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1Y1 -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 Google Patents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1Y1
KR200400501Y1 KR20-2005-0024304U KR20050024304U KR200400501Y1 KR 200400501 Y1 KR200400501 Y1 KR 200400501Y1 KR 20050024304 U KR20050024304 U KR 20050024304U KR 200400501 Y1 KR200400501 Y1 KR 200400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cap
rai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3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이호
Original Assignee
김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호 filed Critical 김이호
Priority to KR20-2005-0024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1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02M65/003Measuring variation of fuel pressure in high pressure line

Abstract

본 고안은 디젤차량의 커먼레일 시스템 등과 같이 고압이 작용하는 연료분사장치에서 연소실의 압축 압력상태에 대한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that can easi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 pressure state of the compression chamber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a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device such as a common rail system of a diesel vehicle.

본 고안은 노즐 바디의 홀에 2단 홀구조를 적용하여 일반 장비로도 간단하게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 바디 제작시 홀 가공과 관련한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 노즐 바디의 전체적인 홀 체적 감소에 따른 압력충전시간의 단축으로 보다 신속한 측정을 할 수 있는 한편, 노즐 바디에 구비되는 슈레드 장착과 관련하여 캡을 이용한 조립식의 슈레드 장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슈레드의 점검 및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two-stage hole structure to the hole of the nozzle body, so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by general equipment,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related to the hole processing when manufacturing the nozzle body, and also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ozzle body. The shorter the pressure filling tim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hole volume, the faster the measurement can be made, and the inspection and replacement of the shredding by applying the prefabricated shred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cap in connection with the shredding provided in the nozzle body It provides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that can be made easier.

Description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본 고안은 디젤차량의 커먼레일 시스템 등과 같이 고압이 작용하는 연료분사장치에서 연소실의 압축 압력상태에 대한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 바디의 홀에 2단 홀구조를 적용하여 가공성 향상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신속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캡을 이용한 슈레드 장착구조를 적용하여 슈레드의 점검 및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device that can easily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mpression pressure stat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a high-pressure fuel injection device such as a common rail system of a diesel vehicle, more specifically, a nozzle body The two-stage hol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hole of th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improvement of workability, and to make a quick measurement, and the shred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cap is applied to check and replace the thread. The invention relates to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 that can be facilitated.

일반적으로 디젤차량의 연료분사장치는 고압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압화에 대한 요구분사압력은 계속 상승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general, the fuel injection of diesel vehicles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technologies for high pressure, and the required injection pressure for such a high pressure is continuously increasing.

현재 상기와 같은 높은 압력에서 연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ㆍ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At presen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system in which fuel is injected at such a high pressure is being conducted.

최근 디젤차량의 연료분사장치는 커먼레일 시스템(Common rail system)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커먼레일 시스템은 고압의 서플라이 펌프에 의해 만들어지는 고압의 연료를 축압실인 커먼레일에 축적한 다음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노즐 니들 배후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분사의 개시와 종료가 결정되어지는 시스템이다. In recent years, the fuel injection of diesel vehicles employs a common rail system. The common rail system accumulates high-pressure fuel produced by a high-pressure supply pump in a common rail, a pressure storage chamber, and then attaches a solenoid valve. By controlling the pressure behind the nozzle needle by means of which the start and end of the injection is determined.

이와 같은 커먼레일 시스템은 분사시스템의 고압화, 분사율의 정밀제어, 분사량 및 분사시기의 완전한 전자제어 등의 장점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디젤차량에서 적용하고 있다. This common rail system is applied to almost all diesel vehicles due to the advantages of high pressure of injection system, precise control of injection rate, complete electronic control of injection amount and injection timing.

보통 커먼레일 시스템은 고압을 발생시키는 서플라이 펌프(Supply pump), 고압연료를 축적하는 커먼레일, 고압연료가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부착된 인젝터, 인젝터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연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Common common rail systems include a supply pump that generates high pressure, a common rail that accumulates high pressure fuel, an injector with a solenoid valve that controls the supply of high pressure fuel to the injection nozzle, a combustion chamber supplied with fuel from the injector, and the like. It consists of.

따라서, 고압의 연료는 항상 커먼레일에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가 가압, 압송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게 되어 이를 제어하는 자유도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fuel of high pressure is always accumulated in the common rail, the injection does not directly depend on the pressurization and the pressure feeding,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controlling it can be greatly improved.

이와 같은 커먼레일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디젤차량에서 연료분사장치의 압력 등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동지연, 매연상태불량, 엔진부조현상, 시동꺼짐, 출력저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연료분사장치, 특히 커먼레일측의 압력을 점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If a diesel vehicle adopting such a common rail system has an abnormality in the pressure of the fuel injection device, problems such as start-up delay, soot state failure, engine misalignment, start-up off, and output reduction occur. In this case, fuel injection The problem is solved by checking the pressure, especially on the common rail side.

위와 같은 점검작업은 대형 정비소, A/S센터 등과 같이 점검장비가 갖추어져 있는 업소에서 하게 되며, 커먼레일 시스템과 같은 고압이 작용하는 연료분사장치를 점검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특수한 점검장비를 사용하여 점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The above inspection work is carried out in the shops equipped with inspection equipment such as large repair shops and after-sales centers, and special inspection equipment needs special attention when inspecting the high-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such as the common rail system. To perform the check.

기존의 점검장비, 즉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는 크게 연소실측에 장착되는 노즐 바디와, 커플링 등을 통해 노즐바디와 조립되는 압력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먼레일 시스템의 가동시 연소실측과 통하는 노즐 바디의 내부를 통해 압력계까지 고압의 압축 압력이 채워지면 이때의 압력을 압력계의 게이지로 확인하는 측정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Conventional inspection equipment, that is,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is composed of a nozzle body mounted on the combustion chamber side and a pressure gauge assembled with the nozzle body through a coupling, etc., and a nozzle body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side when the common rail system is operated. When the high pressure compression pressure is filled to the pressure gaug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ressure gauge at this time consists of a gauge.

그러나, 기존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경우 노즐 바디 제작시 고가 장비인 건드릴 등과 같은 특수장비를 사용하여 일자형태의 관통구조로 대략 6∼8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긴 구간의 홀을 한번에 가공하기 때문에 제작비용(특히, 가공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is manufactured because it processes a long section of holes with a diameter of about 6 to 8mm at once by using special equipment such as an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 gundrill when manufacturing a nozzle bod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particularly, the machining cost) increases significantly.

또한, 노즐 바디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첵밸브가 일체식으로 장착됨에 따라 막힘 등의 이상시 교체가 거의 불가능하여 노즐 바디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ock valve mounted on the tip of the nozzle body is integrally mount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place the nozzle body itself when an abnormality such as clogging occurs.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노즐 바디의 홀에 2단 홀구조를 적용하여 일반 장비로도 간단하게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 바디 제작시 홀 가공과 관련한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 노즐 바디의 전체적인 홀 체적 감소에 따른 압력충전시간의 단축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by applying a two-stage hole structure to the hole of the nozzle body so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by general equipment, the manufacturing cost related to the hole processing when manufacturing the nozzle bod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device that can greatly reduce the pressure, and can perform a faster and more precise measurement by shortening the pressure filling time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overall hole volume of the nozzle body.

또한, 본 고안은 노즐 바디에 첵밸브 대신 슈레드를 적용하여 장착과 관련하여 캡을 이용한 조립식의 슈레드 장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슈레드의 점검 및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prefabricated shred mounting structure using a cap in relation to the mounting by applying a shred instead of a check valve to the nozzle body, thereby making common rail pressure measurement easier to check and replace the shre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the equipment.

또한, 본 고안은 압력 측정시 노즐 바디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측면 양쪽 평면부의 한쪽 끝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양편 평면부 간의 간격에 꼭맞는 폭을 갖는 홀더 내에 평면부 부분을 끼울 때 초기에 끝이 걸리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at one end of both flat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nozzle body during pressure measurement, so that the initial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aving a width that fits the gap between the two flat portions. There is another purpos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nd of the probl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에 있어서,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캡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와 커플러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를 갖고 있으며 내부의 홀은 직경이 다른 2단 홀로 이루어진 길다란 원통형태의 노즐 바디와, 내부에 슈레드를 수용하면서 노즐 바디의 수나사부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체결 조립되는 캡과, 상기 노즐 바디의 암나사부에 체결 조립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를 통해 노즐 바디측과 연결되는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has a male thread for fastening the cap and a female thread for fastening the coupler, respectively, and the inner hole is made of two-stage ho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 nozzle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cap which is fastened and assembled in a structure detachable to a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nozzle body while accommodating a shred therein, a coupler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nozzle body, and the nozzle body side through the coupl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e gauge connected with.

또한, 상기 노즐 바디의 홀은 선단부에서부터 뒷쪽으로 바디 전체 길이의 1/3 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소직경의 홀과, 이것과 연속해서 나머지 2/3 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대직경의 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ole of the nozzle body is a hole of a small diameter formed over a section about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body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and a large diameter formed over the remaining 2/3 section subsequent to thi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hole.

또한, 상기 노즐 바디의 수나사부는 나사형성부위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는 O-링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nozzl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ring insert is form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screw forming portion.

또한, 상기 노즐 바디의 외측면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양편에서 서로 나란한 2개의 평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wo planar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having an inclined surface of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슈레드는 캡의 내경면에 나사체결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hr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fastening structure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또한, 상기 캡은 슈레드의 패킹부위와 접하면서 기밀을 보장해주는 테이퍼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pered seating surface to ensure the airtight while contacting the packing portion of the shr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단면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측으로 연결되는 노즐 바디(13)는 기본적으로 길다란 원통형의 바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되는 홀을 갖는다. 1 and 2, the nozzle body 13 connected to the common rail side is basically formed of a long cylindrical bar shape, and has a hole penetrating along the central axis therein.

특히, 이때의 홀은 2단 홀 구조로서, 직경이 작은 홀(12a)과 이보다 직경이 큰 홀(12b)로 이루어져 있다. In particular, the hole at this time has a two-stage hole structure, and includes a hole 12a having a smaller diameter and a hole 12b having a larger diameter.

예를 들면, 노즐 바디(13)의 선단부에서부터 뒷쪽으로 바디 전체 길이의 1/3 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3∼4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홀(12a)과, 이때의 홀(12a)과 연속되면서 나머지 2/3 정도의 구간에 걸쳐 대략 6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홀(12b)로 이루어져 있다. For example, a hole 12a having a diameter of about 3 to 4 mm formed over a section about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body from the front end of the nozzle body 13 to the rear, and continuous with the hole 12a at this time It consists of a hole (12b) having a diameter of about 6mm over the remaining 2/3 section.

이러한 2단 홀 구조는 기존의 홀 가공과 관련한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 This two-stage hole structure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hole making.

즉, 소직경의 홀(12a)과 대직경의 홀(12b)을 각각의 짧은 구간으로 두번에 걸쳐 나누어 가공할 수 있고, 또 건드릴 등과 같은 특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보통 일반장비로도 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홀가공과 관련한 비용적인 부분을 대폭 즉 1/3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That is, the small diameter hole 12a and the large diameter hole 12b can be divided into two short sections each time, and can also be processed with ordinary general equipment without using special equipment such as a gun drill. As a result, the cost associated with hole processing can be reduced to about one third.

또한, 소직경을 갖는 2단 홀 구조로 인해 기존 일자형 관통홀에 비해 전체적인 홀 내부의 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압력측정시 홀 내에 채워지는 가스의 충전시간이 단축되면서 그만큼 측정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소직경을 갖는 홀구조를 통해 먼저 가스가 적은량으로 유입되므로 예민하고 고장이 잦은 측정 게이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two-stage hole structure with a small diameter,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volume inside the hol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aight through-holes, thereby reducing the filling time of the gas filled in the hole during the pressure measurement, the measurement work as much It can be done quickly. In addition, the small-diameter hole structure allows gas to be introduced first, thus preventing the breakdown of sensitive and frequent measuring gauges.

이와 같은 노즐 바디(13)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수나사부(10)와 암나사부(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앞쪽의 캡(15)과 뒷쪽의 커플러(16)를 각각 체결할 수 있다. The male thread portion 10 and the female thread portion 11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nozzle body 13, respectively, so that the front cap 15 and the rear coupler 16 can be fastened respectively.

특히, 노즐 바디(13)의 수나사부(10)에는 나사형성부위와 인접한 일측, 즉 노즐 바디 본체와의 사이에 O-링 삽입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장착되는 O-링에 의해 캡(15)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을 확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ale screw portion 10 of the nozzle body 13 has an O-ring inserting portion 18 formed between one side adjacent to the threaded portion, that is, the nozzle body body. As a result, airtightness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p 15 can be ensured.

또한, 노즐 바디(13)의 외측면에는 양편에서 서로 나란한 2개의 평면부(20)가 형성되며, 이때의 평면부(20)는 노즐 바디(13) 전체를 홀더(H)상에 거치할 때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wo planar portions 20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body 13, and the planar portion 20 at this time mounts the entire nozzle body 13 on the holder H. Can be used.

특히, 각 평면부(20)의 한쪽 끝은 도 3과 같이 일정각도, 예를 들면 12∼15°정도의 각도로 깍여 있는 경사면(19)으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경사면(19)을 이용하면 노즐 바디(13)를 홀더(H)상에 거치할 때 간섭없이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In particular, one end of each planar portion 20 is an inclined surface 19, which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bout 12 to 15 degrees, as shown in Fig. 3, using the inclined surface 19 at this time When the body 13 is mounted on the holder (H) can be easily mounted without interference.

즉, 도 4와 같이 양편 평면부 간의 간격에 꼭맞는 폭을 갖는 홀더(H) 내에 평면부 부분을 끼울 때 초기에 진입의 어려움 및 끝이 걸리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That is, when fitting the flat portion in the holder (H) having a width that fits the gap between the two flat portions as shown in FIG.

또한, 노즐 바디(13)의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가면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O-링 홈(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곳에 장착되는 O-링을 통해 노즐 바디(13)를 커먼레일측에 보다 긴밀하게 삽입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nozzle body 13 is provided with an O-ring groove 23 formed in the form along the circumference, the nozzle body 13 to the common rail side through the O-ring mounted therein Can be inserted more tightly.

상기 노즐 바디(13)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15)은 나사체결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Cap 15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body 13 is assembled in a removable structure by screwing.

이를 위하여, 상기 캡(15)의 내경면은 노즐 바디(13)의 수나사부(10)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로 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cap 15 is a screw for fastening to the male screw portion 10 of the nozzle body 13.

또한, 캡(15)은 한쪽 단면의 중심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관형태의 돌출부분을 갖고 있으며, 이곳을 이용하여 슈레드(14)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ap 15 has a tubular protrus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one cross section, and can accommodate the shred 14 by using the cap 15.

이러한 관형태의 돌출부분 내경은 일정구간이 나사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슈레드(14)가 갖는 나사부위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슈레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protrusion part is made of a screw thread, and thus, the screw thread can be mounted in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by using the screw portion of the shred 14.

특히, 위의 돌출부분의 내경에는 나사체결부위와 연이어진 위치에 테이퍼 안착면(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슈레드 체결 장착시 슈레드(14)의 패킹부위가 테이퍼 안착면(21)에 압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inner diameter of the above proj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apered seating surface 21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and thus the packing portion of the shredding 14 is tapered seating surface 21 when the threaded fastening is mounted. It can be kept tight as it is compressed.

여기서, 상기 슈레드는 일종의 각종 차량 등의 타이어에 적용되는 첵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shredding functions as a check valve applied to a tire of a kind of various vehicles, and the like can be used.

또한, 캡(15)의 전면에는 돌출부분 주위로 와셔(22)가 장착되며, 이때의 와셔(22)는 노즐 바디(13)를 연소실측에 삽입 연결할 때 그 접촉부위에 대한 연소실측과의 밀착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front face of the cap 15 is equipped with a washer 22 around the projection, wherein the washer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side to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nozzle body 13 is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side It serves to raise.

또한, 캡(15)의 외측에는 조립시 체결작업의 용이함을 위한 평면부, 예를 들면 노즐 바디가 갖는 평면부와 유사한 형태의 평면부가 갖추어져 있어서 이곳을 활용하여 체결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cap 15 is provided with a flat portion for ease of fastening operation during assembly, for example, a flat portion similar in shape to the flat portion of the nozzle body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peration. have.

이렇게 캡(15)을 통해 슈레드(14)를 장착함으로써 슈레드 이상시 캡(15)만 노즐 바디(13)로부터 분해하면 슈레드(14)를 쉽게 탈거할 수 있으므로, 슈레드 교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By mounting the shred 14 through the cap 15 in this way, if the cap 15 is disassembled from the nozzle body 13 at the time of the shredding failure, the shred 14 can be easily removed. It can be done.

실질적으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7)는 노즐 바디(13)의 후단부에 체결구조로 장착되는 커플러(16)를 통해 노즐 바디(13)측과 연결되며, 이때의 커플러(16)와 압력계(17)는 통상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sure gauge 17 which measures the pressure substantially is connected to the nozzle body 13 side through a coupler 16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nozzle body 13 in a fastening structure, and at this time, the coupler 16 and the pressure gauge ( 17) can be applied to ordinary ones.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압력측정장비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조립한다. As shown in FIG. 3, first, assembl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즉, 노즐 바디(13)의 선단부에 슈레드(14)를 갖는 캡(15)을 체결 조립하고, 그 후단부에는 커플러(16)를 체결 조립한 다음, 통상의 커플링 방식으로 압력계(17)를 연결하면 압력측정장비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That is, the cap 15 having the shred 14 at the distal end of the nozzle body 13 is fastened and assembled, and the coupler 16 is fastened and assembled at the rear end thereof, and then the pressure gauge 17 is operated by a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

계속해서, 연소실측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분사 노즐을 탈거한 다음, 그 자리에 노즐 바디(13)를 삽입 설치한다. Subsequently, after removing the one injection nozzle attach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ide, the nozzle body 13 is inserted in place.

즉, 노즐 바디(13)의 선단부에 있는 캡(15)을 앞쪽으로 하여 연소실측 분사 노즐 자리에 노즐 바디(13)를 삽입한다. That is, the nozzle body 13 is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side injection nozzle seat with the cap 15 at the tip end of the nozzle body 13 facing forward.

이렇게 노즐 바디(13)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때부터 압력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nozzle body 13 is comple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essure measurement operation from this time.

엔진 시동 후 정상적으로 커먼레일 시스템의 연료의 공급과 분사가 이루어지진다. After starting the engine, fuel supply and injection of the common rail system are normally performed.

연료펌프에서 고압으로 토출되는 연료는 커먼레일측으로 공급되고 커먼레일측으로부터 각 분사 노즐로 연료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노즐 바디(13)가 삽입결합된 연소실측의 고압의 압축 압력은 인젝터캡(15)→노즐 바디(13)의 홀(12a),(12b)→커플러 연결부위를 경유하여 압력계(17)까지 채워지고, 압축 압력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압력계(17)의 게이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압력계(17)는 오일충만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다. The fuel discharged at high pressure from the fuel pump is supplied to the common rail side and fuel is supplied to each injection nozzle from the common rail side. At this time, the high pressure compression press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side in which the nozzle body 13 is inserted and coupled is the pressure gauge 17 via the injector cap 15 → the holes 12a, 12b → coupler connecting portion of the nozzle body 13. The pressure may be measured by checking the gauge of the pressure gauge 17 while the pressure is fully filled and the compression pressure is completely filled. At this time, the pressure gauge 17 is safe to use the oil-filled and can measure precisely.

이때의 압력측정방법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The pressure measuring method at this time may be adopt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ethod commonly known in the art.

특히, 압력측정시 노즐 바디(13)의 내부에 압축 압력이 채워지는 시간이 홀의 체적감소에 따라 상당히 단축될 수 있고, 따라서 압력측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초기 노즐 바디측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가스가 소직경의 홀(12a)을 통해 선유입하게 되므로 압력계에 고압이 바로 작용함이 없이 즉, 무리없이 고압이 작용하여 안전하고 정밀하게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time during which the compression pressure is filled in the nozzle body 13 during the pressure measurement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according to the volume reduction of the hole, thus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ssure measuring operation and entering the initial nozzle body side. Since the high pressure gas is pre-introduced through the hole 12a of the small diameter, the high pressure does not directly act on the pressure gauge, that is, the high pressure acts without difficulty and can safely and precisely measur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 장비를 사용하여 가공이 가능한 2단 홀구조의 홀을 갖는 노즐 바디를 채용하여 노즐 바디 제작시 홀 가공과 관련한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nozzle body having a two-stage hole structure that can be processed using general equipment,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associated with hole processing may be greatly reduced when manufacturing the nozzle body.

또한, 노즐 바디의 전체적인 홀 체적 감소에 따른 노즐 바디 내의 압력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filling time in the nozzle body can be shorten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overall hole volume of the nozzl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ure can be measured more quickly.

또한, 2단 홀구조의 소직경을 가진 홀을 통해 먼저 연소실측의 고압가스가 적은 양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압력계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며 이로인해 압력계의 손상 방지 및 안전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mall diameter of the two-stage hole structure allows the high pressure gas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be introduced first in a small amount so that it does not overload the pressure gaug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ressure gauge and enabling safe and accurate measurement. .

또한, 캡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슈레드 장착구조를 채용하여 채워지는 압축 압력의 단속뿐만 아니라 슈레드의 점검 및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employing a shred mounting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prefabricated using a cap,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check and replace the shred, as well as to interrupt the compression pressure to be filled.

또한, 외측면의 양쪽 평면부 홀더 결합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홀더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holder in use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on both flat portion holder engaging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단면구성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에 홀더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coupled to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수나사부 11 : 암나사부10: male thread portion 11: female thread portion

12a,12b : 홀 13 : 노즐 바디12a, 12b: hole 13: nozzle body

14 : 슈레드 15 : 캡14: shred 15: cap

16 : 커플러 17 : 압력계16: coupler 17: pressure gauge

18 : O-링 삽입부 19 : 경사면18: O-ring insert 19: slope

20 : 평면부 21 : 테이퍼 안착면20: flat part 21: tapered seating surface

22 : 와셔 23 : O-링 홈22: washer 23: O-ring groove

Claims (6)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에 있어서,In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캡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10)와 커플러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1)를 갖고 있으며 내부의 홀은 직경이 다른 2단 홀(12a),(12b)로 이루어진 길다란 원통형태의 노즐 바디(13)와, 내부에 슈레드(14)를 수용하면서 노즐 바디(13)의 수나사부(10)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체결 조립되는 캡(15)과, 상기 노즐 바디(13)의 암나사부(11)에 체결 조립되는 커플러(16)와, 상기 커플러(16)를 통해 노즐 바디(13)측과 연결되는 압력계(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has a male thread portion 10 for cap coupling and a female thread portion 11 for coupling coupler, and the inner hole has a long cylindrical shape consisting of two-stage holes 12a and 12b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e cap body 13 and the cap 15 which are fastened and assembled in a structure detachable to the male screw portion 10 of the nozzle body 13 while accommodating the shred 14 therein, and the nozzle body 13 of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er (16)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11), and a pressure gauge (17) connected to the nozzle body (13) side through the coupler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13)의 홀(12a),(12b)은 선단부에서부터 뒷쪽으로 바디 전체 길이의 1/3 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소직경의 홀(12a)과, 이것과 연속해서 나머지 2/3 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대직경의 홀(1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es (12a), (12b) of the nozzle body 13 is a small diameter hole (12a) formed over a section about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body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and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arge diameter hole (12b) continuously formed over the remaining 2/3 of the interv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13)의 수나사부(10)는 나사형성부위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는 O-링 삽입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le thread portion (10) of the nozzle body (13) includes an O-ring insert portion (18) formed at one side adjacent to the thread forming por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13)의 외측면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면(19)을 가지면서 양편에서 서로 나란한 2개의 평면부(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body 13 is provided with two planar portions 20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having an inclined surface 19 of a predetermined angl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슈레드(14)는 캡(15)의 내경면에 나사체결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red (14) is mount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cap (15) in a screwing structu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15)은 슈레드(14)의 패킹부위와 접하면서 기밀을 보장해주는 테이퍼 안착면(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 압력측정장비. The common rail press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cap (15) includes a tapered seating surface (21) which ensures airtightness while contacting the packing portion of the shred (14).
KR20-2005-0024304U 2005-08-23 2005-08-23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KR2004005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304U KR200400501Y1 (en) 2005-08-23 2005-08-23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304U KR200400501Y1 (en) 2005-08-23 2005-08-23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1Y1 true KR200400501Y1 (en) 2005-11-08

Family

ID=4370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304U KR200400501Y1 (en) 2005-08-23 2005-08-23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5628B (en) Fuel distributor
US7849833B2 (en) Engine head structure
KR102098354B1 (en) Device for inject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50507B2 (en) Fuel inj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8074502B2 (en) Part for measuring forces or pressures, and sensor comprising such a part
US9683742B2 (en) Pressure sensor integrated glow plug
KR200400501Y1 (en) Pressure tester for common rail
EP1875135B1 (en) Glow plug with a combustion chamber pressure sensor and sealing element
CN102918255B (en) Coupling device
US6752127B2 (en) Accumulator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08566B1 (en) Air gauge for measuring the geometry of precision machined fluid passages
DE102005025115A1 (en) Integrated combustion chamber pressure sensor
US20030084880A1 (en) Pressure-resistant common rail
WO2007033738A3 (en) Fuel distributor
KR100955185B1 (en) Injector correcting device and injector test equipment comprising injector correcting device
KR101038128B1 (en) Variable Type Regulator And Injector Test Equipment Comprising Variable Type Regulator
EP1445474A1 (en) Fuel injector, fuel rail and injection system with the fuel rail and the fuel injector
KR200421832Y1 (en) Vaporizer tester of lpg car
KR200303721Y1 (en) a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 a car
KR200366234Y1 (en) Hi pressure fuel pump tester
KR20170035335A (en) Fuel injection device
US7000851B2 (en) Integrated injection line and injection nozzle
CN105937467A (en) Fuel distributor block
KR100878085B1 (en) High pressure pump measuring equipment of common rail system and measuring method
JP2006194132A (en) Injector, fuel injection system and fluid distribu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