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978A - 척추측만증 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978A
KR20040049978A KR1020020077159A KR20020077159A KR20040049978A KR 20040049978 A KR20040049978 A KR 20040049978A KR 1020020077159 A KR1020020077159 A KR 1020020077159A KR 20020077159 A KR20020077159 A KR 20020077159A KR 20040049978 A KR20040049978 A KR 2004004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liosis
spine
horizontal
support portion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831B1 (ko
Inventor
유길상
Original Assignee
유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길상 filed Critical 유길상
Priority to KR10-2002-007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8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가 몸의 중심에서 틀어지면서 옆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교정수단으로 사용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면에 시트부재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개의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연결·설치되어 중앙부에 상체받침부를 형성하고, 그 일측 및 타측으로 머리받침부와 하체받침부가 각각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상체받침부를 이루는 고정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대향·설치되며, 내측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이드부재와 수평이동부재가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수평이동부재와 맞물려 지지대상에서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가압부재가 신축작동되는 것에 의해 변형된 척추부위를 교정할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교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교정기{SPINAL CURVATURE CORRECTOR}
본 발명은 척추가 몸의 중심에서 틀어지면서 옆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교정수단으로 사용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들이 편하게 누운상태에서 척추측만증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위치 및 신축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정구를 이용하여 압박이 필요한 인체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란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을 말하며, 특히 척추가 일직선을 이루는 정상적인 사람에 반하여, 허리가 역"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인해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척추측만증은 크게 기능성 척추측만증과 구조성 척추측만증으로 대별되는데,
우선, 기능성 척추측만증이라 함은 척추 자체에는 문제가 없이 다른 외부의 원인으로 발생하여, 일종의 이차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척추측만증을 말하며, 흔히 의자에 앉는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나 책가방을 한 쪽으로만 들고 다녀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기능성(비구조성) 측만증의 경우에는 그 원인을 제거하면 측만증은 사라지게 되고 악회되는 경우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세를 바로잡는 등 원인을 바로잡으면 교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척추측만증과는 달리 척추의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척추측만증을 구조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대부분(80 -85%)의 척추측만증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상기 구조성 척추측만증은 기능성 척추 측만증과는 달리 휘어짐이 악화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척추의 휘어짐이 심해져 심폐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심하면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해야될 질병중에 하나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청소년기(10세에서 골격 성장이 멈출 때까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전체 청소년의 1.5-3% 정도의 빈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여러가지 교정보조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일반적인 교정보조기구는 목과 골반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링 및 골반지지대가 구비되고, 이들을 강체의 브레이스로 연결하여 인체의 중심선상에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스에 대략 직교하도록 고정되어 만곡된 몸통 부위를 중심쪽으로 압박하는 패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척추의 길이방향으로도 견인하여 신장될 수 있게 척추를 당겨주는 머리고정 벨트를 착용하기도 한다.
또한, 척추의 종방향 견인 후에 석고로 캐스팅하여 고정시키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횡 작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개량된 석고 고정틀(Cast frame)이나 죔쇠 석고(Turnbuckle cast), 정위 석고(Localizer cast)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척추 교정보조기구들은 대부분 환자들이 몸에 직접 착용하도록 된 것들이서어, 측만증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너무나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교정보조기구를 착용시에는 상체부분의 전체가 상기 보조기구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환자들이 허리를 앞뒤로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활동에 많은 제약을 주게 되고, 상기 보조기구의 정교한 교정이 어려워 착용에 따른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기구들은 변형된 척추를 교정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유지시켜주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척추측만증에 대한 만족스러운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없었고, 더욱이 무더운 여름철에는 상기 보조기구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들이 보조기구 착용에 따른 부담감으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될 우려가 있었고, 특히 환자들의 몸이 땀에 흠뻑 젖게 되어 대체적으로 민감한 피부를 갖고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가 변형되어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척추의 비정상적인 변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을 지속적인 압박에 의해 바른 자세로교정할 수 있으며,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만증 환자들이 척추측만증에 대한 교정 및 치료는 물론 원적외선 방사체들에 의한 온열치료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면에 시트부재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개의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연결·설치되어 중앙부에 상체받침부를 형성하고, 그 일측 및 타측으로 머리받침부와 하체받침부가 각각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상체받침부를 이루는 고정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대향·설치되며, 내측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이드부재와 수평이동부재가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수평이동부재와 맞물려 상기 지지대 상에서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가압부재가 전,후로 신축작동되는 것에 의해 척변형된 척추부위를 교정하도록 된 다수개의 교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척추측만증 교정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교정기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단면도.
도 7a 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의 교정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교정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정기 10 : 안착부 100 : 고정플레이트
20 : 지지대 22 : 가이드부재 24 : 수평이동부재
30 : 교정구 32 : 수평작동부 34 : 조절부
36 : 가압부 352 : 작동부재 362 : 가압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기(1)는 상부면에 시트부재(110)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개의 고정플레이트(10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00)가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연결·설치되어 중앙부에 상체받침부(12)가 형성되고, 그 일측 및 타측으로 머리받침부(14)와 하체받침부(16)가 각각 형성된 안착부(10)와;
상기 상체받침부(14)를 이루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대향·설치되며, 내측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4)가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지지대(20)와;
상기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4)와 맞물려 지지대(20)상에서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가압부(36)가 수축되는 것에 의해 척추를 교정하도록 된 다수개의 교정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정구(30)는 첨부도면 도 5와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측에 고정편(322)이 돌설된 한쌍의 조립부재(320)들로 조립·구성되며 내측 중앙에 피니언기어(310)가 장착된 수평작동부(32)와, 상기 수평작동부(3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조절부(34)와, 상기 조절부(34)에 의해 수평작동부(32)의 내측 방향으로 전,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3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조절부(34)는 상기 수평작동부(32)를 상기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2)상에서 좌,우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레버(340)와 그 일측으로 상기 교정구(30)의 가압부(36)를 내측방향으로 전,후작동시킬 수 있는 전후작동레버(35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압부(36)는 상기 전후작동레버(350)의 회전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부재(352)와, 상기 작동부재(352)의 전방측으로 연결·조립되어 전,후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작동봉(360)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봉(360)의 선단부에는 만곡된 가압부재(362)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2)는 첨부도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교정구(30)의 수평작동부(32)와 맞물려 상기 교정구(30)가 좌,우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외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이동부재(24)는 상기 수평작동부(32)의 피니언기어(310)가 맞물려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4)는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대(20)의 양측 기둥에 볼트(250)로 체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작동부(32)의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편(322)에는 고정수단(370)이 구비되어 상기 교정기(30)를 적절한 위치로 수평이동시킨 후, 상기 지지대(20)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및 작동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척추측만증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상기 교정기(1)의 시트부재(110)가 구비된 안착부(10) 상부에 편안하게 드러누운 상태에서, 상기 상체받침부(12)의 양측 지지대(20)상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교정구(30)들을 좌,우로 수평 이동시켜 상기 각 교정구(30)들의 내측으로 설치된 가압부재(362)들을 전,후로 신장 및 수축시키면서, 변형이 이루어진 척추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여 척추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교정구(30)의 이동 및 작동상태는 첨부도면 도 6과 도 7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상에서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4)에 맞물려 있는 교정구(30)를 그 후방측의 수평이동레버(340)를 회전시켜 좌,우로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이들의 수평이동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부(36)의 전,후작동은 선단부에 만곡된 가압부재(362)가 고정·설치된 작동봉(360)이 상기 교정구(3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작동레버(350)의 작동부재(352)과 연결·조립되어 상기 전후작동레버(350)의 회전작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정기(1)를 이용한 척추의 교정상태를 첨부도면 도 7a와 도 7b를 참고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척추측만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 다음,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교정기(1)의 안착부(10)상에 편안하게 눕게 한 상태에서, 환자의 상태나 체형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지지대(20)상에 설치되어 있는 교정구(30)들을 후방측 수평이동레버(340)를 이용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교정구(30)들의 위치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구(30)들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작동레버(350)를 회전시켜 내측의 작동부재(352)를 전진작동 시켜주면, 상기 작동부재(352)와 연결·조립되어 있는 작동봉(360)이 전진작동되면서, 선단에 고정된 가압부재(362)가 흉부와 밀착되어 변형이 발생된 척추부위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62)에 의한 지속적인 압박에 의해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를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도면 도 7a와 도 7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척추측만증 환자들의 대부분이 환자의 전면에서 볼때 척추가 역"S"자로 휘어져 있는바, 교정하고자 하는 해당부위에 따라서, 일측의 교정구(30)에서 신장되는 가압부재(362)는 흉부 즉, 변형된 척추부위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가압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와 대향되는 타측의 교정구(30)에서 신장되는 가압부재(362)는 그 가압력을 받아 지지하는 역활을 하게 되므로역"S"로 휘어진 척추를 일직선상으로 곧게 뻗을수 있도록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36)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상기 교정구(3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작동레버(35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휴식을 취하는 동안이나 취침하는 동안에 편안한 자세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척추측만증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일상에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정작업 및 치료를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교정기(1)의 안착부(10)를 이루는 시트부재(110)의 상부면에 옥(玉), 세라믹, 참숯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110a)들이 매설된 상태의 교정기(1)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상기 교정기(1)를 이용하는 환자들에게 척추측만증에 대한 교정 및 치료를 병행하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110a)들에 의해 환자들의 혈관내에 누적되어 있는 노폐물을 제거하여 혈행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의하면, 환자들시트상에 편안하게 누운상태에서 위치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정구를 이용하여 척추측만증과 같은 비 정상적인 척추부위를 효과적으로 가압하면서 올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고,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됨에 따라, 측만증 교정 및 치료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척추측만증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1)는 상부면에 시트부재(110)가 각각 고정설치된 다수개의 고정플레이트(10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00)가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연결·설치되어 중앙부에 상체받침부(12)가 형성되고, 그 일측 및 타측으로 머리받침부(14)와 하체받침부(16)가 각각 형성된 안착부(10)와;
    상기 상체받침부(14)를 이루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대향·설치되며, 내측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4)가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지지대(20)와;
    상기 가이드부재(22)와 수평이동부재(24)에 맞물려 상기 지지대(20)상에서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362)의 신축작용에 의해 척추를 교정하도록 된 다수개의 교정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2)는 외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이동부재(24)는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2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구(30)는 상부측으로 고정편(322)이 돌설된 한쌍의 조립부재(320)들로 조립·구성되어 내측 중앙에 피니언기어(310)가 장착된 수평작동부(32)와, 상기 수평작동부(32)의 외측으로 수평이동레버(340)와 전후작동레버(350)가 설치된 조절부(34)와, 상기 전후작동레버(350)에 의해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며 선단에 가압부재(362)가 고정된 가압부(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110)는 옥(玉), 세라믹, 참숯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11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2002-0077159A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049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159A KR100495831B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159A KR100495831B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87U Division KR200305903Y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978A true KR20040049978A (ko) 2004-06-14
KR100495831B1 KR100495831B1 (ko) 2005-06-20

Family

ID=3734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159A KR100495831B1 (ko) 2002-12-06 2002-12-06 척추측만증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83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82B1 (ko) * 2005-08-24 2007-07-25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100797812B1 (ko) * 2006-07-27 2008-01-24 원남메디칼 (주)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EP2842535A1 (en) * 2013-07-23 2015-03-04 Salperte Sp. z o.o. Gravity scoliosis correction device
CN106923946A (zh) * 2017-03-09 2017-07-07 杨占华 一种脊柱侧弯矫正器
CN108078546A (zh) * 2018-01-05 2018-05-29 曹隽 一种测量和评价脊柱侧弯动态数字分析仪器架
KR101886679B1 (ko) * 2017-02-01 2018-08-09 이한진 척추 측만증 교정기
CN109620505A (zh) * 2019-01-09 2019-04-16 郑州大学第附属医院 一种脊柱三维定位系统
KR20210098171A (ko) * 2020-01-31 2021-08-1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CN114010381A (zh) * 2021-11-19 2022-02-08 樊东 一种脊柱侧弯机器人治疗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32B1 (ko) 2007-05-22 2009-08-07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수면 보조기용 체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8440A (en) * 1949-12-07 1952-08-26 Lee W Mcconnell Garden hose sprayer attachment
US4112935A (en) * 1976-11-03 1978-09-12 Anvar Latypovich Latypov Apparatus for surgical treatment of scoliosis
US5360392A (en) * 1993-05-14 1994-11-01 Northeast Orthotics & Prosthetics, Inc. Method of forming a scoliosis brace
KR970019956A (ko) * 1995-10-19 1997-05-28 곽성근 원적외선 고방사체 바이오 세라믹스 침대매트 제조
KR100532495B1 (ko) * 2004-01-19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강화된 엔드-탭을 가진 서스펜션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EP3141828B1 (en) * 2015-07-14 2020-10-28 Eco Factory Co. Ltd.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82B1 (ko) * 2005-08-24 2007-07-25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100797812B1 (ko) * 2006-07-27 2008-01-24 원남메디칼 (주)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EP2842535A1 (en) * 2013-07-23 2015-03-04 Salperte Sp. z o.o. Gravity scoliosis correction device
KR101886679B1 (ko) * 2017-02-01 2018-08-09 이한진 척추 측만증 교정기
CN106923946A (zh) * 2017-03-09 2017-07-07 杨占华 一种脊柱侧弯矫正器
CN108078546A (zh) * 2018-01-05 2018-05-29 曹隽 一种测量和评价脊柱侧弯动态数字分析仪器架
CN109620505A (zh) * 2019-01-09 2019-04-16 郑州大学第附属医院 一种脊柱三维定位系统
KR20210098171A (ko) * 2020-01-31 2021-08-1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CN114010381A (zh) * 2021-11-19 2022-02-08 樊东 一种脊柱侧弯机器人治疗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831B1 (ko) 2005-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JP5105383B2 (ja) 脊椎矯正用ホイールバック装置
KR100495831B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CN101103943A (zh) 颈椎保健康复椅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JP2022518824A (ja) チェアー、押圧デバイス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KR101445261B1 (ko) 삼중 곡면 구조의 등받이형 척추 교정장치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KR200305903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KR20050080082A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207370861U (zh) 一种脊柱外科用脊柱辅助治疗装置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EP1983947B1 (en) Brace for treatment of spinal deformities
KR100822375B1 (ko) 골반 교정용 보조기
US7041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bosacral area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100911332B1 (ko) 척추 측만증 수면 보조기용 체형장치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KR200323717Y1 (ko) 수면용 척추측만증 보조기
CN215839761U (zh) 一种脊柱矫形治疗用脊柱矫形装置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