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342A -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 Google Patents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342A
KR20040050342A KR1020020078152A KR20020078152A KR20040050342A KR 20040050342 A KR20040050342 A KR 20040050342A KR 1020020078152 A KR1020020078152 A KR 1020020078152A KR 20020078152 A KR20020078152 A KR 20020078152A KR 20040050342 A KR20040050342 A KR 20040050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uide plate
light guid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이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길 filed Critical 이상길
Priority to KR102002007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342A/ko
Publication of KR2004005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 도광판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광판의 전면을 제외하고 도광판 주위의 어느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공급하는 광원 및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여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경우와 같이 광원의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광원의 위치를 결정하여 도광판이 더욱 얇아지더라도 그에 대응할 수 있으며, 출력하는 광의 휘도를 높이는 것이 쉽게 이루어지고, 또한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램프들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액정 디스플레이 혹은 조명 등의 장치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결과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분야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산업 발전에 일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Back light unit with enhanced light source position}
본 발명은 액정장치 혹은 조명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back light)에 관한 것으로서, 백라이트에 빛의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액정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한 액정장치나 조명용 장치 혹은 조명용 판넬에 사용되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니트는 보통 빛을 공급하는 광원이 도광판의 한쪽 혹은 양쪽 측면에 위치한다.
도 1은 빛을 공급하는 광원이 부착된 백라이트 유니트 구조를 뒤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광판(100)은 광원(110)에서 공급되는 빛을 반사 및 산란하여 전면으로 방출한다.
도 2는 도 1에서 I-I'의 단면을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0의 화살표는 광원(110)에서 공급되는 빛의 방향이며, 참조번호 20의 화살표는 도광판(100)에서 반사된 광원(100)의 빛이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종래의 백라이트 유니트는 도광판(100)의 일 측면에 광원인 램프(110)가 위치하여 빛을 공급하는 구조를 가진다.
기술 발달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백라이트 유니트 혹은 도광판은 점점 얇아지고 있으며, 얇아질 것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외에도 도광판에서 외부로 공급되어 결과적으로 사람들에게 디스플레이되는 LCD 혹은 조명의 빛의 휘도는 증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영상인 경우 휘도가 증가될수록 밝은 화면을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휘도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광원에서 공급되는 빛이 반사되는 도광판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거나 도광판을 다층으로 구성하거나 혹은 도광판의 뒷면에 반사판과 같은 것을 부착하여 광원에서 공급되는 빛이 가능하면 많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이전에 광원(110)에서 공급되는 빛의 휘도가 큰 경우에도 높은 휘도의 빛이 출력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도광판에서 출력되는 빛의 휘도가 높기 위해서는 광원인 램프(110)에서 제공되는 빛의 휘도가 높아야하는데 높은 휘도를 제공하는 광원은 일반적으로 열을 많이 배출하므로 사람들에게 가깝게 위치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열이 많이 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많은 열을 배출하기 위해 방열을 한다면 방열을 위한 구조물이 부착되어야 하므로 얇아져야 하는 도광판 혹은 백라이트 유니트에는 역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열 문제없이 높은 휘도 제공을 위해서는 열방출을 적게 하는 광원인 램프의수를 많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서 도광판(100)에서 광원(110)이 장착되지 않은 반대쪽 측면에 다른 광원을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혹은 광원에 사용되는 램프를 크게 하거나 혹은 복수개의 광원을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위의 어느 경우에나 종래의 백라이트 유니트의 경우 휘도를 증가하기 위해 필요한 광원인 램프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며 그 결과 도광판 혹은 백라이트 유니트가 얇아져야 하는 필요에 맞출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광판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의 위치를 개선하여 많은 개수의 광원을 사용하더라도 도광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쉽게 백라이트 유니트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빛을 공급하는 광원이 부착된 백라이트 유니트 구조를 뒤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의 단면을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의 위치가 도광판 뒷면에 밀착된 백라이트 유니트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 1과 같은 절단선에서의 단면을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백라이트의 유니트를 본 발명에 따라 광원의 위치를 변경하고 그에 따라 반사부의 구조가 바뀐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의 구조에서 반사부의 내부 구조를 U자형이 되도록 변경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광원으로 점광원 소자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500, 600, 700 : 도광판
110, 310, 510, 610 : 광원710 : 광원
320, 520, 620, 720 : 반사부
330, 530, 630, 730 : 광 도파로740 : 광 케이블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는, 입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광판의 전면을 제외하고 도광판 주위의 어느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공급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2개의 반사면을 가진 프리즘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을 통해 최소 2번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1개의 반사면을 가진 반 프리즘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을 통해 최소 1번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다른 예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U자형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U자형의 반사면을 통해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각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상기 반사부까지 연결하는 광 도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 도파로의 내부 또는 외부는 반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직진광 및 반사광을 상기 반사부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는 또한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와 소정 개수의 광 케이블 혹은 광섬유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은 상기 광케이블 혹은 광섬유를 통해 상기 반사부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의 위치가 도광판 뒷면에 밀착된 백라이트 유니트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에 도면의 상단 부분의 백라이트 유니트가 막혀있어야 정상이나 도 3의 경우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반사부(320) 부근의 도광판(300)과 광 도파로(330)의 모습이 보이도록 백라이트 유니트의 상단 부분의 광 도파로(330) 부분과 반사부(320) 부근을 일부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광원(310)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반사부(320)를 통해 도광판(300)으로 입사된다. 이때에 광원(310)과 반사부(320)과의 거리가 멀다면 반사부(320)의 한 끝을 길게 늘이거나 혹은 광원(310)과 반사부(320) 사이를 연결하는 광 도파로(330)를 설치할 수 있다.
광 도파로(330)는 광원(310)에서 발생되는 광을 손실없이 전달하기 위해 그 내부가 반사면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광도파로(330)의 내부를 반사면으로 하기 힘든 경우 광 도파로의 외부에 반사면을 구성하여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광도파로를 통해 나오는 혹은 산란되는 광을 반사하여 광 도파로 내부를 통해 광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광 도파로를 통해 전달되는 광이 전반사되도록 광 도파로 및 광도파로 외부 공기의 굴절률에 따라 광 도파로 내부의 광이 전반사되도록 광원에서 광 도파로로 입사되는 각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반사면은 니켈 도금과 같은 표면 처리 방법 혹은 반사 필름을부착하여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 1에서 II-II'의 절단선에서의 단면을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반사부(320)의 내부는 도광판(300)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2개의 반사면을 가진 프리즘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광원(31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을 통해 최소 2번 반사하여 도광판(300)으로 광을 입사한다.
이때에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도 광 도파로(330)의 내부와 같이 니켈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코팅을 이용하여 반사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광원(310)에서 공급하는 광이 최대한 도광판(3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한 용어인 프리즘 구조는 반사면이 거울 2개를 직각 혹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구성되어 그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3에서 광도파로(330)를 통해 진행된 광이 비어있는 반사부(320)의 비어있는 내부를 통해 첫 번째 거울로 입사되어 반사되면 그 반사된 광이 두 번째 거울에서 다시 반사되어 도광판(300)으로 입사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320)의 프리즘 구조는 내부가 광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프리즘을 포함한다. 프리즘의 반사면은 직각 혹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구성되며, 광도파로(330)를 통해 입사된 광은 프리즘의 내부를 통해 반사부(320)인 프리즘의 첫 번째 반사면으로 입사 및 반사되어 두 번째 반사면에서 다시 반사되어 도광판(300)으로 입사된다.
도 3에서 광원(310)이 도광판(300) 바로 뒷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310)의 위치는 도광판(300)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며, 광원(320)과 반사부(320) 간의 거리도 도 3보다 더 멀리 떨어져도 혹은 더 가까이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다만 도광판(300)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혹은 백라이트 유니트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광원(320)의 위치는 바뀔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따라 광 도파로와 반사부(320)의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300)의 상단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도광판(300)의 전면 즉 도광판(300)을 통과하여 광이 진행하는 앞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도광판의 화면 혹은 조명 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광원(310)은 도광판(300)의 전면에는 위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5는 도 3에 비해 광원(510)의 위치를 변경하고 그에 따라 반사부(520)의 구조가 바뀐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같은 구성을 위해 반사부(520)는 도광판(500)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1개의 반사면을 가진 반 프리즘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광원(51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을 통해 최소 1번 반사하여 도광판(500)으로 광을 입사하게 된다.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원(510)과 반사부(520)과의 거리가 멀다면 반사부(520)의 한 끝을 길게 늘이거나 혹은 광원(510)과 반사부(520) 사이를 연결하는 광 도파로(530)를 설치할 수 있다. 광 도파로(530)의 내부도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가 반사면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부를 반사면으로 하기 힘든 경우 광 도파로(530)의 외부에 반사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한 용어인 반 프리즘 구조는 반사면이 거울 1개가 광도파로(530)를 통해 진행된 광을 직각 혹은 소정의 각도로 반사하는 그리고 그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3에서 광도파로(530)를 통해 진행된 광이 비어있는 반사부(520)의 비어있는 내부를 통해 입사되어 반사되면 그 반사된 광이 도광판(500)으로 입사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520)의 반 프리즘 구조는 내부가 광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반사면이 하나인 프리즘을 포함한다. 프리즘의 반사면은 직각 혹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구성되며, 광도파로(530)를 통해 입사된 광은 프리즘의 내부를 통해 반사부(320)인 프리즘의 반사면으로 입사 및 반사되어 도광판(500)으로 입사된다.
광원(510)과 반사부(520) 간의 거리가 짧을수록 손실없이 광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 5에서 광원(510)을 반사부(520)에 바로 연결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광 도파로(530)는 설치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도 6은 도 3의 구조에서 반사부(620)의 내부 구조를 U자형이 되도록 변경한 것이다. 반사부(620)는 도광판(600)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U자형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있어 광원(610)으로부터 광 도파로(630)를 통해 공급되는 광을 U자형의 반사면을 통해 반사하여 도광판(600)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이다. 반사부(620)의 내부 반사판의 모습을 곡선으로 혹은 타원의 모습으로 구성하면 도 3의 백라이트 유니트에서와 같이 프리즘의 반사판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더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광원(610)과 반사부(620) 간의 거리가 짧으면 별도의 광 도파로(630)를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광 도파로(630)의 내부 역시 반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사부의 U자형 내부도 니켈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코팅을 하여 빛의 반사가 원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혹은 광 도파로(630)의 내부를 반사면으로 하기 힘든 경우 광 도파로(630)의 외부에 반사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도 도 3에서와 같이 광원(610)이 도광판(600) 바로 뒷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610)의 위치는 도광판(600)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며, 광원(620)과 반사부(620) 간의 거리도 도 6보다 더 멀리 떨어져도 혹은 더 가까이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다만 백 라이트 유니트가 설치되는 것이 편하도록 여러 가지 변형된 모습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의 예에서는 광 도파로(630)의 모습을 U자형인 경우로 설명되어 있으나 응용 분야에 따라 혹은 분야에 따라 광 도파로(630)는 소정 모양의 곡선을 이루면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광원으로 점광원 소자(710)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백라이트 유니트의 구조와 유사하며, 도 3은 백라이트 유니트의 상단의 일부를 들어낸 모습을 도시한 것이나 도 7은 은선을 사용하여 백라이트 유니트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의 반사부(720)는 도 6의 반사부(620)의 구조와 유사한 것이다.
광원(710)은 반사부(720)와 소정 개수의 광 케이블 혹은 광섬유(740)로 연결되어 있으며, 광원(71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은 광 케이블들(혹은 광섬유들)(740)을 통해 반사부(720)로 전달되어 도광판(700)으로 입사된다. 그리고 광케이블(740)이 도 3 내지 도 6에서의 광 도파로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하게 된다. 이 경우 광 도파로(730)는 광 케이블들(혹은 광섬유들)(740)이 설치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에는 광 케이블들(혹은 광섬유들)(740)을 통해 전달되는 광이 반사부(720)에서 반사되어 도광판(700)으로 입사되는 모습이 가장 상단의 광 케이블들(혹은 광섬유들)(740)의 경우에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반사부(720)는 도 3 내지 도 6의 구조와 같은 반사부나 혹은 다른 변형된 구조의 모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7에서 광원은 도광판의 일 측면에 설치된 반사부를 통해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환경에 따라 도광판의 다른 측면에도 반사부를 설치하고 원래 있던 광원 혹은 다른 별도의 광원으로부터 광을 공급받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 모습의 하나인 것을 당연하다.
또한 광원을 하나만 설치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역시 이런 구조도 설명을 위한 것이며, 바로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2개의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의 양 측면에서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혹은 여러 개의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광원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다.
특히 도 7의 경우 광원(710)으로 사용되는 점광원을 여러 개 사용하여 광원(710)이 광 케이블들(혹은 광섬유들)(740)에 입사되는 일종의 입구 부분의 크기만 크게 하면 광 케이블들(혹은 광섬유들)(740)의 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점광원을 복수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필요한 고휘도의 광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에서는 광원이 도광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려지는 부분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은 위치에만 광원이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별도의 도면으로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광원은 도광판의 상단 혹은 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종래에는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광원의 위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휘도를 높이는 것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는 광원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에 필요한 휘도를 공급하기 위해 광원을 여러 개 사용하거나 혹은 높은 휘도 발생 때문에 많은 열을 발생하는 광원을 사용하더라도 종래의 백라이트 유니트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 도광판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광판의 전면을 제외하고 도광판 주위의 어느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공급하는 광원 및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여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경우와 같이 광원의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광원의 위치를 결정하여 도광판이 더욱 얇아지더라도 그에 대응할 수 있으며, 출력하는 광의 휘도를 높이는 것이 쉽게 이루어지고, 또한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램프들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액정 디스플레이 혹은 조명 등의 장치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결과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분야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산업 발전에 일조를 할 수 있다.

Claims (7)

  1. 입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광판의 전면을 제외하고 도광판 주위의 어느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공급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2개의 반사면을 가진 프리즘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을 통해 최소 2번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1개의 반사면을 가진 반 프리즘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반 프리즘 구조의 반사면을 통해 최소 1번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되는 부분 내부에 U자형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U자형의 반사면을 통해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상기 반사부까지 연결하는 광 도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파로의 내부 또는 외부는 반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직진광 및 반사광을 상기 반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와 소정 개수의 광 케이블 혹은 광섬유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은 상기 광케이블 혹은 광섬유를 통해 상기 반사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KR1020020078152A 2002-12-10 2002-12-10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KR20040050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152A KR20040050342A (ko) 2002-12-10 2002-12-10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152A KR20040050342A (ko) 2002-12-10 2002-12-10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342A true KR20040050342A (ko) 2004-06-16

Family

ID=3734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152A KR20040050342A (ko) 2002-12-10 2002-12-10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3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21B1 (ko) * 2010-08-25 2012-06-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저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
CN104614800A (zh) * 2015-02-05 2015-05-13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柱
CN104613417A (zh) * 2015-02-05 2015-05-13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传输损耗低的导光柱结构
CN104635294A (zh) * 2015-02-06 2015-05-20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一种低损耗导光柱结构
WO2016137773A1 (en) * 2015-02-27 2016-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guide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CN105987356A (zh) * 2015-01-28 2016-10-05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和l形导光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568A (ko) * 1994-12-15 1996-07-20 쯔지 하루오 조명장치
JPH08201809A (ja) * 1995-01-27 1996-08-09 Sharp Corp 照明装置
JP2000331522A (ja) * 1999-05-21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KR20010036520A (ko) * 1999-10-08 2001-05-07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백라이트 유닛
KR20020019426A (ko) * 2000-09-05 2002-03-12 요코다 마코도 화상 표시 장치 및 면광원 장치
JP2002229019A (ja) * 2001-01-29 2002-08-14 Seiko Epson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補助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568A (ko) * 1994-12-15 1996-07-20 쯔지 하루오 조명장치
JPH08201809A (ja) * 1995-01-27 1996-08-09 Sharp Corp 照明装置
JP2000331522A (ja) * 1999-05-21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KR20010036520A (ko) * 1999-10-08 2001-05-07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백라이트 유닛
KR20020019426A (ko) * 2000-09-05 2002-03-12 요코다 마코도 화상 표시 장치 및 면광원 장치
JP2002229019A (ja) * 2001-01-29 2002-08-14 Seiko Epson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補助光源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21B1 (ko) * 2010-08-25 2012-06-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저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
CN105987356A (zh) * 2015-01-28 2016-10-05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和l形导光板
CN105987356B (zh) * 2015-01-28 2019-04-2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和l形导光板
CN104614800A (zh) * 2015-02-05 2015-05-13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柱
CN104613417A (zh) * 2015-02-05 2015-05-13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传输损耗低的导光柱结构
CN104635294A (zh) * 2015-02-06 2015-05-20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一种低损耗导光柱结构
WO2016137773A1 (en) * 2015-02-27 2016-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guide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877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5130434B2 (ja) 導光板及びそれを採用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6098029A1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243455A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53326B2 (ja) 照明装置
JP2006128072A (ja) 導光板及び面発光装置
TWI460503B (zh) 背光單元
JP2008288195A (ja) 偏光転向フィルムを含む、低減された色分解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WO2007029858A1 (ja) 面状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源ユニット
JP4421583B2 (ja) 導光板及び面発光装置
EP2269102A1 (en) Illumination system, back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US20040184258A1 (en) Surface lighting device with closed oblique reflector
JP2000011724A (ja) バックライト、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CA2341190C (en) Light pipe for a backlighting system
JPH09292531A (ja) 導光板および光偏向板ならびに平面照明装置
KR20040050342A (ko) 광원의 위치가 개선된 백라이트 유니트
JP2011040369A (ja) 方向変換膜システムのための導光板
JP2009003412A (ja) 低減された色分解を有する偏光転向フィルム
JPH11174214A (ja) 指向性反射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反射型表示装置
JP2002329403A (ja) 表示装置用の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4265797A (ja) 内部拡散手段を有する面光源
JP2001215338A (ja)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301666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보조광원
JPH11183729A (ja) 照明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3023026B2 (ja) 面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