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464A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464A
KR20040050464A KR1020020078308A KR20020078308A KR20040050464A KR 20040050464 A KR20040050464 A KR 20040050464A KR 1020020078308 A KR1020020078308 A KR 1020020078308A KR 20020078308 A KR20020078308 A KR 20020078308A KR 20040050464 A KR20040050464 A KR 2004005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screen
projector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7307B1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307B1/en
Publication of KR2004005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3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are provided to display an operational state of an image display unit and to correct keystone by displaying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image display unit on a screen using a separate display unit. CONSTITUTION: A projector(200) includes a microcomputer(10') for controll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projector(200), a remote signal receiving section(12) for receiving ON/OFF signals from a remote controller(13) positioned at an external portion of the projector(200), and an AC power receiving section(24) for receiving AC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 power section(14) is provided to supply driving voltage to each component of the projector(200). A lamp provides white light to an LCD panel section(18). A cooling fan(20) is provided to lower a temperature of the lamp. A laser beam generating section(26) is provided to project a laser beam onto a screen.

Description

레이저빔을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 및 키스톤 보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Display and operation of keystone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using laser bea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본 발명은 동작 상태 표시 및 키스톤 보정이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고,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키스톤을 보정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a keystone,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externally by using a laser beam, and to correct keystones displayed on a screen.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ereof.

최근에는 정보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대화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대형 크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로는 투사형(projection) 영상 표시 기기가 많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 특히 LCD 프로젝터가 많이 선호된다. 이러한 LCD 프로젝터는 세미나 발표 등의 용도 이외에도 가정용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점차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industry, the demand for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large screen image is increasing. As such, a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is widely used as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large sized image, and an LCD projector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s such as seminar presentations, such LCD projector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display devices for home digital TVs.

도 1은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 예컨대 LCD 프로젝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projector 10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CD 프로젝터(100)는 그 프로젝터 내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10)과, 프로젝터 외부에 위치한 리모콘(13)으로부터 ON/OFF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12)와, 외부로부터 교류(AC) 전원을 수신하는 AC 전원 수신부(24)와, 상기 마이콤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AC 전원 수신부(24)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원을 변환시켜 각 구성 요소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4)와, LCD 패널부(18)에 백색 광을 제공하는 램프(16)와, 상기 램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팬(20)과,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LED 등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는 상태 표시부(2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CD projector 100 includes a microcomputer 10 that controls each component in the projector, a remote controller receiver 12 that receives an ON / OFF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13 located outside the projector. And converting AC power provided from the AC power receiver 24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an AC power receiver 24 that receives AC power from the outside to provide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A power supply unit 14, a lamp 16 for providing white light to the LCD panel unit 18, a cooling fan 20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lamp,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or. It is provided with the state display part 22 comprised.

상기 상태 표시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이 상태 표시부(22)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state display unit 22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or as shown in FIG. 2, and the user can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through the state display unit 22.

이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에서 상태 표시부는 통상적으로 프로젝터의 상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프로젝터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 특히 전원 ON 신호가 입력된 후에 프로젝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rojector, since the status display unit is usu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or, when the projector is mounted on the ceiling, the user can operate the projector normally aft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in particular, the power ON signal is inp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identify whether or not.

또한, 상기 프로젝터가 수평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프로젝터가 넓은 장소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로젝터에 상부면에 있는 상태 표시부의 LED 등의 표시를 먼 거리에서 식별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rojector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plane, when the projector is used in a large plac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identify an LED, such as an LED, of a status display unit locat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projector at a long distance.

한편, 프로젝터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없는 부가 기능으로서 키스톤(keystone) 보정이 필요하다. 키스톤이란, 프로젝터 내에서 투사된 빛이 투사 렌즈를 통과하면서 스크린에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의 영상이 표시되는 왜곡 현상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or needs keystone correction as an additional function not found in other display devices. Keystone refers to a distortion phenomenon in which a projected non-rectangular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while light projected in the projector passes through a projection lens.

이하,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키스톤 왜곡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LCD 프로젝터의 비상향 투사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영역 및 그 모양을 각각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등의 수평면에 프로젝터를 설치하고 영상을 비상향 방식으로 투사하는 경우에, 최상단의 투사 거리(d1)와 최하단의 투사 거리(d2)가 동일하게 되어(즉, d1=d2),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프로젝터가 설치된 수평면의 연장선 아래 부분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and FIGS. 4A and 4B, the reason why the above-described keystone distortion occurs is described. 3A and 3B show regions and shapes of images displayed on a screen during the projection of an LCD projector,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A, when the projector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plane such as a table and the image is projec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uppermost projection distance d1 and the lowermost projection distance d2 become equal (i.e., d1 = d2), a rectangular imag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B. However,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in that an image is displayed under the extension line of the horizontal plane where the projector is install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향 투사 방식으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d1〉d2가 되어 스크린에 표시된 영상은 도 4b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이 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사다리꼴의 모양을 띠게 되는 왜곡 현상을 키스톤이라고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image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in the upward projection method as shown in FIG. 4A. In this case, d1> d2,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becomes trapezoidal as shown in FIG. 4B. As described above, a distortion phenomenon in which an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becomes trapezoidal is called keystone.

이러한 키스톤 왜곡 현상을 보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가 육안을 통해 영상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보정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별도의 기준점이 없어 개인에 따라 영상의 형태가 상이해지고, 또한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rrect such a keystone distortion phenomenon, the user has corrected the image so that the image becomes a rectangle through the naked eye, but in this case, there is no separate reference point, so the shape of the ima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the operation is unfamili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orrec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수단과, 키스톤 보정시 별도의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cognizing this problem, by providing a means to more easily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or, and by providing a separate reference for keystone cor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프로젝터의 상부면에 표시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스크린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on a screen by providing a separat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It is to provide a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be grasped.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키스톤 보정시 스크린 상에 기준점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키스톤 보정시 이를 참조하여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키스톤을 보정할 수 있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reference point on a screen during keystone correction so that a user can correct keystone more accurately and easily by referring to the keystone correc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LCD 프로젝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LCD projector;

도 2는 종래의 LCD 프로젝터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a projector in a conventional LCD projector.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LCD 프로젝터에 있어서, 비상향 투사시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hape of an image projected on a screen during non-directional projection in a conventional LCD projector.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LCD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향 투사시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hape of an image projected on a screen during upward projection in a conventional LCD projecto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프로젝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LCD pro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프로젝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LCD pro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있어서, 키스톤 보정방법을 도시한 도면.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in a pro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 표시 및 키스톤 보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display and a keystone correction algorithm of a pro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10':마이콤 12: 리모콘 수신부 13: 리모콘10, 10 ': micom 12: remote control receiver 13: remote control

14: 전원부 16: 램프 18: LCD 패널부14: power supply portion 16: lamp 18: LCD panel portion

20: 냉각팬 22: 상태 표시부 24: AC 수신부20: cooling fan 22: status display portion 24: AC receiver

26: 투사 렌즈 28: 레이저빔 발생부 30: 레이저빔 포인트26: projection lens 28: laser beam generator 30: laser beam point

100: LCD 프로젝터100: LCD projector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전면부에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되며, 상기 마이콤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을 투사하는 레이저빔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스크린 상에 소정 형상의 레이저빔 포인트를 형성한다.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mico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a front side of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om. And a laser beam generator for projecting a laser beam on the screen, wherein the laser beam projected by the laser beam generator forms a laser beam point of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screen.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콤은 외부로부터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램프가 ON 될 때까지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로부터 레이저빔을 스크린에 투사시킨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when the power 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microcomputer projects the laser beam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on the screen until the lamp is turned on.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콤은 외부로부터 키스톤 보정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로부터 레이저빔을 스크린에 투사시킨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when the keystone correction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microcomputer projects the laser beam on the screen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 ON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레이저빔 발생부를 ON 시켜 레이저빔을 스크린 상에 투사하는 단계와,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램프를 ON 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FF시켜 레이저빔의 투사를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 포인트를 형성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a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in a standby mode, receiving a power ON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and turning on a laser beam generator to project a laser beam onto a screen. And turning on the lamp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urning off the laser beam generator to stop the projection of the laser beam, wherein the laser beam projec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is a laser beam on a screen. Form a point.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키스톤 보정 방법은 외부로부터 키스톤 보정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N 시켜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을 투사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키스톤 보정 신호에 응답하여 키스톤을 보정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키스톤 보정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keystone correction method of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keystone correction command signal from the outside, turning on the laser beam generator to project a laser beam on the screen, and receiving from the outside Correcting the keystone in response to the predetermined keystone correction signal, and turning off the laser beam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keystone correction comple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스크린 상에 직사각형 형상의 레이저빔 포인트를 형성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laser beam projec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forms a rectangular laser beam point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르면,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를 스크린에 투사되는 레이저빔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키스톤 보정시 스크린에 형성되는 레이저빔 포인트가 그 기준점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키스톤 보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laser beam projected on the screen, and the laser beam point formed on the screen serves as a reference point when the keystone is corrected. Keystone correction can be performed.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프로젝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LCD 프로젝터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며, 동일한 기능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LCD pro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LCD projector illustrated in FIG. 1, and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는 프로젝터 내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10')과, 프로젝터 외부에 위치하는 리모콘(13)으로부터 ON/OFF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12)과, 외부로부터 교류(AC) 전원을 수신하는 AC 전원 수신부(24)와, 상기 마이콤의 제어 신호에 상기 AC 전원 수신부(24)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원을 변환시켜 각 구성 요소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4)와, LCD 패널부(18)에 백색 광을 제공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팬(20)과,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LED 등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는 상태 표시부(22)와,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을 투사시키는 레이저빔 발생부(26)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rojecto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ON / OFF signal from a microcomputer 10 ′ controlling each component in the projector and a remote controller 13 located outside the projector. A remote control receiver 12, an AC power receiver 24 for receiving AC power from the outside, and AC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receiver 24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to convert each component. A power supply unit 14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amp, a lamp for providing white light to the LCD panel unit 18, a cooling fan 20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lamp, an LED lamp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or, and the like. And a status display section 22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aser beam generating section 26 for projecting a laser beam on the screen.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전면부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전원이 ON 되면, 레이저빔을 스크린 상에 투사하여 네 개의 레이저빔 포인트(30)를 형성한다(도 7a 내지 도 7c 참조). 이 네개의 레이저빔 포인트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전원 ON 신호가 입력된 후에 램프가 ON될 때까지 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상기 프로젝터가 동작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 준다.As shown in FIG. 6, the laser beam generator 26 is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front part of the projector. When the power of the projector is turned on, the laser beam generator 26 projects four laser beam points 30 by projecting the laser beam onto a screen. ) (See FIGS. 7A-7C). These four laser beam poi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the power ON signal is input in the standby mode until the lamp is turned on to inform the user that the projector is operating.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 발생부(26)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렌즈를 통과하지 않고 직진하므로,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빔 포인트(30)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을 이룬다. 상기 레이저빔 포인트(30)는 스크린 상에 투사하고자 하는 영상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키스톤 보정시에 상기 레이저빔 포인트(30)를 기준점으로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키스톤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A, since the laser beam projected by the laser beam generator 26 goes straigh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lens, the laser beam point 30 formed on the screen is shown in FIGS. 7B and 7C. As shown, it has a rectangular shape. Since the laser beam point 30 form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size similar to the size of the image to be project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correct the keystone by using the laser beam point 30 as a reference point during keystone correction. You can correct it.

도 7b 및 도 7c는 상기 레이저빔 포인트(30)를 기준으로 키스톤을 보정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7b는 보정전에 사다리꼴 형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7c는 레이저빔 포인트(30)를 기준점으로 하여 키스톤 보정이 수행되어 직사각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7B and 7C illustrate an example of correcting a keystone based on the laser beam point 30. That is, FIG.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rapezoidal image is displayed before correction, and FIG. 7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ectangular image is displayed by performing keystone correction using the laser beam point 30 as a reference point.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프로젝터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프로젝터의 ON 동작시 동작 상태의 표시 및 키스톤 보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CD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state display and a keystone correction algorithm when the projector is turned on.

도 8을 참조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단계 110), 마이콤(10')은 LED 등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상태 표시부에 스탠바이 모드 상태임을 표시한다(단계 112). 다음,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ON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114), 마이콤은 레이저빔 발생부(26)에서 레이저빔을 발생시켜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 포인트 형성하고(단계115), 프로젝터의 동작이 개시되었음을 상태 표시부(22)에 표시한다(단계 116). 그 다음에, 마이콤은 냉각팬(20)을 가동시키고(단계 118), 램프를 충분히 냉각시킨 후에 램프를 ON시킨다(단계 120). 다음에, 마이콤은 상태 표시부(22)에 현재의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 후에(단계 122), 레이저빔 발생부를 OFF시켜 레이저빔의 투사를 중지시킨다(단계 124). 다음, 프로젝터는 정상적인 ON 모드로 들어간다(단계 126). 다음에, 사용자로부터 키스톤 보정을 명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128), 마이콤은 레이저빔 발생부(26)로부터 레이저빔을 투사하여 스크린에 레이저빔 포인트를 형성한다(단계 130). 다음, 마이콤은 스크린에 키스톤 보정용 OSD를 출력한다(단계 132). 사용자가 스크린과 OSD를 보면서 키스톤 보정키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되는 키스톤 보정 신호에 응답하여, 키스톤을 보정한다(단계 134). 이때, 사용자는 스크린에 형성된 레이저빔 포인트를 기준점으로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키스톤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키스톤의 보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스톤 보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136), 키스톤 보정용 OSD를 OFF시킨다(단계 138). 다음, 레이저빔 발생부를 OFF시킨다(단계 140). 이로써, 프로젝터의 ON 동작시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 표시 및 키스톤 보정 알고리즘을 종료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standby mode (step 110), the microcomputer 10 ′ indicates that the standby mode is in a state display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step 112). Next, when the power ON signal is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step 114), the microcomputer generates a laser beam on the screen by generating the laser beam in the laser beam generator 26 (step 115), and the operation of the projector is started. Display is made on the display section 22 (step 116). Next, the microcomputer starts the cooling fan 20 (step 118), and turns the lamp on after sufficiently cooling the lamp (step 120). Next, afte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or on the status display section 22 (step 122), the laser beam generating section is turned off to stop the projection of the laser beam (step 124). Next, the projector enters the normal ON mode (step 126). Next, when a signal for commanding keystone corre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128), the microcomputer projects a laser beam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26 to form a laser beam point on the screen (step 130). Next, the micom outputs a keystone correction OSD on the screen (step 132). In response to the keystone correction signal generated as the user operates the keystone correction key while viewing the screen and the OSD, the keystone is corrected (step 134). At this time, the user can correct the keyston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based on the laser beam point formed on the screen. Then, when a keystone correc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indicating that the keystone correction is completed (step 136), the keystone correction OSD is turned off (step 138). Next, the laser beam generator is turned off (step 140). This terminates the display of the projector's operation status and the keystone correction algorithm during the ON operation of the projector.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 표시 및 키스톤 보정이 일련의 동작 알고리즘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와, 키스톤 보정의 일련의 단계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되는 동작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operation state display and keystone correction of the projector are performed in a series of operating algorithms, but need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n embodiment of performing an operation algorithm composed of only one of a series of steps of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and a series of steps of keystone correction is possible.

한편, 프로젝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빔 발생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레이저 빔 포인트를 스크린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키스톤 보정시에는 적어도 4개의 레이저빔 포인트가 스크린상에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laser beam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rojector. In particular, when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t least one laser beam poin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creen, and in keystone correction, at least four laser beam points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screen to form a rectangular shape. .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터의 전면부에 설치된 레이저빔 발생부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스크린 상에 형성된 레이저빔 포인트를 통해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프로젝터가 천장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이 넓은 장소에서 프로젝터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스크린 상에 형성된 레이저빔 포인트를 통해 프로젝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or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laser beam point formed on the screen by the laser beam projec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installed in the front part of the projector, the projector is installed on the ceiling. Even in this case, the user can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or at a gla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projector is used in a larg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or can be easily identified through the laser beam point formed on the screen.

한편,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빔 포인트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므로, 프로젝터의 키스톤 보정시, 보정의 기준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레이저빔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키스톤을 보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ser beam point formed on the screen has a rectangular shape, it can serve as a reference point for correction during keystone correction of the projector. Therefore, the user can correct the keyston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based on the laser beam point.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Claims (6)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In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상기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상기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전면부에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되며, 상기 마이콤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을 투사하는 레이저빔 발생부를 포함하며,At least one or mor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aser beam generator for projecting a laser beam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 포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And a laser beam projec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to form a laser beam point on a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콤은 외부로부터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램프가 ON 될 때까지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로부터 레이저빔을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And the micom is configured to project the laser beam onto the screen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until the lamp is turned on when the power 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콤은 외부로부터 키스톤 보정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로부터 레이저빔을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And the micom projects the laser beam onto the screen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when the keystone correction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빔 포인트는 복수 개이며,There are a plurality of laser beam points formed on the screen, 상기 복수 개의 레이저빔 포인트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인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And said plurality of laser beam points form a rectangular shape. 전면부에 레이저빔 발생부를 구비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laser beam generator in the front surface, 스탠바이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 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a power on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tandby mode;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N 시켜 레이저빔을 스크린 상에 투사하는 단계와,Turning on the laser beam generator to project a laser beam onto a screen;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램프를 ON 시키는 단계와,Turning on the lamp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FF시켜 레이저빔의 투사를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Turning off the laser beam generator to stop projection of the laser beam;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 포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 방법.And a laser beam projec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to form a laser beam point on a screen. 전면부에 복수 개의 레이저빔 발생부를 구비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키스톤 보정 방법에 있어서,In the keystone correction method of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aser beam generator in the front surface, 외부로부터 키스톤 보정을 수행하게 하는 키스톤 보정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a keystone correction command signal from which an external keystone correction is performed;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N 시켜 스크린 상에 레이저빔을 투사하는 단계와,Turning on the laser beam generator to project a laser beam onto a screen;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키스톤 보정 신호에 응답하여 키스톤을 보정하는 단계와,Correcting the keystone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stone corr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키스톤 보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키스톤 보정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를 OFF시키는 단계Turning off the laser beam generator in response to a keystone correction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keystone correc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is completed; 를 포함하는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키스톤 보정 방법.Keystone correction method of the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KR10-2002-0078308A 2002-12-10 2002-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KR100517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308A KR100517307B1 (en) 2002-12-10 2002-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308A KR100517307B1 (en) 2002-12-10 2002-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464A true KR20040050464A (en) 2004-06-16
KR100517307B1 KR100517307B1 (en) 2005-09-27

Family

ID=3734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308A KR100517307B1 (en) 2002-12-10 2002-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3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40B1 (en) * 2006-06-27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rrecting keystone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09A (en) * 1994-06-23 1996-01-12 Canon Inc Display method and its device
JP2000081593A (en) * 1998-09-04 2000-03-21 Canon Inc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and video system using the same
JP2000122617A (en) * 1998-10-12 2000-04-28 Toshiba Corp Trapezoidal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JP2001169211A (en) * 1999-12-06 2001-06-22 Hitachi Ltd Video projector and distortion correcting method therefor
KR100643406B1 (en) * 2000-06-28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mpensing a key-ston in a proj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40B1 (en) * 2006-06-27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rrecting keystone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7307B1 (en)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0602B2 (en) Projection system, project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20026429A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projector, and menu image display method therefor
WO2010023868A1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device
JP2008216805A (en) Image projection system and image projection device
JP2012088636A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projector
US10495954B2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US7119855B2 (en) Image display with display-switching function
JP2007233028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5217194B2 (en) projector
JP2004045912A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KR1005173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correcting keystone distortion using laser beam in a image display device
US11706393B2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projected image
JP5083506B2 (en) Projector,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1101637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12035A (en) Projector
JP2007225859A (en) Projector
JP2009294349A (en) Projector having image adjusting function
JP2016008999A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US1064352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6707959B2 (en) Projector and projector control method
JP2013120258A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2009134219A (en) Projector
JP2009027606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2021056265A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JP2009217663A (en) Display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