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715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715A
KR20040049715A KR1020020077564A KR20020077564A KR20040049715A KR 20040049715 A KR20040049715 A KR 20040049715A KR 1020020077564 A KR1020020077564 A KR 1020020077564A KR 20020077564 A KR20020077564 A KR 20020077564A KR 20040049715 A KR20040049715 A KR 2004004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rtc
uni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715A/ko
Publication of KR2004004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영지역에 있을 때 슬립(Sleep)모드로 전환하더라도 소량의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또한 음영지역에 장시간 있을 경우에는 많은 양의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부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와,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TC(Real Time Clock)부와, 음영지역에 들어갔을 때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상기 RTC부로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에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각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RTC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백업용 배터리와, 상기 RTC부에서 출력한 전원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백업용 배터리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음영지역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가 되지 않는 음영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통화권 이탈" 또는 "No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통화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안테나 표시가 없어지게 된다.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가 음영지역으로 이동하면 기지국과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하게 되어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면 단말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음영지역임을 판단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막기 위해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통화 가능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즉,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통화 가능한 통화대기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영지역에 있을 때 슬립모드로 전환하더라도 소량의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또한 음영지역에 장시간 있을 경우에는 많은 양의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RTC(Real Time Clock)와 백업용 배터리를 구비하여 단말기가 음영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시킴으로써, 음영지역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백업용 배터리 20 : 스위치부
30 : RTC부 40 : 제어부
50 : 레귤레이터 60 : 배터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부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와,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TC(Real Time Clock)부와, 음영지역에 들어갔을 때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상기 RTC부로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에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각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RTC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백업용 배터리와, 상기 RTC부에서 출력한 전원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백업용 배터리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은 RTC부와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뉴에서 음영지역 전원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단말기 전원 오프/온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들어가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RTC부로 현재시간과 상기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후 상기 RTC부에 저장된 전원 오프/온 시간이 지나면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영지역인지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배터리(60)의 전원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부로 공급하는레귤레이터(50)와, 소정의 시간 데이터(예를 들어, 현재 시간과 설정 시간 데이터)를 받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TC(Real Time Clock)부(30)와,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들어갔을 때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상기 RTC부(30)로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50)에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출력한 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레귤레이터(50)가 오프될 때 상기 RTC부(3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백업용 배터리(10)와, 상기 RTC부(30)에서 출력한 전원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백업용 배터리(10)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50)로 출력하는 스위치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20)는 Tr(Transistor)과 저항을 구비하여 구성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음영지역에서 단말기가 오프된 후 설정 시간이 지난 후 온될 때 상기 RTC부(30)에서 출력한 인터럽트(Interrupt)신호에 의해 그 RTC부(30)에 저장된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받는다.
또한, 상기 RTC부(30)는 배터리(60)에 의해 구동되는 시간과 상기 제어부(40)에서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받은 후 기 설정된 시간까지는 하이(High)에 해당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부(20)는 오프(Off)상태가 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로우(Low)에 해당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부(20)는 온(On) 상태가 되어, 상기 레귤레이터(50)에 백업용 배터리(10) 전원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 메뉴에 구비된 음영지역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한다(S10). 물론, 단말기에 상기 음영지역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먼저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음영지역 전원 제어 모드 항목 이름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기 바란다.
상기 음영지역 전원 제어모드가 선택되면 단말기의 전원을 얼마동안 오프한 후 온시킬 것인가에 대한 전원 오프/온 시간 설정 입력 창이 표시되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미도시)의 숫자키 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또는 시간 설정 항목 리스트를 만들어 그 리스트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S20).
이렇게 음영지역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전원 오프/온 시간을 설정한 후,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들어가게 되면 제어부(40)에서 음영지역 임을 감지하여 현재 시간 및 상기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 데이터를 RTC부(30)로 출력하고, 레귤레이터(50)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들어간 후 제어부(40)에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기까지의 시간, 즉, 단말기가 현재지역이 음영지역이라고 판단하는 시간은 이동 통신 사업자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가 기지국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으면 음영지역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0)에서 음영지역을 감지하는 방법은 동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기술사항이므로 설명하지 않겠다.
또한, 레귤레이터(5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출력한 전원 차단 신호를 받아 단말기 각부로 입력되는 배터리(60) 전원을 오프시킨다(S40).
상기 단말기 각부에 입력된 배터리(60) 전원이 오프되면, RTC부(30)는 백업용 배터리(10)에 의해서 내부 타이머(미도시)가 구동되고,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수신한 소정 시간 데이터, 즉, 현재 시간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 그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이 지나면 스위치부(20)로 로우(Low)에 해당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한 과정 S20에서 전원 오프/온 시간을 20분으로 설정하였다면, RTC부(30)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후 20분의 시간이 지나면 로우(Low)에 해당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스위치부(20)에서 상기 RTC부(30)에서 출력한 전원 제어신호에 의해 온되어 백업용 배터리(10) 전원을 레귤레이터(50)에 공급하고, 그 백업용 배터리(10) 전원에 의해 레귤레이터(50)가 구동되면 단말기의 각부에 배터리(60) 전원이 공급되어 단말기가 켜지게 된다(S50).
이렇게 단말기 각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40)가 구동되면, RTC부(30)에서 상기 제어부(40)로 인터럽트신호를 출력하여 그 RTC부(30)에 저장된 내부 타이머(미도시)의 현재 시간과 기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을 제어부(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0)에서 상기 RTC부(30)에서 출력한 소정 시간 데이터를 받고,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있는지를 다시 판단하여(S30) 음영지역이면 상기과정(S40과 S50)을 반복하고, 통화가능지역이면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통화 대기 상태가 된다(S60).
한편, 사용자가 음영지역 전원 제어 모드를 해제하고, 단말기가 음영지역에있으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음영지역에 들어가게 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통화권 이탈" 또는 "No Service"등과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고,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음영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에 통화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안테나 표시가 뜨면서 통화가 가능한 통화 대기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TC(Real Time Clock)부와 백업용 배터리를 구비하여 단말기가 음영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기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 동안 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고 온시킴으로써, 음영지역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부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와;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TC(Real Time Clock)부와;
    음영지역에 들어갔을 때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상기 RTC부로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에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각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RTC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백업용 배터리와;
    상기 RTC부에서 출력한 전원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백업용 배터리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RTC부로 출력하는 소정의 시간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로 전원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할 때의 시간과 기 설정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TC부에서 출력한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백업용배터리 전원이 상기 레귤레이터에 인가되면, 상기 RTC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소정의 시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4. RTC부와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뉴에서 음영지역 전원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단말기 전원 오프/온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들어가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RTC부로 현재시간과 상기 설정된 전원 오프/온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후 상기 RTC부에 저장된 전원 오프/온 시간이 지나면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영지역인지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영지역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RTC부에 저장된 현재시간과 전원 오프/온 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0020077564A 2002-12-07 2002-12-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49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64A KR20040049715A (ko) 2002-12-07 2002-12-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64A KR20040049715A (ko) 2002-12-07 2002-12-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715A true KR20040049715A (ko) 2004-06-12

Family

ID=3734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564A KR20040049715A (ko) 2002-12-07 2002-12-0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71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097A (ja) * 1993-04-21 199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
JPH08204595A (ja) * 1995-01-26 1996-08-0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通信装置
KR20000010373A (ko) * 1998-07-31 2000-02-15 강병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감도에 따른 전원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4769A (ko) * 1998-11-13 2000-06-26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소비 전력 감소 방법
KR20000067419A (ko) * 1999-04-28 2000-11-15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시간 미사용시 전원 자동 온/오프방법
KR20010018527A (ko) * 1999-08-20 2001-03-05 윤종용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097A (ja) * 1993-04-21 199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
JPH08204595A (ja) * 1995-01-26 1996-08-0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通信装置
KR20000010373A (ko) * 1998-07-31 2000-02-15 강병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감도에 따른 전원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4769A (ko) * 1998-11-13 2000-06-26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소비 전력 감소 방법
KR20000067419A (ko) * 1999-04-28 2000-11-15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시간 미사용시 전원 자동 온/오프방법
KR20010018527A (ko) * 1999-08-20 2001-03-05 윤종용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7462A (ko) 이동 통신용 단말기
KR100306275B1 (ko)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에서시계기능을이용한빽라이트제어방법
US20050024318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enabling or disabling backlight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US718100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imer
AU735496B2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18931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전력소모절약장치및그방법
JPH11284712A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4004971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3119565B2 (ja) 無線通信装置
JP4768242B2 (ja) 省電力化装置、携帯端末及び省電力化方法
KR20000020591A (ko) 전원 자동 온/오프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GB2136616A (en) Automatic control of energisation of battery powered receiving apparatus
KR2001000394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 및 방법
KR100305860B1 (ko) 셀룰라폰의통화시전력절감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557088B1 (ko)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US20050221871A1 (en) Circuit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0156857B1 (ko)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KR1004037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32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내 알람기능을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EP0825570B1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2002005367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시계 전용모드 설정 방법
KR100698165B1 (ko) 단말기의 전류 소모 억제 방법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KR20000075259A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