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396A -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396A
KR20040050396A KR1020020078219A KR20020078219A KR20040050396A KR 20040050396 A KR20040050396 A KR 20040050396A KR 1020020078219 A KR1020020078219 A KR 1020020078219A KR 20020078219 A KR20020078219 A KR 20020078219A KR 20040050396 A KR20040050396 A KR 2004005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cheongung
prepar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미라
김정현
김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396A/ko
Publication of KR2004005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일산화질소를 생성시키는 일산화질소 생성제의 제조에 필요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궁, 천궁의 분말, 천궁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궁, 그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혈관 내피의 일산화질소(NO)의 생산을 매개로 하는 혈관 이완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원재료 및 그 생산 결과물의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용혈, 어독성 등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아 생리적 활성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큰 NO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각종 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환기 계통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병, 고혈압, 뇌일혈, 동맥경화, 혈액순환 장애, 신경통, 당뇨병, 성기능 장애, 기억력 장애 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시에 처방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하고 저렴한 NO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혈관이완제 등의 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조성물{Composition for nitric oxide-mediated vasorelaxation of Rhizoma ligusticum wallichii and pharmaceutical compos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일산화질소를 생성시키는 일산화질소 생성제의 제조에 필요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궁, 천궁의 분말, 천궁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용식물은 수백년동안 동양에서 전통적인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현재는 다양한 건강문제를 치료하는데 있어 식물의 전통적인 이용법과 과학적인 이용사이의 지식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영양학분야에서의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흔히 사용되는 천궁은 체내 혈액의 순환을 증가시키고, 혈행의 정지(울혈, stasis)를 경감시키는 용도로 동양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Chen, 1981), (Chiou et al. 1991).
천궁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활성물질로서 테트라메틸피라진 (tetramethylpyrazine)이 1957년 처음으로 분리되었고 1970년대부터 중국에서 협심증(angina pectoris)과 뇌허혈성 증후군(cerebral ischemic syndromes)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Koberstein et al. 1969), (Lu et al. 1978), (Peking Pharmaceutical Industries Laboratory, 1978). 왕(Wang) 등(1979)은 인산 테트라메틸피라진(tetramethylpyrazine phosphate)이 마취시킨 개의 심장에서 양성 근수축 및 주기변동 효과(positive inotropic and chronotropic effects)를 나타내고 말초혈관에 직접적인 이완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테트라메틸피라진은 또한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관상혈액의 흐름을 증가시키고(Zeng et al. 1982), 심신순환 모두에 강력한 이완 작용을 가지며(Dai & Bache, 1985), 폐에서 이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i et al. 1989), (Cai & Barer, 1989). 그러나 혈관에 대한 천궁의 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어, 쥐 대동맥의 혈관장력(vascular tone)에 대한 천궁의 효과와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편,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이하 'NO'라 함)에 관한 연구는 Furchgott와 Zawadszki에 의해 1980년에 시작된 후, 급속도로 발전된 연구분야 중 하나이다(Nature 288, 373, 1980). NO의 생합성 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은 1990년대 초에 이르러 많이 밝혀졌고, 최근 수년에 걸쳐서는 질병의 병태나 치료의 측면에서 NO 연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현재는 의학연구가, 임상의들이 가장 큰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O와 질환간의 관계를 말한다면, NO에 대한 연구의 시작이 혈관순환계에서 비롯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NO는 자율신경, 내분비계, 중추신경계, 면역관계 및 신생물을 망라한 의학의 전분야에서 연구 및 임상에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질환치료의 임상에서는 120년 이전부터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이 협심증의 치료약으로 유효하다는 보고(1879년, Murrell)가 있은 이래, 그 작용기전은 불명확하나 NO를 공급하는 약물을 심장병의 치료약으로 사용하여 왔다. 또한 NO 및 NO 관련물질은 사람의 본태성고혈압, 폐성고혈압과 신성고혈압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하며, 사람의 관상동맥질환(허혈성 심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조제되어지는 물질이다.
지금 현재 NO 생성약물(NO donor)이 치료 약물로 인정되고 있는 질환으로는 대표적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고혈압 등이 있으며, 내복약 이외에 주사제, 패치제(patch), 설하제, 스프레이제, 흡입제 등의 응용도 시도되고 있다. 그 외에도 남성의 임포턴스도 NO와 연관이 있는데, 최근에 파이자(社)에 의해 개발되어 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이아그라 또한 NO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약물이다. 앞으로의 연구 테마는 NO를 생성시킬 수 있는 물질 중 저렴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 높은 물질을 발견하는 방향으로 점차 집중되고 있다.
대표적인 NO 생성약물의 용도는 혈관 이완제인데, 일반적으로 순환기 계통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고혈압, 뇌일혈, 동맥경화, 혈액순환 장애, 신경통, 성기능 장애, 기억력 장애 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혈관 이완제는 가장 필수적 처방이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지금까지 수많은 혈관 이완제가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를 응용하여 바이아그라 등 성기능 장애를 극복하는 용도로만 한정하여 시판하는 약제도 다수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혈관 이완제는 크게 화학적 약품과 생약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NO 생성제 또는 혈관 이완제는 생체 내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부작용, 예를 들면 내피 손상, 용혈, 급성 독성이나 어독성 등과 급성 신장염, 심장마비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고, 생산 공정이 매우 까다로워서 대량 생산이 곤란한 점이 있었다. 특히 그 중 바이아그라 등 화학적 혈관 이완제 약품은 심장마비 등 몇 가지 생명에 치명적인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는 형편이어서 현재로서는 안전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는 상태는 아니라 할 수 있다.
한편, NO 생성제 또는 혈관 이완제인 생약 중 전통 생약제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의 임상실험을 거친 것이므로 생명에 치명적인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삼의 사포닌 성분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혈관 이완제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피 손상, 용혈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99-201585호에 의한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Rg3및 Rg5를 주요 성분으로하는 혈관 이완제 등에서와 같이 이러한 부작용이 없다고 보고된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생약의 경우는 화학적 약품의 경우보다는 그 부작용을 많이 줄일 수 있겠으나, 이에 반해 NO 생성제 또는 혈관 이완제를 만들기 위하여 원재료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유의성 있는 유효 성분의 양이 대개의 경우에 매우 극소량이다. 또한, 산삼, 인삼이나 코뿔소 뼈, 호랑이 뼈, 웅담, 희귀 동식물 등 원재료를 구하는 것이 물리적 또는 사회적으로 곤란하거나 가격이 매우 고가여서 그 추출물도 고가가 되므로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는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궁 또는 그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혈관 내피의 일산화질소(NO)의 생산을 매개로 하는 혈관 이완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원재료 및 그 생산 결과물의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용혈, 어독성 등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아 생리적 활성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큰 NO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혈관 이완제 등 각종 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내피 의존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농도 의존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각종 혈관이완 저해제의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로서 테트라메틸피라진의 내피 의존성 및 NO 합성 저해제에 대한 효과를 설명한 그래프.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궁, 천궁의 분말, 천궁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종래부터 존재하고 있는 천궁 또는 그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NO 생성제 조성물 용도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특정 용도에 관련되는 물질은 천궁 또는 그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다.
먼저 본 발명의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천궁이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를 분쇄하여 분말을 사용하며, 그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의하여 생산된다. 다만 상기의 사용 형태 중 천궁을 그대로 또는 분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의 함량이 적고 표준화되기 곤란하므로 예방 또는 치료 등 실제 임상에 적용시에는 이를 고려하여 그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약품제조산업에 적용되어 대량 생산하는 경우 등을 고려할 때 실용적인 견지에서는 표준화된 함량을 가지도록 적절히 통제된 과정에 의하여 생산되는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은 천궁을 물, 저급 알콜 또는 유기용매 등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저급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을, 유기용매로서는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추출용매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회수율이 가장 높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은 천궁 건조분말에 약 5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균질화시키고, 10,000×g로 약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건조후 동결건조하면 고형의 천궁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천궁 추출물의 유의성 있는 유효 성분 농도는 0.03∼0.5㎎/㎖가 바람직하다.
천궁의 혈관이완 작용 및 그 작용 기전을 알아내기 위하여 조직수조(organ bath)내에서 쥐 대동맥의 혈관수축의 변화에 대해 실험하였는데, 내피세포가 존재하는 쥐 대동맥을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이하 'NE'이라 한다.)으로 수축시킨 후 천궁의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일과성 이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이완효과는 내피세포 제거시 현저히 억제되었고 또한 NO 합성저해제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그러나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receptor) 길항물질이나 싸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저해제는 천궁 추출물에 의해 유도된 혈관이완작용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천궁에서 생물학적인 활성물질로 분리된 테트라메틸피라진(tetramethylpyrazine)은 내피세포의 유무에 상관없이 NE로 수축 유도된 쥐의 대동맥에 대해 이완작용을 나타내었고 더불어 이완작용이 NO 합성저해제에 의해서도 저해를 받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천궁이 내피세포로부터 NO를 방출시켜 혈관을 이완시키며, 이는 테트라메틸피라진이 아닌 다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로 천궁 추출물이 내피세포의 NO 합성효소를 이용하여 내피세포에서 NO의 방출을 활성화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리구스트라진 (ligustrazine : tetramethylpyrazine HCl)이 분리한 쥐의 폐에서 내피세포 비의존성 혈관이완작용을 나타내었다고 한 오도이(Oddoy et al. (1991))의 결과와 본 실험결과를 비교하면 천궁이 나타내는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작용은 테트라메틸피라진이 아닌 다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이 NO 생성제의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물론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혈관 이완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NO 생성 메카니즘에 의하여 고혈압 치료제, 임포텐스 치료제, 심근경색 치료제, 협심증 치료제, 기억력 장애 개선제 등을 제조할 때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에 따라 다른 활성성분과 혼합하여 효과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됨으로써 약제학 분야의 통상의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치제, 약제, 현탁제, 설하제 등의 경구투여(내복)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시에 주사용 증류수로 재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주사용 건조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연고제, 크림제, 파스제, 패치제(patch), 액제, 스프레이제, 흡입제 등의 국소적용형 제제 등의 다양한 제제 형태로 만들어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담체로는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이 있을 수 있고, 주사제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피하, 복강내에 투여되거나 또는 국소에 바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구투여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약제가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산제를 병용하거나 정제 등의 경구투여용 고형 제제를 장용피로 피복된 제제로만들어 투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담체 및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은 혼합되어 예를 들면 타정기에서 압축 성형하여 정제로 제조할 수도 있고, 조립기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충전기에 의해 충전하여 캅셀제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주사용 증류수와 글리세린 용액을 가하여 유화시켜 주사제로 제조할 수도 있고, 습포제 또는 파스제로 응용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제제의 제조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천궁 추출물의 제조
건조, 절단한 천궁을 시장에서 구입하여 푸드믹서로 갈아 분말형태로 만든 후, 천궁 건조분말에 10배량의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균질화시키고 10,000×g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감압건조한 후 동결건조한 고형의 천궁 추출물을 에탄올에 1g/ml의 농도로 녹여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2] 천궁 추출물의 내피세포의존적 혈관이완에 대한 효과
A. 실험준비
본 실험용 동물은 수컷 스프라그-다우리 랫트(Sprague-Dawley rats(200-250g))이며, 이 쥐를 기절시킨 즉시 방혈하고 하행흉부대동맥(thoracic aorta)을 분리하여 길이 약 2-3mm의 링(ring) 형태로 잘랐으며, 내피가 완전한 상태의 혈관과 생리적 염용액(physiologically salt solution, 이하 'PSS'라 한다.)에 담근 솜을 사용하여 혈관의 내부를 부드럽게 문질러서 내피를 제거한 상태의 혈관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분리한 혈관을 4ml의 PSS가 들어있는 조직 수조(organ bath)에10mN의 안정장력을 나타내도록 현수시켰다. 혈관을 수조에 현수시킨 후 10mN의 장력으로 20분간 평형화시키고 반응이 안정될 때까지 70mM 염화칼륨 용액에 반복적으로 노출시켰다.
실험에 사용한 PSS의 조성은 염화나트륨(NaCl) 136.9mM, 염화칼륨 (KCl) 5.4mM, 염화칼슘(CaCl2) 1.5mM, 염화마그네슘(MgCl2) 1.0mM,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23.8mM, 포도당 5.5mM 그리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0.01mM이었다. 고농도의 칼륨 용액은 염화나트륨을 동일한 농도의 염화칼륨으로 대치시켰다. 조직수조내의 용액은 37℃, pH 7.5에서 95%의 산소(O2)-5%의 이산화탄소(CO2) 혼합기체로 통기상태를 유지시켰다. 혈관의 장력은 장력-변위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FT03, Grass, Fhode Island, USA))가 연결된 다원기록 장치(polygraph system(RPS212, Grass, RI, USA))와 컴퓨터 분석기(computer analyser(Power Lab 400, MacLab system, Castle Hill,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B. 천궁 추출물의 내피의존적 혈관 이완에 관한 효과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적 활성은 300nM의 NE으로 수축시킨 대동맥에 1μM 카바콜(carbachol)을 첨가시 거의 완전하게 이완시키는지(>90%)를 측정하여 판정이 가능하였다(Sudarwo et al. 1992).
실시예1에서 제조한 천궁추출물을 0.03∼10mg/ml의 농도로 상기 조직 수조내 혈관에 적용했는데, 내피세포 유무에 관계없이 안정상태에서는 분리한 쥐 대동맥의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는 미도시함).
상기 분리된 쥐의 흉부대동맥을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천궁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천궁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내피가 완전한 쥐 대동맥에서 300nM NE로 수축시킨 혈관에 대해 천궁추출물은 일시적 이완효과를 나타내었다(93.4±3.2%)(도1의 A). 이러한 이완효과는 적어도 15분간 지속되었으며, 대동맥을 PSS로 다시 씻어낸 후 카바콜 자극시에도 완전한 이완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천궁 추출물은 내피세포를 손상하거나 용혈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상기 천궁 추출물을 내피세포를 제거한 후 NE로 수축시킨 대동맥에 적용시는 매우 적은 효과(13.3±4.9%)만을 나타내었다(도1의 B).
따라서, 위 결과로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은 내피가 존재할 때 작용한다. 즉 혈관 내피세포에 대한 손상이 없이 혈관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용혈이나 어독성 등의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실험 생체에 대하여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NE, 카바콜은 시그마 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3] 천궁 추출물의 농도 의존성 효과
상기 실시예2의 A에서와 실험을 준비하되, 내피세포가 완전한 혈관을 준비하여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천궁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천궁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천궁 추출물의 농도를 0.1에서 0.3mg/ml로 증가시켜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한 후, 혈관 이완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이완효과가 34.1±6.8%에서 84.6±7.3%로 증가하여 상기 천궁 추출물이 쥐 대동맥에 대해 농도 의존적 혈관 이완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2).
[실시예4] 천궁 추출물의 이완효과에 대한 저해제의 영향
상기 실시예2의 A에서와 같이 실험 준비를 하되, 내피가 완전한 혈관이 든 조직 수조를 5개 준비하였다. 각 조직 수조에 NO 합성효소 저해제인 NG-니트로-L-아르기닌(NG-nitro-L-arginine, 이하 'L-NNA'라 함)), Nω-니트로-L-아르기닌 메틸 에스테르 (Nω-nitro-L-arginine methyl ester, 이하 'NAME'이라 함), NG-메틸-L-아르기닌(NG-methyl-L-arginine, 이하 'NMMA'이라 함) 각각 10μM과 무스카린수용체(muscarinic receptor) 길항물질인 아트로핀(atropin) 1μM 그리고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저해제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μM을 NE에 의한 수축 자극 30분 전에 상기 조직 수조에 각각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분리된 쥐의 흉부대동맥을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천궁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천궁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NO 합성저해제인 L-NNA는 NE로 수축시킨 대동맥에 대한 천궁 추출물의 혈관이완 작용을 완전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3의 A). 또다른 NO 합성저해제인 NAME와 NMMA도 내피세포가 완전한 쥐 대동맥에 대해 L-NNA와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 미도시함). 이에 반하여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저해제인 인도메타신은 NE로 수축시킨 쥐 대동맥에 대한 천궁 추출물의 농도의존적 이완작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3의 B).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물질인 아트로핀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아트로핀 첨가시는 천궁 추출물의 최대 이완 반응이 84.6±7.3%(도3의 C),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64.8±6.8%(데이터 미도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궁 추출물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이완작용에 있어서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등에 의한 무스카린 수용체의 자극이 부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L-NNA, NAME, NMMA, 인도메타신과 아트로핀은 시그마 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비교예] 천궁 추출물과 테트라메틸피라진의 혈관이완작용의 기전 비교
천궁에서 분리된 테트라메틸피라진은 전신과 관상순환 모두에 대해 강력한 혈관이완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Dai & Bache, 1985). 따라서 본 연구진은 테트라메틸피라진이 쥐 흉부대동맥에서 NO에 의해 유도되는 혈관이완작용을 가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2의 A에서와 같이 실험 준비를 하되, 내피가 완전한 혈관이 든 2개의 조직 수조와 내피세포를 제거한 혈관이 든 1개의 조직 수조를 준비하였다. 상기 3개의 조직 수조에 든 상기 분리된 쥐의 흉부대동맥을 300nM NE로 혈관 수축을 유도한 후, 실시예1의 에탄올에 녹인 천궁 추출물을 상기 조직 수조내에 첨가하되 상기 천궁 추출물이 0.3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NE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수축에 대한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이 때 첨가하는 에탄올이 혈관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직 수조내 전체의 용액중 상기 에탄올이 0.01%(V/V)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다만, 내피가 완전한 혈관이 든 조직 수조중 1개의 조직 수조는 NE에 의한 수축 자극 30분 전에 L-NNA 10μM을 첨가하였다. 상기 NE로 처리한 3개의 조직 수조에 테트라메틸피라진 3mM을 각각 첨가하였다.
실험 결과 테트라메틸피라진은 내피세포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혈관이완작용을 나타내었으며(도4), 내피세포가 완전한 대동맥에서 NO 합성저해제인 L-NNA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도4의 C). 이상의 결과에 따라 천궁은 NO에 의해 유도되는 혈관이완작용을 가지나 이는 테트라메틸피라진과는 다른 어떤 물질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테트라메틸피라진은 알드리치 사(Aldrich Chemical Co., Inc. Milwaukee WI,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차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α=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생약인 천궁으로 NO 생성제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인삼 등의 희귀식물에 의하는 종래의 발명에 비하여 생산비가 극히 저렴하고, 그 생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분쇄 및 추출과정 등에 의하므로 생산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혈관 내피에 대한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혈, 어독성 등 심각한 부작용이 없이 혈관을 강력히 이완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생리적 활성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순환기 계통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병, 고혈압, 뇌일혈, 동맥경화, 혈액순환 장애, 신경통, 당뇨병, 성기능 장애, 기억력 장애 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시에 처방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하고 저렴한 NO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혈관이완제 등의 약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활성 성분으로서 천궁, 천궁 분말, 천궁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궁 추출물이 천궁을 물, 저급알콜 또는 유기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혈관 이완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고혈압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임포텐스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심근경색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협심증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기억력 장애 개선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조제되어, 단위별로 혈관 이완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형태로 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궁, 천궁 분말, 천궁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 성분 농도가 0.03∼0.5㎎/㎖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단위별로 혈관 이완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형태로 조제될 때, 그 형태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과립제, 액제, 현탁제, 주사용 용액, 현탁액 또는 습포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13. 천궁 건조분말에 5∼2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균질화시키는 단계;
    상기 균질화된 천궁분말을 10,000×g로 10∼30분간 원심분리는 단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액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건조후 동결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생성제 조성물.
KR1020020078219A 2002-12-10 2002-12-10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KR20040050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219A KR20040050396A (ko) 2002-12-10 2002-12-10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219A KR20040050396A (ko) 2002-12-10 2002-12-10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396A true KR20040050396A (ko) 2004-06-16

Family

ID=3734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219A KR20040050396A (ko) 2002-12-10 2002-12-10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3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176A (ko)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심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192597B2 (en) 2011-10-27 2015-11-2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hibiting vascular aging comprising syringaresinol
CN105362320A (zh) * 2015-12-02 2016-03-02 广东药学院 一种3d打印制备速效救心口腔崩解片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2597B2 (en) 2011-10-27 2015-11-2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hibiting vascular aging comprising syringaresinol
KR20140070176A (ko)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심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362320A (zh) * 2015-12-02 2016-03-02 广东药学院 一种3d打印制备速效救心口腔崩解片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7087B (zh) 一种治疗心脑血管疾病的药物组合物
CN100522178C (zh) 用于治疗男性和女性性无能的制剂
Tom et al. The aqueous extract of Terminalia superba (Combretaceae) prevents glucose-induced hypertension in rats
Madubunyi Antihepatotoxic and trypanocidal activitie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Nauclea latifolia root bark
AU734851B2 (en) The extract of pine needle and the use thereof
KR19980014498A (ko) 부자-유황 복합제제
CN106421075B (zh) 一种竹柳抗氧化活性组分的制备方法和应用
CN1977890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用途
KR20040050396A (ko) 천궁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약품 조성물
AU2006312678B2 (en) Extracts from the bark of corynanthe species, use thereof, and medicaments, dietary product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said extracts
CN100467025C (zh) 积雪草总苷、积雪草苷或羟基积雪草苷在制备防治心、脑血管疾病药物中的用途
CN101040891B (zh) 昆明山海棠生物碱的制备方法
JP4864259B2 (ja) 性機能障害および血管収縮に関する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におけるイカリンの使用
WO2009076869A1 (zh) 高纯度丹酚酸、制备方法及应用
KR20010038797A (ko) 홍국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생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조성물
Rattmann et al. Activation of muscarinic receptors by a hydroalcoholic extract of Dicksonia sellowiana Presl. HooK (Dicksoniaceae) induces vascular relaxation and hypotension in rats
CN102048824B (zh) 一种用于治疗脑血管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US6340474B1 (en) Composition for potentiating a growth hormone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of said composition
CN110882247A (zh) 异钩藤碱在制备戒毒药物中的用途
RU2627610C2 (ru) Композиция аминокислот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отравлений метанолом
Sadraei et al.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effect of Pycnocycla spinosa Decne. exBoiss. var. spinosa extract in anaesthetized rat
CN100348200C (zh) 芍药甙的医药用途
JPS62132829A (ja) 肝炎の治療剤
KR100796005B1 (ko) 시르시마린 또는 시르시마리틴을 함유하는 혈관 평활근이완용 조성물
CN107375409B (zh) 龙须藤多甲氧基总黄酮治疗和预防胃溃疡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