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054A -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 Google Patents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054A
KR20040050054A KR1020030088491A KR20030088491A KR20040050054A KR 20040050054 A KR20040050054 A KR 20040050054A KR 1020030088491 A KR1020030088491 A KR 1020030088491A KR 20030088491 A KR20030088491 A KR 20030088491A KR 20040050054 A KR20040050054 A KR 2004005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sheet
liquid
tubular portion
plastic film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시와기마사히로
나나미히사타카
노모토타카시
키노시타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투액성 표면 시트를 통과하여 심재(芯材)에 흡수된 체액이 표면 시트의 투공(透孔)을 통해 직시될 때의 불쾌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액 흡수성 물품(1)의 투액성 표면 시트(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고, 피부 접촉 영역(21)과 투액성 투공(22)을 갖는다. 투공(22)은 상측 개구부(26), 관상부(27) 및 하측 개구부(29)를 가지며, 관상부(27)의 하단 부분(28)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불규칙하게 복수로 세분화되어 하측 개구부(29)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 굴곡되어 있다.

Description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OF BODY LIQUID ABSORBABLE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이 물품에 함유되어 있는 흡수성 심재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기 위한 투액성 표면 시트는 여러 가지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35662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는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융착시킨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으로, 부직포의 일부로부터는 도액관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액관에는 통기성이 부여되어 있다. 이 표면 시트의 도액관에서는, 그 둘레벽을 통해 물품 내부와의 통기가 도모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58950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는 열가소성 섬유를 융착시킨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으로, 부직포의 일부로부터는 도액관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액관의 하면 개구단에 섬유 우모(羽毛)가 형세(形勢)되어 있다. 이 표면 시트의 도액관에서는 하면 개구단에 위치하는 섬유 우모가 코어에 접촉하여 우수한 모세관 작용을 발휘하고, 코어에 체액을 효과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4-64655호 공보(특허문헌 3)에 개시된 액체 투과성의 열가소성수지 필름은 필름의 한 면에만 자유 가장자리에서 끝나는 돌기형으로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이 개구의 가장 좁은 단면은 이 필름의 평활측의 평면과는 반대측의 평면상에 있고, 또한 개구의 단면은 가장 좁은 단면의 위치로부터 이 돌기의 자유 가장자리를 향해 축 방향으로 크기가 증대된다. 이 문헌에 따르면, 물보다도 훨씬 높은 점성을 갖는 액체에 대해서도 양호한 투과성을 갖는 다공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다공성 필름에서는 개구가 가장 좁은 단면을 갖는 부위에 있어서 모세관 작용이 증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3566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5895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4-6465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표면 시트에 형성된 도액관은 도액관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똑같은 기울기로 연장되어 있다. 그 기울기에 의해 관직경이 하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변화하거나, 커지도록 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고 똑같다. 특허문헌 2의 도액관에서는, 섬유 우모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이 도액관이 연장되는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필름에서는, 돌기 형상으로 만들어진 개구에 있어서의 자유 가장자리와 그 근방이 개구의 외측을 향해, 다시 말해서 개구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표면 시트나 플라스틱 필름에 있어서는, 이들을 예컨대, 생리대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한 경우에 그 표면 시트를 통과하여 심재에 흡수된 월경혈이 생리대를 폐기할 때에 도액관의 개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보인다. 그러한 생리대는 월경혈이 쉽게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하면, 생리대를 폐기할 때에 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생리대 등의 착용 물품이 그것을 폐기할 때에 사용자에 대하여 불쾌감을 줄지 모른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생리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표면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IV-I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동일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액 흡수성 물품(생리대)
2 : 표면 시트
4 : 심재
21 : 접촉 영역
22 : 투공
23 : 상면
24 : 하면
26 : 상측 개구부
27 : 관상부
28 : 하단 부분
29 : 하측 개구부
d : 직경
n : 깊이
t : 두께
w : 폭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고, 피부에 대한 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에 의해 주연부가 구획되어 있는 다수의 투액성 투공을 가지며, 상기 투공에는 상기 주연부로부터 상기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부와 마주 보는 상면으로부터 그 상면의 이면측인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상부의 하단 부분을 체액 흡수성 심재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이다.
이러한 투액성 표면 시트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관상부의 하단 부분이 상기 관상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불규칙하게 또한 복수로 세분화되어 있고, 세분화된 상기 하단 부분이 그것보다도 상측 부분에 대하여 굴곡하여 상기 관상부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투공은 상측 개구부와 상기 상측 개구부보다도 직경이 작은 하측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측 개구부의 직경이 0.3∼2 ㎜의 범위에 있다.
(2) 상기 투공과 투공에 끼워진 상기 접촉 영역의 폭은 0.1∼1 ㎜의 범위에 있다.
(3) 상기 관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촉 영역의 상면에서 상기 하단 부분까지의 깊이가 0.1∼2 ㎜의 범위에 있다.
(4) 상기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0.02∼0.05 ㎜의 범위에 있다.
(5)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 100 중량% 중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40 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0∼10 중량%와,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25∼40 중량%와, 황산바륨 20∼50 중량% 이외에, 적절한 중량%의 착색제, 친수화제 및 윤활제를 함유하고, 평량 10∼50 g/㎡인 것이다.
체액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를 예로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액성 표면 시트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부분 파단 사시도로 도시된 생리대(1)는 세로 방향(A)과 가로 방향(B)을 가지며, 세로 방향(A)으로 길게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것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2), 불투액성 이면 시트(3) 및 흡액성 심재(4)로 이루어진다.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는 심재(4)의 주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중첩되고,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여 세로 방향(A)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 가장자리부(6)와 가로 방향(B)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 가장자리부(7)를 형성하고 있다.
표면 시트(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 가장자리부(6)와 단 가장자리부(7)로 둘러싸여 심재(4)의 상면(8)을 피복하고 있는 내측 부위(9)에는 다수의 투액성 투공(22)을 갖고 있다.
이면 시트(3)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불투액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필름에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것이 사용된다. 이면 시트(3)는 그 하면(12)의 특정 부위에 점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어 생리대 사용자의 팬티에 착탈 가능하다.
심재(4)는 분쇄 펄프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섬유와의 혼합물 등을 특정 밀도로까지 압축한 것으로, 통상은 그 전체가 티슈페이퍼(14)로 피복되어 있다. 심재(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이면 시트(3) 및/또는 표면 시트(2)에 접합할 수 있다.
도 2는 표면 시트(2)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표면 시트(2)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어 생리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켜야 하는 피부 접촉 영역(21)과, 피부 접촉 영역(21)에 의해 주연부가 구획되어 있는 다수의 투공(22)을 갖는다. 피부 접촉 영역(21)은 생리대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 보는 상면(23)과, 상면(23)의 이면측인 하면(24)을 가지며, 이들 양면(23, 24) 사이의 두께(t)는 바람직하게0.01∼0.05 ㎜의 범위에 있다. 인접하는 투공(22)과 투공(22) 사이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 영역(21)의 폭(w)은 바람직하게는 0.1∼1 ㎜의 범위에 있다. 투공(22)은 주연부가 피부 접촉 영역(21)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상측 개구부(26)와, 개구부(26)로부터 피부 접촉 영역(21)의 상면(23)에서 하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상부(27)와, 관상부(27)의 하단 부분(28)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하측 개구부(29)를 갖는다. 상측 개구부(26)의 형상은 부정형으로서, 도시예와 같이 각각이 대략 원형인 경우 이외에, 타원형이나 다각형, 기타 임의의 형상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관상부(27)는 상측 개구부(26)로부터 하측 개구부(29)를 향해 내경이 점차로 작아진다. 관상부(27)의 하단 부분(28)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불규칙하게 또한 복수로 세분화되어 있다. 그 하단 부분(28)은 관상부(27)에 있어서의 그것보다도 상측 부분에 대하여 굴곡하여 관상부(27)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 3, 도 4는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와, 그 단면도의 IV-I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지만, 도 3에는 심재(4)의 일부분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관상부(27)의 내경은 피부 접촉 영역(21)의 상면(23)으로부터 하면(24)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점점 작아지지만, 하단 부분(28)은 그것보다도 상측 부분에 대하여 굴곡하여, 관상부(27)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꽃잎형을 띠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관상부(27)를 포함하는 투공(22)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이 피부 접촉 영역(21)으로부터 관상부(27)를 향해 매끄러운 호를 그리면서 연장되어 있다. 관상부(27)에서는, 그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상측 개구부(26)로부터 하측 개구부(29)를 향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하측 개구부(29)의 주연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하단 부분(28)은 하측 개구부(29)의 대략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갈라진 금(31)에 의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복수로 분할, 세분화되어 있다. 그 하단 부분(28)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필름의 상면(23)은 상측 개구부(26)와 마주 보도록 상측으로 향하고, 하면(24)이 심재(4)의 티슈페이퍼(14)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투공(22)은 하단 부분(28)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으로써 하측 개구부(29)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는 경향을 갖지만, 갈라진 금(31)이 존재함으로써 그 경향을 막을 수 있다. 관상부(27)는 티슈페이퍼(14)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수평면(L)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5°의 거의 똑같은 기울기를 갖는다. 도 4에 있어서 관상부(27)의 하단 부분(28)에 내접하는 가상선(m)으로 도시된 하측 개구부(29)의 최대 직경(d)은 0.3∼2 ㎜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한 관상부(27)는 피부 접촉 영역(21)의 상면(23)에서 하측 개구부(29)까지의 깊이(n)가 0.1∼2 ㎜의 범위에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2)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에는 바람직하게는 평량 10∼50 g/㎡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머에는 폴리에틸렌의 호모폴리머나 코폴리머 및 이들 호모폴리머나 코폴리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플라스틱 필름의 일례는 100 중량%의 필름 중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0∼10 중량%, 에틸렌과 부텐, 프로필렌, 4-디메틸펜텐, 옥텐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물 25∼40 중량%, 황산바륨이나 탄산칼슘, 탈크 등의 미립자 재료 20∼50 중량%를 함유하는 이외에,산화티탄 등의 착색제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친수제, 지방산 아미드 등의 활재(滑材)를 적절한 중량% 함유한다. 그러한 예의 필름에 있어서,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는 필름에 탄성적인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다. 황산바륨 등의 미립자는 필름이 연신되었을 때에 표면에 떠올라 필름 표면의 윤기를 없애거나, 그 표면의 피부에 대한 끈적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산화티탄 등의 착색제는 심재(4)에 흡수된 월경혈을 은폐할 수 있다. 친수제를 사용함으로써, 관상부(27)의 상면(23)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관상부(27)로 유입되는 월경혈을 강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재(4)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생리대(1)에서는, 월경혈을 흡수한 후에 이것을 상측에서 보면, 관상부(27)를 통과하여 심재(4)로 흡수된 월경혈이 하측 개구부(29)에 있어서는 직시되지만, 하측 개구부(29)와 관상부(27)의 하단 부분(28)과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갈라진 금(31)에서는, 갈라진 금(31)과 금(31) 사이에 착색된 하단 부분(28)이 존재함으로써, 월경혈이 직접 보이는 것을 막아주어, 눈에 띄는 일이 없다. 산화티탄에 의해 유백색을 띠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측 개구부(29)의 주위에서 월경혈이 백색화하여 보인다. 이러한 생리대(1)는 관상부(27)의 하측 개구부(29)의 개구 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키지 않게 하여, 다시 말해서 생리대(1)의 흡수 속도와 흡수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여 심재(4)에 흡수된 월경혈을 직시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시예의 표면 시트(2)는 피부 접촉 부위(21)의 상면(23)에 서로 병행하여 생리대(1)의 세로방향(A)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리브(51)를 갖는다. 리브(51)는 정상부(52)가 피부를 자극하는 일이 없도록, 정상부(52)는 알맞게 둥그스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51)의 높이는 피부 접촉 영역(21)의 두께(t)의 0.5∼2배 정도의 범위에 있고, 인접하는 리브(51)끼리의 이격 치수(p)는 2∼8 ㎜의 범위에 있다. 이러한 리브(51)는 생리대(1)를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에, 피부 접촉 영역(21)이 넓은 면적에 걸쳐 피부에 밀착하는 것을 방해하여, 피부 접촉 영역(21)과 피부 사이에 통기 가능한 간극을 형성하여 피부의 짓무름을 막을 수 있다. 리브(51)는 또한, 피부에 접촉한 생리대(1)가 폭 방향(B)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표면 시트(2)에 생기는 주름을 그것이 세로 방향(A)으로 연장되도록 규제할 수 있다. 표면 시트(2)에 생기는 주름이 세로 방향(A)으로 연장됨으로써, 월경혈이 폭 방향(B)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생리대(1)는 쉽게 옆으로 새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서, 이 표면 시트(2)에서는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생리대(1)의 세로 방향(A)에 있어서도 가로 방향(B)에 있어서도, 표면 시트(2)와 피부와의 미끄러짐이 좋아져서 피부에 대한 표면 시트(2)의 끈적거림이 적어진다.
도 6도 또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시예의 표면 시트(2)에서는, 피부 접촉 영역(21)이 국부적으로 상측으로 융기함으로써 리브(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51)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상측으로부터 눌려졌을 때에 도 5보다도 용이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촉감이 유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시트는 투액성 투공을 가지며, 그 투공에서는 관상부의 하단 부분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복수로 세분화되어, 관상부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관상부를 통과하여 심재에 흡수된 체액, 예컨대 월경혈은 투공의 하측 개구부에 있어서만 직시되고, 하측 개구부의 외측에서는 관상부의 하단 부분에 은폐되어 눈에 띄는 일이 없다. 이러한 표면 시트를 갖는 생리대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은 이것을 폐기할 때에 체액에 의한 더러움을 직시함으로써 생기는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부에 대한 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에 의해 주연부가 구획되어 있는 다수의 투액성 투공을 가지며, 상기 투공에는 상기 주연부로부터 상기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부와 마주 보는 상면에서 그 상면의 이면측인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상부의 하단 부분을 체액 흡수성 심재(芯材)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관상부의 하단 부분은 상기 관상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불규칙하게 또한 복수로 세분화되어 있고, 세분화된 상기 하단 부분이 그것보다도 상측 부분에 대하여 굴곡하여 상기 관상부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공은 상측 개구부와 상기 상측 개구부보다도 직경이 작은 하측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측 개구부의 직경이 0.3∼2 ㎜의 범위에 있는 것인 투액성 표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공과 투공에 끼워진 상기 접촉 영역의 폭은 0.1∼1 ㎜의 범위에 있는 것인 투액성 표면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촉 영역의 상면에서 상기 하단 부분까지의 깊이가 0.1∼2 ㎜의 범위에 있는 것인 투액성 표면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0.01∼0.05 ㎜의 범위에 있는 것인 투액성 표면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 100 중량%중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0∼10 중량%,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25∼40 중량% 및 황산바륨 20∼50 중량% 이외에, 적절한 중량%의 착색제, 친수화제 및 윤활제를 함유하고, 평량 10∼50 g/㎡인 것인 투액성 표면 시트.
KR1020030088491A 2002-12-09 2003-12-08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KR200400500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7311 2002-12-09
JP2002357311A JP4095425B2 (ja) 2002-12-09 2002-12-09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54A true KR20040050054A (ko) 2004-06-14

Family

ID=3275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491A KR20040050054A (ko) 2002-12-09 2003-12-08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95425B2 (ko)
KR (1) KR20040050054A (ko)
CN (1) CN100500121C (ko)
TW (1) TWI2214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0080B2 (ja) * 2007-09-19 2012-08-01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829204B2 (ja) * 2007-11-15 2011-12-07 花王株式会社 ペットの排泄物処理具
JP5745268B2 (ja) * 2010-12-27 2015-07-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695413B2 (en) * 2011-05-30 2014-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valuating the stickiness of an outer surface on an absorbent article
WO2013129325A1 (ja) * 2012-02-29 2013-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63639B2 (ja) 2012-02-29 2016-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072835B (zh) 2014-11-06 2021-03-02 宝洁公司 包括面向衣服的层合体的吸收制品
EP4335420A3 (en) 2017-02-16 2024-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ubstrates having repeating patterns of aperture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 units
CN109199706A (zh) * 2018-11-16 2019-01-15 王满姣 婴儿纸尿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9700B1 (en) * 1995-07-24 2002-04-10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Film with angled capillaries
US6228462B1 (en) * 1998-05-15 2001-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compression-resistant apertured web
CN2363685Y (zh) * 1999-03-18 2000-02-16 龚政 具有良好渗透性能的干爽网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2235A (en) 2004-07-16
CN100500121C (zh) 2009-06-17
JP2004187810A (ja) 2004-07-08
TWI221410B (en) 2004-10-01
CN1506027A (zh) 2004-06-23
JP4095425B2 (ja)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64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CN109152679B (zh) 吸收性物品
KR0122117Y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
JPH05237150A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ー
JP2005102900A (ja) 吸収性物品
KR19990088361A (ko) 쿠숀층을갖는흡수물품
JP2007143697A (ja) 吸収性物品
KR19980064740A (ko) 일회용 착용 흡수성 물품
JP3812812B2 (ja) 吸収性物品
JP2992574B2 (ja) 吸収性物品
JP4494255B2 (ja) 吸収性物品
WO2019044966A1 (ja) 吸収性物品
JP5302612B2 (ja) 吸収性物品
KR20040050054A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KR10077904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H0458951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19024843A (ja) 吸収性物品
JP2021101926A (ja) 吸収性物品
CN112312869A (zh) 具有身体贴合结构的吸收性制品
JPH10295724A (ja)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H0435662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01299812A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CN109152683B (zh) 吸收性物品
JP202108369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