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213A -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213A
KR20040050213A KR1020020077911A KR20020077911A KR20040050213A KR 20040050213 A KR20040050213 A KR 20040050213A KR 1020020077911 A KR1020020077911 A KR 1020020077911A KR 20020077911 A KR20020077911 A KR 20020077911A KR 20040050213 A KR20040050213 A KR 2004005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frame
duct
vertical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541B1 (ko
Inventor
박영환
홍경섭
정춘면
최무용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5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응축기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로 구성된 응축기의 열교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후가 개구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구형(矩形)의 케이스로 형성된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과,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덕트형 응축기판들을 지지하는 응축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응축기 프레임은 응축기 프레임의 전방측 좌측단과 전방측 우측단과 후방측 좌측단과 후방측 우측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2, 3, 4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structure for condenser in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응축식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기를 구성하고 있는 덕트형 응축기판들과 체결되는 응축기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행하는 기기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로 나뉘어진다.
배기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응축기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는 다시 드럼으로 보내어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화살표 Ⅰ은 순환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 Ⅱ는 외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10)는 전, 후가 개구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구형(矩形)의 케이스 형상이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과,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일체로 설치되는 냉각핀(15)과,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과 일체로 체결되는 응축기 프레임(17)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응축기에서의 열교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작용을 마치고 드럼(미도시)으로부터 배출된 고온 다습한 순환공기가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들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냉각핀(15)이 설치된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들 외부로 도시되지 않은 냉각팬으로부터 토출된 외기가 유입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 내부를 지나가는 순환공기와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들 사이를 지나가는 외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교차되면서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을 통해 간접적인 접촉방식으로 열교환을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 내부를 유동하는 순환공기는 고온 다습하고,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들 사이를 유동하는 외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이므로, 순환공기는 외기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하여 응축되어 수분이 제거된 후 건조공기로 변환되어 응축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용 응축기는 다수개의 덕트형응축기판(13)과 이와 체결되는 응축기 프레임(17)은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 및 조립이 불가능하고, 상기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의 내부로 순환공기가 유동을 하므로 순환공기가 함유한 보푸라기등의 이물질이 덕트형 응축기판(13)의 내부에 고착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에 고착된 이물질은 순환공기와 외기와의 열교환시 접촉 열저항을 증대시키고 열전달 면적을 작게함으로써,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들로 구성된 응축기(10)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응축기를 이루고 있는 덕트형 응축기판들과 체결되는 응축기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응축기 프레임에서 덕트형 응축기판들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하도록 함은 물론 순환공기가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의 외부를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에 고착된 이물질의 제거를 쉽게하여 이로 구성된 응축기의 열교환 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응축기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덕트형 응축기 판에 형성된 돌출부가 좌, 우측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덕트형 응축기판의 양측면에 구비된 실러가 좌, 우측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응축기130:덕트형 응축기판
133,135,137:돌출부150:응축기 프레임
151:제1수직프레임152:제2수직프레임
153:제3수직프레임154:제4수직프레임
155:전면프레임156:후면프레임
157:좌측면프레임158:우측면프레임
163,165,167:실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가 개구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구형(矩形)의 케이스로 형성된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과,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덕트형 응축기판들을 지지하는 응축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응축기 프레임은 응축기 프레임의 전방측 좌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응축기 프레임의 전방측 우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응축기 프레임의 후방측 좌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과, 응축기 프레임의 후방측 우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 후면프레임은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의 이격된 공간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전, 후면 프레임과 좌, 우측면프레임은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응축기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덕트형 응축기 판에 형성된 돌출부가 좌, 우측면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화살표 Ⅰ은 순환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 Ⅱ는 외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응축기(100)는 전후가 개구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구형(矩形)의 케이스로 형성된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130)과,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0)들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덕트형 응축기판(130)들을 지지하는 응축기 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프레임(150)은 응축기 프레임(150)의 전방측 좌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151)과, 응축기 프레임(150)의 전방측 우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152)과, 응축기 프레임(150)의 후방측 좌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153)과, 응축기 프레임(150)의 후방측 우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수직프레임(154)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5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52)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프레임(155)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153)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154)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프레임(156)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51)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153)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면프레임(157)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52)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154)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면프레임(15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 후면프레임(155,156)들은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157,158)들의 이격된 공간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전, 후면 프레임(155,156)들과 좌, 우측면프레임(157,158)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0)의 양측면에는 응축기판(130)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원형상의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157,158)에는상기 돌출부(13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안내홈(157a,158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57a,158a)은 상기 제1, 2, 3, 4수직프레임(151,152,153,154)에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3)의 단면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때 돌출부(135,137)가 삽입되는 안내홈(157b,157c,158b,158c)은 돌출부(135,137)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덕트형 응축기판의 양측면에 구비된 실러가 좌, 우측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0)의 양측면에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실러(163)가 구비되고,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157,158)에 상기 실러(16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안내홈(157d,158d)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57d,158d)은 제1, 2, 3, 4수직프레임(151,152,153,154)들에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러(163)의 단면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때 실러(165,167)가 삽입되는 안내홈(157e,157f,158e,158f)은 실러(165,167)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덕트형응축기판(130)의 내부에는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응축기판(130) 내부로 원형 돌출된 엠보싱(미도시)이 설치되거나 또는 펄스형상으로 굴곡된 판형 냉각핀(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덕트형 응축기판(130)의 외부 즉, 덕트형 응축기판(130)의 측방향으로는 순환공기가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0)들 내부 즉, 덕트형 응축기판(130)의 개구된 전후방향으로는 외기가 유동하도록 덕트형 응축기판(130)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안내홈(157a,157b,157c,157d,157e,157f,158a,158b,158c,158d,158e,158f)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157,158)의 일측면은 순환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하기 위하여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 후면 프레임(155,156)과 좌, 우측면프레임(157,158) 및 제1, 2, 3, 4수직프레임(151,152,153,154)은 순환공기와 외기가 유동시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에서도 역시,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순환공기를 응축기(100)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는 다시 드럼으로 보내어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드럼(미도시)으로부터 배출되고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공기를 상기 응축기(100)를 구성하는 덕트형 응축기판(130)들 외부로 유동시키므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0)들 외부에 퇴적하여 고착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덕트형 응축기판(130)의 양측면에 구비된 돌출부(133,135,137) 또는 실러(163,165,167)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덕트형 응축기판(130)은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157,158)과 제1, 2, 3, 4수직프레임(151,152,153,154)에형성된안내홈(157a,157b,157c,157d,157e,157f,158a,158b,158c,158d,158e,158f)과 전후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공기에 의하여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130)들에 고착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이로 구성된 응축기(100)의 열교환 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응축기를 구성하는 덕트형 응축기판의 외부로 순환공기를 유동하게 하고 상기 각각의 덕트형 응축기판을 응축기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쉽게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응축기의 열교환 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후가 개구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구형(矩形)의 케이스로 형성된 다수개의 덕트형 응축기판과,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들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덕트형 응축기판들을 지지하는 응축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응축기 프레임은,
    응축기 프레임의 전방측 좌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응축기 프레임의 전방측 우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응축기 프레임의 후방측 좌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과,
    응축기 프레임의 후방측 우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 후면프레임은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의 이격된 공간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전, 후면 프레임과 좌, 우측면프레임은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1, 2, 3, 4수직프레임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이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의 양측면에 실러가 구비되고,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에 상기 실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실러와 동일한 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은 제1, 2, 3, 4수직프레임들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이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의 외부 즉, 덕트형 응축기판의 측방향으로는 순환공기가 유동하고,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의 내부 즉, 덕트형 응축기판의 개구된 전후방향으로는 외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덕트형 응축기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의 일측면은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응축기.
KR10-2002-0077911A 2002-12-09 2002-12-09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KR10046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911A KR100463541B1 (ko) 2002-12-09 2002-12-09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911A KR100463541B1 (ko) 2002-12-09 2002-12-09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13A true KR20040050213A (ko) 2004-06-16
KR100463541B1 KR100463541B1 (ko) 2004-12-29

Family

ID=3734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911A KR100463541B1 (ko) 2002-12-09 2002-12-09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383B1 (ko) * 2004-07-20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2626816A (zh) * 2019-10-08 2021-04-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冷凝器及干衣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459A (en) * 1978-09-13 1980-03-17 Hitachi Ltd Heat exchanger
JPS56128199U (ko) * 1980-02-29 1981-09-29
JPS5789897A (en) * 1980-11-26 1982-06-04 Hitachi Ltd Heat exchanger for clothing drier having dehumidifying function
ES2173239T3 (es) * 1995-11-20 2002-10-16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dispositivo cambiador de calor de corrientes cruzad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383B1 (ko) * 2004-07-20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2626816A (zh) * 2019-10-08 2021-04-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冷凝器及干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541B1 (ko)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136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냉각핀 배열구조
US8453720B2 (en) Heat exchanger and condensing type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KR100595188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응축기
US20170233918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463541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KR20090118762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CN213896424U (zh) 水气分离的换热组件及衣物烘干装置
KR100463540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용 응축기의 구조
CN114250609A (zh) 水气混合的换热组件及衣物烘干装置
CN100451231C (zh) 冷凝式衣类烘干机用冷凝器的结构
CN111005193B (zh) 安装座及衣物处理装置
CN114293354A (zh) 一种直排式的新风洗衣装置
CN110656479B (zh) 冷凝器及衣物处理装置
KR100480717B1 (ko) 의류건조기의 코일히터
CN213896425U (zh) 水气混合的换热组件及衣物烘干装置
JP2008054948A (ja) 洗濯乾燥機
KR101174638B1 (ko)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KR100648168B1 (ko)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CN214219141U (zh) 衣物护理装置中的换热组件及衣物烘干装置
CN213896421U (zh) 一种直排式的新风洗衣装置
KR100459185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응축기캡 구조
CN114250605A (zh) 水气分离的换热组件及衣物烘干装置
CN213896430U (zh) 水气分离的出风模块及衣物烘干装置
CN111088676B (zh) 基座及衣物处理装置
CN217026432U (zh) 换热器和干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