투여는 일부 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유도하였다. 재조합 IL-2의 고용량 전신 투여는 생쥐에서 확립된 전이성 암의 퇴행을 유도하고 사람에서 림포카인-활성화된 킬러 세포와 종양-침윤 림프구를 자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osenberg et al., J. Exp. Med.(1985) 161:1169-1188; Rosenberg, S. et al., New Eng. J. Med.(1985) 313:1485-1492; Rosenberg et al., Science(1986) 233:1318-1321). 하지만, 심각한 독성(저혈압과 부종)은 정맥내와 림프내 IL-2 투여의 용량과 효능을 제한한다(Hoover, H. C. Jr. et al. Cancer Res.(1984) 44(4):1671-6). 전신 투여된 림포카인의 독성은 이들 작용제가 국소적인 세포 상호작용을 매개하고 정상적으로 극소량만 분비된다는 점에 비추어 놀라운 것이 아니다. 이에 더하여, 다른 림포카인, 예를 들면 인터루킨-4(IL-4), 알파 인터페론(α-INF), 감마 인터페론(γ-인터페론)이 종양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데 사용되었다. IL-2에서처럼, 현재의 투여 양식은 부작용을 유발한다.
전신 IL-2 투여의 독성을 우회하기 위하여, 여러 연자들이 IL-2의 병소내 주사를 시험하였다. 이런 방식은 전신 IL-2 투여와 관련된 독성을 제거한다. 하지만, 치료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병소내 주사를 필요로 한다(Bubenik, J. et al., Immunology Letters. 23:287-292(1989/1990); Borden, Ernest C., and Sondel, Paul M Cancer. 1990 Feb 1;65(3 suppl):800-14; Rosenberg, Steven A. etal., 108:853-864(1988)). 따라서, 주사로는 종양 부위에 접근할 수 없는 많은 환자에서 이들 주사는 비실용적이다.
미국 특허 6,045,788에서는 실제적인 독성없이 면역계를 활성화시키거나 자극하기 위하여, 저용량의 자연과 재조합 IL-2가 연장된 기간, 예를 들면 3개월 이상동안 환자에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고 개시한다. 하지만, 연장된 기간동안 빈번한 투여가 요구되거나, 또는 환자에게 처방되지 않은 최적 서방 조성물이 필요하다.
잠재적 독성 이외에, IL-2 전신 투여의 다른 문제점은 급속한 신장 소실(renal elimination)이다. IL-2는 정맥내 투여되면, 6 내지 12분의 시작 소실 반감기(elimination half-life)와 40 내지 80분의 종결 소실 반감기로 급속하게 소실된다.
이런 이유로, 온혈 동물에 국소 투여된 이후 IL-2 함유 저장소(depot)를 형성하는 IL-2 조성물이 필요하다. IL-2 함유 저장소는 수용불가능한 부작용 없이 국소적으로 기능하거나 또는 국소적ㆍ전신적으로 기능하는 세포독성 T 림프구(CTTL)의 생산을 자극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IL-2의 연속적인 지속 방출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에서 주사용이나 이식용 중합성 약물 담체로 사용되는 최적 물질은 생분해성이고 약물에 적합하며 물과 같은 단순하고 안전한 용매로 제조될 수 있고 투여이후 추가의 중합반응이나 다른 공유결합 형성 반응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본원 발명의 요약
본원 발명에서는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보유하는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약물 담체 및 효과량의 림포카인으로 구성되는 치료 조성물을 제시하는데, 상기 조성물은 종양내/복강내 투여되고 림포카인 함유 저장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림포카인-함유 저장소는 현저한 전신 부작용 없이 국소적으로 기능하거나 또는 국소적ㆍ전신적으로 기능하는 세포독성 T 림프구의 생산을 자극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IL-2의 연속적인 지속 방출을 제공한다. "림포카인"은 자연, 재조합, 돌연변이된 IL-2 또는 다른 인터루킨, 이의 유사체, 유도체를 비롯하여, IL-2 또는 다른 인터루킨 활성을 보유하는 임의의 작용제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림포카인은 인터루킨-2(IL-2), 인터루킨-4, 인터루킨-12, 이들의 유도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국소 투여후 약물 함유 저장소를 형성할 수 있는 생분해성 약물 담체에 높은 독성 약물, 예를 들면 IL-2 또는 다른 림포카인을 통합함으로써, IL-2 또는 다른 림포카인을 최소 부작용의 완전한 효과 약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적절하게는, 생분해성 약물 담체는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이런 약물 담체는 체온 미만에서는 액체상으로 존재하고, 온도가 상승하면 겔이나 고체상으로 전이되며 체온 근처에서는 겔로 존재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본원에서는 IL-2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지만, 본원의 교시는 본원에서 밝힌 나머지 작용제에도 적용된다. 적절하게는, IL-2는 재조합 사람 IL-2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온혈 동물 숙주에서 종양 부담(tunmor burden)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상기 방법은 효과량의 IL-2 또는 다른 림포카인을 함유하고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갖는 생분해성 약물 담체로 제조된 조성물을 상기 숙주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원 발명은 암이나 사마귀와 같은 증식성 세포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국소적으로 투여된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를 요하는 병든 조직, 다시 말하면 종양이나 사마귀에 직접적으로 높은 수준의 IL-2를 지속적으로 국소 방출하여 수용불가능한 전신 부작용 없이, 국소 부위와 전신에서 병든 조직을 공격하는 세포독성 T-림프구의 생산을 자극한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약물 담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IL-2는 CTTL 자극이 발생하기 이전에 주사 부위로부터 급속히 제거되어 거의 무효하다. 이런 약물, 다시 말하면 IL-2 또는 림포카인은 병든 조직을 공격하는 신체의 자가 방어를 자극하기 때문에, 약물 저항성의 잠재적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간단한 저용량 국소 주사로 여러 유형의 국소 암과 전이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조성물과 방법을 제시한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일일 내지 월 1회의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전신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가 없는 IL-2 용량의 국소 주사로부터 국소 항암 치료, 또는 국소와 전신 항암 치료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온혈 동물에 림포카인의 지속적인 국소 수송에 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 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분명하다:
도 1A에서는 ELISA로 분석되고 모니터되는 실시예 1에 따른 IL-2 조성물로부터 IL-2 시험관내 방출을 도시한다.
도 1B에서는 세포 증식 분석으로 분석되고 모니터되는 실시예 1에 따른 IL-2 조성물로부터 IL-2 시험관내 방출을 도시한다.
도 2에서는 특이적 세포 용해의 비율로 측정되는 실시예 1에 따른 IL-2 조성물의 세포독성 분석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종양 크기의 변화로 측정된 섬유육종 성장에 대한 실시예 1에 따른 IL-2 조성물의 투여 효과를 도시한다.
도 4에서는 ELISA로 모니터되는 실시예 4에 따른 IL-2 제형으로부터 IL-2 시험관내 방출을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종양 크기의 변화로 측정된 종양 성장에 대한 실시예 4에 따른 IL-2 조성물의 용량 점증 효과를 도시한다.
도 6에서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종양 크기의 변화로 측정된 종양 성장에 대한 실시예 4에 따른 IL-2 조성물의 반복 투여 효과를 도시한다.
도 7에서는 MetA 섬유육종 모델에서 생쥐 생존율에 대한 실시예 4에 따른 IL-2 조성물의 반복 투여 효과를 도시한다.
도 8에서는 B16 흑색종 모델에서 생쥐 생존율에 대한 실시예 4에 따른 IL-2 조성물의 반복 투여 효과를 도시한다.
약물 수송, 특히 IL-2 수송에 사용되는 본원 발명의 치료 조성물과 방법을 개시하기에 앞서, 본원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특정 도면, 공정 단계, 재료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한다. 이런 도면, 공정 단계, 재료는 다소간의 개변이 가능하며, 이런 개변 역시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단수 형태에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에 복수의 지시 대상이 포함된다. 가령, "약물"을 수송하는 한 조성물에 참조에는 한가지이상 약물에 참조가 포함된다. 본원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는데 있어, 다음의 용어는 아래의 정의에 따른다.
"장관외"는 종양내, 종양주위, 병소내, 병소주위, 지주막하, 복강내, 복부내를 의미한다.
"세포 증식성 질환"에는 일반적으로 암과 같은 신생물성이나 악성으로 간주되는 세포 증식과 분화의 질환이 포함된다. 암에는 예로써 암종, 흑색종, 골수종, 육종 등이 포함된다. 암에는 치료없이 방치되는 경우에 진성 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암성 조직과 세포 역시 포함된다. 세포 증식성 질환의 다른 예는 사마귀이다.
"치료적"투여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한 측정에서 환자에 암이 확인된 이후에(즉, 종양 부담이 확정된 이후에), 확립된 종양 부담의 감소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약물, 특히 IL-2의 환자 투여를 의미한다.
"예방적" 투여는 치료적 투여가 실시된 이후에 암의 재발을 예방하는 투여를 의미한다.
"약리학적 효과량"은 환자에 의미있는 효과, 다시 말하면 수명의 연장 및/또는 질병 감소 및/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향상을 보이는데 충분한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과 조성물에서 각 활성 화합물의 함량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정의된 효과량이 사용되는 경우에, 구성요소 단독보다는 혼합물로 사용될 때 좀더 높은 효능이 달성된다. 단독으로 투여된 개별 활성 성분에서, 이 용어는 성분 단독을 의미한다;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이 용어는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결과하는 조성물에서 통합된 함량을 의미한다.
"재조합"은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생산된 약물을 의미하는데, 특히 본원의 경우에 IL-2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공지된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클론된다.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은 약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간섭하지 않고 투여된 숙주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담체 매체를 의미한다.
"겔화 온도"는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가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를 겪는 온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블록 공중합체가 물에 용해되거나 균일한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는 온도보다는 높고 블록 공중합체가 상 전이(phase transition)되어 점도가 증가하거나 반-고체를 형성하는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를 의미한다.
"겔화 온도" 및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온도" 등은 겔화 온도를 의미하며 상호 호환될 수 있다.
"중합체 용액","수용액", "용액", "동질성 용액"등은 이런 용액에 포집된 약물과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복합물과 관련하여, 블록 공중합체가 기능적 농도로 용해되거나 균일한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며 이런 블록 공중합체의 겔화 온도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는 물 기초한 용액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첨가제 없는 물, 또는 제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H 완충액, 독성 조절 요소,항산화제, 방부제, 약물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나 부형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이 포함된다.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는 용액의 온도가 공중합체의 겔화온도 이상으로 증가될 때, 블록 공중합체 용액의 점도가 자발적으로 증가하고 많은 경우에 반고체 겔로 전환되는 현상이다. 본원 발명에서 "겔"에는 겔화 온도 이상에서 나타나는 반고체 겔 및 높은 점성 상태가 포함된다. 겔화 온도 아래로 냉각되는 경우에, 겔은 수분 내지 수시간내에 낮은 점성 용액으로 자발적으로 반전된다. 겔을 생성시키는 모든 상호작용은 사실상 물질적이고, 공유결합의 파괴나 형성을 수반하지 않는다.
"약물 수송 액체" 또는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성질을 가지는 약물 수송 액체"는 온혈 동물 투여에 적합한 약물(약물은 용해되거나 분산되거나 콜리이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을 함유하는 중합체 용액을 의미한다. 약물 함유 중합체 용액은 온도가 약물 수성 액체의 겔화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겔화된 약물 저장소를 형성한다.
"저장소(depot)"는 농축된 활성제 또는 약물을 함유하는 체내 국소 부위를 의미한다. 저장소를 형성하는 조성물의 예는 겔, 이식물, 미세구체, 매트릭스, 입자 등이다.
"겔"은 "중합체 용액" 또는 "약물 수송 액체"의 온도가 블록 공중합체의 겔화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반고체 상태를 의미한다.
"겔 혼합물" 또는 "삼중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은 2개 이상의 ABA 또는 BAB삼중블록 공중합체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런 혼합물은 2개 이상의 개별적으로 합성된 삼중블록 공중합체 구성요소를 단순히 혼합하거나, 또는 한 합성 용기에서 2종류이상의 공중합체 시스템을 합성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2가지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혼합물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겔화 특성 및 겔 품질을 보유한다.
용액이나 용해된 상태를 의미하는 "용액", "용해된"등에는 동질성 용액, 미셀 용액, 또는 에멀젼이나 현탁액과 같은 명백하게 균일한 콜로이드 상태가 포함된다.
"생분해성"은 블록 공중합체가 체내에서 화학적으로 파괴되거나 분해되어 비-독성 구성요소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해 속도는 약물 방출 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약물"은 생물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적합될 수 있는 임의의 유무기 화합물 또는 물질을 의미한다.
"펩티드", "폴리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및 "단백질"은 펩티드 또는 단백질 약물과 관련하여 상호 호환될 수 있는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특정 분자량, 펩티드 서열이나 길이, 생활성 분야 또는 치료 용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인터루킨"은 자연과 재조합 IL-2와 IL-12, 자연과 재조합 인터루킨의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융합단백질, 유도체, 이들을 혼합물을 비롯하여, 인터루킨 활성, 특히 IL-2와 IL-12 활성을 갖는 임의의 단백질/폴리펩티드 작용제, 이의 유도체, 유사체 또는 모방체(mimetic)를 의미한다.
"hIL-2"는 사람 인터루킨-2를 특징짓는 일련의 활성을 보이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런 단백질은 S. Gillis et al, J. Immunol(1978) 120:2027-2032와 J. Watson, J. Exp. Med.(1979) 150:1510-1519의 표준 분석에서 밝힌 바와 같이, hIL-2 의존성 세포용해 T 세포주와 보조 T 세포주의 증식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생물학적 활성의 파괴 없이 변형된 IL-2와 IL-12 여기에 포함된다.
"PLGA"는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응축 공중합화 또는 락티드와 글리콜리드의 개환 공중합화로 유도된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라디칼을 의미한다.
"PLA"는 락트산의 응축 또는 락티드의 개환 중합화로 유도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PGA"는 글리콜산의 응축 또는 글리콜리드의 개환 중합화로 유도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임의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오르토 에스테르)를 의미하는데, 이는 가급적 D,L-락티드, D-락티드, L-락티드, D,L-락트산, D-락트산, L-락트산, 글리콜리드, 글리콜산, ε-카프로락톤, ε-하이드록시 헥사논산, γ-부티로락톤, γ-하이드록시 부티르산, δ-발레로락톤, δ-하이드록시 발레르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 사과산,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로부터 합성된다.
"ReGel®"은 미국 특허 6,004,573, 6,117,949, 6,201,072, 6,287,588에 개시된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보유하는 저분자량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상품명(Macromed Incorporated)이다. 여기에는 미국 특허 출원 09/906,041과 09/559,799에 개시된 조성물 역시 포함된다. 생분해성 약물 담체는 ABA-형이나 BAB-형 삼중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여기서 A-블록은 상대적으로 소수성이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오르토 에스테르)로 구성되고, B-블록은 상대적으로 친수성이고 폴리에틸렌 글리콜(PEG)로 구성되는데, 상기 공중합체는 50.1% 내지 83wt%의 소수성 함량, 17 내지 49.9wt%의 친수성 함량, 2000 내지 8000의 전체 블록 공중합체 분자량을 보유한다. 약물 담체는 정상적인 포유동물 체온 미만의 온도에서 수용성을 보이고, 포유동물 체온과 동등한 온도에서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를 겪고 겔로 존재한다. 적절하게는, 생분해성 소수성 A 중합체 블록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오르토 에스테르)로 구성되고, 폴리에스테르는 D,L-락티드, D-락티드, L-락티드, D,L-락트산, D-락트산, L-락트산, 글리콜리드, 글리콜산, ε-카프로락톤, ε-하이드록시 헥사논산, γ-부티로락톤, γ-하이드록시 부티르산, δ-발레로락톤, δ-하이드록시 발레르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 사과산,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고 대략 600 내지 3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합성된다. 적절하게는, 친수성 B-블록 분절은 500 내지 22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이다.
블록 공중합체가 겔화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용해되는 농도는 기능적 농도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대략 3 내지 50wt% 범위의 블록 공중합체 농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전히 기능적이다. 하지만, 대략 5 내지 40wt% 범위의 농도가 바람직하고, 대략 10 내지 30wt% 범위의 농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좀더 낮은 기능적 농도에서 상 전이는 약한 겔 또는 점성 액체의 형성을 유도하는데, 이들 시스템 역시 본원 발명에서 여전히 기능적이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PEG 유도체, 또는 PEG와 PEG 유도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재구성 강화제와 가능제(enabling agent)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PEG 또는 PEG 유도체는 150 내지 11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다. PEG 유도체는 D,L-락티드, D-락티드, L-락티드, D,L-락트산, D-락트산, L-락트산, 글리콜리드, 글리콜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유도된 PEG로 구성된다. PEG 유도체는 R1-CO-O-(PEG)-CO-R2또는 R1-O-(PEG)-R2일 수도 있는데, 여기서 R1과 R2는 H와 C1내지 C10알킬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생분해성 공중합체와 약물, 예를 들면 IL-2의 혼합물은 IL-2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된 IL-2 수송 액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겔화 온도 미만에서 공중합체의 수용액이나 균일한 콜로이드로 제조된다. 이후, IL-2 수성 액체는 종양내 또는 종양주위와 같은 국소 수송 루트를 통하여 환자에 투여되는데, 체온이 겔화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를 겪게 된다. 이는 IL-2의 전신 독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많은 경우에 이를 제거하고 암 세포에 대한 면역계 반응을 극대화시킨다.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다른 잠재적 용도에는 수술이후에 남아있는 암 세포를 죽이기 위한 외과적 개입/종양 절개의 부위에 국소적 투여가 포함된다. 악성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국소 수송 루트에는 복막에 위치한 종양/전이를 대상으로 하는 복강내 투여 및 두개골에 위치한 종양을대상으로 하는 두개내 투여가 포함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독성 사이토킨 및 관련된 약물, 예를 들면 IL-2, IL-4, IL-12, 이들의 유도체, 모방체를 비롯한 림포카인을 효과적인 함암제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 면역 반응, 또는 국소와 전신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일이나 여러 국소 종양 부위에서 종양내/종양주위에 형성된 국소 저장소로부터 약물의 지속적인 수송을 제공한다.
종양내/종양주위에 지속적인 국소 수송 약물 저장소를 형성함으로써, 종양 부위에 상대적으로 높은 국소 사이토킨 정상 상태 농도가 달성된다. 높은 국소 농도의 IL-2는 국소적ㆍ전신적으로 종양 조직을 공격하는 종양 특이적 CTTL의 활성화와 생산을 자극하지만, 전신 IL-2 수준은 현저한 부작용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낮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은 암종, 육종, 흑색종, 골수종 등을 비롯한 악성이나 전암성 조직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암 질환의 표시로 나타나는 임의 종양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은 현저한 부작용없이, 높은 독성 약물, 특히 IL-2, IL-4, IL-12, 이들의 유도체, 모방체와 같은 사이토킨을 효과적인 치료 조성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체 림포카인 투여량이 전신 치료에 요구되는 IL-2 또는 다른 림포카인의 용량에 비하여 1 크기 자리수 낮지만,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더 우월하거나 대등한 약리학적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의 한 구체예에서, IL-2는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갖고 겔화 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며 수용성 형태, 또는 현탁액이나 다른 콜로이드 형태의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성 약물 담체(ReGel®)에 통합된다. 체온이 ReGel®겔화 온도보다 높은 환자나 병든 동물(온혈 포유동물 숙주)의 종양내 또는 종양주위에 투여된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IL-2의 연속적인 지속 방출을 제공할 수 있는 국소 저장소를 형성한다. IL-2/ReGel®조성물은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면 당을 비롯한 폴리올, 계면활성제, 아미노산, 다른 단백질, 완충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주사이전 액체 상태에서, 또는 주사이후 겔 상태의 IL-2 국소 저장소에서 IL-2, IL-4, IL-12, 이들의 유도체, 모방체를 비롯한 특정 림포카인의 기능적 및/또는 물리적 안정제로 기능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1회 투여할 수 있지만, 종양 크기의 퇴행과 같은 개선된 치료 효과를 제공하여 암 질환을 장기적으로 관리하거나 종양의 완전한 소멸/재발없음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일 또는 월 1회 기준으로 반복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주사 부위에 반복 투여는 약물 담체 유형에 따라 수일 내지 4주 기간동안,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자발적, 생체내, 화학적 분해에 의한 주사 부위로부터 조성물의 신속한 제거에 의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에 확립된 진단 영상 기술로 확인된 종양 부위에 종양주위 또는 종양내 투여될 수 있다. 정확한 종양 위치확인을 요구하는 악성 종양 치료를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특이적인 투여 루트는 두개골 종양을 대상으로 하는 두개내 투여이다. 구체적인 종양 위치확인을 요구하지 않는 악성 종양 치료를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다른 특이적인 국소 투여 루트는 일차 종양 및 복막에 위치한 종양 전이를 대상으로 하는 복강내 IL-2 투여이다. 정교한 영상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다른 특이적인 투여 루트는 피부에 위치한 종양, 예를 들면 일차와 전이성 흑색종 종양의 근처에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피하 주사이다. 다른 특이적인 투여 루트는 수술이후에 남아있는 암 세포를 죽이기 위한 외과적 개입/종양 절개의 부위에 IL-2 조성물의 국소 투여이다.
최적 투여량은 암 유형, 숙주 유형, 종양 위치, 투여 루트, 투여 일정과 순서, 이미 존재하는 종양 부담(질병 상태), 사이토킨 유형(특히, IL-2, IL-4, IL-12, 이들의 유도체, 모방체), 또는 사용된 다른 림포카인에 좌우된다. 하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일반적 범위는 1000 I.U. 내지 1x108I.U.이다.
본원 발명의 방법은 생쥐, 쥐, 토끼, 영장류, 돼지 또는 사람 숙주, 바람직하게는 사람 환자를 비롯한 온혈 포유동물 숙주에 약물, 특히 IL-2의 약리학적 효과량을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런 시스템은 재료의 생체적합성 및 겔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주변 조직에 수용불가능한 독성과 기계적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일정한 시간 간격내에 락트산, 글리콜산 또는 다른 상응하는 단량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완전히 생분해된다. IL-2 방출 속도, 겔 강도, 겔화 온도, 분해 속도는 다양한 약물 담체의 적절한 설계와 제조로 조절할 수 있다. 가령, A-블록과 B-블록의 중량 비율, A-블록으로 구성되는 단량체의 몰 비율, ABA 또는 BAB 삼중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다분산성(polydispersity)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IL-2 방출은 약물 수송 액체에서 중합체 농도의 적절한 조정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IL-2를 함유하는 중합체 용액, 즉 약물 수송 용액으로 구성되는 약형은 체내에 투여된다. 이런 조성물은 조성물의 온도가 체온으로 상승하면서 블록 공중합체의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으로 인하여 자발적으로 겔화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IL-2는 약물 수용 액체 ㎖당 1000 I.U. 내지 1x108I.U.이다. 일부 경우에, 상기 수용액이나 현탁액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인터루킨의 기능성 또는 물리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첨가제, 예를 들면 폴리올(당 포함),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제, 독성 조절제, 다른 단백질, 특정 염이 사용된다. 이들 첨가제는 약물 수송 액체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용량은 종양 크기의 퇴행, 종양의 완전한 소멸 또는 재발없음을 결과하고 숙주에 비독성이거나 수용가능한 독성을 유발하는 용량이다. 이런 최적 용량 수준은 여러 인자, 예를 들면 숙주 유형, 암 유형, 투여 루트, 투여 일정과 순서, 이미 존재하는 종양 부담, IL-2 유형, 독성의 정의에 좌우된다.
본원의 한 구체예에서, IL-2(20x106I.U.)와 ReGel®을 혼합하여 액체 조성물을 생성하고, 이후 이를 종양주위에 주사한다. IL-2/ReGel®은 체온까지 온도가 상승하면 주사 부위에서 겔을 형성하고 저장소로부터 IL-2의 연장된 방출을 제공하는데, IL-2는 상기 저장소로부터 수일동안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된다. 겔로부터 방출되는 IL-2는 활성을 나타내고 국소적ㆍ전신적으로 CTTL을 자극한다. 대조적으로, 통상적인 조성물(즉, ReGel®담체없는 조성물)로 IL-2의 단일 주사는 종양 성장을 조절하는데 무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IL-2/ReGel®조성물은 전신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가 없는 IL-2 용량의 국소 주사로부터 국소 항암 치료, 또는 국소와 전신 항암 치료를 제공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런 조성물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IL-2 조성물로부터 IL-2의 시험관내 방출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담체는 2.4의 PLG/PEG-1000 중량 비율, 75/25의 L/G 몰 비율, 4,000 달톤의 분자량, 14℃의 겔화 온도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23wt% 용액이다.
50,000 I.U.(3 ㎍)의 IL-2(Proleukin®, Chir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를 함유하는 고정된 부피(1 ㎖)의 무균 IL-2 조성물은 이중으로 50 ㎖ 조직 배양 플라스크의 바닥에 위치시켰다. 플라스크는 25 ㎖ 조직 배양 배지(RPMI 1640, BioWhittaker, Inc.)의 존재하에 37℃에서 배양하였다. 사전-선택된 시점에서, 방출 배지의 분액(0.5 ㎖)은 회수하고 적절한 희석후 IL-2 함량을 분석하였다. IL-2 함량은 특정 효소 흡착된 면역분석(OptEIA Human IL-2 Set, Pharmingen) 및 세포에3H-티미딘 통합(37℃에서 24시간 배양)후 CTTL-20 지시 세포를 이용한 정량적 세포 증식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표준 IL-2의 연속 희석으로 용량 반응 곡선을 준비하였다. 결과는 IL-2 누적 방출 vs. 시간으로 플랏하였다(ELISA로 측정된 IL-2 방출은 도 1A, 세포 증식 분석으로 측정된 IL-2 방출은 도 1B). 양 방법의 결과에서 IL-2 방출은 정량적으로 3 내지 4일동안 지속되고 방출된 IL-2는 완전한 생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밝힌 동일한 IL-2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림프구를 유도하는 본원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방출된 IL-2의 능력을 설명한다.
점증 용량의 IL-2(Proleukin®; 12,500 I.U.; 25,000 I.U.; 50,000 I.U.)를 함유하는 고정된 부피(0.5 ㎖)의 무균 IL-2 조성물은 이중으로 25 ㎖ 조직 배양 플라스크의 바닥에 위치시켰다. 플라스크는 뮤린 비장세포를 함유하는 25 ㎖ 조직 배양 배지(RPMI 1640, BioWhittaker, Inc.)의 존재하에 37℃에서 3일동안 배양하였다. 활성화된 림프구는 수거하고51Cr 방출 분석에서 용해가 진행중인 종양 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여 RD-995 섬유육종 세포를 죽이는 능력을 분석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Gel®로부터 방출된 IL-2는 방출 시작 시점에 방출 매체에 첨가된 유리(free) IL-2에 비하여 완전한 활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E:T 세포 비율은 주효체 세포(활성된 림프구) vs. 표적 세포(RD-995 종양 세포)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시료당 개체수(104)는 일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원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방출된 IL-2는 완전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은 IL-2를 생체내에서 종양주위에 지속적으로 국소 수송하는데 효과적인 수송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생쥐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단일 종양주위 주사에 의한 종양 퇴행을 설명한다.
생쥐(C3H/HEN)는 RD-995 섬유육종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고형 종양의 크기가 4-5 ㎜가 되면, 생쥐(6개 군)는 실시예 1에서 밝힌 0.2㎖ IL-2 조성물(종양 시야계(perimeter)의 맞은편에 2x0.1 ㎖)을 주사하였다. 상기 IL-2 조성물은 점증 용량(100,000 I.U.; 250,000 I.U.; 500,000 I.U.)의 IL-2를 함유한다. 대조군은 약물 담체만 주사하였다. 종양 크기 측정은 3주동안 격일로 실시하였다(도 3).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군에서 종양 성장이 정지되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20℃ 이상의 겔화 온도를 갖는 약물 담체로부터 IL-2의 시험관내 방출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분해성 중합체 담체는 20/80의 PEG(1000)/PEG(1450) 중량 비율, 2.06의 PLG/PEG 중량 비율, 85/15의 L/G 몰 비율, 4,800 달톤의 분자량, 26℃의 겔화 온도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13wt% 용액이다.
50,000 I.U.(3 ㎍)의 IL-2(Proleukin®)를 함유하는 고정된 부피(1 ㎖)의 무균 IL-2 조성물은 이중으로 50 ㎖ 조직 배양 플라스크의 바닥에 위치시켰다. 플라스크는 25 ㎖ 조직 배양 배지(RPMI 1640, BioWhittaker, Inc.)의 존재하에 37℃에서 배양하였다. 사전-선택된 시점에서, 방출 배지의 분액(0.5 ㎖)은 회수하고 적절한 희석후 특정 효소 흡착된 면역분석(OptEIA Human IL-2 Set, Pharmingen)으로 IL-2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IL-2 누적 방출 vs. 시간으로 플랏하였다(도 4). ReGel®에 적하된 IL-2는 시험관내에서 겔 저장소로부터 4일동안 생활성 형태로 정량적으로 방출되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생쥐에서 IL-2 조성물의 단일 종양주위 주사에 의한 종양 퇴행을 설명한다. IL-2 조성물은 실시예 4에서 밝힌 바와 동일하다.
생쥐(C3H/HEN)는 RD-995 섬유육종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고형 종양의 크기가 4-5 ㎜가 되면, 생쥐(10개 군)는 점증 용량(500,000 I.U.; 2,000,000 I.U.; 4,000,000 I.U.)의 IL-2를 함유하는 0.2㎖ IL-2 조성물(종양 시야계(perimeter)의 맞은편에 2x0.1 ㎖)을 주사하였다. 대조군은 ReGel®단독 조성물(약물 없음) 또는 통상적인 IL-2 조성물(500,000 I.U.)을 종양주위에 주사하였다. 종양 크기 측정은 26일동안 격일로 실시하였다(도 5).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Gel®/IL-2 군에서 종양 성장이 대략 3주동안 정지되었다. 혈압은 각 동물군에서 투여후 3일과 5일에 측정하였다. 모든 혈압값은 생리 범위내에 유지되었고, 혈압의 불리한 감소는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본원 발명의 IL-2 조성물이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생쥐에서 IL-2 조성물의 주 1회 종양주위 주사에 의한 종양 퇴행을 설명한다. IL-2 조성물은 실시예 4에서 밝힌 바와 동일하다.
생쥐(C3H/HEN)는 RD-995 섬유육종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고형 종양의 크기가 4-5 ㎜가 되면, 생쥐(10개 군)는 2,000,000 I.U.의 IL-2를 함유하는 0.2㎖ IL-2 조성물(종양 시야계(perimeter)의 맞은편에 2x0.1 ㎖)을 주사하였다. 대조군은 약물 담체 단독 조성물(약물 없음) 또는 통상적인 IL-2 조성물(500,000 I.U.)을 종양주위에 주사하였다. 다른 대조군은 5일동안 일일 2회 전신 투여되는 통상적인 IL-2 조성물(180,000 I.U.)(생쥐에서 전신 IL-2의 최대 관용량 수준)을 주사하였다(B.I.D). 투여는 통상적인 전신 B.I.D 군을 제외하고 7일, 14일, 21일에 반복하였다. 종양 크기 측정은 격일로 실시하였다(도 6). 대조군과 비교하여 IL-2 조성물 군에서 종양 성장이 대략 41/2주동안 정지되었다. 혈압은 각 동물군에서 첫 번째 투여후 8일에 측정하였다. 모든 혈압값은 생리 범위내에 유지되었고, 혈압의 불리한 감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MethA 복강내 종양 생쥐 모델에서 IL-2 조성물의 주 1회 복강내 주사를 설명한다. IL-2 조성물은 실시예 4에서 밝힌 바와 동일하다.
생쥐(Balb C)는 106MethA 섬유육종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3일후(0일, 도 7), 생쥐(10개 군)는 점증 용량(100,000 I.U.; 500,000 I.U.; 2,000,000 I.U.)의 IL-2를 함유하는 0.2㎖ IL-2 조성물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대조군은 종양을 보유하는 치료되지 않은 생쥐, 약물없는 조성물이 주사된 생쥐, 통상적인 전신 IL-2가 주사된 생쥐(180,000 I.U. S.C. B.I.D. x 5일), 500,000 I.U.의 통상적인 IL-2가 복강내 주사된 생쥐로 구성되었다. 주사는 통상적인 전신 B.I.D. 군을 제외하고 7일, 14일, 21일, 28일, 35일에 반복하였다. 생쥐는 생존을 추적하였다(도 7). 본원 발명의 IL-2 조성물은 통상적인 IL-2 조성물을 이용한 파지티브 대조에 비하여 우수한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B16 흑색종 고형 종양을 보유하는 생쥐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의 주 1회 종양주위 주사에 의한 생존율을 설명한다. IL-2 조성물은 실시예 4에서 밝힌 바와 동일하다.
생쥐(C57/B16)는 B16 흑색종 종양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고형 종양의 크기가 4-5 ㎜가 되면, 생쥐(8개 군)는 2,000,000 I.U.의 IL-2를 함유하는 본원 발명의 0.2㎖ IL-2 조성물(종양 시야계(perimeter)의 맞은편에 2x0.1 ㎖)을 주사하였다. 대조군은 약물 담체 단독 조성물(약물 없음) 또는 통상적인 IL-2 조성물(2,000,000 I.U.)을 종양주위에 주사하였다. 투여는 7일, 14일, 21일, 28일, 35일에 반복하였다. 생쥐는 종양 성장 및 생존율을 추적하였다. 혈압은 각동물군에서 1일, 2일, 3일, 4일, 5일(첫 번째 투여후)에 측정하고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세 번째 투여후)에 반복하였다. 모든 혈압값은 생리 범위내에 유지되었고, 혈압의 불리한 감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대조군에 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에서 종양 성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고, 통상적인 IL-2 조성물을 이용한 파지티브 대조군에 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에서 우수한 생존율이 제공되었다(도 8).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생쥐에서 IL-2 조성물의 주 1회 종양주위 주사에 의한 전신 면역의 활성화를 설명하며, 약물 담체는 실시예 1에서 밝힌 바와 동일하다.
생쥐(C3H/HEN)는 RD-995 섬유육종 세포를 양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고형 종양의 크기가 4-5 ㎜가 되면, 생쥐(10개 군)는 2,000,000 I.U.의 IL-2를 함유하는 실시예 1에서 밝힌 0.2㎖ IL-2 조성물(종양 시야계(perimeter)의 맞은편에 2x0.1 ㎖)을 우측 종양(5마리 생쥐) 또는 좌측 종양(5마리 생쥐)에 주사하였다. 대조군은 2개의 종양을 보유하는 치료되지 않은 생쥐, 약물 담체만 주사된 생쥐(좌측 종양에 5마리와 우측 종양에 5마리), 통상적인 IL-2 조성물(2,000,000 I.U.)이 종양주위에 주사된 생쥐(좌측 종양에 5마리와 우측 종양에 5마리)로 구성되었다. 각 군에서, 투여는 연속 8주동안 동일한 사전-선택된 종양 부위에 주 1회 반복한다. IL-2 조성물 군에서는 치료된 종양뿐만 아니라 치료되지 않은 종양의 성장이 정지되는 반면, 대조군에서는 이들 종양이 점진적으로 성장한다. 따라서, IL-2 조성물 군에 대한 생존 데이터는 종양주위 통상적인 IL-2군을 비롯한 대조군에서 얻은 데이터보다 우수한데, 이는 전신 면역 반응이 본원 발명의 IL-2 조성물에서만 달성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는 생쥐에서 IL-2 조성물의 주 1회 종양주위 주사에 의한 전신 면역의 활성화를 설명하며, 약물 담체는 실시예 4에서 밝힌 바와 동일하다.
생쥐(C3H/HEN)는 RD-995 섬유육종 세포를 양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고형 종양의 크기가 4-5 ㎜가 되면, 생쥐(10개 군)는 2,000,000 I.U.의 IL-2를 함유하는 실시예 4에서 밝힌 0.2㎖ IL-2 조성물(종양 시야계(perimeter)의 맞은편에 2x0.1 ㎖)을 우측 종양(5마리 생쥐) 또는 좌측 종양(5마리 생쥐)에 주사하였다. 대조군은 2개의 종양을 보유하는 치료되지 않은 생쥐, 약물 담체만 주사된 생쥐(좌측 종양에 5마리와 우측 종양에 5마리), 통상적인 IL-2 조성물(2,000,000 I.U.)이 종양주위에 주사된 생쥐(좌측 종양에 5마리와 우측 종양에 5마리)로 구성되었다. 각 군에서, 투여는 연속 8주동안 동일한 사전-선택된 종양 부위에 주 1회 반복한다. IL-2 조성물 군에서는 치료된 종양뿐만 아니라 치료되지 않은 종양의 성장이 정지되는 반면, 대조군에서는 이들 종양이 점진적으로 성장한다. 따라서, IL-2 조성물 군에 대한 생존 데이터는 종양주위 통상적인 IL-2군을 비롯한 대조군에서 얻은 데이터보다 우수한데, 이는 전신 면역 반응이 본원 발명의 IL-2 조성물에서만 달성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상기 실시예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본원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본원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방법의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다. 이런 다양한 개변이 본원의 범주에 포함되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및 이의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0)

  1. 국소 치료 효과, 또는 국소와 전신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림포카인을 온혈 동물에 국소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효과량의 림포카인;
    b)
    i)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오르토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51 내지 83wt%의 생분해성 소수성 A 블록,
    ii) 폴리에틸렌 글리콜(PEG)로 구성되는 17 내지 49wt%의 친수성 B 블록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ABA- 또는 BAB-형 삼중블록 공중합체, 상기 삼중블록 공중합체는 2000 내지 4990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열에 의한 가역적 겔화 특성을 보유하고;
    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PEG 유도체, 또는 PEG와 PEG 유도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재구성 강화제와 가능제, 상기 PEG 또는 PEG 유도체는 150 내지 1100 달톤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투여된 이후에 림포카인 함유 저장소를 형성하고, 림포카인의 연속적인 지속 방출을 제공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림포카인은 인터루킨-2(IL-2), 인터루킨-4, 인터루킨-12, 유도체, 이들의 모방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투여이전에는 주사가능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당 포함), 계면활성제, 아미노산, 단백질,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제, 독성 조절제, 완충염, 이들의 등가물에서 선택되는 생체적합성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PEG 유도체는 D,L-락티드, D-락티드, L-락티드, D,L-락트산, D-락트산, L-락트산, 글리콜리드, 글리콜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유도된 PE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PEG 유도체는 R1-CO-O-(PEG)-CO-R2또는 R1-O-(PEG)-R2이고, 여기서 R1과 R2는 H와 C1내지 C10알킬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온혈 동물에서 증식성 세포 질환을 국소 조절하거나 또는 국소와 전신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제 1 항 내지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림포카인 조성물을 제조하고;
    b) 온혈 동물에서 증식성 세포 질환이 발생한 부위에 또는 이의 주위에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고;
    c) 상기 조성물이 림포카인 함유 저장소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소는 수용불가능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국소 치료 효과 또는 국소와 전신 치료 효과가 달성되도록 연속적인 지속 방출을 제공한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증식성 세포 질환은 암 또는 사마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투여는 종양내, 종양주위, 병소내, 병소주위, 지주막하, 복강내, 복부내에서 선택되는 장관외 수단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일일 내지 월 1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16247A 2001-06-14 2002-06-14 림포카인 제조 및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이의 용도 KR20040052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859401P 2001-06-14 2001-06-14
US60/298,594 2001-06-14
US10/172,805 US20030003074A1 (en) 2001-06-14 2002-06-13 Formulations of lymphok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local or both local and systemic control of proliferative cell disorders
US10/172,805 2002-06-13
PCT/US2002/018807 WO2002102309A2 (en) 2001-06-14 2002-06-14 Formulation of lymphok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local or bath local and systemic control of proliferative cell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510A true KR20040052510A (ko) 2004-06-23

Family

ID=2686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247A KR20040052510A (ko) 2001-06-14 2002-06-14 림포카인 제조 및 증식성 세포 질환의 국소 조절 또는국소와 전신 조절을 위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003074A1 (ko)
EP (1) EP1446423A4 (ko)
JP (1) JP2004538271A (ko)
KR (1) KR20040052510A (ko)
CN (1) CN1610694A (ko)
AU (1) AU2002312499B8 (ko)
CA (1) CA2449288C (ko)
WO (1) WO20021023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822B2 (en) * 2001-08-31 2004-11-30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 Ii Residual 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microparticles produced thereby
US20040185101A1 (en) * 2001-03-27 2004-09-23 Macromed, Incorporated. Biodegradable triblock copolymers as solubilizing agents for drug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649023B2 (en) * 2002-06-11 2010-01-19 Novartis Ag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ic compositions for drug delivery
EP2409707B8 (en) 2004-04-15 2015-05-06 Alkermes Pharma Ireland Limited Polymer-based sustained release device
US7456254B2 (en) * 2004-04-15 2008-11-25 Alkermes, Inc. Polymer-based sustained release device
US20080233199A1 (en) * 2007-03-22 2008-09-25 Alkermes, Inc. Coacervation Process
EP2596802A1 (en) 2011-11-23 2013-05-29 PLS-Design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llergic reactions
EP2674167A1 (en) 2012-06-14 2013-12-18 PLS-Design GmbH Controlled activation of complement components for use as endogenous adjuvant
EP2674168A1 (en) 2012-06-14 2013-12-18 PLS-Design GmbH Modulation of effector T cell responses by local depletion of complement component C3
EP2746396A1 (en) 2012-12-20 2014-06-25 PLS-Design GmbH Selective local inhibition of TNFR1-mediated functions at the site of antigen/allergen presentation
JP6143286B2 (ja) * 2013-05-13 2017-06-07 学校法人 関西大学 癒着防止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68017B2 (en) * 2016-08-15 2020-06-0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erivascular drug delivery system
WO2018041981A1 (en) * 2016-08-31 2018-03-08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Immunomodulation after locoregional anti-tumoral treament
JP6403297B2 (ja) * 2017-05-02 2018-10-10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癒着防止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7363D1 (en) * 1982-03-31 1988-08-18 Ajinomoto Kk Gene coding for interleukin-2 polypeptide, recombinant dna carrying said gene, cell lines possessing the recombinant dna,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leukin-2 using said cells
US5102872A (en) * 1985-09-20 1992-04-07 Cetus Corporation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s of interleukin-2
US4863726A (en) * 1987-05-29 1989-09-05 Cetus Corporation Combination therapy using immunotoxins with interleukin-2
AU4525589A (en) * 1988-10-27 1990-05-1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Liposome immunoadjuvants containing il-2
DE69033975T2 (de) * 1989-01-23 2002-10-02 Chiron Corp Rekombinanttherapien für Infektionen und hyperproliferative Störungen
US5830452A (en) * 1990-11-20 1998-11-03 Chiron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anti-tumor therapeutic index of interleukin-2
US5681562A (en) * 1991-06-25 1997-10-28 Sidney Kimmel Cancer Center Lymphokine gene therapy of cancer
NZ244306A (en) * 1991-09-30 1995-07-26 Boehringer Ingelheim Int Composition for introducing nucleic acid complexes into eucaryotic cells, complex containing nucleic acid and endosomolytic agent, peptide with endosomolytic domain and nucleic acid binding domain and preparation
US5419900A (en) * 1993-05-19 1995-05-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mmunologic enhancement with intermittent interleukin-2 therapy
US5631236A (en) * 1993-08-26 1997-05-20 Baylor College Of Medicine Gene therapy for solid tumors, using a DNA sequence encoding HSV-Tk or VZV-Tk
US6156305A (en) * 1994-07-08 2000-12-05 Baxter International Inc. Implanted tumor cell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US5626862A (en) * 1994-08-02 1997-05-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ed local delivery of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reating solid tumors
GB9506466D0 (en) * 1994-08-26 1995-05-17 Prolifix Ltd Cell cycle regulated repressor and dna element
US5641665A (en) * 1994-11-28 1997-06-24 Vical Incorporated Plasmids suitable for IL-2 expression
JP3201610B2 (ja) * 1995-03-17 2001-08-27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腫瘍を処置する方法
US6045788A (en) * 1996-02-28 2000-04-0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stimulation of immune response with low doses of IL-2
US6034072A (en) * 1997-02-10 2000-03-07 Genemedicine, Inc. IL-2 gene expression and delivery systems and uses
US6004573A (en) * 1997-10-03 1999-12-21 Macromed, Inc. Biodegradable low molecular weight triblock poly(lactide-co-glycolide) polyethylene glycol copolymers having reverse thermal gelation properties
JP4656725B2 (ja) * 1997-10-03 2011-03-23 プロセリックス・ソルト・レイク・シティ,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逆熱的ゲル化特性を有する生分解性低分子量トリブロックポリ(ラクチド−co−グリコリド)−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コポリマー
KR20010053259A (ko) * 1998-06-30 2001-06-25 스티븐 엠. 오드레 생물학적 활성제의 서방성 수송을 위한, 열에 민감하며생분해가능한 히드로겔
US6998137B2 (en) * 2000-04-07 2006-02-14 Macromed, Inc. Proteins deposited onto sparingly soluble biocompatible particles for controlled protein release into a biological environment from a polymer matrix
US20030228366A1 (en) * 2002-06-11 2003-12-11 Chung Shih Reconstitutable compositions of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03074A1 (en) 2003-01-02
WO2002102309A3 (en) 2004-06-17
CN1610694A (zh) 2005-04-27
EP1446423A4 (en) 2010-07-21
JP2004538271A (ja) 2004-12-24
CA2449288C (en) 2018-01-02
CA2449288A1 (en) 2002-12-27
AU2002312499B8 (en) 2007-08-30
AU2002312499B2 (en) 2007-04-19
AU2002312499A1 (en) 2003-01-02
WO2002102309A2 (en) 2002-12-27
EP1446423A2 (en)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kwill Tumour necrosis factor
Shaker et al. Interleukin-2: evaluation of routes of administration and current delivery systems in cancer therapy
US4832686A (en) Method for administering interleukin-2
CA2449288C (en) Formulations of lymphok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local or both local and systemic control of proliferative cell disorders
Egilmez et al. In situ tumor vaccination with interleukin-12-encapsulated biodegradable microspheres: induction of tumor regression and potent antitumor immunity
US5098702A (en) Combination therapy using interleukin-2 and tumor necrosis factor
US4863727A (en) Combination therapy using interleukin-2 and tumor necrosis factor
EP0863745B1 (en) Thermosensitive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on poly(ether-ester) block copolymers
JP4656725B2 (ja) 逆熱的ゲル化特性を有する生分解性低分子量トリブロックポリ(ラクチド−co−グリコリド)−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コポリマー
US5425940A (en) Combination therapy using interleukin-2 and tumor necrosis factor
Gu et al. Sustained release of bioactive therapeutic proteins from a biodegradable elastomeric device
Eliaz et al. Delivery of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from in-situ forming PLGA implants: in-vivo
JP2003531927A (ja) トリブロックポリエステル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コポリマーの混合物
CN1324374A (zh) 具有可逆热胶凝性能的可生物降解的低分子量三嵌段聚酯聚乙二醇共聚物
JP3283288B2 (ja) 生理活性ペプチド製剤
JP3187410B2 (ja) 脳内投与用徐放性製剤
US5830452A (en) Method for enhancing the anti-tumor therapeutic index of interleukin-2
Thomas et al. Microparticulate formulation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interleukin-2
Mulé et al. Antitumor effect of recombinant tumor necrosis factor-α against murine sarcomas at visceral sites: tumor size influences the response to therapy
Fujiwara et al. Application of an interleukin 2 slow delivery system to the immunotherapy of established murine colon 26 adenocarcinoma liver metastases
US11723956B2 (en) Immunomodulation after locoregional anti-tumoral treatment
Gu et al. Osmotic-driven release kinetics of bioactive therapeutic proteins from a biodegradable elastomer are linear, constant, similar, and adjustable
Sone et al. Local lnterleukin-2 Therapy for Cancer, and Its Effector Induction Mechanisms
US20060159657A1 (en) Formulations of lymphok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local or both local and systemic control of proliferative cell disorders
EP0563060B1 (en) Use of IL-4 and TNF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tumou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