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700A - 다기능의 치솔 - Google Patents

다기능의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700A
KR20040050700A KR1020030027909A KR20030027909A KR20040050700A KR 20040050700 A KR20040050700 A KR 20040050700A KR 1020030027909 A KR1020030027909 A KR 1020030027909A KR 20030027909 A KR20030027909 A KR 20030027909A KR 20040050700 A KR20040050700 A KR 2004005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eeth
formation
brus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김현수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재옥
김현수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옥, 김현수, 김현구 filed Critical 김재옥
Priority to KR102003002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700A/ko
Publication of KR2004005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8Musical instrument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1. 명칭 : 다기능의 치솔 2.선등록(실용)증제 0308091호 참조 경망
3. 조작 및 사용 : 편대(29)의 우측에는 실오래기(27)로 된 수박모양의 문지르게(34)를 결합해서, 구강내부의 입천정(57)과 혀밑바닥면(69)과 치아(52) 내측면과 표면들을 슬슬 문질러서 닦기를 하고
또 기틀(2)은 윗면(31)의 회전봉(27)에서 방향을 (T)형 형태로 또는 (-) 형태로 전환하면서 기틀(2)에 입설된 솔(6)로는 치아(52)의 외면을 닦다가 큰솔(7)로는 치아(52)의 연접된 오목한 곳에 끼여있던 찌꺼기 제거 닦기를 (T)형태로 치솔(1)을 바꾸어서 위로 밀었다 하측으로 당겼다 해서 완전 제거하는 구조의치솔(1).
부호의 설명
(1):치솔2:기틀 6:솔 7:큰솔 13:기틀돌설면
19:치솔대 20:상옆편 22:통로윗면 24:조정삔 21:통로옆홈
23:용수철 28:손가락집게 29:편대 30:손바닥집게 34:문지르게
37:실오래기 31:윗면

Description

다기능의 치솔{THE TOOTH BRUSH OF MULTI SKILL}
치아(53)(61)에서 웃잇빨(53)과 아랫니 잇빨(61)에서 치아(53)(61)의 측면쪽의 닦기는 잘 되는 상태지만 웃잇빨(53)과 아랫니잇빨(61)의 각 연접된 부분에 더 완전한 닦기와 또 입(51) 내부에서 입천정(57)을 좀 문질러서 구강 내부에서 부식된 나머지의 미세한 찌꺼기 제거와 또 아랫니 잇빨(61)의 내측면(65)과 오목한 곳(67)에도 부식된 나머지의 미세한 찌꺼기의 제거로 보다 더 완전한 이 닦기가 되어서 구강 내부의 위생적 향상 유지와 보건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원은 치아(53)(61)의 위생적 보건적 측면과 깊은 관련이 있는 치솔 제조산업 분야에 속하고, 일반 시중에서나 가정에서는 현존의 치솔은 많이 보급되어서 애용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에 동일한 치솔은 아직 없는 실정임.
웃잇빨(53)과 웃잇빨(53)이 서로 연접된 틈인 웃이틈(54)과 아랫니잇빨(61)과 아랫니잇빨(61)이 서로 연접 된 틈(62)에 박혀있는 찌꺼기등의 제거를 할 수 있는 형성과 구조와 또 입(51) 내부에서 입천정(57)을 문지르고 닦는 필요에 응할 수 있는 형성과 구조와 또 아랫니잇빨(61) 내부의 혀(68)의 밑부분이 되는 혀밑바닥면(69)등에도 문지르고 닦을 수 있는 치솔(1)의 형성과 구성의 과제를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원의 사시도
(1)은 기틀의 사시도
(2)는 치솔대의 사시도
제2도는 치솔대와 조종편의 사시도
(1)은 치솔대의 전도된 상태의 사시도
(2)는 기틀과 조종편의 작동상태의 사시도
(3)은 문지르게의 분리 사시도
(4)는 조종편의 후측 요부와 치솔대의 삽입공에 결합될 용수철의 사시도
(5)은 기틀의 밑면에 형성된 식부홈의 평면도
(6)은 기틀의 우고정홈쪽의 측면도
(7)는 기틀에 치솔대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기틀과 치솔대의 T자형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기틀과 치솔대와 조종편의 분리 및 결합의 작동상태의 사시도 및 A-A'선 단면도
(1)은 A-A'선 단면도
제5도는 치아의 사시도
(1)은 아랫니 이빨의 사시도
(2)는 웃이빨의 사시도
제6도는 솔과 치아와의 접촉 상태의 측면도.
부호의 설명
1:치솔2:기틀 3:밑면 4:식부홈 5:정면 7:큰솔 9:기틀윗면 10:회전공
13:기틀돌설면19:치솔대 21:통로옆면 22:통로윗홈 25:삽입공 27:회전봉
29:편대 31:윗면34:문지르게 36:섬유관 37:실오래기44:조조편
45:측편 48:삽입구 50:삽입구51:입 52:치아53:웃닛빨 54:웃니틈
57:입천정 59:목젓 60:혀바닥61:아랫니잇빨 63:아랫니잇몸 65:내측면
67:오목한 면
본원은 기틀(2) 및 치솔대(19)와 문지르게(34)와 조종편(44)의 결합과 조립으로 구성 되는바, 먼저 기틀(2)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형의 직육면 원통형체의 평면을 기틀윗면(9)의 한 쪽에 기틀돌설면(13)을 구축형성하고 또 이 중심에 한 개의 회전공(10)을 형성하고 또 배면(8)과 정면(5)에 한 개의 축고정홈(11)을 횡으로 형성하고 또 옆쪽에도 횡으로 한 개의 우고정홈(12)을 형성한 다음, 기틀(2)의 밑면(3)에 다수의 ()형의 식부홈(4)(4')을 규칙적으로 횡으로 종으로 일정의 수를 굴착 형성해서 ()형의 솔(6)을 접착제로 밑둥쪽에 발라서 꽂고 심은 다음, 또 ()형의 큰솔(7)을 형성해서 밑둥에 접착제를 발라서 식부홈(4')에꽂고 심어서, 솔(6)은 무더기로 한 쪽에 몰려있고 큰솔(7)은 기틀(2)의 기틀 돌설면(13)의 밑쪽에서 무더기로 배치된 상태로해서 본원의 기틀(2)의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본원의 치솔대(19)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막대형체의 치솔대(19)에서 타원형체의 윗면(31)과 그 밑쪽인 밑면(32)에 한 개의 회전봉(27)을 입설한 뒤, 밑면(32)에서 우측으로 하옆면(20')에 전방홈(26)과 밑통로홈(22')을 굴착 형성하고 또 막대형의 치솔대(19)의 평면에 상옆면(20)과 통로윗홈(22)과 삽입구(25')를 굴착 형성한 뒤 연장된 편대(29)의 하측으로는 손가락 집게(28)와 또 반대쪽에는 손바닥 집게(30)를 각각 형성한 뒤, 끝쪽으로 약간의 빈곳(33)을 남겨서 되는 치솔대(19)의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본원의 무지르게(34)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스폰지제로 타원형의 둥근형체에서 한쪽은 ()형의 입구(38)를 형성한 수박 모양의 기틀(35)을 형성한 다음, 섬유질()형의 크고 작은 실오래기(37)를 형성한 섬유관(36)을 형성한 다음 기틀(35)의 전체 표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섬유관(36)을 좌우로 펼쳐서 기틀(35)위에 맞도록 포개어서 놓은 뒤 문질러서 잠시 후 굳어진 상태로해서 본원의 문지르게(34) 형성 및 구성한 다음, 다시 치솔대(19)의 우측 끝쪽의 빈곳(33)의 상측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기틀(35)의 입구(38)로 밀어 넣어서 다시 굳어진 상태로 해서 문지르게(34)를 치솔대(19)의 빈곳(33)에 결합 및 부설한 다음,
본원의 조종편(44)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평평한 길다란 판지형체의 측면(45)에서 한 쪽 끝은 두 조각으로 분할해서 삽입편(46)과 삽입틀(47)을 형성하고 또 다른 한 쪽 끝에는 삽입구(48)(50)을 형성한 다음 또 삽입구(48)(50)을 형성한 ()형의 조종편(44)의 밑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판자형체의 삽입구(48)(50)에 포개어서 굳어진 상태로 해서 조종편(44)을 결합해서 구성한 뒤,
이상과 같이 형성 및 구성이 된 치솔(1)의 기틀(2) 및 치솔대(19)와 문지르게(34)와 조종편(44)을 다시 결합과 조립에 있어서는,
먼저 치솔대(19)에서, 기틀(2)을 잠시 분리한 뒤, 치솔대(19)의 윗면(31)쪽을 들어 올려서 비스듬히 한 뒤, 판자형체의 측편(45)에서 조종편(44)쪽을 전방홈(26)쪽으로 밀어 넣어서 통로윗홈(22)의 우측 끝 쯤에서 조종삔(24)을 삽입구(48)에 꽂고 또 용수철(23)의 좌측의 고정편(23')을 조종편(44)의 우측 끝쪽의 삽입구(50)에도 작은 삔을 꽂고 또 용수철(23)의 우측의 고정편(23")을 통로윗홈(22)의 맨 우측에 형성된 삽입공(25)에 꿰어서 삔을 삽입구(25')에 꽂아서 고정한 뒤, 별도의 입구(38)를 형성한 기틀(35)의 표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입구(38)와 실오래기(37)을 형성한 섬유관(36)을 다시 기틀(35)에 포개어서 굳어진 상태일 때, 다시 치솔대(19)의 편대(29)의 맨 끝쪽의 빈곳(33)에 접착제를 발라서, 기틀(35)의 입구(38)로 포개어서 굳어진 상태로 해서 본원의 치솔대(19)와 문지르게(34)와 조종편(44)의 결합과 조립을 다한 뒤, 다시 기틀(2)을 바르게 놓은 뒤, 치솔대(19)도 바르게 들고 밑면(32)에 입설된 회전봉(27)을 기틀(2)의 회전공(10)에 내려 꽂아서 결합과 조립을 끝 낸 다음,
본원의 작용상태의 설명에서는 회전봉(27)과 회전공(10)은 기틀(2)의 기틀윗면(9)에서 회전작용으로 (-)형으로 또는 (T)자형으로의 자유자재로운 회전을 하며 또 전방홈(26)은 조종편(44)의 삽입틈(47)을 우고정홈(12) 내부로 또 측고정홈(11) 내부로 밀어 넣었다 땠다의 작용을 하며 또 삽입틈(47)은 회전봉(27)의 양측에서 감싸는 작용을 하면서 기틀(2)을 뜨받치는 작용을 해서 기틀(2)이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며 또 통로옆홈(21)은 조종편(44)을 꿰어서 조종편(44)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원활한 작용을 하며 또 손가락 집게(28)는 치솔대(19)를 쥐고 작동을 할 때 손가락에서 촉감을 유발하고 또 손바닥집게(30)는 손바닥에서 어떠한 촉감을 유발하는 작용을 하며, 또 문지르게(34)는 스폰지 제품의 기틀(35)인 관계로 물렁물렁해서 오무라졌다 펴졌다 (수축과 팽창)의 기능을 하며 또 섬유관(36)의 많은 () 형의 실오래기(37)는 기틀(35)의 표면에서 입(51) 내부에서 치아(52)를 부드럽게 닦는 작용을 하게 하며 또 솔(6)은 치아(52)의 웃이빨(53) 및 아랫니이빨(61)의 각 표면을 닦는 작용을 하며 또 큰솔(7)은 웃니틈(54)과 아랫니틈(62)에 끼인 찌꺼기의 제거작용을 하며 특히 치솔대(19)가 (T)자형으로 할 때 작용의 효과는 더 크지며, 특히 식사후에 이쑤시게에 작용을 대신하며 또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곧 물한모금 입에 물고 어물어물하다가 내 뺐는 작용을 문지르게(34)가 대신 작용을 하는 다기능의 치솔(1).
본원의 사용과 조작에서는
(-)자형으로 결합 된 본원의 사용에서는 한 쪽의 손가락으로 치솔대(19)를움켜 쥔 뒤 치아(52)의 웃이빨(53)의 왼쪽으로 기틀(2)을 넣고 솔(6)(7)을 웃이빨(53)에 닿은 상태에서 우측으로 당겼다 좌측으로 밀었다 하면서 점차로 중앙쪽으로 문지르면서 우측까지 문지르면서 웃이빨(53)의 전체를 다 닦은 뒤, 다시 방향을 바꾸어서 웃이빨(53)의 납작한 면(56)도 좌측에서 부터 우측에 까지 다 닦은 뒤, 또 전체의 내측면(58)까지도 두루 닦은 뒤, 방향을 바꾸어서 아랫니이빨(61) 쪽의 왼쪽에서 기틀(2)을 넣고 솔(6)(7)을 아랫니(61)의 좌측에서 또 중앙으로 또 우측에로까지 골고루 닦은 뒤 아랫니의 납작한면(64)까지 다 닦은 뒤 다시 치아(52)의 웃니빨(53)과 웃니빨(53)의 각 사이의 연접된 웃니틈(54)과 아랫니틈(62)에 남아있는 찌꺼기 까지도 모두 완전히 제거하는 차원에서 치솔대(19)의 (-)자 형태에서, 다시 (T)자형태로 바꾸어서 사용함에서는 한손으로 치솔대(19)를 쥐고 다른 손가락으로 조종삔(24)을 눌러서 후방측으로 약간 밀며, 조종편(44)의 삽입틈(47)은 우고정홈(12)에서 부리 됐을 때, 한손으로 기틀(2)의 기틀돌설면(13)쪽을 잡고 우측으로 돌리면, 회전봉(27)은 회전공(10)에서 우측으로 회전을 하다가 (T)자형으로 됐을 때 멈춘 뒤, 다시 조종편(44)의 삽입틈(47)을 조종삔(24)을 밀어서 측고정홈(11)에 다시 삽입하면 치솔대(19)와 기틀(2)은 (T)자형으로 견고한 상태로 사용이 될 수 있게 한 다음,
치아(52)의 웃잇빨(53)과 아랫니이빨(61)을 물어서 합친상태에서 (T)자형의 기틀(2)을 입(51)안에 넣고 먼저 좌측쪽에서 하측으로 닷겼다가 또 위로 밀었다 하면서 중앙쪽으로 옮기면서 문지르다가 또 우측까지 다 문지르고 닦으면 웃잇빨(53)과 아랫니 잇빨(61)의 사이틈(54)(62)에 남았던 찌꺼기까지 완전 닦아 내는 작동을다한뒤, 다시 치솔대(19)의 끝쪽에 결합된 문지르게(34)를 다시 입(50)안으로 밀어 넣은 뒤 섬유관(36)의 실오래기(37)로 입천정(56)을 빙빙 돌리면서 전부 문지르고 다 닦은 뒤, 다시 웃이빨(53)의 전 내측면(58)을 문지른 뒤, 또 아랫니 이빨(61)의 내측면(65)까지도 모두 문지른 뒤 또 바닥면(66)과 오목한 곳(67)도 문지른 뒤 다시 혀밑바닥(69)과 혀(68)의 혀밑바닥(69)까지도 모두 문지르고 닦기로 완전 청소와 정돈까지 한 다음,
(T)자형태로 치솔질을 다 한 뒤 다시 (-)자형태로 바꾸어서 치솔대(19)를 통(컵)에 넣어서 보관코져 할 경우에는 먼저 조종삔(24)을 누르면서 후방쪽으로 약간 당기면 측고정홈(11)에 꿰어있던 삽입틈(47)은 측고정홈(11)에서 이탈하면서 분리가 됐을 때 다른 한 손으로 기틀(2)의 우고정홈(12) 쪽을 쥐고 자기 앞쪽으로 당겨서 (-)자형태로 될 때 다시 조종삔(24)에서 손을 떼면, 삽입틈(47)은 용수철(23)의 미는 힘에 의해서 손살같이 회전봉(27)의 양측에 끼워지게 되면서 견고한 (-)자 형으로 고정상태로 되어서 통(컵)에 넣어서 보관 할 수 있는 다기능의 치솔.
이상의 설명과 같이 사용에서 (-)자 형과 (T)자 형으로의 형태의 변경 사용하는데서 솔(6)은 치아의 측면을 닦고 큰솔(7)은 치아(52)의 웃니틈(54)과 아랫니틈(62)에 단단하게 붙은 찌꺼기 제거에 효과적이며 특히 (T)자 형태로 사용할 때 더 효과가 있으며 또 문지르게(34)의 실오래기(37)는 입(51)안의 입천정(57) 및 아랫니 바닥면(66)과 오목한 곳(67)과 내측면(58)(65)까지도 문지를 수 있으며, 또 조종삔(24)과 조정편(44)의 삽입틀(47)은 치솔대(19)의 (-)자형으로 또는 (T)자형으로의 변경된 형태를 견고 상태를 유지하며 또 이의 사용에서 조종이나 작동 등이간단 용이하며, 또 제조에서도 자재면에서나 기술면에서 어려움이 없는 합성수지재로 충당할 수 있는 다기능의 치솔.
1. (-)자형태로 또는 (T)자형태로 변경사용으로 밀었다 당겼다해서 손놀림이 자연적이 형태 및 감각으로 치솔질을 할 수 있으며,
2. 치아(52)의 각 틈(54)(62)에 끼어있는 나머지의 찌꺼기의 제거를 큰솔(7)로 완전 제거할 수 있으며
3. 문지르게(34)로 입천정(57)과 아랫니 바닥면(66)과 혀밑바닥면(69)과 오목한 곳(67)까지도 문질러서 치석의 발생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다기능의 치솔.
미사용의 부호

Claims (4)

  1. 타원형의 직육면체형의 기틀(2)의 위쪽 평면의 한쪽의 기틀돌설면(13)을 구축 형성하고 하측으로 기틀윗면(9)에 한 개의 회전공(10)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정면(5)과 배면(8)에 측고정홈(11)과 우측으로 우고정홈(12)을 굴착형성하고 기틀(2)의 밑면(3)에 다수의 식부홈(4)을 일정의 규칙적으로 형성해서 ()형의 솔(6)을 일정 수 만큼, 접착제를 밑부분에 발라서 일정의 깊이로 형성된 식부홈(4)에 꽂아서 굳어진 상태로 한 다음, ()형의 큰 솔(7)을 형성해서 밑부분에 접착제를 발라서 기틀돌설면(13)의 하측에 네 개를 일열로 심고 꽂아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치솔.
  2. 제1항에 있어서 막대형의 치솔대(19)의 형성 및 구성에 있어서는 한 쪽인 좌측은 타원형체의 윗면(31)과 하측으로 밑면(32)에 한 개의 회전봉(27)을 입설한 뒤, 우측으로 연장 된 치솔대(19)의 첫번째에 한개의 전방홈(26)을 굴착 형성하고, 막대형의 평면체의 평면에 상옆편(20)과 하측에 하옆편(20')을 형성된 곳에서 먼저 상옆편(20)에는 길다랗게 통로윗홈(22)과 좌우양측면에도 길다랗게 통로옆홈(21)을 굴착형성하고 밑쪽으로 하옆편(20')에 밑통로홈(22')을 굴착형성하고 또 우측으로 연장된 치솔대(19)에는 잔주름형의 손바닥집게(30)를 형성하고 또 치솔대(19)의 편대(29)의 중간쯤에서 밑쪽으로 ()형의 손가락집게(28)를 일정의 간격으로형성하고 또 통로윗홈(22)의 우측끝에 한개의 삽입공(25)을 형성하고 또 편대(29)의 끝 쪽에 빈곳(33)을 남겨 놓는 치솔대(19)의 형성 및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치솔.
  3. 제1항에 있어서 입구(38)와 내부(41)로 형성되는 기틀(35)의 전체표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실오래기(37)로 구성된 수박모양의 섬유관(36)을 기틀(35)에 포개어서 문지르게(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치솔.
  4. 제1항에 있어서
    조종편(44)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평평하고 납작한 판자형체에서 얇게 측편(45)을 형성해서 전방으로 끝 쪽을 양분해서 두가닥의 삽입편(46)과 중앙을 삽입틈(47)을 형성하고, 또 반대 쪽에는 삽입구(48)(50)를 굴착 형성한 뒤, 다시 조종편(44)의 중앙에 두 개의 삽입구(48)(50)를 형성한 뒤, 다시 조종편(44)의 밑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측면에 형성된 삽입구(48)(50)에 조종편(44)의 삽입구(48)(50)를 포개어서 고정상태로 한 뒤 다시 용수철(23)의 좌측의 고정삔(23')을 삽입구(49)에 꽂고 다시 조종삔(24을 삽입구(48)에 꽂고 또 다른 삔을 삽입구(50)에 꽂아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치솔.
KR1020030027909A 2003-04-22 2003-04-22 다기능의 치솔 KR20040050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909A KR20040050700A (ko) 2003-04-22 2003-04-22 다기능의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909A KR20040050700A (ko) 2003-04-22 2003-04-22 다기능의 치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071U Division KR200308091Y1 (ko) 2002-12-09 2002-12-09 다 기능의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700A true KR20040050700A (ko) 2004-06-16

Family

ID=3734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09A KR20040050700A (ko) 2003-04-22 2003-04-22 다기능의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784A3 (ko) * 2009-06-03 2011-03-24 Woo Jung Wan 회전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784A3 (ko) * 2009-06-03 2011-03-24 Woo Jung Wan 회전 칫솔
KR101026009B1 (ko) * 2009-06-03 2011-03-30 우정완 회전 칫솔
US8813300B2 (en) 2009-06-03 2014-08-26 Jung Wan Woo Rotary toothbru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894B1 (ko) 내부 잇몸 홈 스크레이핑 털들을 구비한 칫솔
EP1009253B1 (en) A toothbrush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JP3200749U (ja) 歯ブラシヘッド
AU2012245740B2 (en) Dental cleaning device
CN105722428B (zh) 口腔护理器具
CN102065724A (zh) 具有带定向清洁的组织清洁元件的口腔护理器具
JP7080379B2 (ja) 義歯から義歯接着剤を除去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道具を備えた口腔清掃器具
KR10256901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 칫솔
KR20040032038A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WO2006011272A1 (ja) 隙間清掃用フィン及び隙間清掃具
KR20040050700A (ko) 다기능의 치솔
KR200308091Y1 (ko) 다 기능의 치솔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0377264Y1 (ko) 회전장치의 치솔
CN204743066U (zh) 一种多效折叠种植牙颈缘清洁刷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CN205410232U (zh) 带有细的锥形刷毛和配料及刮舌器的牙刷
JP3235226U (ja) 一体型歯間歯ブラシ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0399981Y1 (ko) 종합 치솔
JP2000125940A (ja) 歯ブラシ
KR200407515Y1 (ko) 구석 구석이 잘 닦이는 기능성 치솔
JP2023007284A (ja) 歯ブラシ
KR200278333Y1 (ko) 치석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